KR20140031983A -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그것을 위한 스마트폰 및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그것을 위한 스마트폰 및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1983A KR20140031983A KR20147002199A KR20147002199A KR20140031983A KR 20140031983 A KR20140031983 A KR 20140031983A KR 20147002199 A KR20147002199 A KR 20147002199A KR 20147002199 A KR20147002199 A KR 20147002199A KR 20140031983 A KR20140031983 A KR 201400319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ck
- symptom
- symptom level
- injured
-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06010025482 malai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01150048216 tag-13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0071 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2540 Consciousne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일례의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은, 상병자에게 붙여지는 부상자 분류 태그와, 상기 상병자의 증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증상 레벨을 판정한 후,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에 상기 증상 레벨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마트폰과, 이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가 붙여진 상병자마다 기억하는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을 때, 이 증상 레벨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부상자 분류 태그를 사용하여 상병자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행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그것을 위한 스마트폰 및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진, 태풍 등의 대규모 재해가 발생했을 때, 긴급히 상병자에게 적절한 대처를 행하는 시스템으로서,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각 상병자에게 부상자 분류 태그를 붙여, 피해의 상황을 상병자마다 파악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대처를 행한다. 부상자 분류 태그는, 붙여진 상병자의 치료 우선도를 나타내는 상병자 식별표이다.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로부터 얻은 각 상병자의 피해 상황을 휴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베이스에 보내고,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체 상병자의 상황을 관리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휴대 단말기는 부상자 분류 태그로부터 상병자 정보를 얻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보내고,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병자의 증상 등의 정보를 갱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베이스가 항상 안정되게 접속되어 있으면 적절히 대응 가능하지만, 네트워크가 접속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특히 이러한 대규모 재해가 발생했을 때는, 네트워크가 안정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게다가, 증상 등에 적합한 상병자의 처치 등은 가능한 한 단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가 안정되게 접속 불가능한 상황에도, 각 상병자의 증상 등의 최신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그것을 위한 스마트폰 및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병자에게 붙여지는 부상자 분류 태그와, 상기 상병자의 증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증상 레벨을 판정한 후,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에 상기 증상 레벨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마트폰과, 이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가 붙여진 상병자마다 기억하는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을 때, 이 증상 레벨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체의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마트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상자 분류 태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의 스마트폰을 중심으로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부상자 분류 태그 및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에의 증상 레벨을 송신할 때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상 레벨을 판정하는 스마트폰을 바꾸었을 경우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마트폰의 표시 화면예이다.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START법에 의해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PAT법에 의해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이탈 사인에 의해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상자 분류 태그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상자 분류 태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마트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상자 분류 태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의 스마트폰을 중심으로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부상자 분류 태그 및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에의 증상 레벨을 송신할 때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상 레벨을 판정하는 스마트폰을 바꾸었을 경우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마트폰의 표시 화면예이다.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START법에 의해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PAT법에 의해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이탈 사인에 의해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상자 분류 태그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상자 분류 태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일 실시 형태의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1)에 접속된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12)와, 상병자에게 붙여지는 부상자 분류 태그(13)로부터 당해 상병자의 정보를 판독하고, 이 상병자의 판정 결과의 정보를 이 상병자에게 붙여져 있는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기입함과 아울러, 상병자 정보 DB(12)에 상병자의 정보를 기입하고, 이 상병자 정보 DB(12)로부터 이 상병자의 정보를 판독하는 스마트폰(14a, 14b)(통틀어 말할 때는 도면 부호 (14)라고 함)을 구비한다. 상병자 정보 DB(12)는,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 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부상자 분류 태그(13)는 1개, 스마트폰을 2개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는 더 많은 부상자 분류 태그, 스마트폰이 사용된다.
부상자 분류 태그(13)는 특이한 개인 ID가 붙여져 있으며, 이 태그에는 상병자 본인의 사진 등의 개인 정보나 병상이 기억되고, 현장에서 응급 판정이 이루어진 후에 치료 우선도 등의 정보가 추가 기억되는 전자적인 태그이다. 이 부상자 분류 태그(13)는 현장에서 끈, 고무 밴드 등에 의해 상병자에게 장착된다.
부상자 분류 태그(13)에는, 안테나를 갖고 외부와 무선 통신 가능한 IC 태그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IC 태그에는, 이 IC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특이하고 재기입 불가능 또는 가능한 태그 ID와, 상병자의 연령, 성별, 혈액형, 기존 병력, 주소, 전화 번호, 가족의 성명, 가족의 전화 번호, 가족 연락처, 연락처의 사람과의 관계 등이 기억된다.
부상자 분류 태그(13)의 IC 태그에 기억되는 정보는, 태그 ID를 제외하고, 스마트폰(14a, 14b)으로부터 기입된다. 여기서, 이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마트폰은 일반적인 용도에 사용되는 범용 스마트폰이며, 화면 상에 표시가 이루어지고, 그 화면의 일부에 터치 등을 함으로써 입력이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다. 이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을 사용할 때는,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부상자 분류 아이콘을 탭한다. 이 탭에 따라 미리 인스톨된 소정의 부상자 분류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물론, 부상자 분류 프로그램의 형식이 아니라 처음부터 인스톨되어 있는, 전용 스마트폰(모바일 단말기)이어도 된다.
상기 부상자 분류 프로그램의 제어에 기초하여, 직접 또는, 스마트폰에 근접하여 설치된 IC 칩을 통하여, 부상자 분류 태그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및 부상자 분류 태그에의 정보의 기입이 이루어진다.
통상, 큰 재해가 있었을 때는 긴급히 재해 파견 의료팀이 구성된다. 이 재해 파견 의료팀(DMAT)에는, 의사, 간호사, 그들 이외의 의료 직원, 사무 직원이 배치된다. 이들 의료팀의 구성원은, 상술한 부상자 분류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스마트폰을 소지한다. 스마트폰을 소지하는 구성원이, 상병자의 증상을 보고, 선택 입력함으로써, START법에 의한 부상자 분류 정보, PAT법에 의한 부상자 분류 정보, 바이탈 사인 정보에 기초하여, 재해 상병자의 증상 레벨(증상 정도: 0 내지 3의 4구분)이 이 순서로 자동 판정된다.
START법은, Simple Triage And Rapid Treatment 법의 이니셜 용어이며, 구조자에 대하여 상병자 수가 특히 많은 경우에 있어서, 판정 기준을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게다가 간소하게 한 판정 방법이다. PAT법은,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Triage 법의 이니셜 용어이며, 본래, 소아에게 적합한 판정 방법이었지만, 성인에게도 사용되고 있다. 바이탈 사인은, 문자 그대로 생명 징후, 인간이 살아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징후를 조사하는 판정법이다.
부상자 분류 프로그램이 기동되었을 때의 스마트폰 내의 구성예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스마트폰(14)은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그 표시된 화상의 일부에 터치 등의 조작을 행하면 입력 처리가 행해지는 표시 입력부(20)와, 이 표시 입력부(20)의 화면의 표시 화상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21)와, 표시 입력부(20)의 화면 등에서 표시 입력된 입력을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22)와, START법에 기초하는 질문 사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함으로써, 상태를 판단하는 START법 제어 판단부(23S)와, PAT법에 기초하는 질문 사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함으로써, 상태를 판단하는 PAT법 제어 판단부(23P)와, 바이탈 사인의 질문 사항을 표시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증상을 입력함으로써 상병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바이탈 사인 제어 판단부(23V)와, START법, PAT법 및 바이탈 사인에 의해 판단된 증상의 평가에 기초하여 상병자의 증상 레벨을 결정하는 증상 레벨 결정부(24)와, 이 증상 레벨 결정부(24)에서 결정된 결과를 그 평가 시각과 아울러 축적하여 두는 증상 레벨 기억부(25)와, 최종 평가를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무선에 의해 보내고 부상자 분류 태그(13)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송수신부(26)와, 증상 레벨 결정부(24)에서 얻어진 상병자 증상 레벨을,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하고,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송수신부(27)와,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불가능하여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최종 평가 정보 등을 보낼 수 없을 때 일시적으로 정보를 기억해 두는 일시 기억부(28)를 갖는다.
START법 제어 판단부(23S), PAT법 제어 판단부(23P) 및 바이탈 사인 제어 판단부(23V)는, 각 판정 방법에 따라 상병자의 증상 레벨을 판단하는 증상 판단부(23J)를 구성한다.
표시 입력부(20)는 스마트폰(14)에 있어서 통상 행해지고 있는 표시 및 입력의 처리가 행해지는 부분이며, 표시된 질문에 따라 입력한 후, 표시되어 있는 실행 아이콘(20e)에 터치함으로써, 입력된 데이터가 입력 인식부(22)에서 인식되어, 태그 송수신부(26)로부터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송신됨과 아울러, 서버 송수신부(27)를 통하여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된다.
또한, 처음에, 부상자 분류 태그(13)의 고유 ID는 부상자 분류 태그(13)로부터 송신되고, 태그 송수신부(26)에서 수신되어, 표시 제어부(21), 표시 입력부(20), 입력 인식부(22)를 통하여 서버 송수신부(27)에 들어가,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된다. 태그 송수신부(26)로부터 직접, 서버 송수신부(27)에 보내어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해도 된다.
표시 입력부(20)에는, 처음에,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표시되고 이 입력에 기초하여 입력 인식부(22)에서 인식되어,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접 태그 송수신부(26)로부터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송신되는 한편, 서버 송수신부(27)로부터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무선 LAN(11L) 및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송신된다. 송신되는 것은, 판정된 증상 레벨의 데이터와 그 판정 시각(연월일을 포함함)과, 그 밖의 입력된 수치 데이터이다. 스마트폰(14)으로부터 네트워크(1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는, 서버 송수신부(27)에 부속되는 접속 검지부(27D)에 의해 행해진다.
도 3에, 부상자 분류 태그(13)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부상자 분류 태그(13)는 개인 기본 정보가 기억되는 개인 정보 기억부(31)와, 스마트폰(14)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증상 레벨, 판정 시각, 스마트폰(14)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의 각 데이터 등이 기억되는 증상 레벨 기억부(32)와, 스마트폰(14)과 송수신을 행하는 스마트폰 송수신부(33)를 구비한다.
네트워크(11)를 통하여 스마트폰(14)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증상 레벨 등의 데이터는, 스마트폰 송수신부(33)에서 수신되어,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기억된다.
도 4에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는 상기 설명한 상병자 정보 DB(12)와, 상병자 정보 DB(12)를, 예를 들어 상병자 성명, 번호 등으로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41)와, 스마트폰(14)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스마트폰 송수신부(42)와, 이 스마트폰 송수신부(42)에 부속되어 네트워크(11)와의 접속을 검지하는 접속 검지부(42D)와, 상병자 정보 DB(12)에 데이터의 기입과 판독을 행하는 데이터 기입 판독부(43)와, 접속 검지부(42D)에 의해 네트워크(11)에 송신할 수 없음이 검지되었을 때, 송신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44)를 갖는다.
스마트폰(14)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증상 레벨 등의 데이터는, 통상 스마트폰 송수신부(42)에서 수신되어 데이터 기입 판독부(43)를 경유하여 상병자 정보 DB(12)에 기억된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따라, 이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스마트폰(14)에의 상병자의 개인 데이터 및 START법, PAT법, 바이탈 사인의 3가지의 판정 방법에 따른 증상 데이터의 입력과 그 결과의 판단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각 판정 방법에 있어서, 스텝 S505, S508, S510에 있어서, 스마트폰으로부터 부상자 분류 태그에의 데이터의 송신, 그 후의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에의 데이터의 송신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어느 상병자의 담당 의사는, 도 5에 도시하는 스텝 S501에서, 자기가 휴대하는 스마트폰(14a)에, 당해 상병자의 개인의 기본 데이터를 입력한다. 도 8에 입력된 개인 기본 데이터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한다.
우선, 스마트폰(14)(각각 설명할 때는, (도면 부호) 14a, 14b)에 처음에 표시되는 기본 화면과,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화면은 상부의 기본 정보 표시부(81)와 하부의 조건 입력 판정 표시부(82)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부에는 개인의 기본 데이터가 고정 표시되고, 하부의 조건 입력 판정 표시부(82)에는, 손가락에 의한 하측 방향의 드래그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이후에 설명하는 3가지의 판정법에 있어서의 질문 사항이 순차, 표시되고 판정된다. 하부의 최하란에는, 에리어와 판정자가 표시된다.
상기 3가지의 판정은 순차, 각각 이루어지고, 각 판정법이 기초하는 증상 레벨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즉, 우선 START법에 기초하여 상병자의 증상이 입력되고, 증상 레벨이 판정된다. 다음으로 PAT법에 기초하여 증상이 입력되고, 증상 레벨이 판정된다. 그 결과의 증상 레벨은, START법에 기초하여 판정된 증상 레벨에 덮어쓰기된다. 다음으로 바이탈 사인에 기초하여 증상이 입력되고 판정된다. 단, 바이탈 사인에 기초하여 판정된 증상 레벨보다도 PAT법에 기초하여 판정된 증상 레벨이 무거울 때는, PAT법에 기초하는 증상 레벨이 최종으로 된다. 요컨대, 앞의상기 2가지 법에 있어서의 증상 레벨도 참조하여, 가장 무거운 증상 레벨의 판정이 최종 결과로 된다. 단, 충분한 시간을 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중의 판정법으로 증상 레벨이 표현되는 경우도 있다.
스마트폰(14a)의 상부의 기본 정보 표시부(81)에는, 성명, 연령, 성별, 상병명, 최종 평가의 칸이 있고, 그 우측에 상병자의 사진(84)이 표시된다.
이들 정보는, 처음에 판명되어 있는 범위에서 기입되며, 사진도 입수되어 있으면 전자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최종 평가는, 평가가 마친 후에 표시된다. 스텝 S501에서 상병자의 개인 기본 데이터가 스마트폰(14a)에 입력된 후, 스텝 S502에서 이 데이터가 당해 상병자의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송신된다. 이 부상자 분류 태그(13)와 스마트폰(14)의 통신은 근접하여 행해지며, 수신할 수 없는 등의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병자의 증상에 따라 우선 START법에 기초하는 판정이 이루어진다. 즉 스텝 S503에서, 상병자를 관찰, 진찰하여 증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START법에 의해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할 때의 조건 입력 판정 표시부(82)의 표시예를 도 9에 도시한다. 보행의 가능, 불가능이 표시되고, 스마트폰(14a)를 휴대하고 있는 조작자는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 그 다음으로 호흡의 상태가 선택지로서 표시되고, 여기서도, 조작자가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 손가락 등에서 플릭하여 화면을 화살표(9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어지는 화면이 표시된다.
START법에 기초하는 판정에는, 통상, 보행의 가부, 호흡의 유무, 호흡수, 순환, 의식 레벨을 순차 입력해 나가지만, 그 선택된 증상에 따라 거기서 증상 레벨이 판단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보행이 불가능하고, 호흡이 없는 경우로서, 기도를 확보해도 호흡이 없는 경우에는, 레벨 0(흑색: 사망)으로 판정되고, 기도를 확보했을 때 호흡이 있으면, 레벨 1(적색: 긴급 치료)로 판정된다.
다음 스텝 S504에서는, START법에 기초하는 증상 레벨이 판정된다. 이 판정은, 모든 증상을 입력되지 않더라도, 도중의 입력된 선택지에 의해 정해지면 그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9에서, 호흡의 상태에서 「기도 확보하여 호흡 있음」이 선택되면, 이 단계에서 증상 레벨이 1로 판정된다.
판정 결과(START법에 기초하여 판정된 증상 레벨)는 S505에서 그 판정 시각과 함께 부상자 분류 태그(13) 및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보내어진다. 증상 레벨 외에, 입력된 상세한 데이터를 부상자 분류 태그(13) 및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그 데이터의 상세한 내용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상세한 진단의 참고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판정 결과가 보내어지는 수순의 상세를 도 6에 도시한다.
스텝 S601에서, 우선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START법에 기초하여 판정된 증상 레벨이 송신된다. 스텝 S602에서 증상 레벨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기까지, 그 송신이 반복되며, 송신이 완료되면 다음 스텝 S6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603에서 판정 결과로서 얻어진 증상 레벨 데이터를 무선 LAN(11L) 및 네트워크(11)를 통하여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 개시한다.
스텝 S604에서, 스마트폰(14)(14a)의 접속 검지부(27D)에 있어서, 스마트폰으로부터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판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된 증상 레벨은, 상병자 정보 DB(12)에, 해당 상병자마다, 그 판정 시각과 함께 기억된다.
접속 검지부(27D)에 있어서, 판정 결과를 송신할 수 없음이 검지되면, 스텝 S605에서 판정 결과의 증상 레벨이 일시 기억부(28)에 일단, 기억된다.
다음 스텝 S606에서는,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할 수 있게 되었는지 여부가 검지된다. 아직 네트워크(11)나 무선 LAN(11L)의 상태 등에서, 송신 불가능하면, 스텝 S605로 돌아가 일시 기억부(28)에서 증상 레벨의 기억을 계속한다.
그리고, 스텝 S606에서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 가능하게 되었다면, 증상 레벨의 송신을 계속한다.
스텝 S604에서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 가능했을 경우에도, 스텝 S607로 이행하여, 증상 레벨의 송신을 계속한다. 스텝 S608에서는, 상병자 정보 DB(12)의 증상 레벨을 그 판정 시각과 함께 기억한다.
이어서, 도 5의 스텝 S506로 돌아가, PAT법에 기초하여 증상 데이터를 스마트폰(14a)으로부터 입력한다.
PAT법에 의한 입력의 처음의 화면예를 도 10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보행의 가부, 의식 레벨(의식 장애의 심도)로 J.C.S.가 1자리인지 2자리 이상인지가 판정된다. J.C.S.는 Japan Coma Scale의 이니셜 용어로서 의식 장애의 심도에 있어서의 일본의 기준을 나타낸다. G.C.S.(Glasgow Coma Scale)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화살표(101) 방향으로 플릭하여 화면을 이동시킴으로써, 이후, 호흡 횟수, 순환으로 맥박수, 혈압, 냉감·습윤, 체온 등이 증상으로서 표시되고, 입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문의 증상에 따라 입력함으로써, 스텝 S507에서 PAT법에 기초하여 증상 레벨이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도 판정 시각과 함께 스텝 S508에서, 부상자 분류 태그(13)와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보내어진다. 이 송신의 수순은 도 6에 도시한 대로이며, 보내어지는 데이터가 PAT법에 의해 판정된 증상 레벨과 그때의 판정 시각인 것 이외에는, 상술한 START법에 의해 얻어진 증상 레벨의 송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에도 우선, 증상 레벨과 판정 시각은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송신되고, 그 후 무선 LAN(11L)와 네트워크(11)를 통하여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보내어진다.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보낼 수 없었을 때는, 1차 기억부(28)에 일시적으로 기억되고, 그 후 가능하게 되었을 때 증상 레벨이 보내어진다.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보내어진 증상 레벨은, 상병자 정보 DB(12)에, 당해 상병자의 데이터로서 판정 시각과 함께 기억된다. 먼저 이루어진 START법에 기초하는 증상 레벨과 그 판정 시각에, 최신의 증상 레벨과 그 판정 시각이 덮어쓰기되게 된다(스텝 S608).
다음으로 도 5의 스텝 S509로 이행하여, 바이탈 사인에 기초하여 증상 데이터가 스마트폰(14a)으로부터 입력된다.
바이탈 사인의 경우에는, 대광 반사, 호흡, 체온, 맥박, 의식, SpO2 등의 입력 항목이 표시된다. 그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 11에 도시한다. SpO2는, 혈액 내의 산소 포화도(동맥혈 산소 포화도)이다. 화살표(111) 방향으로 플릭하여 화면을 이동시킴으로써, 보이지 않는 입력 항목을 표시시킬 수 있다. 바이탈 사인에서는, 수치를 입력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수치가 소정 범위의 정상치에 들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증상 레벨을 판정한다.
스텝 S510에서 바이탈 사인에 기초하는 증상 레벨이 판정된다. 스텝 S511에서는, 스텝 S504에서 START법에 기초하여 판정된 증상 레벨 및 스텝 S507에서 PAT법에 기초하여 판정된 증상 레벨이 참조되어, 이들 판정법에서 얻어진 증상 레벨 중에서 가장 무거운 증상 레벨이 판정된다.
스텝 S512에서는, 이 판정된 증상 레벨을, 부상자 분류 태그(13) 및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한다.
이 송신의 수순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즉,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바이탈 사인에 의해 판정된 상병자의 증상 레벨을 송신한 후,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도 송신한다. 이때, 네트워크(11) 등의 상태에 따라 증상 레벨 등을 송신할 수 없음이 접속 검지부(27D)에서 검지되었다면, 그 증상 레벨 등을 일시 기억부(28)에 일시적으로 기억한(시킨)다. 송신 가능한 상태로 되었을 때, 그 증상 레벨 등을, 네트워크(11)를 통하여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송신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수순에 의해, 스마트폰(14a)에 있어서 입력된 증상에 기초하여 3가지의 판정법에 의해 판정된 증상 레벨과 판정 시각 등이, 부상자 분류 태그(13) 및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보내어진다.
그런데, 대재해 등의 실제의 현장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증상 레벨이 순조롭게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기억, 갱신된다고는 할 수 없다. 네트워크의 상태가 나쁜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도 있고, 또한, 부상자 분류 태그(13)가 붙여져 있는 상병자의 담당 의사 등이 바뀌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하여 도 7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다른 스마트폰(14b)을 휴대하는 담당 의사가 승계했다고 가정한다. 스텝 S701에서는, 우선 그 스마트폰(14b)에서 부상자 분류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스텝 S702에서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접속 가능한지 여부를 조사한다.
또한,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의 데이터를 우선하는 것은, 부상자 분류 태그(13)로부터보다도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로부터의 쪽이, 다운로드 시간이 짧기 때문이다.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접속 가능하면, 스텝 S703에서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로부터 보내어진 개인 기본 데이터를 상병자의 스마트폰(14b)에서 수신한다. 다음 스텝 S704에서는,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의 증상 레벨 데이터가 최신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최신인지 여부의 확인은, 예를 들어 증상 레벨에 판정이 이루어진 판정 시각에 의한다.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의 증상 레벨 데이터가 최신이면 스텝 S705에서, 이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로부터 당해 상병자의 증상 레벨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스텝 S503로 돌아가, START법에 기초하여 증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 이후의 입력 및 판정은, 스마트폰(14b)에 의해 행해지는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START법, PAT법, 바이탈 사인에 의한 입력, 판정이 도중까지 이루어져 있는 것이 판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도중부터 입력, 판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스텝 S702에서, 스마트폰(14b)이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이 스마트폰(14b)의 접속 검지부(27D)에서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706으로 이행하여 부상자 분류 태그(13)로부터 당해 상병자의 개인 기본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는, 스마트폰(14b)의 태그 송수신부(26)로부터 문의 신호를 부상자 분류 태그(13)에 보냄으로써 이루어진다. 부상자 분류 태그(13)의 스마트폰 송수신부(33)에서는, 개인 정보 기억부(31)에 제어 신호를 보내고, 개인 정보 기억부(31)로부터 개인 기본 데이터를, 스마트폰 송수신부(33)를 통하여, 스마트폰(14b)에 보낸다.
다음 스텝 S707에서는, 부상자 분류 태그(13)의 증상 레벨 기억부(32)로부터 증상 레벨 데이터를 스마트폰(14b)에 보낸다. 이와 같이 하여,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스마트폰(14b)에는, 해당 상병자의 개인 기본 데이터 및 최신의 증상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4b)이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에 접속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스텝 S704에서 당해 상병자의 증상 레벨 데이터가 최신이 아닌 것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도, 스텝 S707로 이행하여, 부상자 분류 태그(13)로부터 증상 레벨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는, 스마트폰(14a)에서 START법, PAT법, 바이탈 사인에 의해 증상 데이터를 입력했지만, 스마트폰(14a)이 도중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게 되어,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15)의 상병자 정보 DB(12)에 기억되어 있는 증상 레벨이 최신이 아닌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스마트폰(14b)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705에 의해 또는 스텝 S707에 의해, 상병자의 개인 기본 데이터와, 최신의 증상 레벨 데이터가 얻어진 후에는 도 5의 스텝 S503에서부터 다시 상병자의 증상 레벨의 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네트워크가 안정되게 접속 불가능한 상황에도, 각 상병자의 증상 등의 최신의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등이 얻어진다.
그런데,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상자 분류 태그는 IC 태그를 내장하며, 상병자의 정보는 모두 이 태그 내에 기억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부상자 분류 태그에 IC 태그 외에, 표시부를 갖고, 상기 IC 태그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병자의 성명이나 사진을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의 부상자 분류 태그의 도면을 도 12에 도시한다. 즉, 부상자 분류 태그(121)에 전기적인 표시부(122)를 설치하고, 이 표시부(122)에 성명(123)이나, 사진(124)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표시부(122)는 표시하거나 지우거나 할 수 있다. 표시하고 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가 꺼지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내장되는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의 태그에 의하면, 외부에서 한눈에 상병자의 얼굴, 성명을 확인할 수 있어, 부상자 분류 태그를 잃어버렸을 경우 등에 다른 상병자와 혼동하는 등의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상자 분류 태그에 상기 IC 태그 외에, 표시 영역을 형성하여 성명을 인쇄하거나 기재하거나 하고, 또한 별도로, 찍은 사진을 부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에 이 실시 형태의 부상자 분류 태그(131)의 도면을 도시한다. 부상자 분류 태그(131)의 표면에, 당해 상병자의 성명(132)을 인쇄하거나 또는 기입하고, 그 사진(133)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부상자 분류 태그(131)에 물리적인 표시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의 부상자 분류 태그에 의하면, 전기적인 표시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개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상병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저렴한 부상자 분류 태그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화상이 표시됨과 아울러 그 화면에 접촉 등을 함으로써 입력이 인식되는, 휴대형의 단말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마트폰, 부상자 분류 태그,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가 각각 전기적인 구성을 갖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각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아울러,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1: 네트워크,
11L: 무선 LAN,
12: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13: 부상자 분류 태그,
14, 14a, 14b: 스마트폰,
15: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
20: 표시 입력부,
21: 표시 제어부,
22: 입력 인식부,
23S: START법 제어 판단부,
23P: PAT법 제어 판단부,
23V: 바이탈 사인 제어 판단부,
24: 증상 레벨 결정부,
25: 증상 레벨 기억부,
26: 태그 송수신부,
27: 서버 송수신부,
27D, 42D: 접속 검지부,
28, 44: 일시 기억부,
81: 기본 정보 표시부,
82: 조건 입력 판정 표시부,
31: 개인 정보 기억부,
32: 증상 레벨 기억부,
33: 스마트폰 송수신부,
41: 데이터 검색부,
42: 스마트폰 송수신부,
43: 데이터 기입 판독부.
11L: 무선 LAN,
12: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
13: 부상자 분류 태그,
14, 14a, 14b: 스마트폰,
15: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
20: 표시 입력부,
21: 표시 제어부,
22: 입력 인식부,
23S: START법 제어 판단부,
23P: PAT법 제어 판단부,
23V: 바이탈 사인 제어 판단부,
24: 증상 레벨 결정부,
25: 증상 레벨 기억부,
26: 태그 송수신부,
27: 서버 송수신부,
27D, 42D: 접속 검지부,
28, 44: 일시 기억부,
81: 기본 정보 표시부,
82: 조건 입력 판정 표시부,
31: 개인 정보 기억부,
32: 증상 레벨 기억부,
33: 스마트폰 송수신부,
41: 데이터 검색부,
42: 스마트폰 송수신부,
43: 데이터 기입 판독부.
Claims (13)
- 상병자에게 붙여지는 부상자 분류 태그와,
상기 상병자의 증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증상 레벨을 판정한 후,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에 상기 증상 레벨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마트폰과,
이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가 붙여진 상병자마다 기억하는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을 때, 이 증상 레벨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소정의 판정법에 기초하여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받아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을 판정하는 증상 판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판정법은, START법, PAT법 및 바이탈 사인을 사용하여, 이 순서로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하고, 그 증상 레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판단부는, START법에 기초하는 입력에 의해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판정하는 START법 제어 판단부와, PAT법에 기초하는 입력에 의해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판정하는 PAT법 제어 판단부와, 바이탈 사인에 기초하는 입력에 의해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판정하는 바이탈 사인 제어 판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는,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 상병자의 증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증상 레벨을 판정한 후, 상기 상병자에게 붙여지는 부상자 분류 태그에 상기 증상 레벨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태그 송수신부와,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 데이터를,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가 붙여진 상병자마다 기억하는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부상자 분류 지원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고, 이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송수신부와,
상기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을 때, 이 증상 레벨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을 위한 스마트폰. - 제6항에 있어서,
소정의 판정법에 기초하여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받아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을 판정하는 증상 판단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을 위한 스마트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판정법은, START법, PAT법 및 바이탈 사인을 사용하여, 이 순서로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하고, 그 증상 레벨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을 위한 스마트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판단부는, START법에 기초하는 입력에 의해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판정하는 START법 제어 판단부와, PAT법에 기초하는 입력에 의해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판정하는 PAT법 제어 판단부와, 바이탈 사인에 기초하는 입력에 의해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판정하는 바이탈 사인 제어 판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을 위한 스마트폰. - 스마트폰에 상병자의 증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증상 레벨을 판정한 후, 그 증상 레벨 데이터를 상기 상병자에게 붙여지는 부상자 분류 태그에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상병자의 상기 증상 레벨 데이터를, 상기 부상자 분류 태그가 붙여진 상병자마다 기억하는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상병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상병자의 증상 레벨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을 때, 이 증상 레벨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의 일시 기억부에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는, 소정의 판정법에 기초하여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받아 상기 상병자의 증상 레벨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판정법은, START법, PAT법 및 바이탈 사인을 사용하여, 이 순서로 상기 상병자의 증상을 입력하고, 그 증상 레벨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판단부는, START법에 기초하는 입력에 의해 상기 상병자의 증상 레벨을 판정하고, 다음으로 PAT법에 기초하는 입력에 의해 상기 상병자의 증상 레벨을 판정하며, 다음으로 바이탈 사인에 기초하는 입력에 의해 상기 상병자의 증상 레벨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189327A JP5670846B2 (ja) | 2011-08-31 | 2011-08-31 | トリアージタグ管理システム及びトリアージタグ管理方法 |
JPJP-P-2011-189327 | 2011-08-31 | ||
PCT/JP2012/003741 WO2013031067A1 (ja) | 2011-08-31 | 2012-06-07 | トリアージタグ管理システム、そのためのスマートフォン及びトリアージタグ管理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1983A true KR20140031983A (ko) | 2014-03-13 |
Family
ID=4775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7002199A KR20140031983A (ko) | 2011-08-31 | 2012-06-07 |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시스템, 그것을 위한 스마트폰 및 부상자 분류 태그 관리 방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031321A1 (ko) |
EP (1) | EP2752813A4 (ko) |
JP (1) | JP5670846B2 (ko) |
KR (1) | KR20140031983A (ko) |
CN (1) | CN103688285A (ko) |
AU (1) | AU2012303561A1 (ko) |
BR (1) | BR112014000051A2 (ko) |
CA (1) | CA2841876A1 (ko) |
MX (1) | MX2014001635A (ko) |
RU (1) | RU2014103249A (ko) |
WO (1) | WO20130310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3906B1 (ko) * | 2015-07-07 | 2016-02-15 | 주식회사 시큐웨어 | 전자 트리아지를 이용한 재해 관리 시스템 |
JP6811947B2 (ja) * | 2015-10-22 | 2021-01-13 | 公立大学法人会津大学 | 災害時情報管理システム、これに用いるサーバ装置及び端末装置 |
DE102017110014A1 (de) * | 2017-05-09 | 2018-11-15 | Itk Engineering Gmbh | System zum Orten, Sichten, Klassifizieren, Verwalten und Koordinieren bei Schadensereignissen |
JP6928223B2 (ja) * | 2017-05-15 | 2021-09-01 | 株式会社ケイズ | 傷病者管理システム、傷病者管理システム用入力端末装置及び傷病者管理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
JP2018194941A (ja) * | 2017-05-15 | 2018-12-06 | 株式会社ケイズ | 傷病者管理システム |
CN108961125A (zh) * | 2017-05-17 | 2018-12-07 | 武汉默联股份有限公司 | 一种医疗信息处理方法及装置 |
US12040060B2 (en) | 2017-10-03 | 2024-07-16 | Zyter Inc. | Health care system to aid triage management |
KR101960460B1 (ko) * | 2017-12-06 | 2019-03-20 | 주식회사 시큐웨어 | 하이브리드 트리아지 태그를 이용한 재해 관리 시스템 |
JP6839129B2 (ja) * | 2018-05-08 | 2021-03-03 | 株式会社コンプラス | 避難所管理システムおよび避難所管理方法 |
JP6777329B2 (ja) * | 2018-12-17 | 2020-10-28 |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 トリアージシステム |
CN112667667A (zh) * | 2021-01-04 | 2021-04-16 | 中国人民解放军第三〇五医院 | 一种基于数据库的用于战场的伤病员辅助分类系统 |
US20230008262A1 (en) * | 2021-07-09 | 2023-01-12 | The Boeing Company | Patient monitoring patch |
CN116153481B (zh) * | 2023-04-23 | 2023-06-27 | 四川蔚丰云联信息科技有限公司 | 基于rfid和伤检分类结果的伤员调度方法及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373446A (zh) * | 2002-05-22 | 2002-10-09 | 朱起涛 | 一种多媒体数码网络门诊分诊系统 |
JP2004240797A (ja) | 2003-02-07 | 2004-08-26 | Nippon Syst Design Kk | トリアージタグ管理システム |
US7629881B2 (en) * | 2006-04-28 | 2009-12-08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 Sensor-based adaptive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
JP2008279032A (ja) * | 2007-05-10 | 2008-11-20 |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 情報入力端末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プログラム |
US20090063191A1 (en) * | 2007-08-27 | 2009-03-05 | Vasquez Reuben C | Managing a patient injured in an emergency incident |
JP2011048734A (ja) * | 2009-08-28 | 2011-03-10 | Nagano Japan Radio Co | トリアージ情報入力端末および傷病者管理システム |
US20130035581A1 (en) * | 2011-08-05 | 2013-02-07 | General Electric Company | Augmented reality enhanced triage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
-
2011
- 2011-08-31 JP JP2011189327A patent/JP5670846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6-07 AU AU2012303561A patent/AU201230356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6-07 CN CN201280029559.6A patent/CN103688285A/zh active Pending
- 2012-06-07 EP EP12828609.3A patent/EP275281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2-06-07 MX MX2014001635A patent/MX2014001635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6-07 RU RU2014103249/08A patent/RU2014103249A/ru unknown
- 2012-06-07 CA CA 2841876 patent/CA284187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6-07 KR KR20147002199A patent/KR20140031983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6-07 WO PCT/JP2012/003741 patent/WO201303106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6-07 US US14/233,291 patent/US2015003132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6-07 BR BR112014000051A patent/BR112014000051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752813A4 (en) | 2015-06-03 |
RU2014103249A (ru) | 2015-08-10 |
JP2013050894A (ja) | 2013-03-14 |
MX2014001635A (es) | 2014-05-28 |
BR112014000051A2 (pt) | 2017-02-07 |
US20150031321A1 (en) | 2015-01-29 |
EP2752813A1 (en) | 2014-07-09 |
JP5670846B2 (ja) | 2015-02-18 |
WO2013031067A1 (ja) | 2013-03-07 |
CN103688285A (zh) | 2014-03-26 |
AU2012303561A1 (en) | 2014-01-16 |
CA2841876A1 (en) | 2013-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70846B2 (ja) | トリアージタグ管理システム及びトリアージタグ管理方法 | |
US11699526B2 (en) | Alarm notification system | |
US11006904B2 (en) | Patient status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method in patient status notification device and program | |
US1105624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s of care | |
CN106462928A (zh) | 患者护理和健康信息管理系统和方法 | |
JPWO2016120955A1 (ja) | 行動予測装置、行動予測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行動予測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
CN117011657B (zh) | 基于自注意力机制融合的脑ct图像处理方法及相关设备 | |
WO201800582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s of care | |
JP6570725B1 (ja) | 個人医療情報システム | |
JP6801848B2 (ja) | 災害時情報管理システム | |
JP2008279032A (ja) | 情報入力端末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プログラム | |
JP2009110038A (ja) | 情報提示システム | |
JP2008027093A (ja) | 医療行為支援方法および医療行為支援装置 | |
JP2017018378A (ja) | 患者状態表示装置、患者状態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7076672B2 (ja) | 災害時情報管理システム | |
JP2010092441A (ja) | 患者登録システムへのデータ移行システム | |
JP6983279B2 (ja) | 患者状態表示装置 | |
US20210335494A1 (en) | Digital Contact Tracing Through Virtual Medical Information Portfolio and On-Ramp to Testing | |
US20220336064A1 (en) |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JP2006133909A (ja) | 看護計画作成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看護情報管理装置、看護情報管理システム | |
WO2008146324A1 (en) | Apparatus for guiding assistance operations, process for guiding assistance operations and software which controls an apparatus for guiding assistance operations | |
JP2006133910A (ja) | 看護情報管理方法および看護情報管理装置 | |
JP2022033804A (ja) | 通報装置 | |
JP2006133907A (ja) | 看護計画作成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看護情報管理装置、看護情報管理システム | |
JP2006133908A (ja) | 看護情報管理方法および看護情報管理装置および看護情報管理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