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30115484A -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484A
KR20130115484A KR1020120037797A KR20120037797A KR20130115484A KR 20130115484 A KR20130115484 A KR 20130115484A KR 1020120037797 A KR1020120037797 A KR 1020120037797A KR 20120037797 A KR20120037797 A KR 20120037797A KR 20130115484 A KR20130115484 A KR 2013011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data
terminal
student
on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만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3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484A/ko
Priority to PCT/KR2013/001623 priority patent/WO2013154267A1/ko
Publication of KR2013011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48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강의 교재에 대해 강사 단말에서 발생된 강의 내용을 전달하여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강의 내용을 동기화 정보로 기록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강의 교재 데이터를 등록받는 강의 교재 등록부; 강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하여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의 내용을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강사 및 학생의 상호간에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진행부;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에서 발생된 강의 내용의 데이터를 시간과 동기화하여 기록하는 동기화 정보 기록부;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강의 교재 데이터 및 기록된 동기화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강의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의 교재에 대해 시간 동기화되는 강의 내용을 음성 또는 화면 출력하여 소용량의 데이터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System for providing lecture contents using lecture data synchronized with teaching materials}
본 발명은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의 교재에 대해 발생된 음성 및 필기의 강의 데이터를 동기화 정보로 기록하여 제공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강의 컨텐츠는 실시간 방송 컨텐츠로 제작되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로 미리 제작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온라인 강의 컨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 및 스피커로 출력한다.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0446073은 동영상을 이용한 원격 강의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상기 등록 특허는 동영상 파일, 강의 설명 파일, 스크립트 파일을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서버로 강의 제공을 요청하면,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미디어 파일을 대응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한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서버측은 미디어 파일을 제작하기 위해 동영상 촬영 장치, 인코딩 장치, 멀티미디어 제작 장치 및 스트리밍 서버의 구축 비용 등이 필요하여 많은 소요 비용이 든다. 학습자는 강사가 강의한 동영상이 포함된 미디어 파일을 서버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받아 혼자 학습하여 학습 효과가 낮았다. 복수개 파일들이 하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통합되어 미디어 파일로 제작됨에 따라 파일 크기가 대용량이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강의를 요청할 경우 대용량 파일에 대한 통신 트래픽의 증가로 원활한 파일 제공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강사와 학생들간의 쌍방향 온라인 강의 중에 교재 데이터에 대해 음성 및 필기로 설명된 강의 내용을 동기화 정보로 기록하여 강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의 내용의 동기화 정보를 공유 데이터와 개인 데이터로 구분하여 기록하여 공유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출력할 때 개인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해당 사용자 단말에서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강사 단말의 음성 및 화면 데이터를 온라인 접속된 학생 단말로 전송하여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진행된 온라인 강의의 내용을 기록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강사 단말로부터 강의 교재 데이터를 등록받는 강의 교재 등록부; 온라인 강의가 개시되면, 강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하여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의 내용을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강사 및 학생의 상호간에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진행부; 상기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에서 발생된 상기 강의 내용의 데이터를 시간과 동기화하여 기록하는 동기화 정보 기록부;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 및 기록된 동기화 정보를 강의 컨텐츠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강의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이벤트는, 강사 단말의 키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에 의해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 이벤트로서, 학생 단말은 강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학생 단말에서 강사 단말과 동일하게 강의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강의 진행부는, 온라인 강의 중인 강사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 내용을 수신하는 강사 데이터 수신부; 온라인 강의에 접속 중인 각각의 학생 단말로부터 학생의 음성 데이터와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의 내용을 수신하는 학생 데이터 수신부; 강사 단말 또는 학생 단말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강의 내용으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여 접속 중인 타 단말로 제공하는 음성 제공부; 및 상기 강의 내용으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접속 중인 타 단말로 제공하는 화면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강의 서버는, 수신된 강의 내용에 대하여 전체 사용자들에게 공유되는 공유 데이터인지 또는 개인만 이용하는 개인 데이터인지 구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공유 데이터의 식별자일 경우에 타 단말로 강의 내용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강의 내용의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로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XML 데이터는 사용자 아이디, 교재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표시 정보, 공유 데이터와 개인 데이터를 구분하는 식별자, 필기 위치, 필기 내용, 필기 내용의 크기, 펜의 색깔 및 두께, 참조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 정보 기록부는, 음성 데이터가 기록된 음성 파일;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가 기록된 XML 데이터; 및 상기 음성 파일의 시간 정보와 동기화되며 특정 시간에 대응하여 화면 표시될 상기 XML 데이터의 참조 정보가 기록된 시간 스탬프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를 기록한다.
더 나아가, 상기 학생 단말은, 강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동기화 정보를 실행하면, 학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음성 파일을 재생하고, 상기 시간 스탬프 정보를 참조하여 시간 동기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 이벤트를 이용하여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기 내용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학생 단말은, 상기 동기화 정보에 의해 공유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음성 및 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당해 학생에 의해 입력된 개인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상기 학생 단말에만 병행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강사 단말의 음성 및 화면 데이터를 온라인 접속된 학생 단말로 전송하여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진행된 온라인 강의의 내용을 기록하는 강의 서버가 하기의 단계들을 실행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강사 단말로부터 강의 교재 데이터를 등록받는 강의 교재 등록 단계; (b)온라인 강의가 개시되면, 강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하여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의 내용을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강사 및 학생의 상호간에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진행 단계; (c)상기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에서 발생된 상기 강의 내용의 데이터를 시간과 동기화하여 기록하는 동기화 정보 기록 단계; 및 (d)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 및 기록된 동기화 정보를 강의 컨텐츠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의 교재에 대해 시간으로 동기되는 음성 및 필기 데이터를 동기화 정보로 기록하여 제공함으로써 소용량의 강의 컨텐츠 파일에 의해 통신 시간이 빠르고 통신 트래픽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강의 내용을 전체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공유 데이터 및 당해 입력자에게만 출력되는 개인 데이터로 구분하여 기록함으로써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재수강시 공유 데이터의 강의 내용이 출력되면서 입력자의 단말에만 출력되는 개인 데이터를 통해 개인화된 학습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서버가 기록하여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서버가 기록하는 동기화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학생 단말이 온라인 강의를 실시간으로 수강하는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학생 단말이 온라인 강의의 종료 후 강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강사 단말(3)과 학생 단말(4)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고, 온라인 강의 중에 강의 교재에 동기화되는 강의 컨텐츠를 기록하여 제공하는 강의 서버(2), 상기 강의 교재에 대해 동기되는 동기화 정보를 강의 서버(2)로 전송하는 강사 단말(3) 및 강의 서버(2)로부터 상기 강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학생 단말(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강의 서버(2)는 홈 페이지(200)에 접속된 강사 단말(3) 및 적어도 하나의 학생 단말(4)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강의 서비스는 강의 서버(2)가 강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강의 교재를 기준으로 하여 강의 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강사 및 학생의 음성 또는 화면의 입력 데이터를 상호간에 쌍방향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강의 서버(2)는 온라인 강의 중에 강의 교재에 대해 발생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동기화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강사 단말(3)은 어플리케이션(300)을 설치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을 실행하여 온라인 강의를 개시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은 온라인 강의 과정에서 강사 단말(3)에서 입력되는 음성 및 화면 데이터를 강의 서버(2)를 통해 학생 단말(4)로 전송하고, 학생 단말(4)에서 입력되는 음성 및 화면 데이터를 강의 서버(2)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한다.
상기 학생 단말(4)은 어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하여 강의 서버(2)를 통해 강사 단말(3)에서 실시간 진행되는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은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상기 온라인 강의에서 진행되었던 설명 내용의 강의 컨텐츠를 동기화 정보로 수신하면, 강의 교재에 대해 수신된 상기 동기화 정보가 반영되어 온라인 강의를 재수강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강사 단말(3) 및 학생 단말(4)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300, 400)이 실행되어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강의 서버(2)와 통신하는 컴퓨터 단말 및 스마트 단말(예 : 스마트 패드 및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 무선 네트워크는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망, 인터넷과 같은 유, 무선 공중망이나 전용망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포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서버(2)가 기록하여 제공하는 동기화 정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동기화 정보는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3)에서 강의 교재에 대해 발생된 강의 내용의 산출물이다. 상기 동기화 정보는 강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강의 교재에 대해 발생된 강사와 학생의 음성 및 화면 입력 정보(예 : 메모, 필기, 이미지, DB 참조 정보 등)를 말한다.
상기 강의 서버(2)는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3)로부터 수신되는 강사 단말(2)의 음성 및 화면의 입력 데이터를 동기화 정보로 기록한다. 그리고 강의 서버(2)는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을 받고 기록된 동기화 정보를 강의 컨텐츠 정보로 제공한다. 물론, 동기화 정보가 강사 단말(3) 또는 학생 단말(4)에서 실행되면, 상기 강의 교재에 대해 시간 동기화되어 음성 및 화면 정보가 출력된다.
먼저, 강사 단말(3)에 의해 입력된 음성 및 화면의 데이터가 온라인 강의 중에 학생 단말(4)로 실시간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강의 서버(2)는 온라인 강의가 개시되면 강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강의 교재에 대해 강사가 입력한 음성 및 화면 데이터를 수신하여 학생 단말(4)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강사 단말(3) 및 학생 단말(4)이 각각 동일한 강의 교재를 화면에 업로드한 상태에서, 강사 단말(3)이 강사로부터 강의 교재에 대해 입력받은 음성, 메모, 필기 등의 설명 데이터는 강의 서버(2)를 통해 온라인 강의에 접속 중인 전체 학생 단말(4)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학생 단말(4)에서 대응하는 음성 또는 화면 정보로 출력된다. 따라서, 강사 단말(3)에서 온라인 강의 중에 실시간으로 발생된 음성 및 화면 출력의 효과는 당해 접속된 전체 학생 단말(4)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여기서, 온라인 강의의 진행 중에 강의 서버(2)는 강사 단말(3)에서 발생된 음성과 화면 데이터를 동기화 정보로 기록한다. 이때, 기록되는 상기 동기화 정보는 공유 데이터와 개인 데이터로 구분된다. 공유 데이터에 해당하는 동기화 정보는 강사와 전체 학생들을 상대로 공유된다. 예를 들어, 강사 단말(3)에서 강사가 설명 내용을 공유 데이터로 설정하여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는 전체 학생 단말(4)로 전송된다. 또한, 강사가 강의의 오류나 메모 등을 개인 데이터로 설정하여 입력하면, 당해 개인 데이터는 강사 단말(3)에서만 출력되고 전체 학생 단말(4)로 전송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학생 단말(4)에 의해 입력된 음성 및 화면의 입력 데이터가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3) 및 타 학생 단말(401)로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3)에서 입력된 음성 및 화면 데이터가 전체 학생 단말(4)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제공되는 과정에서, 특정 학생 단말(4)이 학생으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및 화면 데이터는 강의 서버(2)를 통해 강사 단말(3) 및 타 학생 단말(401)로 전송되어 음성 또는 화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강사 단말(3)에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되는 학생의 입력 정보는 전술한 강사의 입력 정보와 함께 동기화 정보로 기록된다.
여기서, 학생 단말(4)은 강사 단말(3)의 허가에 의해 음성 및 화면 입력의 권한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학생 단말(4)은 음성 또는 텍스트 질문을 강사 단말(3)로 요청하고, 강사 단말(3)이 허가를 하면, 학생 단말(4)이 음성 또는 텍스트 질문을 입력하는 것이다. 강사에 허가에 의해 입력된 당해 학생의 질문은 강사 및 전체 학생들과 공유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강사의 공유/개인 데이터의 입력과 같이 학생도 음성 및 화면 데이터 중에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공유 데이터 또는 개인 데이터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공유 데이터로 구분된 학생의 입력 데이터는 강사 단말(3) 및 타 학생 단말(401)로 전송됨은 물론이다. 만약, 학생이 개인 데이터로 음성 또는 화면 출력의 정보를 입력한 경우, 공유 데이터의 동기화 정보가 당해 학생 단말(4)에서 출력되는 과정에서 개인 데이터로 입력된 동기화 정보가 상기 학생 단말(4)에서만 병행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강의 중에 학생이 학생 단말(4)에서 개인 데이터로 음성 입력 또는 필기 입력을 한 경우, 강의 종료 후 학생 단말(4)이 온라인 강의를 재수강할 때 개인 데이터로 구분되어 기록된 동기화 정보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의 음성 입력 또는 필기 입력이 당해 학생 단말(4)에서만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서버(2)의 개략적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서버(2)는 온라인 강의 교재를 등록받는 강의 교재 등록부(21), 강사 단말(3)에서 온라인 강의되는 데이터를 강사와 학생들 상호간에 실시간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진행부(22),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3)에서 발생된 강의 내용을 동기화하여 기록하는 동기화 정보 기록부(23) 및 기록된 동기화 정보를 강의 컨텐츠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강의 교재 등록부(21)는 홈 페이지(200)에 접속한 강사 단말(3)로부터 온라인 강의 교재를 등록받고 DB에 저장한다. 그러면, 강의 서버(2)는 홈 페이지(200)에 접속한 학생 단말(4)의 요청에 의해 등록된 온라인 강의 교재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강의 교재는 pdf, ms word, hwp 문서 등 다양한 포맷일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온라인 강의 진행부(22)는 온라인 강의가 개시되면, 강사 단말(3)로부터 강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하여 강의 시간 동안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의 내용을 수신한다. 그리고 온라인 강의 진행부(22)는 수신된 상기 강의 내용을 접속 중인 강사 단말(3) 및 학생 단말(4)로 상호간에 제공하여 온라인 강의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이벤트는, 강사 단말(3)의 키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에 의해 강사 단말(3)의 화면에 표시된 강의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 이벤트이다. 예를 들면, 강의 교재의 화면 표시와 관련되는 이벤트(예 : 위치 이동, 크기 변경, 페이지 변경, 스크롤 이동 등) 및 기타 화면의 버튼 입력 이벤트 등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해 발생된 다양한 제어 이벤트가 포함된다. 강사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제어 이벤트는 학생 단말(4)로 실시간 전송되어 학생 단말(4)에서도 강사 단말(3)과 동일한 화면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학생의 입력에 의해 발생된 제어 이벤트는 강사 단말(3) 및 타 학생 단말(401)로 전달되어 당해 학생 단말(4)의 화면 효과와 동일하게 발생된다. 상기 필기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DB로부터 참조되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며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강사는 텍스트, 이미지를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DB 참조 정보를 입력하여 DB로부터 참조되는 데이터가 설명 자료로 출력될 수 있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온라인 강의 진행부(22)는 강사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강의 내용을 수신하는 강사 데이터 수신부(221), 학생에 의해 입력되는 학생의 강의 참여 내용을 수신하는 학생 데이터 수신부(222), 강사와 학생의 음성 데이터를 상호간에 전달하는 음성 제공부(223) 및 강사와 학생의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상호간에 전달하는 화면 제공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사 데이터 수신부(221)는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가 입력하는 음성,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강사 단말(3)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학생 데이터 수신부(222)는 온라인 강의 중에 학생이 입력하는 음성,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학생 단말(4)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의 강사 데이터 수신부(221) 및 학생 데이터 수신부(222)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공유 데이터인지 또는 개인 데이터인지를 구분하는 식별자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음성 제공부(223)는 강사 단말(3) 또는 학생 단말(4)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강사와 전체 학생들 상호간에 공유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화면 제공부(224)는 강사 단말(3) 또는 학생 단말(4)에서 입력되는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수신하여 강사와 전체 학생들 상호간에 공유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물론, 상기의 음성 제공부(223) 및 화면 제공부(4)는 강사 또는 학생이 공유 데이터로서 상기 강의 내용을 입력한 경우에만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개인 데이터로서 입력한 경우에는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으며 당해 개인의 단말에서만 출력된다. 또한, 공유 데이터로 전체 사용자들에게 이미 전송된 화면 데이터가 취소되는 경우(예 : undo), 취소된 강사 또는 학생의 공유 데이터는 전체 사용자들에 대하여 취소된다. 그리고 개인 데이터의 취소는 당해 개인의 단말에 대해서만 취소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강사 또는 학생이 화면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취소 요청하면, 강의 서버(2)는 요청된 데이터가 입력시에 어떤 데이터로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공유 데이터 또는 개인 데이터에 대한 취소 처리를 한다.
바람직하게, 화면 제공부(224)는 상기 강의 내용의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로 생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XML 데이터는 사용자 아이디, 교재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표시 정보, 공유 데이터와 개인 데이터를 구분하는 식별자, 필기 위치, 필기 내용, 필기 내용의 크기, 펜의 색깔 및 두께, 참조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정보 기록부(23)는 온라인 강의 중에 발생되는 강사 및 학생의 음성,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강의 내용을 강의 시간과 동기화하여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 정보 기록부(23)는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상기와 같이 XML 데이터로 기록하여 DB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 정보 기록부(23)는 강의 내용을 XML 데이터로 DB에 기록하기 때문에,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에 강사 또는 학생의 요청을 받고 DB에 저장된 상기 XML 데이터를 편집(예 : 생성, 조회,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사는 강의 내용 중 필기에 오기가 있었음을 확인하는 경우, 동기화 정보 기록부(23)는 DB에 저장된 필기 내용의 XML 데이터를 제공하여 오기가 정정된 내용의 필기 데이터를 강사로부터 수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물론, 동기화 정보 기록부(23)가 새로운 설명 또는 DB 참조 자료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강사가 공유 데이터를 수정한 경우, 수정된 시점 이후로 수정된 데이터는 전체 학생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학생은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재강의를 듣는 과정에서 개인 데이터로 입력한 필기 메모를 새롭게 추가하거나 또는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학생은 재강의를 듣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필기 또는 메모를 편집하여 자신만의 학습을 완성시킬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24)는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 및 기록된 동기화 정보를 강의 컨텐츠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강의 컨텐츠는 공유 데이터의 식별자를 갖는 동기화 정보와 사용자별 개인 데이터의 식별자를 갖는 동기화 정보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상기 동기화 정보가 학생 단말(4)로 제공되어 어플리케이션(400)에 의해 실행되면 화면에 표시된 강의 교재에 대하여 강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3)에서 발생된 공유 데이터의 식별자를 갖는 음성 및 화면의 정보가 출력된다. 이때, 학생이 개인 데이터로 입력한 음성 또는 화면 표시의 데이터(예 : 메모, 설명 등)가 있다고 가정하면, 강의 진행 시간에 맞추어 온라인 강의 때와 동일하게 당해 학생 단말(4)에서만 표시된다. 예를 들어, A 학생이 강사의 강의 진행 시작 후 10분이 되는 지점에서 B 위치에서 C 메모를 개인 데이터로 음성 또는 필기 입력한 경우, 동기화 정보가 재생되면 A 학생 단말(4)이 공유 데이터의 동기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강의 진행 시작 후 10분이 될 때, A 학생 단말(4)만 B 위치에서 C 메모를 개인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한편, 상기에서 온라인 강의의 진행과 강의 컨텐츠의 제공은 XMP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에 기반한다. 강의 서버(2)는 XMPP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강사 단말(3) 및 학생 단말(4)로부터 강의 내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음성 데이터 및 XML 데이터를 강사 단말(3) 및 학생 단말(4)로 제공한다.
또한, 기존에는 강의 내용이 동영상으로 촬영되어 인코딩 처리의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는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었다. 이때, 동영상 제작 장비, 인코딩 장비, 스트리밍 서버 장비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강의 서버(2)는 강의 교재에 대해 시간 동기화되는 정보를 강의 컨텐츠로 자동 제작하기 때문에 기존의 상기 동영상 스트리밍 방식보다 데이터 컨텐츠의 크기를 1/400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상황에 취약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완성된 온라인 강의의 내용을 수정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강사 또는 학생이 XML 데이터를 간단히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촬영, 인코딩 등의 일련의 편집 절차보다 강의 내용의 편집이 시간과 비용면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서버(2)가 기록하는 동기화 정보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강의 서버(2)가 강사 단말(3)로부터 강의 내용을 수신하여 동기화 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강의 서버(2)의 상기 강사 데이터 수신부(221)는 강사 단말(3)로부터 음성 데이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강사 데이터로 수신한다.
그러면, 강의 서버(2)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파일로 기록한다. 그리고 강의 서버(2)는 수신된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XML 데이터로 기록한다. 기록된 XML 데이터는 강의 서버(2)에 DB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강의 서버(2)는 강의 시간 동안 음성 파일과 시간 동기되고,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XML 데이터의 참조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 스탬프 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참조 정보는 강의 서버(2)의 DB로부터 강의 시간을 키(key)로 하여 XML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접근(access) 정보이다. 이와 같이, 강의 서버(2)는 음성 파일, XML 데이터 및 시간 스탬프로 구성되는 동기화 정보를 온라인 강의 중에 기록한다.
상기 동기화 정보의 기록을 예시하면, 온라인 강의가 1시간 진행된 경우라 가정하면, 강의 서버(2)는 1시간 분량의 음성 파일을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1시간 동안에 강사 단말(3)의 화면 데이터를 변경하는 이벤트별로 XML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리고 각각의 XML 데이터의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여 시각 정보 및 XML 데이터의 참조 정보가 시간 스탬프 정보로 기록된다.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강의 서버(2)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록된 온라인 강의의 동기화 정보를 컨텐츠 파일로 제공한다. 여기서, XML 파일이 네트워크 참조되는 경우, 학생 단말(4)은 시간 스탬프에 포함된 XML 데이터의 참조 정보를 이용하여 강의 서버(3)의 DB로부터 조회되는 XML 데이터를 수신한다. 만약, XML 파일이 로컬 참조되는 경우, 학생 단말(5)은 동기화 데이터의 다운로드시 XML 데이터를 함께 수신한다.
이후, 학생 단말(4)이 상기 컨텐츠 파일을 수신하여 온라인 강의를 재수강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XML 파일은 강의 서버(2)의 DB로부터 네트워크 참조되는 것이라 가정한다. 학생 단말(4)은 온라인 강의의 종료 후 재수강을 위해 어플리케이션(400)을 이용하여 강의 서버(2)로부터 상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기화 정보를 실행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은 화면에 로드된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음성 파일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성 출력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400)은 출력된 음성 데이터와 시간 동기화되는 상기 시간 스탬프 정보를 참조하여 강의 서버(2)의 DB로부터 조회되는 XML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400)은 수신된 XML 데이터의 상기 제어 이벤트를 이용하여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기 내용을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시간 스탬프 정보를 바(bar)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고, 학생으로부터 특정 시간의 위치를 선택받으면 대응하는 시간 위치의 강의 교재, 음성 데이터 및 필기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학생은 강의 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원하는 시간 위치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강의 내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된 위치부터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먼저, 강사 단말(3)은 강사용 어플리케이션(300)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그리고 학생 단말(4)은 학생용 어플리케이션(400)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그러면, 강사 단말(3)과 학생 단말(4)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300, 400)의 실행에 의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온라인 강의 종료 후 강의 컨텐츠를 다운받아 재수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강의 서버(2)는 홈 페이지(200)에 접속한 강사 단말(3)로부터 온라인 강의 교재를 업로드 받는다(S21).
이후, 정해진 온라인 강의 시간이 되면, 강의 서버(2)는 홈 페이지(200)에 접속된 강사 단말(3) 및 전체 학생 단말(4)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 서비스를 제공한다(S22). 온라인 강의 서비스는 강의 서버(2)가 강사 단말(3)에 표시된 강의 교재 화면을 기본으로 하여 강사 및 학생에 의해 입력되는 강의 내용 데이터를 강사와 학생 상호간에 실시간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강의 내용 데이터는 강의 교재에 대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S22)를 상세히 설명하면, 강의 서버(2)는 강사의 상기 강의 내용을 수신하여 DB에 저장한다(S221). 그리고 상기 강의 서버(2)는 수신된 강사의 강의 내용을 온라인 수강 중인 전체 학생 단말(4)로 제공한다. 그러면, 강사 단말(3)에 입력된 화면 정보와 음성 정보는 온라인 강의에 접속된 전체 학생 단말(4)에서출력된다(S222).
또한, 강의 서버(2)는 학생이 참여한 상기 강의 내용을 수신하여 DB에 저장한다(S223). 그리고 상기 강의 서버(2)는 수신된 학생의 강의 참여 내용을 강사 단말(3) 및 타 학생 단말(401)로 제공한다. 이로써 학생 단말(4)이 입력한 음성 또는 화면 정보는 강사 단말(3) 및 타 학생 단말(401)에서도 동일하게 출력된다(S224).
다만, 상기에서 강사 및 전체 학생들 상호간에 실시간 전송되는 강의 내용은 강사 또는 학생이 공유 데이터로 식별자를 지정하여 입력하는 경우에 한정된다. 즉, 강사 또는 학생이 개인 데이터의 식별자로 지정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당해 개인 단말의 화면에서만 음성 또는 화면 출력되며 타인과 공유되지 않는다.
실시간으로 온라인 강의가 진행되는 도중에, 강의 서버(2)는 강사와 학생들의 입력으로 발생된 강의 내용을 동기화 정보로 기록하여 DB에 저장한다(S23). 도 4를 참조하여 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강의 서버(2)는 음성 파일을 기록하고,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XML 데이터를 기록하고, 강의 시간에 의해 참조되는 상기XML 데이터의 참조 정보를 시간 스탬프의 정보로 기록함으로써 동기화 정보를 기록한다.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강의 서버(2)가 학생 단말(4)로부터 강의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받으면, 강의 서버(3)는 동기화 정보로 기록된 강의 내용의 음성 파일 및 시간 스탬프 정보를 강의 컨텐츠로서 학생 단말(4)로 제공한다(S24). 그러면, 학생 단말(4)은 학생의 재수강 요청에 의해 화면에 강의 교재를 표시한 후 시간 동기화되는 음성 데이터와 화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학생 단말(4)이 온라인 강의를 실시간으로 수강하는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학생 단말(4)은 어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하여 홈 페이지(200)로부터 개설된 전체 강의 목록을 제공받고 개별 강의에 대해 수강 신청을 할 수 있다.
이후, 수강 신청된 개별 강의의 온라인 강의 시간이 도래하면, 학생 단말(4)은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온라인 강의에 접속한다(S31).
온라인 강의가 개시되면, 강의 교재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300)의 화면에 표시된다(S32). 여기서, 온라인 강의에 접속된 강사 단말(3) 및 전체 학생 단말(4)은 강의 교재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강사 단말(3)의 화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간에 공유된다.
이어서, 강사 단말(3)에서 강사의 음성 입력, 제어 이벤트 발생 및 필기 입력 등의 강의 내용이 입력되어 강의가 진행된다. 강사가 공유 데이터로 입력한 상기 강의 내용은 강의 서버(2)가 수신한 후 전체 학생 단말(4)로 음성 데이터 및 XML 데이터로 전송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400)은 강사 및 타 학생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34). 또한, 어플리케이션(400)은 강사 및 타 학생에 의해 발생된 XML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한다(S35).
상기 공유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400)은 학생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강의 서버(2)로 전송한다(S35). 또한, 어플리케이션(400)은 학생의 필기 데이터를 입력받고 강의 서버(2)로 전송한다(S36). 만약, 학생이 입력한 강의 내용이 공유 데이터일 경우, 상기 공유 데이터는 강사 단말(2) 및 타 학생 단말(401)들에게 전송됨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6에서 학생 단말(4)이 온라인 강의의 종료 후 강의 컨텐츠를 다운받아 재생하는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학생 단말(4)의 어플리케이션(400)은 강의 서버(2)로부터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강의 컨텐츠의 목록을 제공받고 특정 강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어플리케이션(400)은 강의 서버(2)로부터 선택된 강의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S301).
다운로드된 강의 컨텐츠의 재생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400)은 강의 교재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S302). 그리고 어플리케이션(400)은 다운로드된 강의 컨텐츠의 음성 파일을 재생한다(S303).
그러면, 어플리케이션(400)은 다운로드된 강의 컨텐츠의 시간 스탬프 정보로부터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 시간과 동기화되는 XML 데이터의 참조 정보를 읽어들인다(S304). 강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400)이 특정 강의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참조 정보를 읽어들이면, 참조 정보를 이용하여 강의 내용의 XML 데이터에 접근하여 그 내용을 분석한다(S305),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은 XML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된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S306).
학생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후 다시 강의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수강하는 경우, 학생은 동일 내용의 강의를 반복 학습한다. 학생은 재수강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강의시 개인 데이터로 메모했었던 필기 내용을 반복 학습한다. 또한, 학생은 재수강할 때 자신의 필기 데이터를 새롭게 편집할 수 있음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부"라는 용어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의 하드웨어적 구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부는 하드웨어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라는 용어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 강의 서버
3 : 강사 단말 4 : 학생 단말
21 : 강의 교재 등록부 22 : 온라인 강의 진행부
23 : 동기화 정보 기록부 24 : 컨텐츠 제공부

Claims (17)

  1. 강사 단말의 음성 및 화면 데이터를 온라인 접속된 학생 단말로 전송하여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진행된 온라인 강의의 내용을 기록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강사 단말로부터 강의 교재 데이터를 등록받는 강의 교재 등록부;
    온라인 강의가 개시되면, 강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하여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의 내용을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강사 및 학생의 상호간에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진행부;
    상기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에서 발생된 상기 강의 내용의 데이터를 시간과 동기화하여 기록하는 동기화 정보 기록부; 및
    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 및 기록된 동기화 정보를 강의 컨텐츠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강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이벤트는,
    강사 단말의 키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에 의해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 이벤트로서,
    학생 단말은 강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학생 단말에서 강사 단말과 동일하게 강의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강의 진행부는,
    온라인 강의 중인 강사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 내용을 수신하는 강사 데이터 수신부;
    온라인 강의에 접속 중인 각각의 학생 단말로부터 학생의 음성 데이터와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의 내용을 수신하는 학생 데이터 수신부;
    강사 단말 또는 학생 단말로부터 각각 수신된 상기 강의 내용으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여 접속 중인 타 단말로 제공하는 음성 제공부; 및
    상기 강의 내용으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접속 중인 타 단말로 제공하는 화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서버는,
    수신된 강의 내용에 대하여 전체 사용자들에게 공유되는 공유 데이터인지 또는 개인만 이용하는 개인 데이터인지 구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공유 데이터의 식별자일 경우에 타 단말로 강의 내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서버는 상기 강의 내용의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로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XML 데이터는 사용자 아이디, 교재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표시 정보, 공유 데이터와 개인 데이터를 구분하는 식별자, 필기 위치, 필기 내용, 필기 내용의 크기, 펜의 색깔 및 두께, 참조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 기록부는,
    음성 데이터가 기록된 음성 파일;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가 기록된 XML 데이터; 및
    상기 음성 파일의 시간 정보와 동기화되며 특정 시간에 대응하여 화면 표시될 상기 XML 데이터의 참조 정보가 기록된 시간 스탬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은,
    강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동기화 정보를 실행하면, 학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음성 파일을 재생하고, 상기 시간 스탬프 정보를 참조하여 시간 동기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 이벤트를 이용하여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기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은,
    상기 동기화 정보에 의해 공유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음성 및 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당해 학생에 의해 입력된 개인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상기 학생 단말에만 병행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강사 단말의 음성 및 화면 데이터를 온라인 접속된 학생 단말로 전송하여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진행된 온라인 강의의 내용을 기록하는 강의 서버가 하기의 단계들을 실행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강사 단말로부터 강의 교재 데이터를 등록받는 강의 교재 등록 단계;
    (b)온라인 강의가 개시되면, 강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하여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의 내용을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강사 및 학생의 상호간에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진행 단계;
    (c)상기 온라인 강의 중에 강사 단말에서 발생된 상기 강의 내용의 데이터를 시간과 동기화하여 기록하는 동기화 정보 기록 단계; 및
    (d)온라인 강의가 종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 및 기록된 동기화 정보를 강의 컨텐츠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후에,
    상기 강의 서버가 학생 단말의 요청에 따라 강의 교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이벤트는,
    강사 단말의 키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에 의해 상기 강의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한 이벤트로서,
    학생 단말은 강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이벤트를 이용하여 상기 학생 단말에서 강사 단말과 동일하게 강의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b1)상기 강의 서버가 온라인 강의 중인 강사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b2)상기 단계(b1)에서 수신된 상기 강의 내용을 접속 중인 학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b3)온라인 강의에 접속 중인 각각의 학생 단말로부터 학생의 음성 데이터와 필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강의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및
    (b4)상기 단계(b3)에서 수신된 상기 강의 내용을 접속 중인 강사 단말 및 타 학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 9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강의 서버가 수신된 강의 내용에 대하여 전체 사용자들에게 공유되는 공유 데이터인지 또는 개인만 이용하는 개인 데이터인지 구분하는 식별자를 수신하고, 공유 데이터의 식별자일 경우에 타 단말로 강의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강의 서버가 상기 강의 내용의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XML 데이터는 사용자 아이디, 교재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표시 정보, 공유 데이터와 개인 데이터를 구분하는 식별자, 필기 위치, 필기 내용, 필기 내용의 크기, 펜의 색깔 및 두께, 참조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 9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강의 서버가,
    (c1)음성 데이터를 음성 파일로 기록하는 단계;
    (c2)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를 XML 데이터로 기록하는 단계; 및
    (c3)상기 음성 파일의 시간 정보와 동기화되며 특정 시간에 대응하여 화면 표시될 제어 이벤트 및 필기 데이터의 XML 데이터의 참조 정보가 기록된 시간 스탬프를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정보의 기록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학생 단말이 강의 서버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하는 단계로서,
    (e1)학생 단말의 화면에 강의 교재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e2)수신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단계;
    (e3)음성 파일의 재생 시간과 동기화되는 시간 스탬프에서 특정 시간에 대응하는 XML 데이터의 참조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참조 정보를 이용하여 XML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및
    (e4)취득된 XML 데이터의 상기 제어 이벤트를 이용하여 교재 데이터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고, 취득된 XML 데이터의 상기 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기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 단말은,
    상기 동기화 정보에 의해 공유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음성 및 화면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당해 학생에 의해 입력된 개인 데이터의 강의 내용을 상기 학생 단말에만 병행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20037797A 2012-04-12 2012-04-12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Ceased KR20130115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797A KR20130115484A (ko) 2012-04-12 2012-04-12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PCT/KR2013/001623 WO2013154267A1 (ko) 2012-04-12 2013-02-28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797A KR20130115484A (ko) 2012-04-12 2012-04-12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484A true KR20130115484A (ko) 2013-10-22

Family

ID=4932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797A Ceased KR20130115484A (ko) 2012-04-12 2012-04-12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15484A (ko)
WO (1) WO201315426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080A (ko) * 2014-11-30 2016-06-10 주식회사 윌드림 다양한 포멧의 컨텐츠 공유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영상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KR20170080508A (ko) * 2015-12-30 2017-07-10 (주) 이에스엘에듀 전자칠판 기반 강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47507B1 (ko) * 2020-07-20 2021-05-03 (주)듣는교과서 청취학습 기반의 보이스 노트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01315A (ko) 2021-01-11 2022-07-19 김민정 스토리북 제작 배포를 이용한 학생 기록 관리 시스템
KR20220157122A (ko) 2021-05-20 2022-11-29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다자간의 비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방법
WO2023167504A1 (ko) * 2022-03-03 2023-09-07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그룹 학습용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학습지원 시스템
KR20240048348A (ko) * 2022-10-06 2024-04-15 구성민 오디오 데이터와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그 클라우드 서버
WO2024101487A1 (ko) * 2022-11-10 2024-05-16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883B1 (ko) * 2000-09-04 2003-08-27 주식회사 디지털 네트워크그룹 실시간 강의 기록 장치 및 그에 따른 파일 기록방법
KR20060099896A (ko) * 2005-03-15 2006-09-20 박종대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교육에서 컨텐츠 공유 및제어 방법
KR100811216B1 (ko) * 2006-04-07 2008-03-07 (주)모아인포 스마일에 기반한 이러닝 시스템
JP4555365B2 (ja) * 2008-06-09 2010-09-29 晴樹 上野 遠隔教育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表示制御方法
KR20110105516A (ko) * 2010-03-19 2011-09-27 (주) 써니그라피 양방향 상호작용 가능한 강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강의 수행, 녹화, 재생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080A (ko) * 2014-11-30 2016-06-10 주식회사 윌드림 다양한 포멧의 컨텐츠 공유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영상 교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교육 서비스 제공방법.
KR20170080508A (ko) * 2015-12-30 2017-07-10 (주) 이에스엘에듀 전자칠판 기반 강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47507B1 (ko) * 2020-07-20 2021-05-03 (주)듣는교과서 청취학습 기반의 보이스 노트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01315A (ko) 2021-01-11 2022-07-19 김민정 스토리북 제작 배포를 이용한 학생 기록 관리 시스템
KR20220157122A (ko) 2021-05-20 2022-11-29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다자간의 비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방법
WO2023167504A1 (ko) * 2022-03-03 2023-09-07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그룹 학습용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학습지원 시스템
KR20240048348A (ko) * 2022-10-06 2024-04-15 구성민 오디오 데이터와 콘텐츠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그 클라우드 서버
WO2024101487A1 (ko) * 2022-11-10 2024-05-16 (주) 이즈커뮤니케이션즈 원본의 해상도를 유지하며 파일 크기를 최소화하는 강의 녹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4267A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5484A (ko)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WO2018227761A1 (zh) 一种教学录播数据修正装置
JP6472898B2 (ja) ネット教育における記録・再生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9324811B (zh) 一种用于更新教学录播数据的装置
JP5994117B2 (ja) Eラーニングシステム
WO2018223529A1 (zh) 一种基于互联网的录播课程跟随学习系统和方法
JP2002202941A (ja) マルチメディア電子学習システムおよび学習方法
TW201335902A (zh) 雲端化多媒體教學系統、其製作方法及其互動方法
KR102414966B1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697906A (zh) 一种基于互联网教学平台的跟随教学方法和系统
Mooney Podcasting as faculty development medium and method: The story of a podcast series showcasing teaching excellence in higher education
CN109040797B (zh) 一种互联网教学的录播系统和方法
JP2008096482A (ja) 受信端末、ネットワーク学習支援システム、受信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学習支援方法
CN107016631A (zh) 跨平台课件智能合成方法
CN105025307A (zh) 基于有线电视和智能移动设备联动的音视频采集合成系统
US20110231514A1 (en) Content delivery apparatus, content delivery method, content playback method, content delivery program, content playback program
KR102527617B1 (ko) Html5 기반 이러닝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30025771A (ko) 인터넷상의 교육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4465759U (zh) 基于有线电视和智能移动设备联动的音视频采集合成系统
JP2021162790A (ja) 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学習支援プログラム
KR20190036042A (ko) 온라인 교육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JP3701591B2 (ja) 同期再生コンテンツのアクセス制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10111862A (ko) 인터넷 원격교육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140032715A (ko) 양방향 온라인 영상통신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52343B1 (ko) 멀티미디어 게시판 시스템 및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2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412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403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