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40005297U - The holder of handphone - Google Patents

The holder of hand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297U
KR20140005297U KR2020130002443U KR20130002443U KR20140005297U KR 20140005297 U KR20140005297 U KR 20140005297U KR 2020130002443 U KR2020130002443 U KR 2020130002443U KR 20130002443 U KR20130002443 U KR 20130002443U KR 20140005297 U KR20140005297 U KR 201400052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pring
holders
pinion
mobile 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44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해성
Original Assignee
송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해성 filed Critical 송해성
Priority to KR2020130002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297U/en
Publication of KR20140005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97U/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양측을 잡아주는 홀더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휴대폰을 잡아주는 대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면 일측에 스위치(13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관통홀(110)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 양측으로 가이드홈(120)이 절개되어 있는 전면커버(100)와; 스프링(230)을 지지하는 걸림돌기(211)가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이 전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체결축(220)이 형성되어 있는 후면커버(200)와; 쿠션패드(320)가 구비되어 있는 압착몸체(310)의 측면으로 상단에는 내측에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슬라이드부(330)가 하단에는 래크기어(341)를 갖는 래크부(340)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1홀더(300)와; 쿠션패드(420)가 구비되어 있는 압착몸체(410)의 측면으로 상단에는 래크기어(441)를 갖는 래크부(440)를 하단에는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슬라이드부(430)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제1홀더(300)와 대향 되도록 형성되는 제2홀더(400)와; 상기 제1,2홀더(300,400)의 래크부(340,440)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기어(341,44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피니언기어(51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피니언기어(510)의 내측으로는 스프링(513)이 체결된 후 상기 후면커버(200)의 체결축(220)에 삽입되어 지도록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는 피니언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holding both sides of a cellular phone by a spring elasticity, and more specifically,
A front cover 100 in which a through hole 110 is formed in a front side of the switch 130 so as to be slidable and a guide groove 120 is cut in both sides of the front cover 100; A rear cover 200 having a seating groove 210 formed at one end of a hooking protrusion 211 for supporting the spring 230 and having a fastening shaft 2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Wow; A slide part 330 to which a spring 230 is inserted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side of a compression body 310 provided with a cushion pad 320 and a rack part 340 having a crown 341 at a lower end thereof A first holder 300 which is provided respectively; A cushion pad 4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mpression body 410 and a slide portion 4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ushion pad 420 to receive the spring 230. A second holder 400 formed to face the first holder 300; The pinion gear 510 is coupled with the rack gears 341 and 441 formed on the rack portions 340 and 440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The pinion gear 510 rotates And a pinion unit 500 having a fastening hole 511 formed therein so as to be inserted into a fastening shaft 220 of the rear cover 200 after the spring 513 is fastened .

Description

휴대폰 홀더{THE HOLDER OF HANDPHONE}{HOLDER OF HANDPHONE}

본 고안은 차량 운행 시 또는 기타 여러 가지 사정에 의해 휴대폰을 거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used for the purpose of mounting a mobile phone at the time of vehicle operation or in various other circumstances.

본 고안은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의 양측을 잡아주는 홀더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휴대폰을 잡아주는 동시에 각각의 홀더가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휴대폰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and in particular, a holder for holding both sides of the mobile phone is configured to hold the mobile phone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to move the respective holder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so as to prevent the mobile phone from being biased toward one side To a mobile phone holder.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로 대표될 수 있는 개인용 휴대폰 개인마다 보유하고 있을 만큼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In general, each personal cell phone that can be represented by a portable phone has become a necessity for every individual.

한 조사에 따르면 2000년도 국제 휴대전화 보급률은 12% 정도였으나, 2009년에는 67% 가까지 증가하였으며, 최근 보급이 시작된 스마트 폰 또한 이전 10년간의 보급 성장률을 재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According to a survey, the penetration rate of international cellular phones in 2000 was around 12%, but it increased by 67% in 2009, and smartphones, which have recently started to spread, are expected to replicate the diffusion growth of the previous decade.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뿐 아니라 차량용 내비게이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용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카메라/캠코더 등 다양한 휴대용 기기가 상용되고 있으며, 휴대용 기기를 위한 다양한 액세서리 산업 또한 함께 발전하고 있다. Various portable devices such as a car navigator, a multimedia player, a portable broadcast receiver, a digital camera / camcorder and the like are being used in addition to these portable telephones, and various accessories industries for portable devices are also developing.

특히,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홀더는 차량 운전 중, 또는 학업이나 업무 중에 휴대를 거치하는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Particularly, the holder for mounting the mobile phone is used for the purpose of carrying the mobile phone while driving the vehicle or during study or work.

그런데 휴대폰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지라도 제조자 마다 그 크기가 상이하며, 휴대폰에 맞추어 홀더를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휴대폰을 다른 모델로 교체하게 되면 홀더까지 함께 교체하여야 한다. However, even if the mobile phone provide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differ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when the mobile phone is replaced with another model, the holder must be replaced together with the mobile phone.

따라서, 휴대폰 교체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사용 가능한 상태의 홀더가 폐기 처분되는 등 자원 낭비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Therefore, unnecessary cost is incurred when the mobile phone is replaced, and a waste of resources such as a holder in a usable state is disposed.

또한, 현재의 홀더는 휴대폰을 장착 및 해제할 때 다수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물리적인 힘을 가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물리적인 힘을 가할 때 휴대폰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current holders are troublesome such as manipulating a plurality of buttons or applying physical force when attaching or releasing a mobile phone, and may cause a shock to the mobile phone when a physical force is applied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 홀더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휴대폰 홀더는 양측에 휴대폰을 잡아주는 홀더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홀더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움직이는 형태로 구성되어 진다.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holde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general mobile phone holders, a holder for holding a mobile phon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bile phone holder, and the holder is configured to move by elasticity of a spring.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휴대폰 홀더는 양측에 구비되어 지는 홀더가 서로 각각 움직이는 형태로 구성되어 지는데, 이럴 경우 어느 한쪽의 홀더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예를 들어 한쪽의 스프링에 탄성이 떨어질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홀더에 힘이 가중되고 어느 한쪽은 힘을 발생할 수 없게 된다.However, in such a general cellular phone holder, the holders provided on both sides are configured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is case, when a problem occurs in one of the holders, for example, when the elasticity of one of the holders falls, And one of them becomes unable to generate force.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휴대폰을 잡아주는 홀더의 압력이 서로 달라져 휴대폰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휴대폰 홀더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f the above-mentioned problem occurs, the pressure of the holders holding the mobile phon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causing a problem that the mobile phone tilts to one side. If the mobile phone is used for a long time, the mobile phone holder can not function Lt; / RTI >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한 것으로서, 스위치를 가볍게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홀더가 탄력적으로 이동되어 휴대폰을 탄력적으로 잡아주고 장착해제 상태에서는 유동이 저지되는 견고한 제어가 이루어지며, 양측에 구비되는 홀더가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므로 휴대폰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외장의 크기가 다른 다양한 모델의 휴대폰을 범용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it is a simple operation that a user touches a switch lightly to move the holder resiliently to hold the mobile phone flexibly, And a mobile phone holder which prevents the mobile phone from being pushed to one side and which can mount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having different sizes in a general mann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휴대폰 홀더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holder,

전면 일측에 스위치(13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관통홀(110)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 양측으로 가이드홈(120)이 절개되어 있는 전면커버(100)와; 스프링(230)을 지지하는 걸림돌기(211)가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이 전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체결축(220)이 형성되어 있는 후면커버(200)와; 쿠션패드(320)가 구비되어 있는 압착몸체(310)의 측면으로 상단에는 내측에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슬라이드부(330)가 하단에는 래크기어(341)를 갖는 래크부(340)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1홀더(300)와; 쿠션패드(420)가 구비되어 있는 압착몸체(410)의 측면으로 상단에는 래크기어(441)를 갖는 래크부(440)를 하단에는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슬라이드부(430)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제1홀더(300)와 대향 되도록 형성되는 제2홀더(400)와; 상기 제1,2홀더(300,400)의 래크부(340,440)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기어(341,44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피니언기어(51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피니언기어(510)의 내측으로는 스프링(513)이 체결된 후 상기 후면커버(200)의 체결축(220)에 삽입되어 지도록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는 피니언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ront cover 100 in which a through hole 110 is formed in a front side of the switch 130 so as to be slidable and a guide groove 120 is cut in both sides of the front cover 100; A rear cover 200 having a seating groove 210 formed at one end of a hooking protrusion 211 for supporting the spring 230 and having a fastening shaft 2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Wow; A slide part 330 to which a spring 230 is inserted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side of a compression body 310 provided with a cushion pad 320 and a rack part 340 having a crown 341 at a lower end thereof A first holder 300 which is provided respectively; A cushion pad 4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mpression body 410 and a slide portion 4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ushion pad 420 to receive the spring 230. A second holder 400 formed to face the first holder 300; The pinion gear 510 is coupled with the rack gears 341 and 441 formed on the rack portions 340 and 440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The pinion gear 510 rotates And a pinion 500 having a fastening hole 511 formed therei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haft 220 of the rear cover 200 after the spring 513 is fastened.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제공하면,By providing a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스위치를 가볍게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홀더가 탄력적으로 이동되어 휴대폰을 탄력적으로 잡아주고 이송손잡이를 이용 적은 힘으로도 홀더에서 휴대폰을 해제할 수 있으며, 휴대폰이 장착해제 상태에서는 홀더의 유동이 저지되는 견고한 제어가 이루어지며, 양측에 구비되는 홀더가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므로 휴대폰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외장의 크기가 다른 다양한 모델의 휴대폰을 범용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holder is resiliently moved by a simple operation of touching the switch lightly, and the mobile phone can be flexibly gripped and the carrying handle can be used to release the mobile phone from the holder even with a small force. The holders provided on both sides are mov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mobile phone from being pushed to one side, and the mobile phone of various models having different sizes can be universally mounted.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결합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moved outwar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removed in a state where the holder is moved outwar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removed in a state where the holder is moved inwar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view of Fig. 7,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moved outwar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moved inward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in a state of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effects,

전면 일측에 스위치(13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관통홀(110)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 양측으로 가이드홈(120)이 절개되어 있는 전면커버(100)와; 스프링(230)을 지지하는 걸림돌기(211)가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이 전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체결축(220)이 형성되어 있는 후면커버(200)와; 쿠션패드(320)가 구비되어 있는 압착몸체(310)의 측면으로 상단에는 내측에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슬라이드부(330)가 하단에는 래크기어(341)를 갖는 래크부(340)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1홀더(300)와; 쿠션패드(420)가 구비되어 있는 압착몸체(410)의 측면으로 상단에는 래크기어(441)를 갖는 래크부(440)를 하단에는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슬라이드부(430)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제1홀더(300)와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제2홀더(400)와; 상기 제1,2홀더(300,400)의 래크부(340,440)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기어(341,44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피니언기어(51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피니언기어(510)의 내측으로는 스프링(513)이 체결된 후 상기 후면커버(200)의 체결축(220)에 삽입되어 지도록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는 피니언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ront cover 100 in which a through hole 110 is formed in a front side of the switch 130 so as to be slidable and a guide groove 120 is cut in both sides of the front cover 100; A rear cover 200 having a seating groove 210 formed at one end of a hooking protrusion 211 for supporting the spring 230 and having a fastening shaft 2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Wow; A slide part 330 to which a spring 230 is inserted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side of a compression body 310 provided with a cushion pad 320 and a rack part 340 having a crown 341 at a lower end thereof A first holder 300 which is provided respectively; A cushion pad 4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mpression body 410 and a slide portion 4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ushion pad 420 to receive the spring 230. A second holder 400 formed to face the first holder 300; The pinion gear 510 is coupled with the rack gears 341 and 441 formed on the rack portions 340 and 440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The pinion gear 510 rotates And a pinion 500 having a fastening hole 511 formed therei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haft 220 of the rear cover 200 after the spring 513 is fastened.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결합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있어 홀더가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의 사용상태 사시도로,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moved outwar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moved inward FIG. 8 is a front view of FIG. 7,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moved outwar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mou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커버(100)와 상기 전면커버(100)의 저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200)와 상기 전면커버(100) 양측에 구비되는 제1,2홀더(300,400)와 상기 제1,2홀더(300,400)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피니언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over 100, a rear cover 200 covering the bottom of the front cover 100, and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cover 100. [ And a pinion unit 500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상기 전면커버(100)는 휴대폰의 저면이 안착 되는 부분으로 그 구성은 첨부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 중앙 부분에 관통홀(110)이 천공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120)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As shown in FIG. 3, the front cover 100 is a part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mobile phone is seated. A through hole 1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00, an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120 Is formed,

여기서 상기 관통홀(110)에는 스위치(130)가 슬리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지고, 상기 가이드홈(120)으로는 후술하는 제1,2홀더(300,400)의 슬라이드부(330,430) 및 래크부(340,44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진다.
The switch 13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0. The guide groove 120 includes slide portions 330 and 430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nd latch portions 340 and 440 Are slidably inserted.

상기 전면커버(100)의 저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200)는 첨부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걸림돌기(211)가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이 전면 상·하 양단에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상기 전면커버(100)의 관통홀(110)과 일치하는 부분에 체결축(2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As shown in FIG. 4, the rear cover 200 cover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cover 100 has a seating groove 210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 locking protrusion 211 formed thereon, And a fastening shaft 220 is formed at a center of the front cover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0 of the front cover 100,

상기 안착홈(210)에는 스프링(230)이 안착되고 스프링(230)의 일측을 걸림돌기(211)가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여 후술하는 제1.2홀더(300,400)가 상기 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이송하면서 휴대폰을 잡아주게 되며, 상기 체결축(220)에는 후술하는 피니언부(500)가 삽입되어 진다.
The spring 23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10 and the latch holder 211 supports one side of the spring 230 so that a later-described 1.2 holder 300 or 400 is supported on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230 And the pinion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haft 220.

상기 제1홀더(300)는 휴대폰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폰의 측면을 잡아주는 압착몸체(310)에 쿠션패드(3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압착몸체(310)의 내측면으로 상단에는 슬라이드부(330)가 하단에는 래크부(3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holder 300 serves to hold a cellular phone. As shown in the figure, a cushion pad 320 is provided on a squeezing body 310 for holding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The squeezing body 310 , And a slide part (330) is formed on an upper end and a rack part (340) is formed on a lower end, respectively.

상기 슬라이드부(330)는 내측에 상기 후면커버(200)의 안착홈(210)에 안착 되어 있는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23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330)가 이송하면서 결과적으로 제1홀더(300)가 스프링(230)의 탄성력을 받아 이송하게 된다.A spring 230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10 of the rear cover 200 is inserted into the slide portion 330 and the slide portion 330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30. [ As a result, the first holder 300 receiv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30 and transfers the same.

한편, 상기 래크부(340)는 일측에 래크기어(341)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래크기어(341)의 끝단부에는 래크기어(341)의 절반 정도가 절개된 상태의 절개홈(3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피니언부(500)의 제어판(512)이 상기 절개홈(342)에 위치하게 되면 래크부(340)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the meantime, the rack portion 340 is formed with a male screw 341 at one side thereof. The male screw 341 has a cut-in groove (not shown) 342 serv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ack unit 340 when the control plate 512 of the pinion unit 500 described below is positioned in the cutout groove 342. [

상기 피니언부(500)는 첨부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513)이 체결되는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고, 외측으로 피니언기어(5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기어(510) 저면으로는 제어판(5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a pinion gear 51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inion gear 500, and a pinion gear 510 is formed on the pinion gear 510, And a control panel 51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여기서, 상기 체결공(511)은 내주면 외측으로 스프링(513)이 체결되며 상기 스프링(513)의 내측으로 후면커버(200)의 체결축(220)에 삽입되어 지고, 상기 피니언기어(510)는 제1,2홀더(300,400)의 래크부(340,440)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기어(341,441)와 치합되어 회동 되며, 상기 제어판(512)은 피니언기어(510)의 저면을 커버하는 형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크기어(341,441)의 절개홈(342,442)에 안착 되면 피니언기어(510)와 래크기어(342,442)의 치합을 해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피니언기어(510)와 래크기어(341,441)가 서로 치합되지 않아 래크기어(341,441)가 이송하는 것을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제1,2홀더(300,400)의 이송을 제어하는 역학을 하게 된다.
A spring 513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hole 511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shaft 220 of the rear cover 200 to the inside of the spring 513. The pinion gear 510 The control plate 512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s 341 and 441 formed on the rack portions 340 and 440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nd the control plate 512 is provided to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pinion gear 510 When the pinion gear 510 and the pinion gears 341 and 441 are seated in the cutout grooves 342 and 442 of the return gears 341 and 441, the pinion gear 510 and the pinion gears 341 and 441,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re prevented from being fed, thereby controlling the transfer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한편, 상기 제1홀더(300) 또는 제2홀더(400) 중 어느 한곳의 슬라이드부(330,430) 일측면에 이송손잡이(450)를 구비하여, 제1,2홀더(300,400)를 상기 전면커버(100)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1,2홀더(300,400)가 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전면커버(100)의 내측으로 이동해 휴대폰을 잡아주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을 분리하기 위해 제1,2홀더(300,400)를 전면커버(100)의 외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이송손잡이(450)를 이용해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lide part 330 or 430 of the first holder 300 or the second holder 400,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re mov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100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230 to separate the mobile phone in a state of holding the mobile phone.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need to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00.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re transported using the transport handle 450.

이때, 상기 1홀더(300) 또는 제2홀더(400) 중 어느 한곳에만 이송손잡이(450)를 구비하여도 제1홀더(300)와 제2홀더(400)가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동시에 전면커버(10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holder 300 and the second holder 400 interlock with each other even if the transfer handle 450 is provided only in one of the first holder 300 and the second holder 400, And moves to the outside of the cover 100.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홀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고안에 휴대폰이 거치 되지 않은 상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의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로 이때 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의 내측으로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제어하기 하는 것이 피니언부(500)의 제어판(512)으로 이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래크부(340,440)의 래크기어(341,441)도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래크기어(341,441)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홈(342,442)에 피니언부(500)가 위치하게 되고 피니언부(500)에 구비되는 스프링(513)의 탄성에 의해 피니언부(500)가 상승하면서 피니언부(500)의 제어판(512)이 상기 절개홈(342,442)에 위치하게 된다.8,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r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00. At this tim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230, A force for returning the two holders 300 and 400 to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100 is generated. It is the control plate 512 of the pinion unit 500 tha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The rack teeth 341 and 441 of the rack portions 340 and 440 are moved outward so that the cutting grooves 342 and 442 formed in the rack teeth 341 and 441 are provided with pinions The control unit 512 of the pinion unit 500 is moved to the cutout grooves 342 and 442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513 provided on the pinion unit 500, .

상기와 같이 피니언부(500)의 제어판(512)이 절개홈(342,442)에 위치하게 되면 래크부(340,440)의 래크기어(341,441)와 피니언부(500)의 제어판(512)이 맞물리는 형태가 되는데, 상기 제어판(512)은 기어로 형성된 것이 아닌 일반적인 원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래크기어(341,441)와 치합되지 않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피니언기어(510)가 래크기어(341,44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When the control plate 512 of the pinion unit 500 is positioned in the cutout grooves 342 and 442 as described above, the rack gears 341 and 441 of the rack units 340 and 440 and the control plate 512 of the pinion unit 500 are engaged Since the control plate 512 is formed in the form of a general disc rather than a gear, the control plate 512 is not engaged with the gear teeth 341 and 441. As a result, the pinion gear 51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gear teeth 341 and 441, So that rotation of the teeth is controlled.

상기와 같이 제어판(512)에 의해 래크기어(341,441)의 이송을 차단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1,2홀더(300,400)가 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어판(512)에 의해 래크기어(341,441)의 이송이 차단되어 제1,2홀더(300,400)가 내측으로 이송하지 않고 전면커버(100)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어 지는데, 이는 첨부한 도 2,4,5,8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re forced to return to the insid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230,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r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00 without being transferred to the inside by interrupting the feeding of the rack gears 341 and 441 by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512 and 512, , 4, 5, and 8,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도 11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거치하고자 할 때는 휴대폰을 전면커버(100)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130)를 누르면서 전면커버(100)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 내측으로 이송하면서 휴대폰의 측면을 잡아주어 휴대폰을 본 고안에 거치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 상태는 다음과 같다.
When the user holds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cover 100 and the user wishes to store the cellular phon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re automatic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100 to hold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se operating states are as follows.

우선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것으로 이때는 스위치(130)가 전면커버(100)에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스위치(130)가 피니언부(500)와 연동하여 이송하기 때문에 상기 피니언부(500)가 스프링(513)에 의해 이송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130) 또한, 전면커버(100)에서 돌출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r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00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witch 130 is protruded from the front cover 100, Since the switch 130 is interlocked with the pinion unit 500 and the pinion unit 500 is transferred by the spring 513, the switch 130 also protrudes from the front cover 100 .

상기와 같이 돌출된 스위치(130)를 휴대폰의 저면으로 누르게 되면 첨부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치(130)가 밀리면서 피니언부(500) 또한 이송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부(500)에 형성되어 있는 제어판(512)이 래크기어(341,441)의 절개홈(342,442)에서 이탈하게 된다.9, when the switch 130 protruded as described above is pus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ellular phone, the switch 130 is pushed and the pinion unit 500 is also transferred, and the pinion unit 500 is formed in the pinion unit 500 The control plate 512 is disengaged from the cutting grooves 342 and 442 of the raising teeth 341 and 441.

상기와 같이 제어판(512)이 절개홈(342,442)에서 이탈하면 자연적으로 피니언기어(510)와 래크기어(341,441)가 치합되어 지고, 제1,2홀더(300,400)를 내측으로 복귀시키려는 스프링(230)의 탄성을 제어하는 힘이 없어지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휴대폰의 측면을 잡아주게 된다.
When the control plate 512 is disengaged from the cutout grooves 342 and 442 as described above, the pinion gear 510 and the rack gears 341 and 441 are natural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spring (not shown) for returning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to the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move to the inside of the front cover 100 to hold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상기와 같이 휴대폰을 본 고안에 거치하여 사용한 후 휴대폰을 분리하고자할 경우 제1홀더(300) 또는 제2홀더(400)에 구비되어 있는 이송손잡이(450)를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밀게 되면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한 후 휴대폰을 본 고안에서 분리하면 되는 것이다. When the mobile phone is to be detached after using the mobile phone as described above and the mobile phone is to be detached, if the transfer handle 450 provided in the first holder 300 or the second holder 400 is pushed to a certain degree of pressure, , The two holders 300 and 400 ar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00, and then the mobile phone is separat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물론 이송손잡이(450)를 이용해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판(512)이 래크기어(341,441)를 제어하여 제1,2홀더(300,400)가 전면커버(10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move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00 using the conveyance handle 45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panel 512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bearings 341 and 441, 2 holders 300 and 400 ar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00. [

100; 전면커버 110; 관통홀
120; 가이드홈 130; 스위치
200; 후면커버 210; 안착홈
211; 걸림돌기 220; 체결축
230; 스프링 300; 제1홀더
400; 제2홀더 310,410; 압착몸체
320,420; 쿠션패드 330,430; 슬라이드부
340,440; 래크부 341,441; 래크기어
342,442; 절개홈 450; 이송손잡이
500; 피니언부 510; 피니언기어
511; 체결공 512; 제어판
513; 스프링
100; A front cover 110; Through hole
120; Guide grooves 130; switch
200; A rear cover 210; Seat groove
211; A locking protrusion 220; Fastening shaft
230; Spring 300; The first holder
400; A second holder 310, 410; Squeeze body
320, 420; Cushion pads 330, 430; Slide portion
340,440; A rack portion 341, 441; Ra-size words
342,442; An incision groove 450; Transfer handle
500; Pinion portion 510; Pinion gear
511; Fastening holes 512; control panel
513; spring

Claims (3)

전면 일측에 스위치(13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관통홀(110)이 천공되어 있고 측면 양측으로 가이드홈(120)이 절개되어 있는 전면커버(100)와;
스프링(230)을 지지하는 걸림돌기(211)가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이 전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고, 전면 중앙에는 체결축(220)이 형성되어 있는 후면커버(200)와;
쿠션패드(320)가 구비되어 있는 압착몸체(310)의 측면으로 상단에는 내측에 상기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슬라이드부(330)가 하단에는 래크기어(341)를 갖는 래크부(340)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1홀더(300)와;
쿠션패드(420)가 구비되어 있는 압착몸체(410)의 측면으로 상단에는 래크기어(441)를 갖는 래크부(440)를 하단에는 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슬라이드부(430)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제1홀더(300)와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제2홀더(400)와;
상기 제1,2홀더(300,400)의 래크부(340,440)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기어(341,441)와 치합되어 회동하는 피니언기어(51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피니언기어(510)의 내측으로는 스프링(513)이 체결된 후 상기 후면커버(200)의 체결축(220)에 삽입되어 지도록 체결공(511)이 천공되어 있는 피니언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홀더.
A front cover 100 in which a through hole 110 is formed in a front side of the switch 130 so as to be slidable and a guide groove 120 is cut in both sides of the front cover 100;
A rear cover 200 having a seating groove 210 formed at one end of a hooking protrusion 211 for supporting the spring 230 and having a fastening shaft 22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Wow;
A sliding part 330 to which the spring 230 is inserted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body 310 provided with the cushion pad 320 and a rack part 340 having a rack- A first holder 300 and a second holder 300, respectively.
A cushion pad 4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mpression body 410 and a slide portion 4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ushion pad 420 to receive the spring 230. A second holder 400 formed to face the first holder 300;
The pinion gear 510 is coupled with the rack gears 341 and 441 formed on the rack portions 340 and 440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The pinion gear 510 rotates And a pinion part (500) having a fastening hole (511) formed therei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haft (220) of the rear cover (200) after the spring (513) is fasten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홀더(300,400)의 래크부(340,440)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기어(341,441)의 끝단부에 절개홈(342,442)을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부(500)의 피니언기어(510) 하단부에는 제어판(512)을 구비하여, 상기 피니언부(500)가 제1,2홀더(300,400)의 래크부(340,440)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1,2홀더(300,400)가 스프링(230)에 의해 복귀하려는 움직임을 피니언부(500)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nion gear 510 of the pinion unit 500 is provided with cutting grooves 342 and 442 at the ends of the rack gears 341 and 441 formed in the rack portions 340 and 440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nd a control panel 512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nion 500 so that the pinion 50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ack portions 340 and 440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nd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are rotated by the spring 230 ) To the pinion unit (5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300) 또는 제2홀더(400) 중 어느 한곳의 슬라이드부(330,430) 일측면에 이송손잡이(450)를 구비하여, 제1,2홀더(300,400)를 상기 전면커버(100)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300 and 4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lide part 330 or 430 of the first holder 300 or the second holder 400, The mobile phone holder being configured to facilitate movement in an outward direction.
KR2020130002443U 2013-04-02 2013-04-02 The holder of handphone Abandoned KR2014000529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43U KR20140005297U (en) 2013-04-02 2013-04-02 The holder of hand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43U KR20140005297U (en) 2013-04-02 2013-04-02 The holder of hand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97U true KR20140005297U (en) 2014-10-13

Family

ID=5245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443U Abandoned KR20140005297U (en) 2013-04-02 2013-04-02 The holder of hand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297U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4393A (en) * 2015-05-08 2016-11-16 金世汉 Portable terminal shelving unit
KR101680352B1 (en) * 2016-08-05 2016-12-06 (주)로보와이즈 Smart equipment holder for using block
WO2017099288A1 (en) * 2015-12-10 2017-06-15 김혁 Device gripper
CN107208837A (en) * 2015-07-02 2017-09-2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Clamp structure and the moveable platform with the clamp structure
CN108418932A (en) * 2018-04-26 2018-08-17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mobile phone support device
KR20180092552A (en) 2017-02-10 2018-08-20 장현진 Two mounts are combined together to rotate the attached device to the desired angle
CN108551511A (en) * 2018-06-12 2018-09-18 重庆金茂联合电子有限公司 Mobile phone component welding detection device
CN108953955A (en) * 2017-05-18 2018-12-07 桂林智神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two-stage mobile phone fixture of rotation adjusting and width adjusting
EP3366972A4 (en) * 2016-04-06 2019-01-09 Autel Robotics Co., Ltd. HOLDING DEVICE AND PANORAMIC-INCLINATION-ZOOM (PTZ) MECHANISM OF AERIAL VEHICLE WITHOUT PILOT
KR101933613B1 (en) * 2017-10-16 2019-04-10 주식회사 볼텀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KR20190109001A (en)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Portable height measuring device using laser and method thereof
KR102308163B1 (en) * 2021-02-18 2021-10-05 정인기 Holder
CN116442913A (en) * 2023-03-22 2023-07-18 泉州市远拓电子有限公司 Special vehicle intelligent interphone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4393A (en) * 2015-05-08 2016-11-16 金世汉 Portable terminal shelving unit
CN107208837A (en) * 2015-07-02 2017-09-2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Clamp structure and the moveable platform with the clamp structure
CN107208837B (en) * 2015-07-02 2019-05-03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Clamp structure and moveable platform with the clamp structure
WO2017099288A1 (en) * 2015-12-10 2017-06-15 김혁 Device gripper
EP3366972A4 (en) * 2016-04-06 2019-01-09 Autel Robotics Co., Ltd. HOLDING DEVICE AND PANORAMIC-INCLINATION-ZOOM (PTZ) MECHANISM OF AERIAL VEHICLE WITHOUT PILOT
US10550991B2 (en) 2016-04-06 2020-02-04 Autel Robotics Co., Ltd. Clamping apparatus and unmanned aerial vehicle gimbal
KR101680352B1 (en) * 2016-08-05 2016-12-06 (주)로보와이즈 Smart equipment holder for using block
WO2018026107A1 (en) * 2016-08-05 2018-02-08 (주)로보와이즈 Customizable smart device holder of block assembly type
KR20180092552A (en) 2017-02-10 2018-08-20 장현진 Two mounts are combined together to rotate the attached device to the desired angle
CN108953955A (en) * 2017-05-18 2018-12-07 桂林智神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two-stage mobile phone fixture of rotation adjusting and width adjusting
CN108953955B (en) * 2017-05-18 2024-03-12 桂林智神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Two-stage mobile phone clamp with rotation adjustment and width adjustment
KR101933613B1 (en) * 2017-10-16 2019-04-10 주식회사 볼텀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KR20190109001A (en)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Portable height measuring device using laser and method thereof
CN108418932A (en) * 2018-04-26 2018-08-17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mobile phone support device
CN108418932B (en) * 2018-04-26 2024-05-28 深圳市智高翔科技发展有限公司 Mobile phone supporting device
CN108551511A (en) * 2018-06-12 2018-09-18 重庆金茂联合电子有限公司 Mobile phone component welding detection device
KR102308163B1 (en) * 2021-02-18 2021-10-05 정인기 Holder
CN116442913A (en) * 2023-03-22 2023-07-18 泉州市远拓电子有限公司 Special vehicle intelligent inter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5297U (en) The holder of handphone
US20170327054A1 (en) Multifunctional stand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101542196B1 (en) Cradle of the portable device
US9651069B2 (en) Mount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KR101426915B1 (en) A portable terminal cradle for vehicles use
US20140187289A1 (en) Modular Component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Device
JP5470093B2 (en) Holding device
KR20120106237A (en) Holder for portable device
KR20140019665A (en) Hands-free cradle for cellular phone
CN102026510A (en) Electronic device and support thereof
CN104653991A (en) Fixedly holding device
KR20160001328A (en)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JP2019091985A (en) Portable terminal holder
KR101219760B1 (en) Fixing device for portable instrument
KR101572610B1 (en) Strut for mobile device
US20150208810A1 (en) Foldable chair having portable telephone holder
US20160272125A1 (en) Supporting Device
KR101753520B1 (en) A smartphone cradle
KR20120006616U (en) Placer for mobile units on straps
KR102741750B1 (en) Grip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146466A (en) Sheet typed deposit unit for cell phone
KR101546941B1 (en) Portable holder for mobile phone
KR101673875B1 (en) Car cupholder with smart device support
KR200439553Y1 (en) Portable terminal vehicle holder
KR101904174B1 (en) One touch type supporting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4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