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1318A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1318A KR20130111318A KR1020130029326A KR20130029326A KR20130111318A KR 20130111318 A KR20130111318 A KR 20130111318A KR 1020130029326 A KR1020130029326 A KR 1020130029326A KR 20130029326 A KR20130029326 A KR 20130029326A KR 20130111318 A KR20130111318 A KR 201301113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
- connector
- housing
- bracket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것에 끼워맞춤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 조립체의 한쪽을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이 종류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 모두 고정구(금구(金具))를 구비하고 있으며, 당해 고정구는 그 접속부에서 커넥터의 회로 기판으로의 땜납 고정에 제공함과 함께, 커넥터끼리의 접속시에, 고정구끼리가 서로 걸어맞춤(록)하여 커넥터의 벗어남의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고정구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고, 커넥터의 단자의 배열 방향의 양단(兩端) 위치에서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holding)되어 있다.This kind 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s disclosed by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는, 하우징의 단벽(端壁)으로 지지되는 단부분(端部分)과 당해 단부분으로부터 굴곡되어 단벽 근처의 양쪽의 측벽으로 지지되는 측부분을 갖고 있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단부분에는 상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역(逆) U자 형상으로 굴곡된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양(兩) 내면(內面)의 각각에 접면(接面) 보유지지되어 있어, 오목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의 단부분에 평행인 판 부재의 부분을 갖고, 그 양단에 상기 오목 형상의 걸림부에 돌입(突入)하여 걸리는 돌기 형상의 걸어맞춤부가 판두께 방향 절단 단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판 부재의 부분의 하연(下緣)으로부터 굴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U자편이 형성되어 있고 그 판면에 돌기 형상의 다른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각 고정구의 서로 걸어맞춤하는 부분에 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에 대해서는 「걸림부」,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에 대해서는 「걸어맞춤부」라는 명칭을 이용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다. The fastener of the receptacle connector has an end portion supported by the end wall of the housing and a side portion that is bent from the end portion and supported by both side walls near the end wall, and viewed from the connector fitt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entire U-shape. The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hook-shaped hook portion which protrudes upward and is bent in an inverted U shape, and the side portion is in contact with each of both inner surfaces of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It is hold | maintained and the recessed part of concave shape is formed. In contrast, the fastener of the plug connector has a portion of a plate member that is parallel to an end portion of the fastener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a projection-shaped engaging portion that is inclined to the concave engaging portion at both ends thereof is plated. It is formed as a cross s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U-shaped piece which is bent from the lower edge of the part of the said board member and extended upward is formed, and the other engaging part of protrusion shape is formed in the board surface. In addition, in
이러한 고정구를 갖고 있는 특허문헌 1의 리셉터클 커넥터로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면, 그 끼워맞춤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의 돌기 형상의 걸어맞춤부 그리고 돌기 형상의 다른 걸어맞춤부가, 각각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의 오목 형상의 걸림부 그리고 역 U자 형상의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와 간섭량만큼만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소정 위치까지 끼워맞춤의 진행이 가능해져, 소정 위치에까지 도달하면 그 탄성 변형이 해제되어 대응하는 걸어맞춤부와 걸림부가 상기 간섭량에 의해 커넥터 빠짐(拔出) 방향으로 서로 걸려 커넥터의 빠짐을 저지하는 록 기능을 갖게 된다. When the plug connector is fitted and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of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에 형성된 걸림부와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에 의한 록(lock) 기능은,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단부가 되는 단벽에서 1개소, 그리고 그 근방에서의 양쪽의 측벽에서의 대향하는 2개소에서 얻어진다. 즉, 1개의 고정구에 대해, 하우징의 단벽에 대한 방향 그리고 측벽에 대한 방향인 두 방향에서, 합계 3개소에서 록 기능이 얻어지게 된다. In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고정구에 있어서는, 정규의 걸어맞춤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걸어맞춤부나 걸림부에 있어서의 걸어맞춤시의 탄성 변형량이 작은 것에도 기인하여 걸어맞춤 직전의 탄성 변형시에 걸어맞춤 부위를 손상시키기 쉽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However, in the fastener of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에서는, 측벽에 위치하는 오목 형상의 걸림부에, 상대쪽인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의 돌기 형상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되지만, 이 걸어맞춤부는 판재의 판두께 방향 절단면에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에 이르기까지 걸림부 근방의 면(面)을 손상시키기 쉽다. 게다가, 상기 돌기 형상의 걸어맞춤부는 판면에 대하여 평행인 방향의 반력(反力)을 받아도 탄성 변형하지 않고 동(同) 방향에서의 강성(剛性)이 높기 때문에, 이 걸림부가 맞닿는 상기 걸림부 근방의 면은 크게 손상되는 결과, 걸림부 자체의 걸림량의 감소로도 연결된다. First, in the fastener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of the fastener of the plug connector on the opposite side is engaged with the concave engaging portion located on the side wall, but the fastening portion is a protrusion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cut surface of the plate. Since it is formed as, it is easy to damage the surface in the vicinity of a locking part to the said locking part. In addition, the projection-shaped engaging portion does not elastically deform even when receiving a reaction for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te surface, and thus has high rigidity in the same direction. As a result, the surface of the surface is greatly damaged,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the locking portion itself.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측의 고정구의 하우징의 단벽에 위치하는 걸림부는 하우징의 단벽으로 지지되는 단부분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는 양팔보 형상의 이 단부분(端部分)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그 탄성 변형에 의한 위치의 이동(변위)은 작다. Next, since the engaging portion located on the end wall of the housing of the fastener on the 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d portion supported by the end wall of the housing, the engag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is end portion of the two-palmed beam shape. The displacement (displacement) of the position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is small.
또한, 상기 걸림부 자체는 상기 단부분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아암체(腕體)로 형성되고, 또한 그 형상은, 밀착하여 역 U자 형상으로 되접혀 있기 때문에 강성이 높고, 이 걸림부 자체의 탄성은 거의 없다. 게다가, 상기 역 U자 형상의 걸림부는, 역 U자 형상 부분의 선단연부(先端緣部)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의 면에 걸어맞춤하기 때문에, 이 선단연부가 확실하게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하려면, 당해 선단연부가 상기 면을 맞닿아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되며, 걸어맞춤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면을 선단연부의 날카로운 에지로 손상시키기 쉽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의 걸어맞춤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에 있어서의 걸림부의 경우와 동일하게, 높이 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아암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아암체의 탄성 변형량도 그다지 크게 확보하지 못하고,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도 어렵다. Moreover, since the said latching part itself is extend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aid edge part, it is formed in a short arm body, and since the shape is closely contacted and folded back into an inverted U shape, rigidity is high, and There is little elasticity of the locking portion itself. In addition, since the inverted U-shaped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surface of the fastener of the plug connector at the distal end of the inverted U-shaped portion, the distal end portion is securely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In order to do this, the leading edge must touch the surface and move, and it is easy to damage the surface with the sharp edge of the leading edge until the engagement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astener of the plug connector is formed of an arm body that extends shortly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astener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arm body is not secured so much. It is also difficult to avoid the occurrence of scratches.
이렇게 하여, 특허문헌 1에 의한 고정구에서는, 그 탄성 변형량이 크지 않은 것에 더하여, 고정구의 판면에 대하여, 판두께 방향 절단면 혹은 날카로운 선단연부에서 맞닿으면서 걸어맞춤하기 때문에, 상기 판면을 손상시키기 쉽고, 그 결과, 마모에 의해 걸어맞춤 여유가 감소해버려, 록 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In this way, in the fastener according to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커넥터끼리가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 흠집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록 금구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것에 끼워맞춤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 조립체의 한쪽을 이루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 lock bracket capable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cratches as far as the connectors reach the locked position and a plug connector fitted to the sam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that forms one side of the assembly.
<제1 발명><1st invention>
제1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및 빠짐(揷拔) 방향으로 하여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실장면과 평행인 한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에 배열 보유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배열 방향에서 하우징의 양단 위치에 플러그 커넥터와 록 걸어맞춤하는 록 금구가 보유지지되어 있고, 플러그 커넥터가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에 접속되는 상대 단자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에 걸어맞춤하는 상대 록 금구를 갖고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has a receptacle connector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a plug fit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with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surface in a connector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onnector, wherein the receptacle connector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arranged and held in the housing in one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plug connector and the lock at both ends of the hous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 locking lock fitting to be engaged is held, and a plug connector has a mating terminal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n a connector fitting state, and a mating locking bracket fitting to a lock fitting of the receptacle connector.
이러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제1 발명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와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가 모두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는,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을 이룸과 함께 판면이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基部)와, 당해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판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휘어질 수있는 록 아암부를 갖고, 상기 기부는, 상기 배열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단벽측 기부와, 당해 단벽측 기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측벽측 기부를 갖고, 상기 록 아암부는, 상기 단벽측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단벽측 록 아암부와, 측벽측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측 록 아암부를 갖고, 상기 단벽측 록 아암부와 측벽측 록 아암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와의 정규의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각각의 판면에서 상기 상대 록 금구의 판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정규의 록 위치에서 상대 록 금구와 커넥터 빠짐 방향에서 서로 록하는 록부 또는 피(被)록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such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 the first invention, both the locking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mating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are made by processing a metal plate, and the locking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s viewed in the connector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It has a substantially U-shape, and has a base extending from the base in the connector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and a lock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and capable of bending at right angles to the plate surface, wherein the base includes the arrangement described above. A short wall side base positioned along the end wall of the housing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and a side wall side base positioned along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extend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short wall side base; The lock arm portion includes a short wall side lock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short wall side base and a side wall side. And the side lock side arm extending from the side, wherein the end wall side lock arm portion and the side wall side lock arm portion reach the normal lock position with the mating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at each plate surface of the mating lock bracket. It is possible to make sliding contact with the plate surface, and it has a lock part or a lock part which mutually locks in a relative lock bracket and a connector pull-out direction in a normal lock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 발명에서는, 단벽측 록 아암부 그리고 대향하는 2개의 측벽측 록 아암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와의 정규의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상기 상대 록 금구의 대응부와 서로 판면에서 슬라이딩 접촉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록 금구의 판두께 방향 절단면 혹은 선단연부에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결과, 록 금구의 판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마모에 의한 걸어맞춤 여유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아, 록 걸어맞춤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wall side lock arm portion and the two opposite side wall side lock arm portions are disposed on the plate surface with the counterpart of the mating lock bracket while reaching the normal lock position with the mating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Sliding contact. Therefore, stress concentration is less likely to occur than in the case of sliding contac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cutting surface or the leading edge of the lock bracket as in the prior art. As a result, scratches are less likely to occur on the plate surface of the lock bracket, so that the engagement margin due to abrasion does not occur, and a decrease in the lock engagement force can be avoided.
제1 발명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에 형성된 측벽측 록 아암부는 측벽측 기부로부터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연출(延出)되어 커넥터 폭방향으로 탄성 휨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In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ide wall side lock arm portion formed in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may be directed from the side wall base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to be elastically bent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에서는 소형화가 요구되지만,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는 비교적 치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측벽측 록 아암부를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출시킴으로써,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연출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당해 측벽측 록 아암부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의 록 금구의 판면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탄성 변위량이 커지기 때문에, 그만큼, 정규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의 록 금구의 판면끼리의 맞닿음 압력을 낮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커넥터 끼워맞춤 완료 후에 있어서의 탄성 변위 해제 후의 록 금구끼리의 걸림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록 금구의 판면이 손상되기 어려워지게 됨과 함께, 록 금구끼리의 걸림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aturization is required in the connector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but since the size can be relatively increas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s, the connector side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is produced by directing the side wall side lock arm portion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it is made, the said side wall side lock arm part can be lengthened. 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elastic displacement due to the sliding contact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becomes large,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plate surfaces of the lock brackets until the normal lock position can be lowered by that amount. The locking amount of the locking brackets after the elastic displacement release after the connector fitting is completed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plate surface of the lock brackets becomes less likely to be damaged, and the locking brackets can be secured.
제1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록 금구는,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아암부를 갖고, 당해 걸림 아암부 중 적어도 일부가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굽힘 가공을 받아 걸림부를 형성하고, 당해 걸림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단(段) 형상의 대응 걸림부와 걸려 있어,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벗어남을 방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ing lock bracket formed on the plug connector has a catching arm portion extend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and at least a part of the catching arm portion is bent inward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o form a catching portion. The locking portion may be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locking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plug connector so as to prevent the plug connect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using in the connector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이와 같이, 상대 록 금구의 걸림 아암부의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한 걸림부를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단 형상의 대응 걸림부와 걸리게 함으로써, 당해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상대 록 금구의 벗어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us, by engaging the engaging part formed by the bending process of the engaging arm part of the mating lock bracket with the corresponding engaging part of the step shape of the housing | casing of a plug connector, The deviation can be prevented reliably.
<제2 발명><2nd invention>
제2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며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과 평행인 한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에 배열 보유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배열 방향에서 하우징의 양단 위치에 플러그 커넥터와 록 걸어맞춤하는 록 금구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receptacle connector arrang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to which a plug connector is fit-fit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surface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onnector,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y-held in the housing with one direction as the array direction, and a lock bracket for locking engagement with the plug connector is hel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in the array direction.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제2 발명에서는, 상기 록 금구가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고, 당해 록 금구는,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을 이룸과 함께 판면이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와, 당해 기부로부터 아암 형상으로 연장되어 판면과 직각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록 아암부를 갖고, 상기 기부는, 상기 배열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단벽측 기부와, 당해 단벽측 기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측벽측 기부를 갖고, 상기 록 아암부는, 상기 단벽측 기부로부터 굴곡되어 당해 단벽측 기부와 판면끼리를 평행하게 하도록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측 록 아암부와, 측벽측 기부로부터 측벽을 따라서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측 록 아암부를 갖고, 상기 단벽측 록 아암부와 측벽측 록 아암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와의 정규의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각각의 판면에서 상기 상대 록 금구의 판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록 위치에서 상대 록 금구와 커넥터 빠짐 방향에서 서로 록하는 록부 또는 피록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such a receptacle connector, in the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ock bracket is formed by processing a metal plate, and the lock bracket has a substantially U-shape, and the plate surface is inserted and pulled out of the connector when viewed in the connector insertion and extraction direction. And a lock arm portion extending in an arm shape from the base to b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the base extending from an end wall of the housing extending in a connector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Therefore, it has a short wall side base located, and the side wall side base located along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extended in the said arrangement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said short wall side base, The said lock arm part bends from the said short wall side base, The said short wall side base Short wall side lock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onnector to make the surface of the plate parallel to each other. The arm part and the side wall side lock arm part extended from the side wall base to the said arrangement direction along the side wall, and the said short wall side lock arm part and the side wall side lock arm part reach | attain the normal lock position with the mating lock bracket of a plug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make sliding contact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said mating lock metal fitting in each board surface, and to have the lock part or the locking part which locks with the mating lock metal fitting and the connector release direction in a locked position.
제2 발명에 있어서도, 이미 서술한 제1 발명과 동일하게,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의 단벽측 록 아암부 그리고 2개의 측벽측 록 아암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와의 정규의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상기 상대 록 금구의 대응부와 서로 판면에서 슬라이딩 접촉한다. 따라서, 록 금구의 판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록 걸어맞춤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발명과 동일하게, 측벽측 록 아암부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출되어 있기 때문에, 측벽측 록 아암부를 길게 형성하여, 탄성 변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록 금구의 판면이 보다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짐과 함께, 록 금구끼리의 걸림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Also in the second invention, similar to the firs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hort wall side lock arm portion and the two side wall side lock arm portions of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reach the normal lock position with the mating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In the meantime, the corresponding parts of the mating lock brackets ar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plate surface. Therefore, scratches are less likely to occur on the plate surface of the lock bracket, so that a drop in the lock engagement force can be avoided. In addition, similarly to the first invention, since the side wall-side lock arm portion is direct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the side wall-side lock arm portion can be formed long, so that it can be easily elastically displaced. Therefore, the plate surface of the lock bracket becomes more difficult to be scratched, and the locking of the lock brackets can be secured.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록 금구가 커넥터의 단부에서, 단벽측 그리고 대향하는 2개의 측벽측의 합계 세 군데의 위치에 록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가 기울어져 빠지더라도, 이에 대하여 강한 이점을 확보하면서, 정규의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양 커넥터의 록 금구끼리가 판면끼리에서 접촉하여 슬라이딩 접촉되기 때문에, 그 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렵고, 마모에 의한 걸림량의 저하도 없고, 정규의 록력이 확보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racke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have locks at three positions in total at the end of the connector on the short wall side and the two opposite side wall sides, so that the connector is tilted and pulled out. Since the lock brackets of both connecto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sliding the plate while reaching the normal lock position, it is hard to be scratched on the surface, while securing a strong advantage against this. There is no fall and a regular locking force is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a)는, 양 커넥터의 수용 공간을 상향으로 한 자세로 나타내고 있고, 도 1(b)는,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직전의 자세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록 금구의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록 금구의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 및 도 3의 플러그 커넥터의 록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4(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 도 4(b)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록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에 있어서의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 및 플러그 커넥터의 록 금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도 4(a)의 VA-VA 단면도, 도 5(b)는 도 4(a)의 VB 화살표 도면이다.
도 6은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 및 플러그 커넥터의 록 금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도 4(b)의 VIA-VIA 단면도, 도 6(b)는 도 4(b)의 VIB 화살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ty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 view showing the storage space of both connectors in an upward position, and Fig. 1 (b) Is shown in the attitude | position just before the fitting of both connector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1,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cking bracket is mounted.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connector of FIG. 1,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cking bracket is mounted.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2 and the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of Fig. 3, in which Fig. 4 (a) shows a state before fitting the connector and Fig. 4 (b) shows a lock state after fitting the connector. It is show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4 and the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before fitting the connector. Fig. 5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A-VA of Fig. 4 (a), and Fig. 5 (b). Is a VB arrow diagram of FIG.
Fig. 6 is a view showing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4 and the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in the locked state after connector fitting. Fig. 6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A-VIA of Fig. 4 (b), Fig. 6 (b) is a VIB arrow drawing of FIG. 4 (b).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a)는, 양 커넥터의 수용 공간을 상향으로 한 자세로 나타내고 있고, 도 1(b)는,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직전의 자세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록 금구의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2에서는, 도 1(a), 도 1(b)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하 반전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록 금구의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whol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in this embodiment, FIG. 1 (a) shows the attitude | position which raised the accommodating space of both connectors, and FIG. 1 (b), It is shown in the attitude |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fitting of both connector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1,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cking bracket is attached. FIG. In FIG. 2,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S. 1 (a) and 1 (b) is shown upside dow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connector of FIG. 1,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cking bracket is mounted. FIG.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로서, 각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도 1(a), 도 1(b)에서의 상하 방향)을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The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a),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과, 당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당해 하우징(10)에 의해 2열로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단자(20)와,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하우징(10)의 양단부에서 보유지지되는 2개의 록 금구(30)를 갖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a), 도 1(b)에서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 상에 배치 실장된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상기 하우징(1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 평행인 한 방향을 길이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당해 하우징(10)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인 저벽(底壁; 11)(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하 반전하여 나타내는 도 2 참조)과, 당해 저벽(11)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벽부(突壁部; 12)와, 상기 저벽(11)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상기 돌출 벽부(12)를 둘러싸는 틀 형상의 주벽(周壁; 13)을 갖고 있다. 당해 주벽(13)은, 상기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4)과, 당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1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15)을 갖고 있다. 상기 돌출 벽부(12)와 주벽(13)과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개구되는 환상(環狀) 공간은,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의 끼워맞춤부로서의 주벽(63)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6)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하우징(10)에는, 단자(20)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단자 보유지지홈(17)이, 커넥터 폭방향에서 돌출 벽부(12)에 대하여 대칭인 2열을 이루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등(等)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당해 단자 보유지지홈(17)은, 돌출 벽부(12)의 측면, 저벽(11)의 상면, 측벽(14)의 내측면(돌출 벽부(12)의 측면과 대향하는 면), 당해 측벽(14)의 상면 및 외측면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됨과 함께 패여 있으며, 상기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아 가로 S자 형상을 이루는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In the
하우징(10)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부(10A)에서 록 금구(30)를 보유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의 단부(10A)란,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 외에 위치하는 부분, 즉, 상기 단자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단자 보유지지홈(17)보다도 외측의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공간(16) 중 상기 단자 배열 범위 외에 위치하는 부분,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10)의 단부(端部)(10A)를 이루는 단벽(端壁)(15)과 2개의 측벽(14)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단부 공간(16A)」이라고 한다. The
또한, 하우징(10)은,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돌출 벽부(12)의 단부에 연결되어 저벽(11)으로부터 상기 단부 공간(16A)을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突條部)(18)를 갖고 있다. 당해 돌조부(18)는 돌출 벽부(12) 및 주벽(周壁)(13)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다. 당해 돌조부(18)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2)의 단홈부(端溝部)(45B) 내에 진입하게 되어 있으며, 커넥터 폭방향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2)를 안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하우징(10)은, 록 금구(30)를 수용하여 보유지지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그 형태의 이해를 위해, 하우징(10)의 더 한층의 설명에 앞서, 우선, 상기 록 금구(30)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도 4는, 도 2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 및 도 3의 플러그 커넥터의 록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4(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 도 4(b)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록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2 and the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of Fig. 3, in which Fig. 4 (a) is a state before connector fitting and Fig. 4 (b) is a lock state after connector fitting. Indicates.
록 금구(30)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한 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다. 도 4(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록 금구(30)는,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을 이룸과 함께 판면(板面)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31)와 함께, 당해 기부(31)로부터 연장되는 피보유지지부(32), 단벽측 록 아암부(33) 그리고 측벽측 록 아암부(34)를 각각 2개씩 갖고 있다.The
상기 기부(31)는, 커넥터 폭방향(도 4(a)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측 기부(31A)와, 당해 단벽측 기부(31A)의 양단으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도 4(a)에서 왼쪽 비스듬히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측 기부(31B)를 갖고 있다. 상기 피보유지지부(32)는, 상기 측벽측 기부(31B)의 하연(下緣)에서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굴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부(32A)와, 당해 고정부(32A)에 연속하여 상방으로 향하여 굴곡되어 측벽측 기부(31B)의 상연(上緣)과 거의 동(同) 위치까지 연장되는 압입 아암부(32B)를 갖고 있다. The
상기 고정부(32A)는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단자(20)의 접속부(22)와 서로 작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를 회로 기판 상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당해 고정부(32A)와 압입 아암부(32B)와의 연결 부분(굴곡 부분)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3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32A)가 땜납 고정될 때에, 용융한 땜납이 당해 구멍부(32C)를 메움으로써, 회로 기판에 대한 고정이 보다 강고한 것이 된다. 상기 압입 아암부(32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연(兩端緣)으로부터 돌출되는 압입(壓入) 돌부(32B-1)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압입 돌부(32B-1)는, 상기 압입 아암부(32B)가 하우징(10)의 금구 보유지지홈(14A)에 압입되면, 상기 금구 보유지지홈(14A)의 내벽면에 파고들어 그 고정을 강고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The fixing
상기 단벽측 록 아암부(33)는, 단벽측 기부(31A)의 하연으로부터 단자 배열 범위 내측(도 4(a)에서의 왼쪽 비스듬히 하측)으로 되접혀 상방으로 향하여 단벽측 기부(31A)의 상연과 거의 동 위치까지 연장되는 띠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판두께 방향, 바꾸어 말하면 단자 배열 방향에서 탄성 휨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단벽측 록 아암부(33)는, 그 상단 근처의 위치에서 판면의 일부가 상기 단자 배열 범위측으로 향하여 대략 반구(半球) 형상으로 돌출된 단벽측 록 돌부(33A)가 형성되어 있다(도 5(a)도 참조). 당해 단벽측 록 돌부(33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상대 록 금구(60)의 단벽측 피(被)록(lock) 오목부(62A)와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6(a) 참조). 상기 단벽측 록 돌부(33A)는, 예를 들면 판두께 방향에서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The short wall side
상기 측벽측 록 아암부(34)는, 상기 측벽측 기부(31B)로부터 단자 배열 범위 내측으로 향하여 연출되어 있음과 함께,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약간 경사져 있으며, 그 판두께 방향, 바꾸어 말하면 커넥터 폭방향으로 탄성 휨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측벽측 록 아암부(34)는, 상단 근처 위치에서 판면의 일부가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된 측벽측 록 돌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측벽측 록 돌부(34A)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를 이루고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상대 록 금구(60)의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와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당해 측벽측 록 돌부(34A)의 상면은,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경사면에 상기 상대 록 금구(60)가 상방으로부터 맞닿으면, 상기 측벽측 록 아암부(34)가 커넥터 폭방향 바깥 방향으로의 성분을 포함하는 힘을 받아 동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게 되어 있다. 당해 측벽측 록 돌부(34A)는, 이미 서술한 단벽측 록 돌부(33A)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판두께 방향에서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The side wall side
하우징(10)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하우징(10)의 단부(10A)는, 2개의 측벽(14)에, 록 금구(30)의 압입 아암부(32B)를 압입 보유지지하기 위한 금구 보유지지홈(14A)이 상방(도 1(a), 도 1(b)에서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단부(10A)를 이루는 측벽(14) 및 단벽(15)에, 록 금구(30)의 기부(31) 및 측벽측 록 아암부(3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수용 홈부(10B)는, 도 2의 상방(도 1(a), 도 1(b)에서 하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며 상방으로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당해 수용 홈부(10B)는, 상기 단부(10A)의 측벽(14)을 따른 부분이 단부 공간(16A)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도 1(a),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록 금구(30)가 하우징(1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록 금구(30)의 측벽측 기부(31B) 및 측벽측 록 아암부(34)가 단부 공간(16A)을 향하여 노정(露呈)된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단부(10A)는, 록 금구(30)의 2개의 단벽측 록 아암부(33)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수용 구멍부(15A)가, 단벽(15)에서 상방(도 1(a), 도 1(b)에서는 하방)으로 향하여 개구되어 커넥터 폭방향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당해 수용 구멍부(15A)는, 도 2의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상기 수용 홈부(10B)에 둘러싸여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단부 공간(16A)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록 금구(30)가 하우징(1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단벽측 록 아암부(33)가 단부 공간(16A)을 향하여 노정된다. 2, the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단부(10A)의 상면의 내연부, 즉 단부 공간(16A)을 따라서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부에는, 당해 단부 공간(16A)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10C)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끼워맞춤시에는,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2)의 단벽(63)이 당해 안내면(10C)에서 단부 공간(16A) 내로 안내됨으로써, 당해 플러그 커넥터(2)의 주벽(43)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 공간(16) 내에 맞물려지게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inn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단자(20)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한 채로 당해 금속판을 펀칭하여 만들어져 있고, 판면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당해 단자(20)는, 단자 배열 방향(판두께 방향)으로 보아 전체가 가로 S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의 단자(상대 단자)(50)와 접촉하는 접촉부(21)가 일단측에 그리고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22)가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단자(20)는, 상기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피보유지지부(23)가 하우징(10)의 측벽(14)을 걸치도록 하여, 상방으로부터 단자 보유지지홈(17) 내에 압입되어 부착된다. 당해 피보유지지부(23)에는, 플러그 커넥터(2)의 상대 단자(50)와 걸리기 위한 록 돌부(23A)가 상기 접촉부(21)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The terminal 20 is made by punching the metal plate while maintaining the flat surface of the metal plate, and is arranged so that the plate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 terminal 20 has a horizontal S-shape as a whole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상기 단자(20)가 상기 단자 보유지지홈(17)에서 보유지지된 상태에서는, 도 1(a),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단자(20)의 접촉부(21)가 돌출 벽부(12)의 측면으로부터 수용 공간(16)으로 향하여 돌출됨과 함께, 상기 록 돌부(23A)가 측벽(14)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용 공간(16)으로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상기 단자(20)의 접속부(22)가 하우징(10)의 저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연출(延出)되어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terminal 20 is held in the
이미 서술한 록 금구(30)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저벽(11)측(도 2에서 상방)으로부터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록 금구(30)의 기부(31) 및 측벽측 록 아암부(34), 압입 아암부(32B), 단벽측 록 아암부(33)가 각각 하우징(10)의 금구 보유지지홈(14A) 내, 수용 홈부(10B) 내, 수용 구멍부(15A) 내에 수용시킨다. 이 결과, 상기 압입 아암부(32B)의 압입 돌부(32B-1)가 상기 금구 보유지지홈(14A)의 내벽면에 파고듦으로써, 상기 록 금구(30)가 상기 하우징(10)에 압입 보유지지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다음으로, 도 1(a), 도 1(b) 및 도 3에 기초하여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40)과, 당해 하우징(40)의 길이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당해 하우징(10)에 의해 2열로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단자(50)(이하, 「상대 단자(50)」라고 함)와,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하우징(40)의 양단부에서 보유지지되는 2개의 상대 록 금구(60)를 갖고 있다. 당해 플러그 커넥터(2)는, 도 1(a)에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 상에 배치 실장되고, 도 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하 반전시킨 자세로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춤 접속된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하우징(4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 평행인 한 방향을 길이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당해 하우징(40)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인 저벽(41)(도 1(b) 참조)과, 도 1(a) 및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저벽(41)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기립하는 틀 형상의 주벽(43)을 갖고 있다. 당해 주벽(43)은, 상기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44)과, 당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4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45)을 갖고 있다. 당해 주벽(13)에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되는 공간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출 벽부(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46)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하우징(40)은, 상대 록 금구(60)를 보유지지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그 형태의 이해를 위해, 하우징(40)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우선, 상기 상대 록 금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주로 도 4(a)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40)으로 보유지지되는 상대 록 금구(60)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도 4(a)에서는, 도 1(b)의 상대 록 금구(60)와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나타나 있으며, 도 1(a) 그리고 도 3의 상대 록 금구(60)와는 상하 방향으로 반전하여 나타나 있다. 상대 록 금구(60)는, 도 1(b)에서의 하우징(40)의 단벽(45)의 하면(도 1(a), 도 3에서는 상면)을 덮는 기부(61)와, 당해 기부(61)로부터 상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단벽(45)의 단면을 덮는 단벽측 피록부(62)와, 당해 기부(61)로부터 상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단벽(45)의 측면을 덮는 측벽측 피록부(63)를 갖고 있다. Mainly based on FIG.4 (a), the structure of the
상기 기부(61)는, 커넥터 폭방향(도 4(a)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단자 배열 방향(도 4(a)에서 왼쪽 비스듬히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슬릿부(61A)는, 상대 록 금구(60)가 하우징(40)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하우징(40)의 단벽(45)의 단홈부(45B)와 대응하여 위치한다(도 1(a) 참조). The
상기 단벽측 피록부(62)는, 도 4(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록 금구(30)의 단벽측 록 아암부(33)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당해 단벽측 피록부(62)의 상연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고, 상기 단벽측 록 아암부(33)의 단벽측 록 돌부(33A)와 걸리기 위한 단벽측 피록 오목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a), the short wall
상기 측벽측 피록부(63)는, 도 4(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부(61)에 가까운 하방측의 위치에서, 단자 배열 범위 내측(도 4(a)에서 왼쪽 비스듬히 하측)의 연부가 절결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록 금구(30)의 측벽측 록 돌부(34A)와 걸리기 위한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의 상방에는, 하우징(40)으로의 상대 록 금구(60)의 장착을 위한 걸림 아암부(63B)가 상기 단자 배열 범위 내측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걸림 아암부(63B)는,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굽힘 가공을 받아 약간 굴곡되어 있어, 당해 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한 걸림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록 금구(30)의 측벽측 록 돌부(34A)를 수용과 함께, 당해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의 하연에서 상기 측벽측 록 돌부(34A)와 커넥터 빠짐 방향(상방)에 걸린다. As shown in FIG.4 (a), the said side wall side
하우징(10)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당해 하우징(10)의 단벽(45)은, 도 1(a),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 록 금구(60)를 보유지지하고 있다. 도 3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단벽(45)은, 모서리부를 제외하고, 상면(도 1(b)에서는 하면),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및 단면(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이, 당해 상대 록 금구(60)의 판두께만큼만 패여 있다. 또한, 당해 단벽(45)의 측면은, 대략 하반부가 더욱 패여 있어, 단부(段部)가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단부가 하우징(40)으로의 상기 상대 록 금구(60)의 부착을 위한 대응 걸림부(45A)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벽(45)의 상면에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로서의 단홈부(45B)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단홈부(45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하우징(10)의 돌조부(18)를 수용한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상대 단자(50)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얻어진 띠 형상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만들어져 있다. 당해 상대 단자(50)는, 하우징(40)의 각 측벽(44)에 일체 몰드 성형되어 보유지지되어 있으며, 당해 측벽(44)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다. 당해 상대 단자(50)는, 하우징(10)의 저벽(41)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측벽(44)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출되는 직상(直狀)의 접속부(51)와, 당해 접속부(51)에 연속하여 도 1(a), 도 3에서의 상방(도 1(b)에서의 하방)으로 향하여 굴곡됨과 함께 역 U자 형상으로 되접혀 상기 측벽(44)에 매몰 보유지지되는 역 U자 부분을 갖고 있다. 당해 역 U자 부분은, 상기 측벽(44)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역 U자 형상의 판면이 당해 측벽(44)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노정되어 있다. The
상기 상대 단자(50)의 역 U자 형상 부분의 2개의 다리부 중, 측벽(44)의 내측면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다리부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단자(20)와 접촉하기 위한 대응 접촉부(52)로서 형성되어 있다. 당해 대응 접촉부(52)에는, 상기 단자(20)의 돌기 형상의 접촉부(21)를 수용하기 위한 대응 접촉 오목부(52A)가 판면으로부터 패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4)의 외측면측에 위치하는 다른 한쪽의 다리부는, 상기 단자(20)의 록 돌부(23A)와 걸리기 위한 피록부(53)로서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피록부(53)에는, 상기 록 돌부(23A)를 수용하기 위한 피록 오목부(53A)가 판면으로부터 패여 형성되어 있다. Of the two leg portions of the inverted U-shaped portion of the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40)으로의 상대 록 금구(60)의 장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당해 상대 록 금구(60)는,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40)의 수용 공간(46)이 개구되어 있는 측(도 3에서 상방)으로부터, 당해 하우징(40)의 단벽(45)을 덮도록 하여 장착된다. 이 결과, 도 3에서의 상기 단벽(45)의 상면, 양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그리고 단면(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이 상대 록 금구(60)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당해 단벽(45)은, 상대 록 금구(60)에 의해 보강되어, 당해 단벽(45)은 뜻하지 않은 외력을 받아도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The attachment of the
상대 록 금구(60)의 장착 과정에서는, 우선, 상대 록 금구(60)의 걸림부로서의 2개의 걸림 아암부(63B)가, 각각 상기 하우징(40)의 단벽(45)의 측면에 판면에서 맞닿아,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서로 떨어지는 방향) 탄성 변위한다. 그리고, 당해 걸림 아암부(63B)가 단(段) 형상의 대응 걸림부(45A)를 뛰어 넘어 당해 대응 걸림부(45A)의 하방 위치에 도달하면, 당해 걸림 아암부(63B)가 탄성 변위 상태로부터 복귀한다. 이 결과, 당해 걸림 아암부(63B)가 상기 대응 걸림부(45A)와 걸려, 상하 방향에서의 하우징(40)으로부터의 상대 록 금구(60)의 벗어남이 방지된다. In the mounting process of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아암부(63B) 전체가 걸림부로서 형성되었지만, 이를 대신하여, 걸림 아암부(63B)의 일부만이 굽힘 변형 가공을 받아 걸림부로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아암부 및 피록 오목부를 하우징의 측벽측에 형성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단벽측에 형성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tirety of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 록 금구(60)의 걸림 아암부(63B)와 하우징(40)의 단 형상의 대응 걸림부(45A)가 걸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하우징(40)의 폭방향에서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하우징의 단벽의 양측면에 대하여 평행인 슬릿 형상의 보유지지홈을 당해 단벽에 형성하고, 상대 록 금구의 보유지지부를 당해 보유지지홈에 압입하는 바와 같은 부착의 형태에서는, 당해 보유지지홈을 둘러싸는 벽부를 충분한 두께로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폭방향 및 길이 방향에서 하우징이 대형화되어 버린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순히, 상대 록 금구(60)의 걸림 아암부(63B)를 걸리게 하기 위한 대응 걸림부(45A)를, 하우징(40)의 단벽(45)의 양측면의 일부를 절결하여 단 형상으로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폭방향 및 길이 방향에서 하우징(40)이 대형화되는 일은 없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다음으로, 도 1(b), 도 4, 5, 6에 기초하여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에 있어서의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록 금구 및 플러그 커넥터(2)의 록 금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도 4(a)의 VA-VA 단면도, 도 5(b)는 도 4(a)의 VB 화살표 도면이다. 도 6은,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록 상태에 있어서의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록 금구 및 플러그 커넥터(2)의 록 금구만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도 4(b)의 VIA-VIA 단면도, 도 6(b)는 도 4(b)의 VIB 화살표 도면이다. Next, the fitting operation | movement of connectors will be demonstrated based on FIG.1 (b), FIG.4, 5,6. Fig. 5 is a view showing the lock bracket of the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를 각각 대응하는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에 의해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를 수용 공간(16)이 상방으로 향한 자세로 함과 함께,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상방에서, 플러그 커넥터(2)의 수용 공간(46)이 하방으로 향한 자세로 한다. 이때, 록 금구끼리는, 도 4(a) 그리고 도 5(a),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 록 금구(60)의 단벽측 피록 오목부(62A) 그리고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가, 각각 록 금구(30)의 단벽측 록 돌부(33A) 그리고 측벽측 록 돌부(34A)에 대응하여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First, the
다음으로, 도 1(b)의 자세를 유지한 채로 플러그 커넥터(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출 벽부(12)를 플러그 커넥터(2)의 수용 공간(46) 내로 하방으로부터 진입시킴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2)의 주벽(43)을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 공간(16) 내로 상방으로부터 진입시킨다. 이 결과, 리셉터클 커넥터(1)의 단자(20)의 접촉부(21) 그리고 록 돌부(23A)가, 플러그 커넥터(2)의 상대 단자(50)의 대응 접촉 오목부(52A) 내 그리고 피록 오목부(53A) 내에 각각 진입하여, 단자끼리의 전기적인 접촉 및 커넥터 빠짐 방향(상방)으로의 록이 이루어진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의 하우징(10)의 돌조부(18)가, 플러그 커넥터(2)의 상대 록 금구(60)의 슬릿부(61A)를 하방으로부터 관통하여, 하우징(40)의 단홈부(45B) 내에 진입한다. 이 결과,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진동 등의 외력을 받았다고 해도, 상기 단홈부(45B)의 내벽면 및 상기 슬릿부(61A)의 연부에 의해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돌조부(18)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당해 폭방향에서의 커넥터끼리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릿(61A)의 연부는 금속제의 부재인 상대 록 금구(60)의 일부이며 강도가 높기 때문에, 그만큼, 규제의 효과가 향상된다. Next, the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 상대 록 금구(60)의 단벽측 피록부(62)는, 록 금구(30)의 단벽측 록 아암부(33)를 단자 배열 방향 바깥쪽(단벽측 기부(31A)측)으로 향하여 탄성 변위시키면서, 당해 단벽측 피록부(62)의 판면에서 상기 단벽측 록 아암부(33)의 단벽측 록 돌부(33A)와 슬라이딩 접촉한다. 그리고, 도 4(b) 및 도 6(a), 도 6(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단벽측 피록부(62)의 단벽측 피록 오목부(62A)가, 상기 단벽측 록 돌부(33A)의 위치에까지 도달하여, 록 금구끼리가 정규의 록 위치에 오면, 상기 단벽측 록 아암부(33)가 자유 상태로 되돌아와, 상기 단벽측 록 돌부(33A)가 상기 단벽측 피록 오목부(62A) 내에 돌입(突入)한다. 이 결과, 상기 단벽측 록 돌부(33A)와 상기 단벽측 피록 오목부(62A)가 서로 걸린다. In the connector fitting process, the short wall
한편, 상대 록 금구(60)의 측벽측 피록부(63)는, 록 금구(30)의 측벽측 록 아암부(34)를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탄성 변위시키면서, 상기 측벽측 피록부(63)의 판면에서 상기 측벽측 록 아암부(34)의 측벽측 록 돌부(34A)와 슬라이딩 접촉한다. 그리고, 도 4(b) 및 도 6(a), 도 6(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측 피록부(63)의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가, 상기 측벽측 록 돌부(34A)의 위치에까지 도달하여 록 금구끼리가 정규의 록 위치에 오면, 상기 측벽측 록 아암부(34)가 자유 상태로 되돌아와, 상기 측벽측 록 돌부(34A)가 상기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 내에 돌입한다. 이 결과, 상기 측벽측 록 돌부(34A)와 상기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가 서로 걸린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wall
이와 같이, 록 금구끼리가 정규의 록 위치에 옴으로써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동작이 완료된다. 이 결과, 상기 단벽측 록 돌부(33A)와 상기 단벽측 피록 오목부(62A)와의 걸림 그리고 상기 측벽측 록 돌부(34A)와 상기 측벽측 피록 오목부(63A)와의 걸림에 의해, 커넥터끼리의 뜻하지 않은 빠짐이 방지된다. Thus, the fitting operation | movement of a connector is completed by coming of lock brackets in a normal lock position. As a result, by engaging the short wall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록 금구(30)의 단벽측 록 아암부(33) 및 측벽측 록 아암부(34)는, 록 금구끼리가 정규의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상대 록 금구(60)의 단벽측 피록부(62) 및 측벽측 피록부(63)와 서로 판면에서 슬라이딩 접촉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록 금구의 판두께 방향 절단면 혹은 연부에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결과, 록 금구(30) 및 상대 록 금구(60)의 각각의 판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마모에 의한 걸어맞춤 공간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아, 록 걸어맞춤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for the short wall side
또한, 상기 록 금구(30) 그리고 상기 상대 록 금구(60)는, 각 커넥터의 단부에서, 단벽측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벽측의 합계 세 군데의 위치에 록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2)가 단자 배열 방향 그리고 커넥터 폭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져도, 이에 대하여 강한 록력이 확보되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커넥터끼리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록 금구(30)의 측벽측 록 아암부(34)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연출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당해 측벽측 록 아암부(34)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 록 금구(60)의 측벽측 피록부(63)의 판면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탄성 변위량이 커지기 때문에, 그만큼, 정규의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의 록 금구의 판면끼리의 맞닿음 압력을 낮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커넥터 끼워맞춤 완료 후에 있어서의 록 금구끼리의 걸림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록 금구(30) 및 상대 록 금구(60)의 각각의 판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짐과 함께, 록 금구끼리의 걸림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wall sid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록 금구의 측벽측 록 아암부는 측벽측 기부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출되는 것으로 했지만, 측벽측 록 아암부의 연출 방향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의 높이 치수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예를 들면, 측벽측 기부(基部)로부터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출시켜도 좋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wall side lock arm portion of the lock bracket is directed from the side wall base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b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de wall side lock arm portion is directe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ight dimension of the connector is sufficiently large. For example, you may make it direct from a side wall side base part to a connector insertion and disengagement direction (up-down direction).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록 금구의 단벽측 록 아암부 및 상대 록 금구의 단벽측 피록 오목부를 각각 2개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각각 1개만 형성해도 좋고, 또한, 각각 3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short wall side lock arm portions of the lock bracket and two short wall side concave portions of the mating lock bracket are formed, respectively, but instead of this, only one may be formed, and three or more may be formed respectively. good.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에 돌기 형상의 록부가 형성됨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에 오목 형상의 피록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상기 록 금구에 오목 형상의 피록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상대 록 금구에 돌기 형상의 록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록 금구에 탄성 변위 가능한 록 아암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상대 록 금구에 록 아암부를 형성해도 좋고, 또한, 록 금구에 록 아암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jection-shaped lock portion is formed in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recessed lock portion is formed in the mating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Instead, the recessed lock portion is formed in the lock bracket. In addition, it is good also as forming a processus | protrusion lock part in the said mating lock bracke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lock arm part which can be elastically displaced is formed in the lock bracket, instead of this, the lock arm part may be formed in the mating lock bracket, and the lock arm part may be formed in the lock bracket.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플러그 커넥터
10 : 하우징
14 : 측벽
15 : 단벽
20 : 단자
30 : 록 금구
31 : 기부
31A : 단벽측 기부
31B : 측벽측 기부
33 : 단벽측 록 아암부
34 : 측벽측 록 아암부
40 : 하우징
45A : 대응 걸림부
50 : 상대 단자
60 : 상대 록 금구
63B : 걸림 아암부1: Receptacle Connector
2: plug connector
10: Housing
14: sidewall
15: single wall
20: terminal
30: rock bracket
31: Donate
31A: Base wall side
31B: Sidewall Side Base
33: side wall arm part
34 side wall lock arm part
40: Housing
45A: corresponding catch
50: Relative terminal
60: opponent rock bracket
63B: Hang Arm
Claims (4)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와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가 모두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는,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을 이룸과 함께 판면이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基部)와, 당해 기부로부터 연장되어 판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록 아암부를 갖고, 상기 기부는, 상기 배열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단벽측 기부와, 당해 단벽측 기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측벽측 기부를 갖고, 상기 록 아암부는, 상기 단벽측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단벽측 록 아암부와, 측벽측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측 록 아암부를 갖고, 상기 단벽측 록 아암부와 측벽측 록 아암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와의 정규의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각각의 판면에서 상기 상대 록 금구의 판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정규의 록 위치에서 상대 록 금구와 커넥터 빠짐 방향에서 서로 록하는 록부 혹은 피(被)록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receptacle connector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a plug connector fitted and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in a connector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wherein the receptacl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surface. A lock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y-held in the housing with one parallel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lock engagement with the plug connector at both ends of the hous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bracket, the connector having a mating terminal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receptacle connector when the plug connector is fitted and a mating lock fitting engaged with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
Both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mating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are made by processing a metal plate, and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has a substantially U-shape and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onnector. And a base extending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and a lock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to b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the base extending in a connector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a side wall side base located along a side wall of the housing extending in the array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end wall side base, and the lock arm portion is a short wall extending from the end wall side. The side lock arm portion and the side wall side lock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side base, While the wall-side lock arm portion and the side wall-side lock arm portion reach the normal lock position with the mating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each plate surface is made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mating lock bracket.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lock portion or a locked portion that locks each other in a lock release direction with a mating lock bracket in a locked position.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에 형성된 측벽측 록 아암부는 측벽측 기부로부터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연출(延出)되어 커넥터 폭방향으로 탄성 휨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herein the side wall side lock arm portion formed in the lock bracke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s extended from the side wall bas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to be elastically bent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록 금구는,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아암부를 갖고, 당해 걸림 아암부 중 적어도 일부가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굽힘 가공을 받아 걸림부를 형성하고, 당해 걸림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단(段) 형상의 대응 걸림부와 걸려 있어,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벗어남을 방지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ting lock bracket formed on the plug connector has a catching arm portion extend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at least a part of the catching arm portion being bent inward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o form a catching portion, and the catching portion forms a housing of the plug connect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hich is engaged with a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of an end shape and prevents the plug connect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using in the connector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상기 록 금구가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고, 당해 록 금구는,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을 이룸과 함께 판면이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와, 당해 기부로부터 아암 형상으로 연장되어 판면과 직각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록 아암부를 갖고, 상기 기부는, 상기 배열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단벽측 기부와, 당해 단벽측 기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측벽측 기부를 갖고, 상기 록 아암부는, 상기 단벽측 기부로부터 굴곡되어 당해 단벽측 기부와 판면끼리를 평행하게 하도록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벽측 록 아암부와, 측벽측 기부로부터 측벽을 따라서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측 록 아암부를 갖고, 상기 단벽측 록 아암부와 측벽측 록 아암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와의 정규의 록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각각의 판면에서 상기 상대 록 금구의 판면에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록 위치에서 상대 록 금구와 커넥터 빠짐 방향에서 서로 록하는 록부 또는 피록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 receptacle connector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to which a plug connector is fit-fitted at right angles to the mounting surface thereof as a connector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wherein a plurality of receptacle connector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A receptacle connector in which a terminal is held in an array in a housing, and a lock bracket for locking engagement with a plug connector is hel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The lock bracket is formed by processing a metal plate, and the lock bracket has a substantially U-shape and a plate surface extending in the connector insertion and removal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connector insertion and withdrawal direction, and an arm from the base. A lock arm portion extending in a shape and capable of b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wherein the base includes a short wall side base positioned along a short wall of the housing extending in a connector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short wall side; The lock arm portion has a side wall side base located along a side wall of the housing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as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lock arm portion is bent from the short wall side base to allow the connector to be parallel with the short wall side base and the plate surface. The short wall side lock arm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the ship along the side wall from the side wall side base; The side lock side arm extending in the direction, wherein the short side lock side arm and the side lock arm end reach the normal lock position with the mating lock bracket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mating lock bracket on each plate surface. The receptacle connector, which is capable of sliding contact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plate, and has a lock portion or a lock portion that locks to each other in the connector locking direction and the mating lock bracket in the locked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075683A JP5685216B2 (en) | 2012-03-29 | 2012-03-29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
JPJP-P-2012-075683 | 2012-03-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1318A true KR20130111318A (en) | 2013-10-10 |
KR101552941B1 KR101552941B1 (en) | 2015-09-14 |
Family
ID=4952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9326A KR101552941B1 (en) | 2012-03-29 | 2013-03-19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685216B2 (en) |
KR (1) | KR101552941B1 (en) |
TW (1) | TWI521805B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6720B1 (en) * | 2013-11-08 | 2015-02-27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Shield and locking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
WO2016032053A1 (en) * | 2014-08-25 | 2016-03-03 |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 Interposer assembly |
KR20160089175A (en) * | 2015-01-19 | 2016-07-2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Improved connector device for hold-down structure |
KR20180133314A (en) * | 2017-06-06 | 2018-12-14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
KR20190024668A (en) * | 2017-08-29 | 2019-03-0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US10868378B2 (en) | 2018-05-24 | 2020-12-15 | Molex, Llc |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KR20210137912A (en) * | 2020-05-11 | 2021-11-18 | 몰렉스 엘엘씨 |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
KR20230032869A (en) * | 2021-08-31 | 2023-03-07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Socket connec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16803B2 (en) | 2013-09-20 | 2015-05-13 | 第一精工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JP5881666B2 (en) | 2013-11-19 | 2016-03-09 |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receptacle connector |
JP5887326B2 (en) | 2013-12-12 | 2016-03-1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connector |
JP6080786B2 (en) * | 2014-03-07 | 2017-02-1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US9391398B2 (en) | 2014-03-20 | 2016-07-12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assembly |
JP6051242B2 (en) * | 2014-07-16 | 2016-12-2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
CN105305165B (en) * | 2014-07-16 | 2018-10-02 | 广濑电机株式会社 | Circuit board electric connector |
JP6034339B2 (en) | 2014-07-29 | 2016-11-3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
KR101610748B1 (en) | 2014-08-20 | 2016-04-08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Board to board connector |
CN104244608B (en) * | 2014-09-15 | 2016-01-20 | 竞陆电子(昆山)有限公司 | A kind of circuit board connector system with the gold-plated pin groups of steel |
JP6056835B2 (en) * | 2014-11-14 | 2017-01-11 | 第一精工株式会社 | Electric connector for board connection and electric connector device for board connection |
JP6385875B2 (en) * | 2015-04-01 | 2018-09-0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
JP6378642B2 (en) | 2015-04-23 | 2018-08-22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connector |
CN107851914B (en) * | 2015-08-05 | 2019-10-29 | 京瓷株式会社 | Pin connector |
JP6709990B2 (en) * | 2016-04-28 | 2020-06-17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Holding bracket, connector connection body and connector |
US10170849B2 (en) * | 2017-04-07 | 2019-01-01 | Molex, Llc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slidable latch |
KR102283488B1 (en) * | 2017-04-24 | 2021-07-28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
JP7009976B2 (en) * | 2017-12-21 | 2022-01-26 | I-Pex株式会社 |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
TWI674712B (en) * | 2018-07-06 | 2019-10-11 |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 Socket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JP7253337B2 (en) | 2018-08-22 | 2023-04-0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connector |
CN112740484B (en) * | 2018-09-19 | 2022-08-30 | 株式会社藤仓 | Socket connector |
JP7288410B2 (en) * | 2020-02-18 | 2023-06-0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Relay electrical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ircuit board |
JP6968965B1 (en) * | 2020-10-26 | 2021-11-24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
JP1711754S (en) | 2021-08-24 | 2022-04-05 | Electrical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9978A (en) * | 1996-03-18 | 1997-10-03 | Aipetsukusu:Kk | Connector |
JP2006100240A (en) | 2004-08-31 | 2006-04-13 | Kyocera Elco Corp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it |
JP4629132B2 (en) * | 2008-09-16 | 2011-02-0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Reinforcing bracket with lock function and connector provided with the same |
JP2011060478A (en) | 2009-09-08 | 2011-03-24 | Molex Inc | Connector |
JP5523781B2 (en) * | 2009-09-17 | 2014-06-18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Electrical connector and disengagement jig |
-
2012
- 2012-03-29 JP JP2012075683A patent/JP5685216B2/en active Active
-
2013
- 2013-03-01 TW TW102107262A patent/TWI521805B/en active
- 2013-03-19 KR KR1020130029326A patent/KR101552941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6720B1 (en) * | 2013-11-08 | 2015-02-27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Shield and locking type board to board connector |
WO2016032053A1 (en) * | 2014-08-25 | 2016-03-03 |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 Interposer assembly |
KR20160089175A (en) * | 2015-01-19 | 2016-07-2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Improved connector device for hold-down structure |
KR20180133314A (en) * | 2017-06-06 | 2018-12-14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
KR20190024668A (en) * | 2017-08-29 | 2019-03-0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US10868378B2 (en) | 2018-05-24 | 2020-12-15 | Molex, Llc |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US11404807B2 (en) | 2018-05-24 | 2022-08-02 | Molex, Llc |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US11967783B2 (en) | 2018-05-24 | 2024-04-23 | Molex, Llc |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KR20210137912A (en) * | 2020-05-11 | 2021-11-18 | 몰렉스 엘엘씨 |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
KR20230032869A (en) * | 2021-08-31 | 2023-03-07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Socket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401660A (en) | 2014-01-01 |
JP2013206771A (en) | 2013-10-07 |
TWI521805B (en) | 2016-02-11 |
JP5685216B2 (en) | 2015-03-18 |
KR101552941B1 (en) | 2015-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11318A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 |
US9350097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638026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101552942B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plug connector | |
JP5972855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659209B2 (en)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101077462B1 (en) | An electric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 |
JP5090509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5688063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547853B1 (en)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 |
JP6041949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bracket | |
JP5659212B2 (en)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 |
JP6117905B2 (en) | Receptacle connector | |
JP6002297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 |
JP6178395B2 (en) | Plug connector | |
JP5805288B2 (en) | Plug connector | |
JP5959704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 |
JP2015026489A (en)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and plug connector | |
JP2007115578A (en)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