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40017504A -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및 관련 열기관용 시동기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및 관련 열기관용 시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504A
KR20140017504A KR1020137015899A KR20137015899A KR20140017504A KR 20140017504 A KR20140017504 A KR 20140017504A KR 1020137015899 A KR1020137015899 A KR 1020137015899A KR 20137015899 A KR20137015899 A KR 20137015899A KR 20140017504 A KR20140017504 A KR 2014001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reducer
electric machine
hub
rotary elect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우스 드로즈덱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ublication of KR2014001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504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4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gearing including a speed redu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4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gearing including a speed reducer
    • F02N15/04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gearing including a speed reducer of the planeta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2Starter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2Starter drives
    • F02N15/065Starter drives with b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Retard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57)에 관한 것으로서, 횡방향 벽체(58)에 고정된 링 기어(46)와, 상기 기계의 장착부(16)에 대해 견고하게 그리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0)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디스크(64)와 같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과, 상기 탄성 수단(64), 베이스 플레이트(60), 및 링 기어(46)의 횡방향 벽체(58)가 장착되는 부착형 허브(68)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68)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64)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숄더(71)와, 상기 링 기어(46)의 횡방향 벽체(58)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숄더(72)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조립체를 구비한 특히 자동차용 시동기에 또한 관련된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및 관련 열기관용 시동기{ASSEMBLY FOR A SPEED REDUCER OF A ROTARY ELECTRIC MACHINE, AND RELATED HEAT-ENGINE STARTER}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열기관의 시동기와 같은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와, 열기관용 시동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 또한 알려져 있는 열기관을 시동하기 위해, 구동 링에 의해 열기관의 크랭크샤프트에 시동기의 회전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론처(launcher)를 구비한 시동기 형태의 회전 전기 기계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론처는 전기 기계의 출력 샤프트 상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속기가, 론처의 샤프트를 구성하는 이러한 출력 샤프트와, 회전 전기 기계가 포함하는 전기 모터의 샤프트 사이에 삽입된다. 감속기의 삽입은 주어진 파워 레벨에 대해 기계의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더 빠른 전기 기계를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더 큰 시동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FR-2 631 094 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감속기는 전기 기계의 전기 모터의 샤프트의 일 단부에 고정되는 피니언 형태의 톱니 휠과, 론처의 샤프트의 마찰 수단에 의해 회전시 일체로 렌더링되는 톱니 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링은 피니언과 결합하는 내측 톱니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 모터의 샤프트 및 론처의 샤프트는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일 변형예로서, 문서 WO 2005/054664호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감속기는 론처의 샤프트의 후방 단부와 일체로 된 횡방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위성-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 주위로 회전하도록, 끼워맞춰지는 위성 피니언을 포함하는 에피사이클로이드 트레인(epicycloidal train)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위성 피니언은 시동기가 포함하는 하우징에 대해 회전적으로 고정되는 톱니 링의 내측 톱니와, 그리고, 전기 모터의 샤프트와 일체로 된 피니언과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 모터의 샤프트와 론처의 샤프트가 동축이다.
추가적으로, 론처는 시동될 열기관의 크랭크샤프트와 강체형 또는 탄성형으로 일체인, 시동기 링으로 또한 알려져 있는, 구동 링의 톱니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톱니를 구비한 피니언을 포함한다. 이러한 론처는, 특히, 열기관의 론칭 동안, 시동기의 기능 중 실질적인 기계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동 시작시, 시동기의 회전이 개시될 때, 피니언의 톱니는 구동 링 사이에서 결합하기 전에 구동 링의 톱니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 후, 피니언의, 그리고 링의, 각자의 톱니의 축방향 중첩은 매우 경미할 수 있고, 시동기 회전의 운동 에너지는 링에 갑자기 전달된다. 이 순간에, 접촉 응력은 매우 높아서, 마모와 함께, 링의 톱니의 파괴를 불러일으킨다. 이 현상이 "밀링"이라고 알려져 있다.
추가적으로, 열기관의 시동 중, 차량의 분사 시스템이 무작위적 오기능을 가질 경우, 일반적으로 "역화"(backfire)로 알려져 있는 연소 사이클에서 조기 폭발이 발생할 수 있고, 구동 링과 피니언의 결합 중 실질적인 충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충격은 열기관의 정지 중에도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은 구동 링의 피니언의 톱니 파괴를 야기할 위험을 생성하여, 주요한 사고를 도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기관이 소정의 조건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는 가장 부서지기 쉬운 구성요소가 과대화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위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출원 FR-2 631 094호는 기언급한 링 및 피니언 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감속기용으로 설계된 토크 리미터를 설명한다. 이러한 리미터는 론처의 샤프트를 구성하는 시동기의 출력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그루브와 함께 허브를 포함한다. 톱니 링은 허브의 지지 표면 상에 플랜지를 통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끼워맞춰진다. 허브와 일체인, 또는 허브에 크림핑(crimping)에 의해 추가되는, 본체가 허브에 제공된다. 본체는 리미터에 대한 마찰 디스크를 구성하며, 이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 형태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과, 마찰 라이닝, 그리고, 와셔용 지지 플랜지를 포함한다. 지지 플랜지는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브레이스(brace)에 의해 링의 플랜지에 연결된다.
이 구조는 위성없이 감속기용으로 설계된다. 추가적으로, 탄성 와셔가 마찰 디스크 상의 내측 주변부에서 지지된다. 발명의 목적은 마찰 디스크 상의 힘의 양호한 분포를 위해 큰 직경 상에 추진력을 가하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한 에피사이클로이드 트레인을 갖는 감속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허브를 갖는 토크 리미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문서 EP 1 094 246 호에서, 감속기는 감속기의 톱니 링이 결합되는 원통부에 의해 외측 주변부 상에서 연장되는 플랜지와 일체로 된 허브를 포함한다. 이 해법은 정교한 부분들을 필요로 하고, 성가시다.
가장 가까운 공지 기술로 여겨지는 문서 FR-2 924 872 호에 설명된 타입의 시스템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 감속기는 시동기의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지지되는 톱니 링을 포함하고, 톱니 링이 지정 토크보다 높은 토크를 받을 때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톱니 링은 원뿔대 형상의 개구를 갖는 횡방향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서 와셔의 작용을 받는 상보 형상을 갖는 돌기부를 구비한다.
발명의 목적은 특히, 링의 생산을 단순화시킴으로써, 본 시스템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용도를 위해, 발명은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를 구현하며, 상기 조립체는,
- 횡방향 벽체와 일체로 된 링과,
- 상기 기계의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장착되도록 설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와 같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과,
- 이러한 요소들이 장착되는 대칭축을 갖는 부착형 허브(added-on hub)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수단과, 상기 링의 횡방향 벽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숄더와, 상기 링의 상기 횡방향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숄더를 지지한다.
따라서, 이는 힘 루프를 생성하고, 이러한 힘 루프에 따르면, 제 1 숄더 상에 지지되는 탄성 와셔와 같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은 상기 링의 횡방향 벽체의 방향으로 축방향 압축력을 가하고, 반면에 제 2 숄더는 링의 벽체를 병진 상태로 보유하여, 베이스 플레이트가 와셔와 횡방향 벽체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정상 힘이 링에 가해질 때 링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다른 한편, 힘이 정상치보다 커질 때, 횡방향 벽체는, 시동기에 가해지는 토크를 제한하고 전기 기계의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라이닝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러빙(rubbing)하면서, 허브의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를 활용하며, 상기 허브는 문서 EP 1 094 246호에 설명된 것에 반해, 특히, 횡방향 벽체와 일체로 된 톱니 링과 같은 간단한 부품들을 이용하는 감속기를 단순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특히 축방향으로 더욱 컴팩트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제 1 숄더 상에서 지지되며 상기 허브 주위에 마련된 그루브 내에 배치되는 닫힘 와셔(closure washer)에 의해 상기 제 1 숄더 상에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체는 상기 닫힘 와셔와 상기 제 1 숄더 사이에서 협동을 보장할 수 있는 베이오넷 타입의 장착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숄더는 상기 허브의 재료를 뒤집음(turn down)으로써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링은 상기 횡방향 벽체의 외측 주변부 상에 오버몰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횡방향 벽체는 관통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핀은 상기 링의 톱니가 연장되는 내측 표면에 대향된 상기 횡방향 벽체의 외측 표면에 대해 열린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링의 핀 상에 직접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링의 횡방향 벽체 사이에 삽입되는 마찰 라이닝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와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마찰 라이닝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찰 라이닝은 상기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허브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부를 갖고, 상기 마찰 라이닝은 형상의 협동에 의한 상기 허브와의 회전 연결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평탄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허브는 4개의 평탄부를 갖는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평탄부는 쌍으로 평행하며 원통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마찰 라이닝은 상보적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이닝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접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숄더는 상기 허브에 속한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부분은 지지 표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분의 지지 표면은 상기 평탄부에 대해 각도상으로(angularly) 오프셋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통부 각각은 상기 허브에 속한 부분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횡방향 벽체는 중앙 개구부를 갖고, 상기 부분의 수용을 위한 4개의 림의 형성을 위해 상기 중앙 개구부의 레벨에서 중공화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수단과 연관된 힘의 소산을 위한 와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수단은 벨빌(Belleville) 타입의 와셔를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로 구성된다.
발명은 자동차용 시동기에 또한 관련되며, 상기 시동기는,
-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와,
- 상기 전기 기계의 상기 출력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성 기어를 포함하는 에피사이클로이드 트레인과,
-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와,
- 상기 유성 기어와 우선적으로 결합하고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상기 링과 두번째로 결합되는 위성-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홀더는, 차량의 열기관의 구동 링의 톱니와 결합되도록 설계되는 구동 피니언을 지지하는 상기 시동기의 출력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허브는 상기 시동기의 출력 샤프트를 통과시킬 수 있는 횡방향 개구부를 중앙에 갖고, 상기 피니언은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론처에 속하며, 상기 횡방향 개구부는 2개의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원통부는 이들 원통부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내측 환형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내측 환형부는 상기 구동 유닛의 후방 표면과 협동하도록 설계된 정지부(stop)를 구성한다.
다른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 도면을 점검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이러한 도면은 순수히 예시적인 용도로 제공되며,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시동기의 축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구비한 도 1의 시동기의 감속기의 축방향 단면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2의 3차원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 조립체의 전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에서의 축방향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허브의 3차원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 조립체의 조립 상태에서의 3차원 전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 조립체의 변형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동일한, 유사한, 또는 비슷한 요소들은 각 도면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이후 설명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따른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배향에 대응하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행하는 축방향 배향을 사용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 전기 기계는 문서 WO 2005/054664호에 설명된 시동기와 유사한 열기관의 시동기(10)이므로, 이 문서 WO 2005/054664호의 도 1의 요소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들(더욱 상세하게 참조될 것임)이 동일 도면 부호를 할당받을 것이다. 이러한 도 1은 출력 샤프트(43)의 후방 단부의 일부분과,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감속기(45)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감속기(45)는 아래 설명되는 감속기(57)에 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동기는 출력 샤프트(43)와, 샤프트(43) 상에 장착되는 론처(30)와, 동축으로 장착되는 유도 스테이터(12) 및 유도 로터(13)로 구성되는 전기 모터(11)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12)는 상기 로터(13)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13)는 실린더 헤드(15) 내에 축(14) 주위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실린더 헤드는 자동차의 고정부 상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시동기의 금속 지지부(16)와 일체이다. 이 경우에, 지지부(16)는 몰딩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계이며, 회전 전기 기계의 하우징에 속한다.
공지의 방식에서, 일 실시예에서, 스테이터(12)는 실린더 헤드(15)의 내측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영구 유도 자석을 포함한다. 일 변형예로서,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2)는 실린더 헤드(15)와 일체로 된 폴라 매스(polar mass)(19) 주위로 각각 감기는 두 쌍의 코일(18)을 포함하는 유도 권선(17)을 포함한다. 폴라 매스(19)는 이 경우에 문서 FR-A-2 611 096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금속으로 제조되는 실린더 헤드(15)에 나사(20)에 의해 고정된다. 각각의 코일(18)은 두께 방향으로 폴라 매스(19) 주위로 감기는 연속 전도체로 구성되어, 문서 EP A 749 194호의 도 2 내지 도 5에서 더욱 잘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 연속 동심 턴을 형성한다. 각각의 코일(18)의 축은 전기 모터(11)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로터(13)의 축(14)에 대해 반경 방향이다.
로터(13)는 핀 형태의 전기 전도체(21)의 장착을 위해 그루브를 구비한 한 세트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도체(21)는 전기 모터(11)의 샤프트(24)와 일체로 된 전기 절연체를 갖는 컬렉터(23)에 속하는 전도성 금속 시트(22)와 관련된 로터 권선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 일 변형예로서, 권선은 연속 와이어를 갖는다.
브러시(25)는 로터 권선을 공급하기 위해 컬렉터(23)의 수집 금속 시트(22) 상에서 러빙(rub)된다. 브러시(25)는 스프링(27)에 의해 수집 금속 시트(22)의 방향으로 추진되는 브러시의 안내 및 수용을 위한 케이지를 구비한 브러시-홀더(26)에 속한다. 브러시-홀더(26)는 후방 금속 베어링(28)과 일체이고, 그 중앙부는 니들 베어링(29)의 장착을 위한 리셉터클을 갖는다. 베어링(28)은 전기 모터(11)의 샤프트(24)의 후방 단부의 회전가능한 장착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샤프트(24)의 축은 로터(13)의 축(14)과 조합되고, 시동기의 출력 샤프트(43)의 축과 조합되어, 론처(30)의 샤프트를 구성한다. 후방 베어링(28)은 실린더 헤드(15)의 후방 단부에서 센터링 장치(centring device)로 작용하고, 타이 로드(tie rods)(31)에 의해 시동기(10)의 지지부(16)에 연결된다. 2개의 나사 구멍(도면부호 없음)이 타이 로드의 나사 작동을 위해 지지부에 제공된다. 타이 로드(31)는 실린더 헤드(15)의 외부 상에 이식된다. 이러한 경우에, 실린더 헤드(15)의 외측 주변부와 타이 로드 사이에 관형의 작은 유격이 존재하게 된다. 금속 실린더 헤드(15)는 금속 지지부(16)와 후방 금속 베어링(28) 사이에 클램핑됨으로써 삽입된다. 따라서, 시동기의 하우징은 베어링(28), 실린더 헤드(15) 및 지지부(16)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은 지지부(16)를 통해 자동차의 접지부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시동기(10)는, 전기 모터 위에 반경 방향으로 이식되면서 전기 모터(1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자기 접촉기(32)를 또한 포함한다. 접촉기(32)는 지지부(16)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용기(33)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구비한 여기 권선(B)을 장착한다. 용기(33)는 전기 절연 물질로 제조된 커버(34)에 의해 후방에서 닫힌다. 커버(34)는 용기(33)의 자유 단부의 재료를 뒤집음으로써(turn down) 고정된다. 용기(33)의 숄더는 고정 허브(35)의 축방향 웨징(wedging)을 보장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고정 허브(35)는 전기 공급 단자(36, 37)를 지지하는 커버(34)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웨징된다.
단자(36, 37)는 커버(34) 내부에 고정 접촉부(38)를 형성하도록 각각 설계된다. 이들 단자 중 하나(36)는 배터리의 양단자에 연결되도록 설계되고, 다른 단자(37)는 양극성으로 스테이터의 유도 권선(17)의 입력에, 그리고 브러시(25)에 케이블(39)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공지의 방식에서, 권선(B)의 여기 중, 가동 접촉부(도면부호 없음)를 지탱하는 로드(도면부호 없음) 상의 유격 제거 후에 우선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가동 코어(40)가 고정 코어(35)의 방향으로 자기적 인력에 의해 압출되어, 접촉기(32)의 접촉부의 닫힘을 이끌고, 시동기의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며, 두번째로, 론처(30)를 제어하도록 레버(41)를 활성화시킨다.
출력 샤프트(43)는 지지부(16)의 전방 베어링(42)에서 회전하도록 끼워맞춰진다. 이러한 베어링(42)은 예를 들어, 니들 베어링에 의해, 또는, 일 변형예로서, 매끄러운 베어링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샤프트(43)는 론처(30)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베어링(42)에 인접한 정지부(53)를 전방에서 지탱한다.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43)의 후방 단부(43.2)는, 예를 들어, 기어를 갖는 감속기를 구성하는 에피사이클로이드 트레인에 속하는 위성-홀더(47)를 크림핑(crimping)함으로써, 위성-홀더(47)의 플레이트와 일체로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위성-홀더(47)는 전기 모터의 샤프트(24)의 전방 단부와 일체로 된 태양 기어(49)와, 그리고, 링(46)(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됨)과 우선적으로 결합하는 위성(47.1)을 지탱한다. 감속기(45)는 참조될 문서 FR 2 787 833호에 설명된 타입의 감속기로서, 이는 샤프트(43)의 후방 단부(43.2) 내에 전기 모터(11)의 샤프트(24)의 전방 단부의 장착을 보여주며, 블라인드 구멍이 제공되어 그 안에 샤프트(24)의 전방 단부가 수용되고, 매끄러운 베어링 및 볼이 삽입된다. 이러한 종래의 장착은 도 9에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위성(47.1)은 축 주위로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축들은 샤프트(43)의 축에 대해 횡방향인 배향으로 2개의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러한 플레이트들에 의해 지지되며, 그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두껍고, 이러한 경우에, 샤프트(43)의 후방 단부(43.2) 상에 크림핑됨으로써 고정된다. 일 변형예로서, 위성-홀더(47)는 샤프트(43)의 후방 단부 상에 고정되는, 그리고, 축을 지탱하는 단일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론처(30)는 출력 샤프트(43) 상에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되고, 구동 피니언과, 피보팅 제어 레버(41)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구동 유닛(51)과, 구동 유닛(51)과 피니언(50)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롤러를 구비한 프리 휠(52)을 포함한다. 공지의 방식으로, 피니언(50)의 톱니는 슬리브에 속하고, 슬리브는 롤러와 함께 프리 휠(52)의 원통형 외측 트랙을 형성하기 위해 후방에서 연장된다. 구동 유닛(51)은 롤러에 대해 공지의 방식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롤러를 갖는 프리 휠(52)의 프로파일 형성된 외측 트랙을 형성하도록, 내부 상에 구성되는 브러시에 의해 전방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구동 유닛(51)은 샤프트(43)의 축에 대해 횡방향인 배향으로 플랜지와 전방에서 일체로 된 슬리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랜지는 와셔에 의해 전방에서 닫히는 롤러의 수용을 위한 케이지를 형성하기 위해, 샤프트(43)의 축에 대해 축방향인 배향으로 부시와 외측 주변부 상에서 일체이다. 구동 유닛(51)은 와셔(도면부호 없음)를 지탱하고, 따라서, 도 3에서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크 형태로 레버(41)의 내측 단부의 핑거의 수용을 위한 그루브를, 구동 유닛(51)의 플랜지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레버(41)의 상측 단부는 가동 코어(40)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통해 가동 코어(40)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로드(도 1에서 도면부호 없음) 상에 관절을 형성하도록 공지의 방식으로 장착된다. 일 변형예로서, 레버(41)는 가동 코어(40) 상에 관절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문서 DE 28 22 165 호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은 구동 유닛의 슬리브를 둘러싸며, 구동 유닛의 플랜지 상에 지지된다.
공지의 방식으로, 이 경우에 원통형이고 큰 직경을 갖는 후방 단부(43.2) 인근에서 출력 샤프트(43)에 의해 지지되는, 도 2의 도면부호(43.1)를 갖는 외측 나선 톱니와 상보 방식으로 결합되는 나선형 채널(도면부호 없음)이 구동 유닛(51)의 슬리브의 내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론처(30)는 내연 기관으로 또한 알려져 있는 열기관의 시동 링(도시되지 않음)으로 공지의 구동 링과 결합되는, 피니언(50)의 중간을 통해 도 2 및 도 3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정지부(53)의 방향으로 레버(41)에 의해 변위될 때, 나선형 운동을 제공받는다.
프리 휠을 갖는 장치(52)는 문서 FR-A 2 772 433 호에 설명된 타입의 원추형 배열을 갖는 연결 장치로 대체될 수 있고, 또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갖는 클러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일 변형예로서, 지지부의 전방에서 상기 지지부(16)의 외부 상에 부분적으로 론처(30)가 이식됨이 또한 명백하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의) 지지부에 이식되는 대신에, 론처(30)의 피니언(50)은 지지부의 외부 상에 이식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참조될 문서 FR A 2 745 855 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어 레버(41)는 본 경우에 탄성적으로, 또는 일 변형예에서 강체형으로, 상기 언급한 방식으로 상측 단부에 의해, 접촉기(32)의 가동 코어(40)와 연결되고, 아래 설명되는 조립체(57)의 구조에 기초하여, 일 특징에 따라, 기어를 갖는 감속기(45)의 톱니 링(46)으로부터 구별되는 피보팅 샤프트(54)를 중간부에 포함한다. 레버(41)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섬유에 의해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한, 강체형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몰딩부다. 피보팅 샤프트(54)의 장착은 문서 DE 28 22 165 및 FR 2 787 833 호에서와 같이 지지부에 의해 수행되고, 또는, 이 용도를 위해 돌출부를 구비한 지지부(16)에서 수행되며, 샤프트(54)는 레버(41)와는 구분되거나, 또는 레버(41)와 일체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문서 DE 28 22 165에서와 같이, 크기 변화를 흡수하기 위해 탄성 중합체 밀봉 핀(158)이 제공된다. 이러한 핀(158)은 접촉기의 지지 표면(157)과 접촉하고, 문서 WO 2005/054664호의 도 1에서 텅(tongue)(55)을 대체하도록 구성되는 플라스틱 재료(155)로 제조된 부분과 일체이며, 지지부(16)의 리셉터클은 보유된다. 일 변형예로서, 핀(158)이 제거되고, 핀은 플라스틱 재료(155)로 제조된 부분으로서, 표면(157)과 접촉하게 된다. 문서 WO 01/31195 호에 설명된 해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모두 응용예에 따라 좌우된다.
도 2, 3, 4, 5, 7, 8,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감속기(45)의 링(46)은 중공 형태를 갖고, 조립체(57)의 일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57)는 링(46)과 일체로 된 횡방향 벽체(58)와, 상기 시동기의 지지부(16)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0)와, 상기 플레이트(60)의 양 측부 상에 위치하는 마찰 라이닝(61, 62)과, 힘의 소산을 위해 디스크(65)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도 2 내지 도 9에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64)의 형태인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과, 닫힘 와셔(closure washer)(67)를 포함한다.
일 특징에 따르면, 요소(58, 60, 61, 62, 64, 65, 67)는 부착형 허브(added-on hub)(68) 상에 장착되고, 따라서, 이들의 센터링을 보장한다. 이러한 허브(68)는 탄성 와셔(64)를 직접 또는 간접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숄더(71)와, 링(46)의 횡방향 벽체(58)의 지지를 위한, 도 2 내지 도 8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숄더(72)를 지지한다. 론처(30)의 샤프트(43)는 샤프트(43)의 원통형 후방 단부(43.2)의 외측 주변부와 허브(68)의 내측 주변부 사이에 삽입되는 베어링(85)에 의해 허브(68)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허브(68)는 도 4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계단형 직경을 갖는 지지 허브이고, 이는 일 특징에 따라, 베어링(85)을 통해 샤프트(43)의 후방 단부(43.2)에 대해 센터링되고, 이 경우에 상기 베어링(85)은 부싱과 같은 매끄러운 베어링이다. 요소(58, 60, 61, 62, 64, 65, 67)는 중앙에 천공된다. 일 특징에 따르면, 요소(58, 60, 61, 62, 64, 65, 67)의 센터링을 위한 허브(68)는 벽체(58)와 연관되고, 이는 링(46)의 구조를 보유할 수 있게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60)는 문서 FR 2 924 872 호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비해 단순화되어 있다. 벽체(58) 상의 힘은 잘 배분되고, 이는 링(46)을 보존할 수 있게 한다. 도 2 내지 도 5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64)는 큰 직경 상에서 외측 주변부의 레벨에서 작용하여, 힘이 라이닝(61, 62), 베이스 플레이트(60), 및 벽체(58)에 대해 잘 배분된다.
특히,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허브(68)는 샤프트(43)의 축방향 대칭축과 조합되는 축방향 배향을 갖는 대칭축(X)을 갖는다. 요소(58, 60, 61, 62, 64, 65, 67)는 이러한 축(X)에 대해 횡방향인 배향을 갖고, 탄성 와셔(64)는 축방향으로 경사진다. 구동 유닛(51)에 가장 가까운 축방향 전방 단부면(69) 상에서, 이러한 지지 허브(68)는 제 1 축방향 섹션(68.1)을 갖고, 여기에 환형 그루브(74)가 제공된다. 이러한 그루브(74)는 닫힘 와셔(67)의 내측 주변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허브(68)의 전방 단부(69)에 인접하여 위치한 샤프트(43)의 축에 대해 횡방향인 림(rim)(71)에 의해 전방에서 경계형성된다. 림(71)은 제 1 숄더(71)를 형성하고, 아래 설명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그루브(74) 내에 베이오넷 타입의 닫힘 와셔(67)를 장착할 수 있다. 허브(68)는 제 2 원통형 축방향 섹션(68.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원통형 축방향 섹션은 제 3 축방향 섹션(68.3)의 돌출 전방 단부(76)까지, 제 1 섹션(68.1)의 연장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3 축방향 섹션은 제 2 섹션(68.2)의 후방 단부의 경계를 형성하고 숄더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 2 섹션(68.2)은 탄성 와셔(64)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섹션(68.2)의 전방 단부는 그루브(74)의 후방 플랭크를 형성하고, 그 전방 플랭크는 숄더(71)의 후방 단부 표면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와셔(64)는 숄더(71)에 인접한 닫힘 와셔(67)를 통해 본 숄더(71) 상에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와셔(64)를 지지하는 닫힘 와셔(67)의 후방 표면(67.1)과 제 3 섹션(68.3)의 전방 단부(76)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L)(도 5)는, 본 경우에 벨빌 와셔(Belleville washer)인, 탄성 와셔(64)의 작동 거리를 구성한다. 이러한 길이(L)는 벽체(58)의 전방 표면과 와셔(67)의 후방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길이(L')보다 짧다. 제 3 축방향 섹션(68.3)은 허브(68)의 축방향 후방 단부(70)까지 제 2 섹션(68.2)을 연장시키고, 이는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제 2 숄더를 구성하는 돌출 숄더(72)의 후방 단부 표면을 구성한다. 이러한 제 3 숄더(68.3)는 숄더를 형성하는 제 2 섹션(68.2)의 돌출 단부(76)와 제 2 돌출 숄더(72)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허브(68)는 축방향으로 계단형이고, 제 3 섹션(68.3)은 제 1 섹션(68.1)의 그루브(74)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 2 섹션(68.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일 특징에 따르면, 제 3 섹션(68.3)은 적어도 하나의 평탄부를 포함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58), 디스크(65), 및 와셔(61, 62)는, 특히, 라이닝(61, 62)의 마모에 따라, 축방향 이동 가능성과 함께, 이러한 부분(58, 65, 61, 62)들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섹션(68.3)의 평탄부를 갖는 형태의 공동 작업에 의해 함께 작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 평탄부를 갖는 중앙 개구부(58.3, 65.3, 61.3)를 각각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72)는 연속적이고, 벽체(58)의 후방 표면(58.2)은 환형 형태로 이러한 숄더(72)의 전방 표면과 접촉한다.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숄더(72)는 아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립체의 축방향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둘레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분포되는 4개의 돌출부(77)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부분(77)들 각각의 전방 표면(77.1)은 지지 표면을 형성하며, 이 지지 표면에 대하여, 벽체(58) 내 중앙 개구부(58.3)의 레벨에서 제공되는 횡방향 벽체(58)와 유사한 형태로 림(58.5)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벽체(58)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물질 제거에 의해, 또는, 일 변형예로서, 허브(68)의 후방 단부면(70)의 물질을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중공부(58.6)의 베이스를 구성하는 4개의 림(58.5)을 갖는다. 따라서, 허브(68)는 지지 기능을 갖는다.
제 3 섹션(68.3)은 벽체(58), 와셔(61, 62), 및 디스크(65)를 수용하고, 이들은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4개의 평탄부(79.l)를 갖는 제 3 섹션(68.3)을 통해 허브(68)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4개의 평탄부는 쌍으로 평행하게, 즉,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게, 원통부(80.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직경은 제 2 섹션(68.2)의 직경보다 크며, 반면에(도 4 참조), 소산을 위해, 횡방향 벽체(58), 라이닝(61, 62), 및 디스크(65)는 내측 개구부(58.3, 61.3, 62.3, 65.3)을 갖고, 허브(68)에 대한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보적 형상을 갖는다. 원통부는 부분(77)의 후방에 연결된다. 평탄부(79.1) 각각은 축(X)에 평행한 표면을 갖는다. 부분(77), 및 따라서, 지지 표면(77.1)은 허브(68)의 원주 상에서 평탄부(79.1)에 대해 각도상으로 오프셋된다. 따라서 허브(68)는 와셔(61, 62)의, 벽체(58)의, 그리고, 디스크(65)의, 회전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허브(68)는 허브(68) 상에서 회전 웨징되는 디스크(65)와 와셔(67)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 와셔(64)를 우선적으로, 회전하며 수용하고, 아래 설명되는 방식으로 두번째로, 베이스 플레이트(60)를 수용한다. 4개의 평탄부(79.1), 4개의 원통부(80.1), 및 4개의 지지 표면(77.1)을 갖는 해법은, 단일 평탄부를 갖는 경우에 비해 더욱 효율적이고 신뢰가능한 회전 차단을 얻을 수 있게 하면서도, 4개의 부분(77)으로부 나누어진 숄더(72)의 레벨에서 크기 감소와, 벽체(58)에 대한 우수한 지지를 갖는다. 실제로,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숄더(72)는 평탄부(79.1) 및 부분(77)의 존재 때문에 둥근 모서리를 갖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각각은 원형 외측 주변부 및 횡방향 에지를 가지며, 평탄부(79.1)의 횡방향 연장부를 구성한다. 부분(77)의 외경은 부분(80.1)의 직경보다 크다. 이 해법을 이용하여, 첫번째로 허브(68) 사이와, 두번째로 벽체(58), 라이닝(61, 62), 및 디스크(65) 사이에서 더 큰 토크 전달을 얻는다.
추가적으로, 허브(68)는 론처의 샤프트(43)를 통과시키는 관통 개구부(68.4)를 중앙에 갖는다. 이러한 개구부(68.4)는, 내측 환형부(83)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도 4 및 도 5 참조), 서로 다른 직경의 2개의 동축 원통부(81, 82)를 포함하고, 부분(81, 82)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링(46) 측부 상에(즉, 제 2 숄더(72) 측부 상에) 배치되는 큰 내경을 갖는 부분(81)은 부분(81)과 내측 환형부(83) 사이의 직경을 변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숄더 상에 지지되는 환형 베어링(85)(도 2, 도 4)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베어링(85)의 내경은 부분(83)의 내경보다 크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43)는 원통형 후방 단부(43.2)와 나선형 채널(43.1)을 갖는 섹션 사이에 삽입되는 원통형 섹션(43.3)을 갖는다. 섹션(43.3)의 직경은 섹션(43.1)의 직경과 전체적으로 동일하고, 섹션(43.2)의 직경보다 작다. 섹션(43.3)의 축방향 길이는 허브(68)의 내측부(83)의 축방향 길이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섹션(43.3)은 내측부(83) 내로 장착 유격을 두고 관통한다. 단부(43.2)의 전방 표면이 내측부(83)의 후방 표면에 대해 지지된다는 것은 앞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일 특징에 따르면, 도 2에서 론처가 구동 링과의 결합의 전진 위치에 있다는 지식 하에, 론처가 물러나 휴지 위치에 있을 때, 내측부(83)의 전방 표면은 구동 유닛(51)의 후방 표면에 대한 정지부로 작용한다. 론처(30)의, 그리고, 구동 유닛의, 물러난 휴지 위치는 문서 WO 2005/054664호의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내측부(83)의 전방 표면은 본 문서의 샤프트(43)의 후방 단부의 숄더를 대체하고, 원통부(82)의 내경은 구동 유닛의 원통형 후방 단부의 외경에 따라 좌우되어, 구동 유닛(51)의 후방 표면을 부분(83)에 인접하게 하기 위해, 이 단부가 부분(82)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부(83)는 출력 샤프트(43)를 보전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중공 형태를 갖고 횡방향 벽체(58)에 의해 지지되는 링(46)은, 위성(47.1)과 결합하기 위해 내부 상에 톱니 형성된 환형 스커트(46.1)를 갖는다. 스커트(46.1)는 샤프트(43)의 축에 대해 축방향인 배향을 갖고, 따라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스커트(46.1)의 톱니(46.4)는 축방향 배향을 갖는다. 링(46)은 가능한 기어 감속기의 잡음을 제한하기 위해, 섬유로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커트(46.1)는 내측 림(46.3)에 의해 전방 단부에서 연장되고, 그 배향은 축(X)에 대해 횡방향이고 샤프트(43)의 축에 대해 횡방향이다. 이러한 림(46.3)은 스커트(46.l)의 톱니(46.4)에 대해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해 돌출하고, 벽체(58)의 후방 표면(58.4)에 대해 전방 표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횡방향 벽체(58)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마찰 와셔(61)를 위해, 전방 표면을 통해 마찰 표면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링(46)-벽체(58) 조립체는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두 물질로 제조된다. 링(46)은 횡방향 벽체(58)의 외측 주변부 상에 오버몰딩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통 개구부(58.1)를 포함하는 횡방향 벽체(58)를 이용하여, 링(46)은 이러한 개구부(58.1)를 통과하는 핀(46.2)을 갖고, 이는 벽체(58)의 후방 표면(58.4)에 대향된 벽체(58)의 전방 표면(58.2)으로 열리며, 이로부터 링(46)의 톱니가 연장된다. 벽체(58)의 전방 표면(58.2)에 대해 돌출하는 헤드를 형성하는 핀(46.2)의 전방 단부는 링(46)의 외경에 가까이 놓이면서, 링(46)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벽체(58)의 후방 표면(58.4)를 갖는, 후자의 림(46.3)의 전방 표면의 접촉부와, 링(46)의 고정을 위해 벽체(58)의 전방 표면(58.2)과 접촉하여 압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찰 와셔(61)의 두께는 마찰 와셔(61)의 외측 주변부의 외부에 대해, 환형 방식으로 이식되는 핀(46.2)의 헤드의 두께보다 크고, 따라서, 이러한 마찰 와셔는 벽체(58)의 전방 표면(58.2)에 대해, 특히, 구멍(58.1) 및 핀(46.2)의 내부에 이식되는 벽체(58)의 전방면(58.2)의 표면에 대해, 러빙되도록 설계된다. 내측 림(46./3)은 이 경우에 크림핑됨으로써 고정되는, 또는, 일 변형예로서, 벽체(58) 및 샤프트(43)의 후방 단부(43.2) 상에 용접 또는 리벳됨으로써, 위성-홀더(47)의 플랜지 사이에 브레이스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링(4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16)의 후방 단부 상에 축방향 배향(도면부호 없음)으로 림에 의해 센터링되면서 고정되는 커버(100)에 의해 후방에서 닫힌다. 커버(100)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24)의 지지 표면과 커버(100)의 부시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삽입되는 니들 베어링(도면부호 없음)의 수용을 위해 본 경우에 후방에 부시(도면부호 없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커버는 실린더 헤드(15)의 전방 단부와 지지부(16)의 후방 단부 사이에 크림핑됨으로써 삽입된다. 따라서, 링(46)의 내부는 태양 기어(49) 및 위성(47.1)의 윤활을 위한 그리스로 충전될 수 있다. 일 변형예로서, 커버는 도 1의 타입의 것이다. 이 모두는 응용예마다 다르고, 특히, 실린더 헤드(15)의 형태에 따라 좌우된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횡방향 벽체(58)가 형상의 협동에 의해 허브(68)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벽체(58)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축방향 끼워맞춤에 의해 허브(68) 상에 벽(58)을 장착하기 위한 허브(68)의 제 3 섹션(68.3)의 형태에 상보적인 형태를 전방에서 갖는 중앙 개구부(58.3)를 갖는다. 이러한 개구부(58.3)는 허브(68)의 평탄부(79.1)에 상보적 형태를 갖는, 그리고, 허브(68)의 원통부(80.1)에 상보적 형상을 갖는 4개의 원통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4개의 평탄부에 의해 전방에서 경계형성된다. 후방에서, 개구부(58.3)는 도 4에서 더욱 잘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숄더(72)에 상보적인 형태로, 둥근 모서리를 갖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특히, 벽체(58)의 후방 표면(58.4)은 개구부(58.3)의 4개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림(58.5)과 함께 4개의 노치(58.6)를 형성하도록 노칭된다. 기언급한 방식으로, 이러한 림(58.5)은 허브(68)의 대응하는 지지 표면(77.1)에 대해 상보적인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지지 표면(77.1)은 그리스의 통과를 방지하는 장벽의 형성 및 축방향 크기의 감소를 위해 상보적 림(58.5)과 함께 노치(58.6)에 수용되는 돌출부 형태의 부분(77)에 속한다. 따라서, 허브(68)와 협동하여, 벽체(58)는 링(46)에 수용된 그리스가 라이닝(61, 62)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횡방향 배향 및 2개의, 즉, 전방 및 후방 단부 표면(60.1, 60.2)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60)는 베이스 플레이트(60)를 지지부(16)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도 2)의 상보적 형상을 갖는 지지부(16)의 축방향 배향을 갖는 그루브(88)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예를 들어, 둥근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러그(lug)(60.34)를 갖는다. 플레이트(60)는 특히 라이닝(61, 62)의, 마모 결과로 지지부(16)에 대해 병진 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60)는 플레이트(60)가 허브(6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중앙 개구부(60.3)를 갖는다. 이를 위해, 개구부(60.3)는 제 3 섹션(68.3)의 원통부(80.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 형태를 갖는다. 고정 지지부(16)와 일체로 회전하는 플레이트(60) 사이에서 상대적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플레이트(60)와 부분(80.1) 사이에 장착 유격이 존재한다. 표면(60.1)은 플레이트의 전방 표면을 구성하고, 표면(60.2)은 플레이트(60)의 후방 표면을 구성한다.
플레이트(60)의 양 측부 상에 위치하는 라이닝(61, 62)은 플레이트(60)의 후방 표면(60.2) 및 전방 표면(60.1)과 각각 접촉하는 제 1의, 전방 및 후방 표면(61.1, 62.1)과, 상기 제 1 표면(61.1, 62.1)에 대향된 제 2 표면(61.2, 62.2)을 갖는다. 라이닝의 후방 표면을 구성하는 라이닝(61)의 제 2 표면(61.2)은 횡방향 벽체(58)의 전방 표면(58.2)에 속하는 전방 외부 표면과 접촉하고, 반면에, 라이닝의 전방 표면을 구성하는 라이닝(62)의 제 2 표면(62.2)은 힘의 소산을 위해 와셔(65)의 후방 표면(64.2)과 접촉한다. 이러한 라이닝(16, 62)은 형상의 협동에 의해 허브(6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기언급한 방식으로, 각각의 라이닝(61, 62)은 제 3 섹션(68.3)의 형태와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중앙 개구부(61.3, 62.3)를 갖는다. 이러한 개구부(61.3, 62.3)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형태를 갖고, 이러한 정사각형의 변들은 허브의 평탄부(79.1)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변들은 원형 에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마찰 라이닝(61, 62)은 구리 합금(예를 들어, 청동 또는 황동), 등과 같은 금속, 또는 고온 및 고압에서 소결되는 청동, 구리, 및 철과 같은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소결 타입의, 또는, 아라미드 섬유, 예를 들어, Kevlar®와 같은 섬유, 금속 분말, 활석(talc), 실리카, 그래파이트와 같은 충전재,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합제로부터 얻는 유기 타입이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라이닝(61, 62)의 표면은 매끄럽고, 또는, 일 변형예로서, 표면에 그루브가 형성된다. 라이닝(61, 62)에 대한 마찰 트랙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60) 및 벽체(58)는 라이닝(61, 62)의 속성에 따라, 예를 들어, 스틸, 스테인레스강, 청동 또는 주철로 제조된다.
힘의 소산을 위한 디스크(65)는 이 경우에 금속으로 제조되고, 탄성 와셔(64)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 힘을 큰 직경에 대해 균질하게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용도를 위해, 디스크(65)는 와셔(64)를 향해 면하는 전방 표면(65.1)과, 상기 라이닝(62)의 전방 표면(62.2)을 향해 면하는 후방 표면(65.2)을 갖는다. 디스크(65)는 형태의 합동에 의해 허브(68)에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3 섹션(68.3)의 형태와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중앙 개구부(65.3)를 갖는다. 라이닝의 개구부(61.3, 62.3)처럼, 이러한 개구부(65.3)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평탄부(79.1)와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정사각형의 변들은 원형 에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64)는 이 경우에 금속으로 제조되고, 이러한 와셔(67) 상의 내측 주변부에서 지지를 위한, 닫힘 와셔(67)를 향해 면하는, 전방 표면(64.1)과, 이러한 디스크의 전방 표면(64.1) 상의 외측 주변부 상에서 지지를 위한, 소산 디스크를 향해 면하는, 후방 표면(64.2)을 갖는다. 탄성 와셔(64)는 일 변형예로서, 디스크(65)의 전방 표면(64.1) 상에 지지를 위한 외측 주변부 상에서 칼라(collar) 또는 쉘빙(shelving)을 갖는, 예를 들어, 벨빌 타입의 와셔다. 따라서,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길이(L)는 라이닝(61, 62)의 마모의 길이(L')에 좌우되고, 전체적으로 사인파형을 갖는다고 공지의 벨빌 와셔의 특성 곡선에 좌우된다. 이러한 와셔(64)는 특성 곡선의 상부 근처에서 작용하도록 만들어져서, 이러한 와셔에 의해 발전된 하중이 와셔(61, 62)의 마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된다. 일 변형예로서, 이러한 탄성 와셔는 다이어프램이다 - 즉, 탭에 의해 내측 주변부 상에서 연장되는 벨빌 와셔다. 일 변형예로서, 이러한 탄성 와셔7는 높낮이가 있는 와셔(undulating washer)다. 허브(68) 상에 장착되는 이러한 모든 탄성 와셔는 작은 축방향 크기를 갖고, 라이닝(61, 62)의 마모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디스크(65) 상의 하중, 즉,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일 변형예로서, 감소된 반경 방향 치수에 요구되는 하중을 얻기 위해, 역방향으로 중첩되거나 장착되는 와셔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탄성 와셔(64)의 타입 및 개수(2개 이상의 와셔가 사용가능함)는 요구되는 압력을, 결과적으로, 토크 리미터의 임계 저항 토크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타입의 와셔는 더 큰 외경을 갖는 디스크(65)의 외측 주변부 인근에서 외측 주변부를 통해 작용하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외경은 라이닝(61, 62)의 외경에 가깝다. 문서 FR 2 631 094호에 따른 구조에서보다, 와셔(61, 62) 상에서 부하의 더 양호한 배분이 얻어진다. 일 변형예로서, 와셔(64)는 원뿔대 형태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거나 이러한 나선형 스프링으로 대체되며, 가장 작은 직경은 닫힘 와셔(67) 상에서 지지된다. 일 변형예로서, 저사양화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65)의 큰 직경 상에 액션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나선 스프링이 사용된다. 나선형 스프링을 이용하는 해법이 축방향으로 더 크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와셔 또는 나선 스프링을 포함한다.
닫힘 와셔(67)는 이 경우에 금속으로 제조되고, 제 1 섹션(68.1) 주위로 제공되는 그루브(74)와 협동하며 들어간다. 와셔(67)는 탄성 와셔(64)를 향해 면하는 후방 표면(67.1)과, 허브(68)의 축방향 전방 단부(69)를 향해 그리고 허브와 접촉하기 위한 숄더(71)를 향해, 면하는 전방 표면(67.2)을 갖는다. 일례로서, 닫힘 와셔(67)는 숄더(71) 및 구멍(67.6)을 향해 면하는 립(ribs)(67.5)을 구비한 와셔 형태다. 와셔(67)의 중앙 개구부(67.3)는 원형 에지(67.8)에 의해 쌍으로 연결되는 4개의 평탄부(67.9)를 포함한다. 숄더(71)는 와셔(67) 내 개구부(67.3)의 형태와 상보적인 형태를 갖고, 원형부(71.8)에 의해 쌍으로 연결되는 4개의 평탄부(71.7)를 갖는다. 숄더(71)는 큰 크기로 횡방향으로 제 3 섹션(68.3)의 이미지 내에 있어서, 평탄부(71.7)가 평탄부(79.1)의 연장부 내에 있고, 원형부(71.8)는 원형부(80.1)의 연장부 내에 있게 된다. 각각의 원형부(71.8)는 립(67.5)의 내측 주변부의 수용을 위해 (71.9)에서 중앙에 노칭된다. 이러한 노치(71.9)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루브(74)의 후방 플랭크에 또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베이오넷 타입의 장착 수단은 그루브(74) 내 베이오넷 타입의 와셔(67)를 장착하기 위해 닫힘 와셔(67)와 숄더(71) 사이에 삽입되고, 아래 설명되는 방식으로 와셔(67)의 회전을 방지한다. 일 변형예로서, 와셔(67)는 탄성 변형에 의해 그루브(74)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circlips® 타입의 분리 탄성 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숄더(71)는 연속적이다. 일 변형예로서, 숄더(71)는 2개의 원형부(71.8)에 의해 분리되는 단 2개의 평탄부(71.7)만을 포함하고, 와셔(67)는 2개의 평탄부(67.9) 및 2개의 원형 에지(67.8)를 포함한다.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정상 작동에서, 탄성 와셔(64)는 반응 숄더를 형성하는 숄더(72)의 지지 표면(77.1) 및 압력 디스크를 형성하는 디스크(65) 사이에 축방향으로 요소(58, 60, 61, 62)를 압축하기 위해, 디스크(65) 상에서, 그리고 와셔(65)를 통해 숄더(71) 상에서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요소(58, 60, 61, 62, 65)는 플레이트(60)를 통해 지지부(16)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는 단일부만을 형성하듯이 작용한다.
다른 한편, 정상치보다 큰 힘이 발생할 경우, 예를 들어, 가해지는 탄성 토크가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토크보다 클 경우, 벽체(58) 및 디스크(65)는 슬라이딩하고, 마찰 라이닝(61, 62)에 의해 회전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0)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시동기에 가해지는 토크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는 전기 모터(11)의 과열과, 시동기의 기계적 요소의 분해를 방지한다.
허브(68)의 축방향 전방 단부(69)를 통해 조립체(57)의 장착을 취급 및 운송하기 쉽게 하기 위해, 링(46)의 횡방향 벽체(58)는 제 3 섹션(68.3) 상에 축방향으로 도입되어, 내측 주변부 상에 갖는 링(58.5)은 허브(68)의 지지 표면(77.1)과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제 1 마찰 라이닝(61)은 제 3 섹션(68.3)에 개구부(61.3)를 통해 끼워맞춤되어, 그 후방 배면 표면(61.2)이 벽체(58)의 전방 표면(61.1)과 접촉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60)는 그 후 제 3 섹션(68.3)에 개구부(60.3)를 통해 들어가서, 후방 표면(60.2)이 라이닝(61)의 전방 표면(61.1)과 접촉하게 된다. 제 2 마찰 라이닝(62)은 그 후 제 3 섹션(68.3)에 개구부(62.3)를 통해 들어가서, 그 후방 배면 표면(62.1)이 베이스 플레이트(60)의 다른 전방 표면(60.1)과 접촉하게 된다.
힘의 소산을 위한 디스크(65)는 그 후 라이닝(62)의 배면 표면(62.2)에 대해, 제 3 섹션(68.3) 상의 개구부(65.3)를 통해 배치된다. 탄성 와셔(64)는 그 후 제 2 섹션(68.2) 상에 끼워맞춰지고, 그 후, 숄더(71) 상에 와셔(67)의 베이오넷 장착을 수행함으로써, 닫힘 와셔(67)가 장착된다. 특히, 와셔(67)의 평탄부(67.5)가 숄더(71)의 평탄부(71.7)와 면하도록 놓인다. 그 후, 숄더(71)를 통과하기 위해, 허브(68)에 대해 회전 고정된 디스크(65)와 접촉하는 와셔(64)를 압축 및 변형시키기 위해, 전용 툴(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전방 단부(69)로부터 후방 단부(70)를 향해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 축방향 힘(F)(도 6)이 닫힘 와셔(67)에 가해지고, 와셔(67)의 2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평탄부(67.9) 사이의 갭이 그루브(74)의 베이스의 외경과 같은, 장착 유격 내에 있다. 와셔(67)는 3개의 러그(lugs)를 포함하는 툴에 의해 선회하며, 각각의 러그는 중앙 개구부의 평탄부(67.9)를 숄더(71)의 와셔(67)에 면하는 부분(71.8) 내에 두기 위해, 와셔(67) 내 구멍(67.6)에서 각각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와셔(67)에 대한 압력은 해제되어, 우선적으로, 허브(68)에 대해 와셔(67)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각각의 리브(67.5)가 노치(71.9) 내에 수용되고, 그리고, 두번째로, 베이스 플레이트(60)가 마찰 라이닝(61, 62) 사이에서 압력 하에 유지된다. 베어링(85)은 그 후 허브(68)의 내부의 개구부(81) 내부에 배치되고, 위성-홀더(47) 및 브레이싱 와셔(93)를 구비한 론처의 샤프트(43)가 도 2의 도면부호(91)의 화살표에 따라 후방 단부(70)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유입되어, 샤프트(43)의 후방 단부(43.2)가 허브(68)의 내측 환형 숄더(83)와 접촉하게 된다. 브레이싱 와셔(93)는 벽체(58)의 후방 표면과 위성-홀더(74)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와셔(93)는 링(46)의 내측 림(46.3)보다 두껍고, 림(46.3)의 내부 내에 수용된다. 그 후 러그(60.34)가 플레이트(60)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지지부(16)의 축방향 배향으로 공동(88)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장착은, 앞서 언급한 방식으로 반경 방향 유격이 플레이트와 허브(68)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 후, 론처(30)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샤프트(43) 상에 장착되고, 그 후 정지부(53)가 장착되며,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장비된 샤프트(43)가 베어링(42) 내에 끼워맞춰진다. 최종 작동으로서, 공지의 방식으로, 샤프트(24)의 전방 단부가 샤프트(43)의 후방 단부(43.2)의 매끄러운 베어링 내에 그리고 블라인드 구멍 내에 끼워맞춰지며, 볼이 삽입된다.
일 변형예로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셔(67)가 제거되고, 탄성 와셔(64)는 전방 단부(69)의 레벨에서 허브(68)의 재료를 뒤집음으로써 구성되는 허브(68)의 제 1 숄더(71) 바로 위에 지지된다. 특히, 허브의 제 2 섹션(68.2)은 허브의 전방 단부(69)까지 연장되며, 이러한 제 2 섹션(68.2)의 자유 단부는 와셔(64)의 내측 주변부를 직접 지지하는 제 1 숄더(71)를 형성하기 위해, 크림핑에 의해 외부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변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유 단부(60)를 구성하는 제 2 섹션의 자유 단부는 연속적이다. 일 변형예로서, 이러한 자유 단부는, 크림핑 작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탭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허브(68)는 평탄부(79.1)의 레벨에서 절단되어 있고, 평탄부는 허브(68)의 후방 표면(70)의 레벨에서 종료되어, 도 2 내지 도 8의 숄더(72)가 보유되게 된다. 일 변형예로서, 기언급한 방식으로, 이러한 숄더(72)는 연속적이고, 벽체(58)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숄더(72)의 전방 표면 상에서 후방 표면을 통해 지지된다. 일 변형예로서, 숄더(72)는 허브(68)의 후방 단부(70)에 용접 또는 리베팅에 의해 추가된다. 도 9에서, (93)은 벽체(58)의 후방 표면과 위성-홀더(47) 사이에 삽입되는 브레이싱 와셔를 보여준다. 이 와셔(93)는 림(46.3)의 중앙 개구부의 내부 내에 수용된다. 일 변형예로서, 숄더(71)는 전방 단부(69)에 용접, 리베팅 또는 스크루잉에 의해 추가된다. 모든 조합들이 가능하다. 숄더(71, 72)는 모든 경우에 허브(68)에 의해 지지된다.
일 변형예로서, 2개의 마찰 라이닝(61, 62)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다. 예를 들어, 라이닝(61)이 제거되고, 그 후 베이스 플레이트(60)는 링(46)의 핀(46.2)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일 변형예로서, 라이닝(62)이 또한 제거되며, 플레이트(60)는 디스크(65)에 대해 러빙된다. 일 변형예로서, 단일 마찰 라이닝(61, 62)이 보유된다. 일 변형예로서, 디스크(65)자 제거되고, 와셔(64)는 플레이트(60) 바로 위에서 러빙된다.
일 변형예로서, 허브(68), 라이닝(61, 62), 횡방향 벽체(58), 및 힘 소산을 위한 디스크(65)의 회전 가능하게 연결을 위해, 이들(58, 61, 62, 65)은 허브(68)의 제 3 섹션(68.3)의 외측 주변부에 제공되는 상보적 채널과 협동하여 들어가는 내측 주변부의 채널을 포함한다. 일 변형예로서, 따라서, 평탄부는 채널에 의해 대체된다.
일 변형예로서, 라이닝(61, 62)은 표면(61.1, 62.1)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양 측부 상에 접착된다.
"전방" 및 "후방"이라는 용어는, 구동 피니언에 기계의 토크의 전달 방향에 관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전방"측은 구동 피니언(50) 측 상에 있고, 반면 "후방" 측은 전기 기계의 전기 모터 측 상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용 조립체(57)는 문서 FR-2 631 094호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링(46)의 내측 톱니와 직접 결합되는 오프셋 휠 및 링(46)만을 포함하는, 위성-홀더없는 감속기와 함께 이용하도록 또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동기(10)는 예를 들어, 적색 신호등에서, 또는 교통 체증시에 정지되는 열기관을 포함하는, "스타트 스탑(start stop)" 타입의 차량에 특히 적합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시동기를 이용하여 재출발한다.
일 변형예로서, 열기관은 고정되고, 예를 들어, 동력 인출 장치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평탄부(79.1)의 개수는 전달될 토크에 따라 좌우되고,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시동기를 크게 수정하지 않는다. 샤프트(43)의 수정은 간단하고 경제적임을 위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는 원통형 후방 단부(43.2)와 원통형 섹션(43.3) 사이의 직경 변화로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플레이트(60)의 회전 차단은 축방향 배향의 적어도 하나의 공동(88)을 이용하여 단순하게 수행된다. 공동(88) 및 러그(60.34)의 개수는 응용예마다 다르다. 톱니 링(46)은, 베어링의 외측 주변부와 협동하도록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에 대한 지지부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단순화되다. 추가적으로, 힘은 링(46)이 보존되도록, 허브(68) 및 벽체(58)에 의해 흡수된다. 일 변형예로서, 벽체(58)는 링(46)과 한 조각이다. 발명은 링(46)과 달리, 레버(41)가 관절 방식으로 장착되는 해법에 기언급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시동기의 전기 모터(11)는 변화하지 않아서, 일 변형예로서, 컬렉터가 평탄하다. 일 변형예로서, 론처(30)의 피니언(50)이 하우징의 외부 상에 기언급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피니언은 구동 링과 결합하도록 설계된 톱니 휠과 결합한다.
일 변형예로서, 플레이트(60)의 외측 주변부 내에 제공되는 상보적 개구부 내에서 결합되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 립과 같이, 지지부(16)의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돌출부를 이용하여 플레이트(60)의 회전 차단이 수행되도록, 구조를 뒤집는 것이 가능하다. 일 변형예로서, 지지부(16)는 플레이트(90) 내 상보적 개구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지탱한다.

Claims (21)

  1. 회전 전기 기계(11)의 감속기용 조립체(57)에 있어서,
    - 횡방향 벽체(58)와 일체로 된 톱니 링(toothed ring)(46)과,
    - 상기 기계의 지지부(1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장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60)와,
    -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64)와 같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과,
    - 상기 탄성 수단(6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 및 상기 링(46)의 상기 횡방향 벽체(58)가 장착되는 부착형 허브(added-on hub)(68)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68)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수단(64)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숄더(71)와, 상기 링(46)의 상기 횡방향 벽체(58)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숄더(72)를 지지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수단(64)은, 상기 제 1 숄더(71) 상에 지지되며 상기 허브(68) 주위에 마련된 그루브(74) 내에 배치되는 닫힘 와셔(closure washer)(67)에 의해 상기 제 1 숄더(71) 상에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닫힘 와셔(67)와 상기 제 1 숄더(71) 사이의 협동을 보장할 수 있는 베이오넷 타입의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숄더(71)는 상기 허브(68)의 재료를 뒤집음으로써(turning down)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46)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링(46)은 상기 횡방향 벽체(58)의 외측 주변부에 오버몰딩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벽체(58)는 관통 개구부(58.1)를 포함하고, 상기 링(46)은 상기 개구부(58.1)를 통과하는 핀(46.2)을 포함하며, 상기 핀(46.2)은 상기 링(46)의 톱니가 연장되는 내측 표면(58.4)에 대향된 상기 횡방향 벽체(58)의 외측 표면(58.2)에 면해 있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는 상기 링(46)의 핀(46.2) 상에 직접 지지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와 상기 링의 횡방향 벽체(58) 사이에 삽입되는 마찰 라이닝(61)을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와셔(64)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 사이에 위치하는 마찰 라이닝(62)을 추가로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라이닝(61, 62)은 상기 허브(6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68)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부(79.1)를 갖고,
    상기 마찰 라이닝(61, 62)은 형상의 협동에 의한 상기 허브(68)와의 회전 연결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평탄부(79.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개구부(61.3, 62.3)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68)는 4개의 평탄부(79.1)를 갖는 섹션(68.3)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평탄부(79.1)는 쌍으로 평행하며 원통부(80.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마찰 라이닝(61, 62)은 상보적 형상의 개구부(61.3, 62.3)를 갖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라이닝(61, 62)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측면에 접착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숄더(72)는 상기 허브(68)에 속한 여러 부분(77)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의 부분은 지지 표면(77.1)을 갖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77)의 지지 표면(77.1)은 상기 평탄부(79.1)에 대해 각도상으로(angularly) 오프셋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6. 제 12 항과 조합된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80.1)는 상기 허브에 속한 부분(77)에 각각 연결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벽체(58)는 중앙 개구부(58.3)를 갖고, 상기 부분(77)의 수용을 위한 4개의 림(58.5)의 형성을 위해 상기 중앙 개구부(58.3)의 레벨에서 중공화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수단(64)과 연관된 힘의 소산을 위한 와셔(65)를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탄성 수단은 벨빌(Belleville) 타입의 와셔를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와셔(64)로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20. 자동차용 시동기(10)에 있어서,
    - 출력 샤프트(24)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11)와,
    - 상기 전기 기계(11)의 상기 출력 샤프트(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성 기어(49)를 포함하는 에피사이클로이드 트레인(epicycloidal train)과,
    -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57)와,
    - 상기 유성 기어(49)와 우선적으로 결합되고,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의 상기 링(46)과 두 번째로 결합되는 위성-홀더(47)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홀더(47)는, 차량의 열기관의 구동 링의 톱니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구동 피니언(50)을 지지하는 상기 시동기의 출력 샤프트(4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동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68)는 상기 시동기의 출력 샤프트(43)를 통과시킬 수 있는 횡방향 개구부(68.4)를 중앙에 갖고,
    상기 피니언(50)은 구동 유닛(51)을 포함하는 론처(launcher)(30)에 속하며,
    상기 횡방향 개구부(68.4)는 2개의 원통부(81, 82)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원통부(81, 82)는 이들 원통부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내측 환형부(83)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내측 환형부(83)는 상기 구동 유닛(51)의 후방 표면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정지부(stop)를 구성하는
    자동차용 시동기.
KR1020137015899A 2010-12-20 2011-12-19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및 관련 열기관용 시동기 Abandoned KR20140017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60785A FR2969219B1 (fr) 2010-12-20 2010-12-20 Ensemble pour reducteur de vitesse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t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associe
FR1060785 2010-12-20
PCT/FR2011/053048 WO2012085424A1 (fr) 2010-12-20 2011-12-19 Ensemble pour reducteur de vitesse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t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assoc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504A true KR20140017504A (ko) 2014-02-11

Family

ID=4446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899A Abandoned KR20140017504A (ko) 2010-12-20 2011-12-19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및 관련 열기관용 시동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09856B2 (ko)
EP (1) EP2655863B1 (ko)
KR (1) KR20140017504A (ko)
CN (1) CN103270290B (ko)
BR (1) BR112013008506A2 (ko)
FR (1) FR2969219B1 (ko)
WO (1) WO2012085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9858B1 (fr) * 2014-04-11 2016-03-25 Valeo Equip Electr Moteur Ensemble de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JP6113252B1 (ja) * 2015-11-13 2017-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R3049985B1 (fr) * 2016-04-08 2019-10-04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une plaque de base comportant une surepaisseur
FR3049984B1 (fr) * 2016-04-08 2018-03-23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une plaque de base a configuration optimisee
CN109884764A (zh) * 2017-12-06 2019-06-14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镜头模组及投影设备
WO2019193902A1 (ja) * 2018-04-04 2019-10-1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歯付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2165A1 (de) 1978-05-20 1979-11-22 Bosch Gmbh Robert Andrehvorrichtung fuer brennkraftmaschinen
FR2498392A1 (fr) * 1981-01-21 1982-07-23 Paris & Du Rhone Perfectionnements aux demarreurs electriques pour moteurs a combustion interne comportant un reducteur insere entre son moteur electrique et son lanceur
FR2611096B1 (fr) 1987-02-17 1989-05-12 Equip Electr Moteur Carcasse de machine tournante electrique
FR2631094B1 (fr) * 1988-05-04 1992-12-11 Equip Electr Moteur Reducteur de vitesse a limiteur de couple, notamment pour demarreur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2735294B1 (fr) 1995-06-12 1997-07-18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un bobinage inducteur d'epaisseur reduite.
FR2745855B1 (fr) 1996-03-08 1998-04-10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de butee perfectionnes pour son entraineur
JPH10252621A (ja) * 1997-03-07 1998-09-22 Mitsuba Corp エンジン用始動装置の水抜き構造
FR2772433B1 (fr) 1997-12-17 2000-02-04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lanceur perfectionne
FR2787833B1 (fr) 1998-12-23 2001-03-02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a reducteur a engrenages comportant des moyens formant amortisseur de torsion
EP1094246B1 (en) * 1999-10-22 2004-06-02 Denso Corporation Shock absorber and overload protection device
FR2800422B1 (fr) 1999-10-29 2001-11-30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equipe d'une piece d'appui de levier perfectionnee
JP2002180938A (ja) * 2000-12-08 2002-06-26 Denso Corp スタータ
DE602004013827D1 (de) 2003-11-28 2008-06-26 Valeo Equip Electr Moteur Ein zylinderkopf- und untersetzungszentriermittel am gehäuse umfassender verbrennungsmotorstarter
JP4831043B2 (ja) * 2007-10-11 2011-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4957530B2 (ja) * 2007-12-05 2012-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FR2924872B1 (fr) * 2007-12-10 2014-03-28 Valeo Equip Electr Moteur Ensemble pour reducteur de vitesses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07834A1 (en) 2014-01-09
EP2655863A1 (fr) 2013-10-30
FR2969219B1 (fr) 2013-01-11
CN103270290A (zh) 2013-08-28
WO2012085424A1 (fr) 2012-06-28
CN103270290B (zh) 2016-08-10
US9309856B2 (en) 2016-04-12
EP2655863B1 (fr) 2018-05-09
FR2969219A1 (fr) 2012-06-22
BR112013008506A2 (pt)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7504A (ko) 회전 전기 기계의 감속기용 조립체, 및 관련 열기관용 시동기
EP1453183B1 (en) Brush holder arrangement of dc motor
CN103717879A (zh) 包括起动器驱动单元和控制杆的用于热机起动器的移动组件
DE19655301B4 (de) Antrieb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20040020315A1 (en) Starter for a motor vehicle
US20140299437A1 (en) Friction starter drive unit for engagement with a starter ring gear of a thermal engine, and starter of a thermal engine comprising a starter drive unit of this type
KR0157268B1 (ko) 스타터
JP2016501757A (ja) 自動車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アセンブリ
DE102010032853A1 (de) Radnabenmotor
KR20200014819A (ko) 자동차 회전 전기 기계 구동 조립체
US20030102741A1 (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mechanism for a coaxial starter motor assembly
US20130133479A1 (en) Starter
JPH0786341B2 (ja) 同軸形スタータ
EP2859218A1 (fr) Demarreur pour moteur a combustion
US20150300310A1 (en) Friction starter drive unit for meshing with a starter ring gear of a heat engine, and corresponding heat engine starter
CN102667137B (zh) 噪声优化的起动装置
JP7179162B2 (ja) ダンパを組み込んだ接続スリーブを備えた回転電気機械
CN205297814U (zh) 用于机动车辆的改进的小齿轮保持架组件、相应起动器驱动组件和起动器
EP2799707B1 (en) Method for mounting an electrical machine
CN212717677U (zh) 狗牙离合器及车辆
CN113169621A (zh) 电动马达
CN220732535U (zh) 一种电机结构
JP5472367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1871204B1 (ko) 스타트모터
JP3305885B2 (ja) 整流子型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4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