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845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8845A KR20140008845A KR1020120076167A KR20120076167A KR20140008845A KR 20140008845 A KR20140008845 A KR 20140008845A KR 1020120076167 A KR1020120076167 A KR 1020120076167A KR 20120076167 A KR20120076167 A KR 20120076167A KR 20140008845 A KR20140008845 A KR 201400088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unit
- unit
- content
- display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 제1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종류의 제2 디스플레이부,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 및 대응하는 터치센서의 전력 공급이 오프(off)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켜, 배터리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동작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배터리를 관리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메시지 송수신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하며, 전력 효율성도 높아야 한다. 따라서, 한정된 휴대 단말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전체적인 전력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로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전력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디스플레이부, 제1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종류의 제2 디스플레이부,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 및 대응하는 터치센서의 전력 공급이 오프(off)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와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와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력 공급이 오프(off)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켜, 배터리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센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센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패드, 터치 시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위치의 압력 또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중 일부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되거나, 휴대 단말기의 전면과 후면에 디스플레이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 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휴대 단말기(100)가 다른 면에 2개의 디스플레이부(151a, 151b)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디스플레이부(151a, 151b)는 서로 다른 종류와 특성으로, 예를 들어, 전자종이와 LCD로 구성되거나 저해상도의 LCD와 고해상도의 LC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디스플레이부(151a, 151b)는 서로 다른 용도의 컨텐츠 이용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텍스트(text) 기반의 컨텐츠를 주로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동영상 기반의 컨텐츠를 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로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동영상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면의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151a)를 통하여 텍스트 중심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 중에, 동영상을 연결하여 보고자 하면 후면의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151b)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즉, 저화질 또는 텍스트 기반의 컨텐츠의 경우에는, 전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게임 및 동영상 재생을 기반으로 한 고화질 또는 동영상 기반의 컨텐츠의 경우에는, 후면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특성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특성의 디스플레이부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고, 각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는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의 음향출력 모듈(미도시), 카메라(미도시),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또는 버튼,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각종 단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더욱 자세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51a, 151b), 전원 공급부(190)와 제어부(18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한편, 도 1에서 상술한 휴대 단말기의 다른 구성요소는 도시하지 않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다른 종류의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2 디스플레이부(151a, 151b) 이외에 다른 디스플레이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대응하는 제1 터치 센서(411)와 상호 레이어 구조로 형성되어 제1 터치스크린(410)으로 명명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대응하는 제2 터치 센서(421)와 상호 레이어 구조로 형성되어 제2 터치스크린(420)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별도의 터치 센서(411, 412)가 디스플레이부(151a, 151b)와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터치 센서를 디스플레이부(151a, 151b) 내에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151a, 151b)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90)와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기능 블록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하는 온(on)-오프(off) 컨트롤러(440)를 구비하거나, 외부의 컨트롤러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9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제2 디스플레이부(151b)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 및 대응하는 터치센서의 전력 공급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예를 다시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재생할 컨텐츠의 속성이 텍스트 기반인 경우에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부(151a)에 컨텐츠를 주로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51b)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제2 터치 센서(420)의 전력 공급도 차단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 측의 터치 감지를 위해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컨텐츠의 속성이 영화, 게임 등 동영상 기반의 컨텐츠인 경우, 제어부(180)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고, 다른 디스플레이부(151a) 및 터치 센서(410)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중이 아니여서 파워 오프(power-off)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의 전력 공급이 온(on)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할 디스플레이부가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다른 방식의 디스플레이로 그 특성이 다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할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에 맞게 영상 화면의 크기 조정, 해상도 조정, 색상 변경, 상하좌우 반전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게 최적화된 영상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면은 전면, 후면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반대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초에 수 프레임레이트 수준으로 화면을 출력하여 동영상에는 부적당하나 일반 독서용에는 적합한 저전력 디스플레이부와 일초에 30 프레임이상 수준으로 화면을 출력하여 동영상에 적합한화면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조합하여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a)는 전자종이(e-Paper)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LCD, OLED 등 전자종이와는 다른 방식의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 있다.
현재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 점점 커지는 추세에 있으나, 배터리의 용량은 한계가 있다. 특히 동영상이나 게임 구동의 경우보다 화면 갱신이 느린 이메일을 보거나 웹서핑을 하거나, 독서를 하는 경우에도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LC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어 배터리 사용에 대한 문제를 많이 내포하고 있다. 또한, LCD 등의 디스플레이로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경우 배터리 소모량은 더욱 급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극복으로 배터리 용량을 최대로 늘리고 있으나 휴대 단말기의 무게와 크기에 대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전자잉크 화면 표시장치처럼 갱신이 느린 화면표시장치는 저전력을 쓰나 동영상을 보기에는 적당하지 않아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웹서핑과 메세지 교환, 전화등 휴대 단말기의 주요 기능은 고화질 디스플레이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저소비전력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제1 면에 텍스트 용으로 저전력 디스플레이로 주로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시 저전력으로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로 동영상 감상이나 게임을 할 경우에는, 제2 면의 고화질의 높은 갱신 주기를 갖는 디스플레이로 사용함으로써, 텍스트 중심의 저화질, 저전력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용 구동 IC 등 회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구동 IC 등은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2 면까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반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실시예의 경우,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80)는 컨텐츠의 속성을 판별한다.(S510)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컨텐츠 파일의 메타데이터 등 부가 정보로부터 판별하거나, 파일명, 파일 포맷, URL 주소, 화면 분석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컨텐츠의 종류, 상기 컨텐츠의 동영상 포함 여부, 상기 컨텐츠의 해상도 정보, 상기 컨텐츠의 색상 정보(색상, 명도,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모드(mode)를 결정할 수 있다.(S520) 상기 모드는 상기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상대적으로 상기 컨텐츠에 더욱 적합한 디스플레이부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츠의 속성뿐만 아니라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상태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표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결정한 모드에 따라서 컨텐츠 속성에 부합하는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를 표시한다.(S530)
또한, 제어부(180)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 디스플레이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S540)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오프에 연동하여 대응하는 터치센서도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55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80)는 동영상 디코더 작동 여부(S610), 그래픽 엔진 사용 여부(S620)를 체크한다. 여기서, 그래픽 엔진은 제어부(18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그래픽 엔진으로 일반적인 그래픽 처리 유닛 이외에 게임용 또는 3D용의 고성능 그래픽 엔진도 포함된다.
제어부(180)는 동영상 디코더 또는 그래픽 엔진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텍스트 기반 또는 저화질 컨텐츠로 판별하고,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의 사용 여부를 판별한다.(S630)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바로 화면을 표시한다.(S65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가 불필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센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S641, S642),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와 터치센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S643, S644)
제어부(180)는 켜진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을 표시한다.(S650)
한편,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센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들(S641, S642, S643, S644)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80)는 동영상 디코더 또는 그래픽 엔진이 사용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동영상 또는 고화질 컨텐츠로 판별하고,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의 사용 여부를 판별한다.(S660)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바로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을 표시한다.(S65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사용할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S671, S672),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 센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S673, S674)
이후, 제어부(180)는 켜진 동영상용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을 표시한다.(S650)
한편, 도 6은 2개의 디스플레이부의 우선 순위를 정하지 않고 사용하나, 이와 달리,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주 디스플레이부로 사용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부를 필요시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은 텍스트용으로 저전력 디스플레이로 주로 사용하고 동영상 감상이나 게임을 할 경우 후면의 고화질의 높은 갱신 주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제어부는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를 주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면서, 동영상 디코더 작동이나 게임용 그래픽엔진 사용을 감지 후 디스플레이(화면)를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텍스트용 디스플레이부의 사용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660)는 불필요하다. 반대의 경우에는 동영상 디스플레이부의 사용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630)는 불필요하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다른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즉,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되고, 휴대 단말기(100)의 제1 면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전면에 제2 디스플레이부(151b)가 배치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면서도,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건너편에 위치하는 사물의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에 위치하는 물체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는 무기 박막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Thin Film Electroluminescent Display)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수동형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TFT가 필요 없기 때문에 광투과성이 충분히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능동형 매트릭스(Active Matrix) OLED처럼, TFT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조성계 산화물 반도체와 같은 투명 물질을 이용해서 TFT를 제조하는 경우, 광투광성을 충분히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OLED를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투명기판(First Transparent Substrate, 810), 제 2 투명기판(Second Transparent Substrate, 820) 및 제 1 투명기판(810)과 제 2 투명기판(8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상층(8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투명기판(810)과 제 2 투명기판(8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상층(830)을 유기셀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투명기판(810)과 제 2 투명기판(820)은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층(830)은, 양극(Anode, 831),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832), 발광층(Emmitting layer, 833),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834) 및 음극(Cathode, 8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835)과 양극(831)에 전압이 걸리게 되면, 계조 전류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음극(835)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전자수송층(834)을 통해 발광층(833)으로 이동한다.
아울러, 양극(831)으로부터 발생된 정공은 정공수송층(832)을 통해 발광층(833)으로 이동한다.
이때, 발광층(833)에서는 전자수송층(834)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정공수송층(832)으로부터 공급된 정공이 충돌하여 재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의 충돌에 의해 발광층(833)에서 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광층(833)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는 양극(831)으로 공급되는 계조 전류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발광층(833)에서 광이 발생하면, 제 1 투명기판(810) 방향으로 광이 방출될 수 있고, 또는 제 2 투명기판(820)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투명기판(810)을 통해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또는 제 2 투명기판(820)을 통해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의 경우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도 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와 투명 디스플레이인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배치 상태가 고정된 일체형 디스플레이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힌지(hinge) 등의 구조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180)의 제2 면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제1 면에 평행한 면까지 180도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b)가 펼쳐지도록 회전한 확장형 디스플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예시하고, 도 10은 휴대 단말기(100)의 제1 면에 디스플레이부(151a)가 배치되고, 제2 면에 투명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된 양면형 디스플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예시한다.
한편, 도 7에 예시된 구조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b)가 상기 휴대 단말기(180)의 제2 면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라면, 도 7, 9, 10의 세가지 배치모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도 7의 모드에서 180도 회전가능한 경우에는 도 7, 9의 두가지 배치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b)를 최소, 최대 회전 상태 사이의 임의의 각도까지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10의 배치를 기본 배치 모드로 사용하고, 상술한 순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b)의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반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도 7, 9, 10의 배치 상태에 대응할 수 있고, 화살표는 사용자가 보는 방향, 주시청면을 형상화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투명(제2) 디스플레이부(151b),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90),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력 공급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력 공급이 오프된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터치센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력 공급이 온(on)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51a)는 저전력을 소비하는 전자종이(e-Paper)일 수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이 있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표시된 화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종이는 다른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배경조명이나 지속적인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아주 적은 에너지로도 구동될 수 있어 전력 효율성이 높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힌지(1110) 등의 구조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b)가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80)의 제2 면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b)의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반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배치모드에서 도 12의 배치모드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151b)가 회전한 경우, 사용자의 주 시청면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상하 좌우가 바뀐 영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화면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반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도 4에서 예시된 내부 블록도에 투명 디스플레이부(151b)의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반전하도록 제어하는 화면 반전부(1410)가 추가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화면 반전 등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복수의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기능 블록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하는 온(on)-오프(off) 컨트롤러(440) 및/또는 화면을 반전하는 화면 반전부(1410)를 내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소정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도 11 내지 도 13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디스플레이부(151b)의 배치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S1510)
또한, 상기 배치모드는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body)의 회전도 고려할 수 있다. 모션 센서(145)에서 출력되는 값에 따라, 제어부(180)는 본체의 회전 여부 및 배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판별된 배치모드에 기초하여 화면을 상하좌우를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화면을 전환하여(S1520),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530)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의 속성을 판별하고(S1610), 상기 컨텐츠의 속성에 따라 어느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지에 관한 표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S1620) 즉, 컨텐츠 속성에 부합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표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상태, 특히 제2 디스플레이부의 배치 상태 및 사용자의 위치를 판별한다.(S1630)
사용자의 위치는 사용자가 어느 면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보는지, 즉 주시청면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를 카메라 또는 센서로 파악하여 사용자가 현재의 주시청면에서 위치를 변경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주시청면을 파악하고,(S1640) 사용자가 표시 화면을 변경하지 않아도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반전없이 영상을 볼 수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화면을 표시한다.(S165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화면을 반전시켜(S1660)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한다.(S1650)
또한, 이 경우에도 제어부(180)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 디스플레이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오프에 연동하여 대응하는 터치센서도 오프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전력 효율성을 향상시켜, 배터리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8)
-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종류의 제2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 및 대응하는 터치센서의 전력 공급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전자종이(e-Pap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컨텐츠의 종류, 상기 컨텐츠의 동영상 포함 여부, 상기 컨텐츠의 해상도 정보, 상기 컨텐츠의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2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력 공급이 온(on)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2 면까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반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력 공급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공급이 오프된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터치센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자종이(e-Pap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속성은 상기 컨텐츠의 종류, 상기 컨텐츠의 동영상 포함 여부, 상기 컨텐츠의 해상도 정보, 상기 컨텐츠의 색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력 공급이 온(on)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2 면까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표시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반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온(on)-오프(off)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6167A KR20140008845A (ko) | 2012-07-12 | 2012-07-12 | 휴대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6167A KR20140008845A (ko) | 2012-07-12 | 2012-07-12 |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8845A true KR20140008845A (ko) | 2014-01-22 |
Family
ID=5014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6167A KR20140008845A (ko) | 2012-07-12 | 2012-07-12 |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08845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01644A (zh) * | 2014-11-04 | 2015-01-21 | 成都博盛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智能电视远程关机系统 |
KR20150103484A (ko) * | 2014-03-03 | 2015-09-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17069551A1 (en) * | 2015-10-23 | 2017-04-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US10261573B2 (en) | 2014-11-21 | 2019-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
2012
- 2012-07-12 KR KR1020120076167A patent/KR201400088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3484A (ko) * | 2014-03-03 | 2015-09-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N104301644A (zh) * | 2014-11-04 | 2015-01-21 | 成都博盛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智能电视远程关机系统 |
US10261573B2 (en) | 2014-11-21 | 2019-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WO2017069551A1 (en) * | 2015-10-23 | 2017-04-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US10379593B2 (en) | 2015-10-23 | 2019-08-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2573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33099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1488391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78220B1 (ko) |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 |
KR101512768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37270B1 (ko) |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90142361A (ko) |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8948823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
KR20110004183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10045664A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JP2013545334A (ja) | ディスプレイ画面を有する装置 | |
KR20110120541A (ko) | 휴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40008845A (ko) | 휴대 단말기 | |
KR20140062709A (ko) |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1263861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100137861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JP2011170341A (ja) | 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KR2015003999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1736818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40028795A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99742B1 (ko) | 메시지 송수신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1564467B1 (ko) |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1608651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2015001018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1668242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