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40012371A - 테이블용 레그 구조 - Google Patents

테이블용 레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371A
KR20140012371A KR1020120079051A KR20120079051A KR20140012371A KR 20140012371 A KR20140012371 A KR 20140012371A KR 1020120079051 A KR1020120079051 A KR 1020120079051A KR 20120079051 A KR20120079051 A KR 20120079051A KR 20140012371 A KR20140012371 A KR 20140012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rame
fixing
fixing groove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스
Priority to KR102012007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2371A/ko
Publication of KR2014001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371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16B12/42Joints for furniture tubing connecting furniture tubing to non-tubula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2012/106Connection bolts for connection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용 레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용 레그 구조의 구성은 테이블의 상판(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의 코너부에 측면부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하로 관통된 레그 인서트홀(22)이 구비된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픽싱 그루브(30)와;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다른 면에 돌출되며 상기 픽싱 그루브(30)에 형합되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상기 프레임(20)의 연결 부위에 고정 지지부를 형성하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40)과;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형성된 상기 레그 인서트홀(22)에 끼워져서 외측면이 상기 레그 인서트홀(22) 주위에 접합되는 레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용 레그 구조{Table leg structure}
본 발명은 테이블용 레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레그와 테이블 사이의 결합 구조를 견고하게 구현함으로써 테이블의 사용시 유동되는 현상 등을 방지하므로, 테이블의 사용성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새로운 테이블용 레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과 같이 여러 사람이 함께 업무를 보는 장소에는 테이블이 설치되어, 여러 사람이 함께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회의를 하는 등의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사무용 테이블은 컴퓨터, 전화기와 같은 사무기기 등을 상부에 올려놓고 여러 필요한 사무를 볼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때, 테이블은 상판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프레임의 네 코너부에 레그를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레그를 프레임에 용접하는 방식의 테이블도 있고 사무실을 옮기거나 하는 등의 일이 생기면 테이블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상판에서 레그를 분리할 수 있도록 다리를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조립식으로 제작한 테이블도 있다.
그런데, 기존의 레그 조립식 테이블은 체결구의 결합력만으로 레그와 상판 아래 프레임이 결합 부분을 지지하게 되므로, 레그와 상판 사이의 결합 부위가 변형되거나 체결구가 휘어지기 쉬운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테이블의 상판이 덜렁거리는 현상(즉, 유동되는 현상)이 생겨서 여러모로 좋지 못하다. 즉,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를 매개로 레그를 조립한 경우에는 테이블에 작용하는 외력(예를 들어, 휨 모멘트 등)에 약하여 레그가 테이블 상판의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흔들거리게 되고, 레그가 흔들리면 체결구가 풀어지면서 레그와 테이블 상판 연결 부분의 결합력이 저하되면서 테이블 상판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여러 방향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사용성 등에서 좋지 못한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레그와 테이블 사이의 결합 구조를 체결구에 의한 결합 구조와 용접에 의한 결합 구조를 융합하여 견고하게 구현함으로써 테이블의 사용시 유동되는 현상 등을 방지하므로, 테이블의 사용성 등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테이블용 레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그를 테이블 상판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휘거나 변형됨을 방지하며, 조립 등의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테이블 레그 조립 후에는 테이블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테이블용 레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의 상판(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의 코너부에 측면부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테이블 레그(50)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하로 관통된 레그 인서트홀(22)이 구비된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픽싱 그루브(30)와;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다른 면에 돌출되며 상기 픽싱 그루브(30)에 형합되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상기 프레임(20)의 연결 부위에 고정 지지부를 형성하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40)과;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형성된 상기 레그 인서트홀(22)에 끼워져서 외측면이 상기 레그 인서트홀(22) 주위에 접합되는 레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레그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레그(50)는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상기 레그 인서트홀(22)에 삽입되어 상기 레그 인서트홀(22)과 상기 레그(50)의 외주면 사이가 용접부(W1)에 의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접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 중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마주하는 외측면 부분에 용접부(W3)를 매개로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 중에서 상기 프레임(20)과 마주하는 외측면 부분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너트(24)가 구비되고,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관통되는 용접홀(42)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너트 결합홀(44)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코너부에는 상기 픽싱 그루브(30)가 형성되고, 상기 픽싱 그루브(30) 위치에는 상기 프레임(2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관통되는 체결구 결합홀(14)이 형성되며,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상기 용접홀(42)에 채워지는 용접부(W3)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과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너트 결합홀(44)은 상기 너트(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체결구 결합홀(14)에 끼워지는 볼트 형태의 체결구(14B)가 상기 너트(24)에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는 상기 레그 인서트홀(22)의 상부 위치에 보조 접합편(26)이 더 구비되어, 상기 레그(50)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상기 레그 인서트홀(22)에 삽입되어 상기 레그 인서트홀(22)과 상기 레그(50)의 외측면 사이가 용접부(W1)에 의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레그(50)의 상기 레그 인서트홀(22) 상부로 돌출된 외측면은 상기 레그 인서트홀(22) 상부 위치의 상기 보조 접합편(26)에 용접부(W2)를 매개로 접합되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상기 레그(50)가 상하 이중 용접부에 의해 상호 접합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접합편(26)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그(50)의 외측면과 만나는 교차 연장편(27)이 더 구비되어, 상기 교차 연장편(27)에 상기 레그(50)의 외측면이 상기 용접부(W2)를 매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쪽 단부는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에 용접부(W4)에 의해 각각 접합되며,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코너부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픽싱 그루브(30)의 양쪽 단부측에는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쪽 단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된 용접부 안치부(32)가 더 구비되어,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을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에 접합하는 상기 용접부(W4)가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쪽 단부와 상기 픽싱 그루브(30)의 양쪽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용접부 안치부(32)에 수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 지지용 프레임의 코너부에 레그 픽싱 커넥터를 결합하되, 레그 픽싱 커넥터와 프레임 코너부에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과 픽싱 그루브의 맞결합에 의해 1차적으로 견고한 연결 결합부를 구성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프레임과 레그 픽싱 커넥터에 동시에 결합되는 체결구에 의해 2차적으로 견고한 연결 결합부를 구비한 테이블용 레그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레그와 상판 사이의 결합 부위가 변형되거나 체결구가 휘어지기 쉬운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테이블의 상판이 덜렁거리는 현상(즉, 유동되는 현상)이 생겨지 않아서 여로 모로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테이블의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를 매개로 레그를 조립한 경우에는 테이블에 작용하는 외력(예를 들어, 휨 모멘트 등)에 약하여 레그가 테이블 상판의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흔들거리게 되고, 레그가 흔들리면 체결구가 풀어지면서 레그와 테이블 상판 연결 부분의 결합력이 저하되면서 테이블 상판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여러 방향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사용성 등에서 좋지 못한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테이블 상판 지지용 프레임의 코너부에 레그 픽싱 커넥터를 결합하되, 레그 픽싱 커넥터와 프레임 코너부에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과 픽싱 그루브의 맞결합으로 연결 결합부를 구성하고, 이에 더하여 프레임과 레그 픽싱 커넥터에 동시에 결합되는 체결구에 의해 이중으로 견고한 연결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완전 해소한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와 레그 사이에도 한 군데의 용접부가 아니라 상하 두 군데의 이중 용접부로 연결함으로써 레그가 테이블에 대해 유동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레그 픽싱 커넥터에 동시에 결합되는 체결구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레그 픽싱 커넥터에 별도의 너트를 더 구비함으로써, 프레임과 레그 픽싱 커넥터 사이의 연결 부위 강도를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과 픽싱 그루브 및 체결구, 상기 너트에 의한 적어도 3중 고정 구조에 의해 매우 강하게 연결 지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레그와 테이블의 프레임 연결 부위 사이의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적어도 3중 이상의 연결 결합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레그에 대한 테이블의 유동 현상 등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블용 레그 구조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블용 레그 구조의 다른 측면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와 레그 픽싱 커넥터의 주요부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레그 픽싱 커넥터의 주요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테이블용 레그 구조를 테이블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테이블용 레그 구조와 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A선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선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테이블용 레그 구조를 채용한 테이블의 외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용 레그 구조는 테이블의 상판(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의 코너부에 측면부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테이블 레그(50)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면에 상하로 관통된 레그 인서트홀(22)이 구비된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픽싱 그루브(30)와,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다른 면에 돌출되며 픽싱 그루브(30)에 형합되어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프레임(20)의 연결 부위에 고정 지지부를 형성하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40)과,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형성된 레그 인서트홀(22)에 끼워져서 외측면이 레그 인서트홀(22) 주위에 접합되는 레그(5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은 단면 사각의 바아가 종횡으로 연결된 대략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20)의 네 코너부에 레그(50)가 구비되고, 프레임(20) 위에는 상판(10)이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테이블은 단면 사각의 바아가 종횡으로 연결된 대략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20) 네 코너부에 레그(50)가 구비되고, 프레임(20) 위에는 상판(10)이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상판(10)을 아래에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20)은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단면 사각형의 세로 프레임 바아와 가로 프레임 바아가 복수개로 연결된 사각 지지틀 구조(세로 방향이 가로 방향에 비하여 보다 큰 사각 지지틀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프레임(20) 위에 지지되는 테이블의 상판(10)은 프레임(20)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너비 방향 전후 위치에 하나씩 대칭으로 배치된 전방 상판(10)과 후방 상판(10)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는 테이블의 상판(10) 지지용 프레임(20) 코너부를 이루는 세로 프레임 바아와 가로 프레임 바아 내측면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는 네 개의 측면이 있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 중에서 프레임(20)과 마주하는 외측면 부분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너트(24)가 구비된다. 상기 테이블의 상판(10)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프레임(20)은 네 코너부를 구비된 사각 지지틀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프레임(20)의 각 코너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단면 사각형 바아 형태의 세로 프레임 바아와 가로 프레임 바아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네 측면 중에서 두 개의 외측면이 프레임(20)의 코너부를 이루는 세로 프레임 바아와 가로 프레임 바아의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두 개의 측면에 적어도 두 개의 이상의 너트(24)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너트(24)는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형성된 너트 결합홀(44)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부가 리벳팅 방식으로 눌려져서 형성되는 두 개의 고정 플랜지부(24a)에 의해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측면에 고정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고정 플랜지부(24a)는 너트(24)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너트홀에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볼트 구조의 체결구(14B) 사이와의 결합력도 높이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바텀부에는 대략 사각의 레그 인서트홀(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레그 픽싱 커넥터(20)는 레그 인서트홀(22)의 상부 위치에 보조 접합편(26)이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접합편(26)에는 레그(50)의 외측면과 만나는 교차 연장편(27)이 더 구비된다. 보조 접합편(26)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바텀부와 나란하고 교차 연장편(27)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보조 접합편(26)에서 레그 인서트홀(22)을 향하여 하향으로 직각 연장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두 개의 보조 접합편(26) 사이에는 상부 커버편(28)이 결합된다. 이때,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의 상단부 중에서 두 개의 보조 접합편(26) 사이의 단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돌기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부 커버편(28)의 서로 나란한 단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돌기가 구비되어, 상부 커버편(28)의 돌기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돌기 결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는 오목한 장공 형태의 픽싱 그루브(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테이블의 상판(10) 지지용 프레임(20)의 코너부를 이루는 두 개의 직교하는 세로 프레임 바아와 가로 프레임 바아의 내측면에 각각 픽싱 그루브(30)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 바아의 픽싱 그루브(30)와 가로 프레임 바아의 픽싱 그루브(30)는 프레임(20)의 상측에서 볼 때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다른 면에 돌출 설치된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이 상기 픽싱 그루브(30)에 형합되어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프레임(20)의 연결 부위에 고정 지지부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두 개의 너트(24)가 구비된 측면에 각각 하나 씩 두 개의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 중에서 프레임(20)의 코너부와 마주하는 외측면 부분에 용접부(W1)를 매개로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20)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세로 프레임 바아의 픽싱 그루브(30)와 가로 프레임 바아의 픽싱 그루브(30)에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두 개의 측면이 마주하게 되는데, 이러한 픽싱 그루브(30)와 마주하는 측면에 두 개의 너트(24)가 구비되어 있어서,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은 두 개의 너트 결합홀(44)이 형성되어, 이 너트 결합홀(44)이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구비된 너트(24)에 끼워지면서 동시에 용접부(W3)에 의해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관통되는 용접홀(42)이 형성되어 있어서,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용접홀(42)에 채워지는 용접부(W3)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과 접합됨으로써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이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에 고정된 구조를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쪽 단부는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에 용접부(W4)에 의해 각각 접합되며,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 내측면에 형성된 픽싱 그루브(30)의 양쪽 단부측에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쪽 단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된 면적을 갖는 용접부 안치부(32)가 더 구비되어,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을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에 접합하는 용접부(W4)가 프레임(20)의 코너부를 이루는 세로 프레임 바아와 가로 프레임 바아의 내측면에 걸리지 않고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쪽 단부와 픽싱 그루브(30)의 양쪽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용접부 안치부(32)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픽싱 그루브(30)를 세로 프레임 바아의 내측면과 가로 프레임 바아의 내측면에 형성하되, 픽싱 그루브(30)의 양단부에 반원 형상으로 더 연장되도록 따내는 가공을 통하여 픽싱 그루브(30)를 장공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픽싱 그루브(30)의 양단부에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단부보다 상대적으로 양쪽 옆으로 보다 더 연장된 두 군데의 용접부 안치부(32)를 형성한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양단부가 용접부(W4)로 결합된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을 프레임(20) 코너부 내측면의 픽싱 그루브(30)에 끼움식으로 결합할 때에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단부를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고정한 상기 양쪽 두 군데의 용접부(W4)가 픽싱 그루브(30)의 양쪽 단부에 걸리지 않고 각 용접부 안치부(32)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레그(50)는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형성된 레그 인서트홀(22)에 삽입되어 레그 인서트홀(22)과 레그(50)의 외주면 사이의 용접부(W1)에 의해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레그(50)는 평철을 복수개의 폴딩선을 기준으로 접어서 단면 사각의 바아 형상으로 구성한 것인데, 레그(50)의 상부측이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바닥부에 관통 형성된 사각홀 형상의 레그 인서트홀(22)에 끼워진 상태에서 레그(50)의 외주면과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레그 인서트홀(22) 내주면 사이를 용접할 때 형성되는 용접부(W1)에 의해 레그(50)가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견고하게 결합된 것이다.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는 레그 인서트홀(22)의 상부 위치에 보조 접합편(26)이 더 구비되어, 상기 레그(50)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레그 인서트홀(22)에 삽입되어 레그 인서트홀(22)과 레그(50)의 외측면 사이가 용접부(W1)에 의해 접합됨과 동시에 레그(50)의 레그 인서트홀(22) 상부로 돌출된 외측면은 레그 인서트홀(22) 상부 위치의 보조 접합편(26)에 용접부(W2)를 매개로 접합되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레그(50)가 상하 이중 용접부에 의해 상호 접합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 접합편(26)에는 교차되는 방향(레그 인서트홀(22)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레그(50)의 외측면과 만나는 교차 연장편(27)을 더 구비하여,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레그 인서트홀(22)에 삽입된 레그(50)의 상부측 외주면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보조 접합편(26)과 교차하도록 하향 연장된 상기 교차 연장편(27)에 용접부(W1,W2)를 매개로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 교차 연장편(27)이 용접부(W1,W2)에 의해 레그(50)와 레그 픽싱 커넥터(20) 사이를 이중 용접부로 결합하면서 자체의 강성에 의해 레그(50)와 레그 픽싱 커넥터(20) 사이의 결합 부위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에는 픽싱 그루브(30)가 형성되고, 이러한 픽싱 그루브(30) 위치에는 프레임(2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관통되는 체결구 결합홀(14)이 형성되며,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용접홀(42)에 채워지는 용접부(W3)가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과 접합됨과 동시에 너트 결합홀(44)은 너트(24)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20)의 체결구 결합홀(14)에 끼워지는 볼트 형태의 체결구(14B)가 너트(24)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테이블용 레그 구조에서 주요부를 테이블 프레임(20) 코너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형성된 레그 인서트홀(22)에 레그(50)를 삽입한 다음, 상기 레그(50)의 외주면 중에서 아래 부분의 외주면과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레그 인서트홀(22) 사이를 용접부(W1)로 접합하고, 동시에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레그 인서트홀(22) 상부 위치에 구비된 보조 접합편(26) 부분(정확하게는 보조 접합편(26)의 하부로 연장된 교차 연장편(27) 부분)과 레그(50)의 윗 부분 외주면 사이를 용접부(W2)에 의해 접합한다. 그러면,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레그(50)가 상부측 용접부(W1)와 하부측 용접부(W2)의 이중 용접부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상면은 상기한 상부 커버편(28)을 결합하여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상면을 막아준 구조를 구비한다.
다음, 상기 레그(50)가 접합된 상태의 레그 픽싱 커넥터(20)를 상판(10) 지지용 프레임(10)의 코너부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측면부에 접합된 두 개의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을 프레임(20)의 코너부의 직교하는 세로 프레임 바아와 가로 프레임 바아의 각 픽싱 그루브(30)에 삽입한다. 이때,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두께는 대략 5mm 정도이고 세로 프레임 바아와 가로 프레임 바아의 픽싱 그루브(30)가 형성된 측면부의 두께는 대략 2mm 정도라서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이 픽싱 그루브(3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이 픽싱 그루브(30)보다 더 튀어나온 구조가 되어서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프레임(20)의 코너부 사이의 결합 부분의 고정 지지부의 강도를 보다 높이게 된다. 도 10과 도 11 참조.
이어서,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 외측면의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이 프레임(20)의 코너부에 형성된 픽싱 그루브(30)에 끼워져서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를 매개로 레그(50)가 테이블의 상판(10) 지지용 프레임(20)의 코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체결구 결합홀(14) 부분(즉, 프레임(20)의 구성인 세로 프레임 바아에 관통된 체결구 결합홀(14)과 가로 프레임 바아에 관통된 체결구 결합홀(14) 부분)에 끼워지는 볼트 형태의 체결구(14B)를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구비된 너트(24)에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테이블용 레그 구조를 테이블의 코너부에 구축할 수 있게 되며, 이처럼 결합된 레그 구조에 의해 테이블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 상판(10) 지지용 프레임(20)의 코너부에 레그 픽싱 커넥터(20)를 결합하되,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프레임(20) 코너부에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40)과 픽싱 그루브(30)의 맞결합에 의해 1차적으로 견고한 연결 결합부를 구성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프레임(20)과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동시에 결합되는 체결구(14B)에 의해 2차적으로 견고한 연결 결합부를 구비한 테이블용 레그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레그(50)와 상판(10) 사이의 결합 부위가 변형되거나 체결구(14B)가 휘어지기 쉬운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테이블의 상판(10)이 덜렁거리는 현상(즉, 유동되는 현상)이 생겨지 않아서 여로모로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테이블의 상판(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에 볼트와 너트(24) 등의 체결구(14B)를 매개로 레그(50)를 조립한 경우에는 테이블에 작용하는 외력(예를 들어, 휨 모멘트 등)에 약하여 레그(50)가 테이블 상판(10)의 프레임(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흔들거리게 되고, 레그(50)가 흔들리면 체결구(14B)가 풀어지면서 레그(50)와 테이블 상판(10) 연결 부분의 결합력이 저하되면서 테이블 상판(10)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여러 방향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사용성 등에서 좋지 못한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테이블 상판(10) 지지용 프레임(20)의 코너부에 레그 픽싱 커넥터(20)를 결합하되,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프레임(20) 코너부에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40)과 픽싱 그루브(30)의 맞결합으로 연결 결합부를 구성하고, 이에 더하여 프레임(20)과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동시에 결합되는 체결구(14B)에 의해 이중으로 견고한 연결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완전 해소한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레그(50) 사이에도 한 군데의 용접부가 아니라 상하 두 군데의 이중 용접부(W1 및 W2)로 연결함으로써 레그(50)가 테이블에 대해 유동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과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동시에 결합되는 체결구(14B)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별도의 너트(24)를 더 구비함으로써, 프레임(20)과 레그 픽싱 커넥터(20) 사이의 연결 부위 강도를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과 픽싱 그루브(30) 및 체결구(14B), 상기 너트(24)에 의한 적어도 3중 고정 구조에 의해 매우 강하게 연결 지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레그(50)와 테이블의 프레임(20) 연결 부위 사이의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적어도 3중 이상의 연결 결합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레그(50)에 대한 테이블의 유동 현상 등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4. 상판 10. 프레임
14. 체결구 결합홀 14B. 체결구
20. 레그 픽싱 커넥터 22. 레그 인서트홀
24. 너트 24a. 고정 플랜지부
26. 보조 접합편 27. 교차 연장편
28. 상부 커버편 30. 픽싱 그루브
32. 용접부 안치부 40. 픽싱 그루브 결합편
42. 용접홀 44. 너트 결합홀

Claims (6)

  1. 테이블의 상판(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의 코너부에 측면부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하로 관통된 레그 인서트홀(22)이 구비된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픽싱 그루브(30)와;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에서 다른 면에 돌출되며 상기 픽싱 그루브(30)에 형합되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상기 프레임(20)의 연결 부위에 고정 지지부를 형성하는 픽싱 그루브 결합편(40)과;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형성된 상기 레그 인서트홀(22)에 끼워져서 외측면이 상기 레그 인서트홀(22) 주위에 접합되는 레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레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50)는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상기 레그 인서트홀(22)에 삽입되어 상기 레그 인서트홀(22)과 상기 레그(50)의 외주면 사이가 용접부(W1)에 의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접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 중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코너부와 마주하는 외측면 부분에 용접부(W3)를 매개로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레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 중에서 상기 프레임(20)과 마주하는 외측면 부분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너트(24)가 구비되고,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관통되는 용접홀(42)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너트 결합홀(44)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코너부에는 상기 픽싱 그루브(30)가 형성되고, 상기 픽싱 그루브(30) 위치에는 상기 프레임(2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관통되는 체결구 결합홀(14)이 형성되며,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상기 용접홀(42)에 채워지는 용접부(W3)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과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너트 결합홀(44)은 상기 너트(2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체결구 결합홀(14)에 끼워지는 볼트 형태의 체결구(14B)가 상기 너트(24)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레그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는 상기 레그 인서트홀(22)의 상부 위치에 보조 접합편(26)이 더 구비되어, 상기 레그(50)가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상기 레그 인서트홀(22)에 삽입되어 상기 레그 인서트홀(22)과 상기 레그(50)의 외측면 사이가 용접부(W1)에 의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에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레그(50)의 상기 레그 인서트홀(22) 상부로 돌출된 외측면은 상기 레그 인서트홀(22) 상부 위치의 상기 보조 접합편(26)에 용접부(W2)를 매개로 접합되어,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와 상기 레그(50)가 상하 이중 용접부에 의해 상호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레그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접합편(26)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그(50)의 외측면과 만나는 교차 연장편(27)이 더 구비되어, 상기 교차 연장편(27)에 상기 레그(50)의 외측면이 상기 용접부(W2)를 매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레그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쪽 단부는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에 용접부(W4)에 의해 각각 접합되며, 상기 프레임(20)의 상기 코너부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픽싱 그루브(30)의 양쪽 단부측에는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쪽 단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된 용접부 안치부(32)가 더 구비되어,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을 상기 레그 픽싱 커넥터(20)의 외측면에 접합하는 상기 용접부(W4)가 상기 픽싱 그루브 결합편(40)의 양쪽 단부와 상기 픽싱 그루브(30)의 양쪽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용접부 안치부(32)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레그 구조.
KR1020120079051A 2012-07-20 2012-07-20 테이블용 레그 구조 Abandoned KR20140012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51A KR20140012371A (ko) 2012-07-20 2012-07-20 테이블용 레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51A KR20140012371A (ko) 2012-07-20 2012-07-20 테이블용 레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371A true KR20140012371A (ko) 2014-02-03

Family

ID=5026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051A Abandoned KR20140012371A (ko) 2012-07-20 2012-07-20 테이블용 레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23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8543A (zh) * 2014-12-26 2016-07-20 浙江德清麦辰家具有限公司 桌脚
KR20180076846A (ko) * 2016-12-28 2018-07-06 (주) 태성이앤에스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8543A (zh) * 2014-12-26 2016-07-20 浙江德清麦辰家具有限公司 桌脚
KR20180076846A (ko) * 2016-12-28 2018-07-06 (주) 태성이앤에스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76216A (ja) 仕口部の接合装置、仕口部の接合構造、及び仕口部の接合方法
KR101363739B1 (ko)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KR101978320B1 (ko)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장치
KR101233537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KR101649449B1 (ko) 강화버팀보를 이용한 이음장치
JP2005139623A (ja) 補強梁およびその補強梁を備えたユニット式建物
JP2020002646A (ja) 柱梁接合部材及び柱梁接合構造
KR20140012371A (ko) 테이블용 레그 구조
KR102101849B1 (ko) 끼움식 무용접 프레임 조립구조
JP2020143515A (ja) 構造体への補強部材の固定構造、h形鋼用固定部材
JP2015078569A (ja) 仮設用防音パネルの取付クランプ
KR101440045B1 (ko) 가구 하부프레임
KR101440044B1 (ko) 가구 하부프레임
JP7210247B2 (ja) 補強対象物の補強構造
JP6484751B1 (ja) 接合金物及び建築用パネル
KR20140012373A (ko) 수납 박스과 조립식 레그 및 익스텐션 구조를 통합한 기능성 테이블
KR20190001729U (ko) 조립식 지붕 구조물
JP5191195B2 (ja) 家具天板の連結構造
JP4326926B2 (ja) 梁受け金物
JP5724655B2 (ja) 連結金具及びこれを備えたフレーム並びにこのフレームを用いた建築物
JP2001287815A (ja) ラックのフレーム構造
KR101440043B1 (ko) 가구 하부프레임
JP2006175469A (ja) パイプ連結構造
JP6563186B2 (ja) 木造用柱脚金物
KR101429984B1 (ko) 가새 접합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