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794A -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23794A KR20130123794A KR1020120047186A KR20120047186A KR20130123794A KR 20130123794 A KR20130123794 A KR 20130123794A KR 1020120047186 A KR1020120047186 A KR 1020120047186A KR 20120047186 A KR20120047186 A KR 20120047186A KR 20130123794 A KR20130123794 A KR 201301237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screen
- memo
- module
- area
- cont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2—Procedur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가 접촉 또는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가 접촉 또는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메모 영역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이 사용자의 경험(user experience)과 관련된 직관에 가까운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직관에 부합하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공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의 대부분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근자의 인터페이스 방법 연구의 목표로 설정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구비된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 사항을 표시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핸드 라이팅(hand writing)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종래의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은 입력 및 표시를 수행하는 영역과, 색 변경, 강조 표시 등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툴(tool) 영역을 가진다. 종래의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은 입력 및 표시 영역과 툴 영역을 동시에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풀 스크린(full-screen)으로 메모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풀 스크린으로 메모를 가능하게 하는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가 접촉 또는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가 접촉 또는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메모 영역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툴 영역이 표시되지 않는 풀 스크린으로 메모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툴 영역이 자동으로 표시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별다른 툴 영역 호출 동작 없이 용이하게 툴 영역의 각종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창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의 개념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의 개념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본원 발명에 의한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실행시키고,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한 렌더링 결과물을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 중 하나, 또는 양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사이의 간격이 제1 하우징(100a)의 가로 길이(예, 간격(D1)에 직교)보다 작은 경우,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각각 장치(100)의 표면 및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162)는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의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에 대한 터치의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 또는 장치(100)의 동작(예, 장치(100)의 회전,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 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터치장치(예, 스타일러스 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한 터치장치와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한 터치장치와의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은 툴 영역(210) 및 메모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툴 영역(210)은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하는 각종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툴 영역(210)은 메모 영역에 표시된 글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툴 영역(210)은 메모 영역에 표시되는 메모의 색 또는 선 굵기를 변경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툴 영역(210)은 표시된 메모를 삭제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툴 영역(210)은 메모의 표시나 메모의 삭제 등의 바로 이전 단계의 행위를 취소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툴 영역(210)은 표시된 메모를 저장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툴 영역(210)의 다양한 아이콘을 터치하여 실시, 활성화, 비활성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메모 영역(220)에 대하여 소정의 메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모 영역(220)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190)의 제1지점으로부터 제2지점으로의 드래그 모션을 입력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190)은 제1지점으로부터 제2지점으로 연장되는 선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모 영역(220)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190)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드래그 모션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상기 동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판단하여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사용자가 메모 영역(220)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접촉 또는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 대응하는 화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접촉 또는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터치스크린(190)에는 툴 영역(210) 및 메모 영역(22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1)을 터치스크린(190) 상에 접촉 또는 근접시키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190)에는 툴 영역(210)이 표시되지 않으면서, 기존의 툴 영역(210)이 표시된 영역까지 메모 영역(220)이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90) 전체에 메모 영역(220)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접촉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이 C 타입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190)의 정전 용량 변경에 기초하여 손가락이 접촉 또는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110)는 정전 용량 변경량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손가락이 접촉 또는 접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1)은 예를 들어 EMR(electromganetic resonance) 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1)으로부터 수신되는 공진 신호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스타일러스 펜(1)이 접촉 또는 접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술한 바에 따라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또는 접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툴 영역(210) 및 메모 영역(220)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0)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메모 영역(220)만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110)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초과하면, 툴 영역(210) 및 메모 영역(220)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는 단순한 실시 예이며, 당업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또는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을 용이하게 변경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과정의 역 과정이다. 즉, 사용자는 메모가 종료되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1)을 메모 영역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툴 영역(210) 및 메모 영역(220)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0)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메모 영역(220)만이 표시되도록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90) 상에는, 메모 영역(220)만이 도시되다가, 툴 영역(210) 및 메모 영역(220)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는 메모를 수행하는 경우에 풀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은 메모 영역(220)만이 표시된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 메모 영역(220)의 일 지점에 툴 영역 호출 아이콘(3)을 더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툴 영역 호출 아이콘(3)을 지정하여 툴 영역(210)을 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툴 영역 호출 아이콘(3)을 지정하여 툴 영역(210)을 호출한 경우에는,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상이하게 입력이 존재하지 않아도 툴 영역(210)이 계속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툴 영역 호출 아이콘(3)의 지정에 따라서 툴 영역(210)이 표시된 경우에는, 툴 영역(210)의 표시가 고정(lock)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툴 영역(210)을 빈번하게 이용하는 경우에 툴 영역(210)이 사라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툴 영역 해제 아이콘(4)를 지정하여 툴 영역(210)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툴 영역 해제 아이콘(4)이 지정된 경우에는, 툴 영역(210)이 표시되지 않으면서 전체 터치스크린(190) 상에 메모 영역(220)만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3a 및 3b에 따른 실시 예는 자동으로 툴 영역(210)이 표시 또는 비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자동 모드라 명명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따른 실시 예는 수동으로 툴 영역(210)의 표시 또는 비표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수동 모드라 명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구동 시에는, 메모 영역(220)만이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초기 구동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메모 영역(220)과 더불어 툴 영역(21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시간은 조정이 가능할 수 있으며, 툴 영역(210)이 메모 영역(220)이 표시된 부분을 밀어내고 등장하는 형식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래픽 화면 갱신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
-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가 접촉 또는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손가락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가 접촉 또는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메모 영역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7186A KR20130123794A (ko) | 2012-05-03 | 2012-05-03 |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7186A KR20130123794A (ko) | 2012-05-03 | 2012-05-03 |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3794A true KR20130123794A (ko) | 2013-11-13 |
Family
ID=4985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7186A KR20130123794A (ko) | 2012-05-03 | 2012-05-03 |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2379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6052A (ko) | 2017-02-20 | 2018-08-29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폰용 실시간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방법 |
US10310866B2 (en) | 2015-08-12 | 2019-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
-
2012
- 2012-05-03 KR KR1020120047186A patent/KR2013012379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10866B2 (en) | 2015-08-12 | 2019-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
US11614948B2 (en) | 2015-08-12 | 2023-03-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 memo application in response to detachment of a stylus |
KR20180096052A (ko) | 2017-02-20 | 2018-08-29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폰용 실시간 메모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9521B1 (ko) |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EP275306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out image using image recognition | |
KR102113683B1 (ko) | 문지르기 제스처를 검출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064836B1 (ko) | 모바일 장치에서의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 |
KR102097452B1 (ko) |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9967386B2 (en) | Mobile device connected with externa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072509B1 (ko) | 그룹 리코딩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 |
US2018032959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 |
KR102145577B1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 |
US20150012855A1 (en) |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combined ui compon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2014033776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 |
KR102186815B1 (ko) |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 |
CN104035710B (zh) | 具有在对象上的预执行的功能的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 |
KR20140110646A (ko) |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화면 표시 방법 | |
KR20130123794A (ko) | 메모용 어플리케이션 | |
KR20150026110A (ko) |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 |
KR2014011709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482630B1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102278676B1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102187856B1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102239019B1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20140076395A (ko) |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40089869A (ko) |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