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236A -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4236A KR20130104236A KR1020120025585A KR20120025585A KR20130104236A KR 20130104236 A KR20130104236 A KR 20130104236A KR 1020120025585 A KR1020120025585 A KR 1020120025585A KR 20120025585 A KR20120025585 A KR 20120025585A KR 20130104236 A KR20130104236 A KR 201301042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electric vehicle
- power supply
- payment
- connec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가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하고, 휴대형 연결 장치를 통해 충전 설비와 근거리 통신으로 인증하여 휴대형 연결 장치를 활성화하며 중앙 관리시스템과 3G, WiBro, LTE 등 이동통신으로 재인증을 통해 전력의 도난 등 염려 없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to simplify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bending machine-type charging facility has a configuration for minimal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blocking, and is authenticated by a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facility through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supply electric power to a vehicle and perform a payment without worrying about theft of power through re-authentication with a central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WiBro, and LTE.
기존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벤딩 머신형 충전설비에 전력 제어, 전력량 계산, 결제, 유지 보수 등을 위한 각종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결제, 인증 등을 통해 허용되면, 충전설비에 고정된 충전용 케이블을 전기자동차에 연결하고 허용된 전력량만큼 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order to charge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 bending machine-type charging facility is equipped with various control devices for power control, power calculation, payment, maintenance, and the like. Connected charging cable to the electric vehicle and allowed to charge the battery as much as the allowed power.
이와 같이 기존의 벤딩 머신형 충전설비에는 결제 시스템 등이 결합되어 복잡하고 설비 비용이 높아 도심의 제한된 공간에 설치, 운영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누구나 전기 자동차용 충전사업을 영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제어 시스템과 충전용 케이블 등을 설치 및 유지하는 비용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 보급이 지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As such, the existing bending machine type charging equipment is combined with a payment system, which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so that it is not suitable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in a limited space in the city, and it is difficult for anyone to ru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business. In addition, the economic burden due to the cost of installing and maintaining various control systems and charging cables, etc. is relatively larg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read may be delay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가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하고, 휴대형 연결 장치를 통해 전력 도난의 염려 없이 인증을 통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bending machine-type charging facility has a configuration for the minimum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cut off, the power theft through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It is to provide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power and make an electric vehicle through authentication without concern.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충전전력 공급기의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에 있어서, 충전전력 공급기에 연결을 위한 제1충전케이블과 전기 자동차에 연결을 위한 제2충전케이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과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의 활성화 응답을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된 중앙 관리시스템으로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해당 인증에 따라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을 요청하고,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가 공급하는 전력을 상기 제1충전케이블과 상기 제2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First,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connection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by supplying the power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A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harging cable for connecting to a charging power supply and a second charging cable for connecting to an electric vehicle;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 central management system for transmitting a unique identifier to the charging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an activation response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Requesting power through the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by transmitting an authentication code to the power supply, and supplying power supplied by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first charging cable and the second charging cable; It includes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응답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를 질의하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선불 결제의 완료 또는 상기 후불 결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인증을 위해 입력한다.The control unit may provide a screen for querying a prepaid payment or a postpaid payment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activation response, and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b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upon completion of the prepaid payment or selection of the postpaid payment.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input for the authentication.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은 직접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이 상기 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may directl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ontroller, or when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a user's mobile terminal,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선불 결제는, 네트워크로 연동하는 전자지불 시스템의 승인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자의 계좌 정보, 신용카드정보,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의 SIM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는 질 수 있다.The prepaid payment may be made through a user's account information, credit card information, or SIM information of a user's mobile terminal to make a payment with the approval of an electronic payment system interworking with a network.
상기 제어부는,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고, 상기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고객과 상기 연결 장치를 관리하는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이 해당 후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start of charging to the end of charging,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managing the registered customer and the connected device.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may process the corresponding postpaid payment.
상기 제어부가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에 따른 충전 요구 전력량,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충전된 전력량,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된 전체 전력량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되는 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supplies the prepaid payment amount,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paid payment amount, the amount of power charg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start of charging to the end of charging. The total amount of power is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who cooperate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제1충전케이블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1통신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충전케이블이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2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선 및 상기 제2통신선은 표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통신선일 수 있다.The first charging cable may include a separate first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or the second charging cable may include a separate second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may be communication lines for standard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상기 제1충전케이블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1통신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충전케이블이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2통신선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통신선을 통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수신하는 공급 전압과 공급 전류를 포함하는 공급 가능 정보, 또는 상기 제2통신선을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로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harging cable includes a separate first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or when the second charging cable includes a separate second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the first The control unit provides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supplyable information including a supply voltage and a supply current receiv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ier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or battery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receiving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from the electric vehicle. It can also be sent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에 따르면,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가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하였으며, 충전 설비와 근거리 통신으로 인증하여 휴대형 연결 장치를 활성화하며 중앙 관리시스템과 3G, WiBro, LTE 등 이동통신으로 재인증을 통해 전력의 도난 등 염려 없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고비용, 대형 충전설비 대신 저비용, 소형 충전설비를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하여 충전 서비스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충전소를 많은 곳에 확산시켜 전기 자동차 보급의 걸림돌인 충전설비의 보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According to the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achine type charging facility, that is, the charging power supply has been simplified as much as possible to have only minimal authentication and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 blocking power. By activating the portable connection device and re-authenticating with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WiBro, and LTE, it is possible to supply electric vehicles and make payments without worrying about theft of power. Instead of charging equipment, low-cost, small charging equipment can be safely used to improve the economics of charging service and spread the charging stations in many places to increase the speed of charging equipment, which is an obstacle to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또한, 이에 따라, 충전설비를 설치 보유하는 사업자(SOHO/건물주 등)는 기존의 고가의 대형 충전설비 대신 일반 자동판매기를 설치하는 것과 유사하게 저가 소형의 충전설비를 설치, 무인화하여 운영함으로써 수익성을 높일 수 있으며, 통신사가 각 충전설비의 과금 및 회수를 대행하며, 일정분의 수수료를 충전설비 운영자로부터 지급받게 되므로 운영자는 불필요한 관리비를 지출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자동차 이용자는 충전 연결장치를 자가 보유함으로써 충전설비의 부족 및 관리부실 등으로 인한 대기시간 낭비 및 차량운행 위험을 회피할 수 있고, 동시에 카쉐어링(Car sharing) 사업 등과 연계하여 각종 전기 자동차 사업의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operators (SOHO / building owners, etc.) who install and hold charging facilities can profitably by installing and operating unmanned low-cost filling facilities similarly to the installation of general vending machines instead of large expensive charging facilities. The operator can charge and collect charges for each charging facility, and a certain amount of fee is paid from the charging facility operator, so that the operator can not spend unnecessary administrative expenses.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user can avoid the waste of waiting time and the risk of running the vehicle due to the lack of charging facilities and management failure,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electric vehicles in connection with the car sharing business. It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business.
도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충전 전력 공급기, 연결장치, 및 전기 자동차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결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디스플레이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the connecting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of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ncluding a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display interworking between a connec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of FIG. 1.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특히,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기 자동차는 차량의 크기와 무관하게 승용차뿐만 아니라, 승합차, 버스, 트럭, 트레일러, 기타 특수차 등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스, 휘발유, 경유 등 화석 연료와 함께,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운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카일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electric vehicle mentioned below may be not only a passenger car, but also a van, a bus, a truck, a trailer, other special vehicles, etc.,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vehicle, and in some cases, along with fossil fuels such as gas, gasoline, and diesel, It may be a hybrid car that can operate using the power of.
도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A and 1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및 도 1b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도 2의 120 참조)는,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도 2의 110 참조)와 전기 자동차(도 2의 130 참조)에 각각 연결될 충전 케이블을 구비한다. 충전 전력 공급기(도 2의 110 참조)와 전기 자동차(도 2의 130 참조)의 각 소켓에 결합될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는, 도 1a와 같이 단순히 각각의 AC 또는 DC 전력선에 연결될 2개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1b와 같이 각각의 AC 또는 DC 전력선에 연결될 2개의 단자 이외에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단자에 접속될 다른 단자들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1A and 1B, the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120 of FIG. 2) is a bending machine as simplified as possible to have only a configuration for minimal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disconnect. Type charging facilities, i.e., charging cables to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power supply (see 110 in FIG. 2) and the electric vehicle (see 130 in FIG. 2), respectively. The plug of the charging cable to be coupled to each socket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see 110 in FIG. 2) and the electric vehicle (see 130 in FIG. 2) consists of two terminals to be simply connected to each AC or DC power line as shown in FIG. In some cases, in addition to the two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each AC or DC power line as shown in Figure 1b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other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for the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기 편리하게 구성되며,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도 2의 110 참조)가 설치 운영되는 곳이면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자가 자신의 전기 자동차와 충전 전력 공급기(도 2의 110 참조)를 연결하고 소정 정책에 따른 결제를 통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Such a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onveniently carried by a user, and a bending machine type charging facility, that is, a charging power supply (see 110 of FIG. 2) is installed and operated. Wherever and whenever, the user can connect his electric vehicle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see 110 of FIG. 2) and charge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paym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olic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120)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0)은,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110), 연결 장치(120), 전기 자동차(130),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 네트워크 상의 중앙관리시스템(150), 및 네트워크 상의 결제 서버(160)를 포함한다. 2, the electric
여기서, 네트워크는 3G(WCDMA, GSM, WiFi 포함), WiBro, LTE 등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유선 인터넷 등을 포함하며, 충전 전력 공급기(110) 또는 연결 장치(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단말(140), 중앙관리시스템(150), 결제 서버(160) 등 충전 시스템(100)의 운영에 필요한 장치, 서버, 단말, 시스템 등과 통신할 수 있다. Here, the network includes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including WCDMA, GSM, WiFi), WiBro, LTE, and wired Internet, and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or the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120)는, 충전 전력 공급기(110)와 무선랜(WiFi 등),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등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40), 중앙관리시스템(150), 결제 서버(160) 등과는 위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중앙관리시스템(150)은 본 발명의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등록된 고객(사용자)과 연결 장치(120)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며, 통신사의 서버일 수 있고, 후불 결제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관리시스템(150)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연결 장치(120)에 대한 정보로서, 사용자 이름, 주소, 이동 단말(140)의 전화번호 등 단말 식별자, 연결 장치(120)의 고유 식별자 등에 대한 정보를 각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연결 장치(120)의 고유 식별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일 수 있고, 충전 전력 공급기(110)의 전력 제어부(도 3의 111)에 업데이트하여 활성화 시에 이용되도록 운영할 수 있다. 충전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선불 결제 처리는 네트워크 상의 결제 서버(160)와 같은 전자지불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계좌 정보, 신용카드정보,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140)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에 따라 해당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여기서,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중앙관리시스템(150)과 네트워크를 통해 반드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전력 공급기(110)를 간소화하고 경제적인 운영을 위하여, 중앙관리시스템(15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충전 전력 공급기(110)는 전력 제어부(도 3의 111)의 활성화를 위한 인증을 위해, 전력 제어부(도 3의 111)에 자체적으로 연결 장치(120)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소정 저장 수단에 관리할 수 있다. Here,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connected to the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은 위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스마트폰,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기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또는 이동 단말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등이나 기타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가정용 또는 기업용 사회 전반의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s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 즉,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하기하는 바와 같이 최소한의 인증과 전력 공급/차단을 위한 구성만을 갖도록 최대한 간소화되며,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연결 장치(120)와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고유 식별자를 인증하여 활성화되고, 연결 장치(120)는 중앙 관리시스템(150)과 3G, WiBro, LTE 등 이동통신으로 재인증을 통해 전력의 도난 등 염려 없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충전 서비스는 해당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고비용, 대형 충전설비 대신 저비용, 소형 충전설비인 충전 전력 공급기(110)를 안전하게 이용 가능하게 하여 충전 서비스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충전 전력 공급기(110)의 설치 장소를 많은 곳에 확산시켜 전기 자동차(130) 보급의 걸림돌인 충전설비의 보급에 여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ending machine-type charging facility, that is,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is simplified as much as possible to have only the configuration for the minimum authentication and power supply / cut off, as described below,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The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충전 전력 공급기(110), 연결장치(120), 및 전기 자동차(130)의 동작 관계를 간략히 설명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he
충전 전력 공급기(110)는 전력 제어부(111) 및 통신 모듈(112)을 포함하며, 전력 제어부(111)는 연결장치(120)의 요청에 따라 AC 또는 DC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며, 중앙 관리시스템(150)에 등록된 사용자의 연결 장치(120)에 대한 고유 식별자(MAC 주소, IP 주소 등)를 소정 저장 수단에 저장하여 연결장치(120)의 활성 요청 시에 이용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은 네트워크 상의 중앙 관리시스템(150)과 통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장치(120)와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includes a power control unit 111 and a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the power control unit 111 controls supply or interruption of AC or DC power at the request of the connecting
전기 자동차(130)는 충전 대상인 배터리(132)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배터리(132)의 충전 상태 등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1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충전 전력 공급기(110)로부터 공급되는 AC 또는 DC 전력을 적절히 변환하여 배터리(132)로 공급을 위한 충전 회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131)는 AC 전력의 DC 전력으로의 변환, 또는 충전 속도(완급)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130 may include a battery 132 to be charged, and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133 for managing a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132. In addition, a charging circuit 131 for supplying the battery 132 by appropriately converting AC or DC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may be included as necessary. The charging circuit 131 may include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conversion of AC power into DC power, or controlling the charging speed (complete).
연결장치(120)는 충전전력 공급기(110)에 연결을 위한 충전케이블(제1충전케이블)과 전기 자동차(130)에 연결을 위한 충전케이블(제2충전케이블) 이외에, 제어부(121), 디스플레이부(122), 통신부(123), 및 각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버튼(들)(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요청이나 데이터 전송, 확인 등을 위한 버튼(들)(124)의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22)의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장치(120)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특성 상 실외에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비가 오거나 하는 경우에 손상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LCD 모듈과 같은 디스플레이부(122)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장치(120)에 소정의 커넥터를 구비하여 놓고, 디스플레이부(122)를 해당 커넥터에 장착 또는 분리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2)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되는 모든 기능이 하기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에도 표시될 수 있고, 이동 단말(140)에서 필요한 원격 제어를 통해 연결장치(120)가 해당 필요한 기능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통신부(123)는 충전 전력 공급기(110)와 무선 근거리 통신(무선랜(WiFi 등),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NFC 방식 등)을 위한 모듈(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과, 네트워크 상의 이동 단말(140), 중앙관리시스템(150), 또는 결제 서버(160)와 3G(WCDMA, GSM, WiFi 포함), WiBro, LTE 등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충전전력 공급기(110)에 연결을 위한 충전케이블(제1충전케이블)과 전기 자동차(130)에 연결을 위한 충전케이블(제2충전케이블)은, 전력 공급을 위한 2가닥의 전력선과 그 끝단에 해당 플러그를 가질 수 있으며(도 1a 참조), 또는, 전력선과 표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통신선 및 그 끝단에는 충전전력 공급기(110)와 전기 자동차(130)의 해당 접속 소켓의 단자들에 접속될 플러그를 가질 수 있다(도 1b 참조).The communication unit 123 is a modul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wireless LAN (WiFi, etc.), Zigbee, Bluetooth, NFC, etc.) and the
제어부(121)는 위와 같은 연결장치(120)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제어부(121)는 통신부(123)의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충전 전력 공급기(110)와 통신으로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여 충전 전력 공급기(110)를 활성화시키고 해당 활성화 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123)의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된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해당 인증에 따라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충전전력 공급기(110)가 공급하는 전력을 상기 제1충전케이블과 상기 제2충전케이블을 통해 전기 자동차(13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제어부(121)는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처리로 위와 같은 충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충전되는 전력량, 배터리(132)의 잔량 정보 등 충전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2)의 LCD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2)을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에도 전송되어 이동 단말(140)의 화면에 연동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도 5 참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22)을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가 이동 단말(140)에도 표시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140)에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140)에서도 원격 제어로 연결장치(120)의 동작을 위한 각종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버튼(들)(124)의 기능이나 터치 스크린의 기능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정보를 연결장치(120)의 제어부(12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하는 바와 같이, 인증 코드의 입력이나, 충전 시작 등의 명령 등이 이동 단말(140)에서 원격으로 연결장치(120)에 전송됨으로써 해당 기능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이하,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120)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130)를 운행하면서 연결 장치(120)를 가지고 다니며, 전기 자동차(130) 계기판의 배터리 잔량 상태를 확인하고 배터리(132)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도처에 설치 운영되는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있는 곳에서, 연결장치(120)의 한쪽 제1충전케이블의 플러그를 충전전력 공급기(110)의 해당 소켓에 연결하고, 다른쪽 제2충전케이블의 플러그를 전기 자동차(130)의 해당 소켓에 연결한다(S10, S11).The user carries the
이와 같이 연결 장치(120)의 충전 케이블이 충전전력 공급기(110)와 전기 자동차(130)에 연결되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통신부(123)의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예, 무선랜(WiFi 등), 지그비, 블루투스, 또는 NFC 방식 등)을 통해 충전 전력 공급기(110)로 고유 식별자(MAC 주소, IP 주소 등)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충전 전력 공급기(110)가 통신 모듈(112)을 통해 고유 식별자(MAC 주소, IP 주소 등)를 수신하며, 전력 제어부(111)가 유지하고 있는 고객(사용자)이나 연결 장치(120)의 등록정보(고유 식별자 등)과 수신된 고유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 시에 전력 제어부(111)는 활성화되어 충전을 준비한다(S20). 전력 제어부(111)의 활성화 시에는 인증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통신 모듈(112)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로 활성화 응답을 전송한다(S21).As such, when the charging cable of the
이에 따라 통신부(123)의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활성화 응답을 수신한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2)에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를 질의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S30), 상기 선불 결제의 완료 또는 상기 후불 결제의 선택에 따라 중앙 관리시스템(150)에서 제공되는 인증코드를 통신부(123)의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입력함으로써 중앙 관리시스템(150)의 인증을 재차 진행한다(S31~S35). Accordingly, the
제어부(121)는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처리로 충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충전되는 전력량, 배터리(132)의 잔량 정보 등 충전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의 위와 같은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2)의 LCD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에서 구동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22)을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에도 전송되어, 연결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되는 정보가 이동 단말(140)의 화면에 연동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도 5 참조). The
위와 같이 연동되는 연결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부(122) 화면, 또는 이동 단말(140) 화면 상의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의 선택화면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불 결제를 선택하면, 선불 결제 처리 화면에서 선불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S31). 충전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선불 결제 처리는, 선불 결제 처리 화면에서 사용자가 충전에 필요한 선불 결제 금액과 함께, 사용자의 계좌 정보, 신용카드정보,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140)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 등을 입력하여, 네트워크 상의 결제 서버(160)와 같은 전자지불 시스템과 연동을 통하여 해당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선불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결제 서버(160)는 해당 승인 또는 결제 완료 정보를 연결 장치(120) 또는 이동 단말(140)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 또는 이동 단말(140)은 이와 같은 결제 완료와 관련된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하여 인증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S32). 여기서, 중앙 관리시스템(150)에 관리되고 있는 입금 계좌로 계좌 이체되어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는 연결 장치(120) 또는 이동 단말(140)에서 결제 완료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On the
또한, 위와 같이 연동되는 연결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부(122) 화면, 또는 이동 단말(140) 화면 상의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의 선택화면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후불 결제를 선택하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 또는 이동 단말(140)은 바로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관리시스템(150)에 인증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S33). In addition, on the
이와 같이 선불 결제 처리에 따른 결제 완료와 관련된 메시지 또는 후불 결제의 선택에 따른 인증코드의 요청을 수신하는, 중앙 관리시스템(150)은 직접 해당 인증코드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 또는 이동 단말(140)로 전송하며(S34),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연결 장치(120) 또는 이동 단말(140)은 수신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는 수신한 인증코드를 인증을 위한 화면에 입력하고 이에 따라 입력된 인증코드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 또는 이동 단말(140)에서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하여 중앙 관리시스템(150)에서 발급된 인증코드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S35). 이에 따라 중앙 관리시스템(150)은 해당 인증 코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완료 메시지를 연결 장치(120) 또는 이동 단말(140)로 전송한다(S35). 이동 단말(140)로 인증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이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로 전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S34 단계에서 중앙 관리시스템(150)은 인증코드를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중앙 관리시스템(150)이 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로 전송하면 이동 단말(140)에서 연결 장치(120)로 전송하여 연결 장치(120)의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제어부(121)가 수신하여 S35 단계의 인증 요청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이와 같은 충전전력 공급기(110)의 활성화를 인증과 중앙 관리시스템(150)의 재차 인증 과정에 따른 중앙 관리시스템(150)의 인증을 마친 후, 사용자가 버튼(124) 등을 누르거나 해당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터치함으로써,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통신부(123)의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을 요청할 수 있다(S40). 이에 따라 충전전력 공급기(110)에서 통신 모듈(112)의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이를 수신하고 전력 제어부(111)가 전력 공급을 개시하도록 함으로써(S41), 연결 장치(120)는 충전케이블을 통해 전기 자동차(130)로 전력을 공급하여 배터리(132)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S42).After the authentication of the activation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이와 같이 충전이 시작되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충전전력 공급기(110)로부터 전기 자동차(13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고(S44), 진행 과정을 디스플레이부(122)를 통해 표시하며(S45), 충전 완료후(S46) 충전전력 공급기(110)의 전력 제어부(111)로 충전 완료를 통보하여(S47) 전력을 차단하도록 한다(S48). 또한, 충전 완료 후(S46)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는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해당 충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고객과 연결 장치(120)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시스템(150)으로 전송하여 중앙 관리시스템(150)이 해당 후불 결제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S50). 고유 식별자(MAC 주소, IP 주소 등)와 함께 충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연결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중앙 관리시스템(150)은 해당 고객에 대한 전화번호에 대응된 과금 청구서(예, 중앙 관리시스템이 통신사에서 운영되는 경우)나 기타 전용 과금 청구서 등의 발급을 통해 후불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charging is started as described above, the
도 5와 같이,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의 처리에 의해서, 위와 같이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에 따른 충전 요구 전력량, 충전전력 공급기(110)로부터 전기 자동차(130)로 충전된 전력량,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충전전력 공급기(110)로부터 전기 자동차(130)로 공급된 전체 전력량을 디스플레이부(122)의 화면에 제공하며, 연결 장치(120)의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140)로도 디스플레이부(122)의 화면에 제공되는 되는 정보를 전송하여 이동 단말(140)에서도 충전 서비스 과정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by the processing of the
이외에도, 도 1b와 같이, 충전전력 공급기(110), 연결 장치(120), 전기 자동차(130)가 전력선 이외에 충전케이블에 포함된 별도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통신선으로 상호 연결된 경우에는, 충전전력 공급기(110)로부터 수신하는 공급 전압과 공급 전류를 포함하는 공급 가능 정보 등을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가 디스플레이부(12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40)로도 전송하여 해당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전기 자동차(130)의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133)으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잔량 정보 등도 연결 장치(120)의 제어부(121)가 디스플레이부(12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40)로도 전송하여 해당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S43).In addition, as shown in FIG. 1B, when the charging power supply 110,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충전 전력 공급기(110)
연결장치(120)
전기자동차(130)
사용자 단말(140)
중앙 관리 시스템(150)
결제 서버(160)Charging power supply (110)
Connector (120)
Electric Vehicles (130)
Central Management System (150)
Billing server (160)
Claims (9)
충전전력 공급기에 연결을 위한 제1충전케이블과 전기 자동차에 연결을 위한 제2충전케이블;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과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의 활성화 응답을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된 중앙 관리시스템으로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해당 인증에 따라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을 요청하고,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가 공급하는 전력을 상기 제1충전케이블과 상기 제2충전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In the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for supplying power of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 first charging cable for connecting to a charging power supply and a second charging cable for connecting to an electric vehicle;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unique identifier is transmitted to the charging power supplier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the activation response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is connected to a central management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de to request power through the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and supplies power supplied by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first charging cable and the second charging cable.
Portabl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응답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선불 결제 또는 후불 결제를 질의하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선불 결제의 완료 또는 상기 후불 결제의 선택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인증을 위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provides a screen for querying a prepaid payment or a postpaid payment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activation response.
And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repaid payment or the postpaid payment.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은 직접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이 상기 인증코드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directly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ontrol unit, or when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a user's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Portable connection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상기 선불 결제는, 네트워크로 연동하는 전자지불 시스템의 승인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자의 계좌 정보, 신용카드정보, 또는 사용자 이동단말의 SIM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prepaid pay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user's account information, credit card information, or SIM information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to make the payment with the approval of the electronic payment system interworking with the network. .
상기 제어부는,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산하고,
상기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고객과 상기 연결 장치를 관리하는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이 해당 후불 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start of charging to the end of charging,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the registered customer and the connection device, and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processes the corresponding postpaid payment.
상기 제어부가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 선불 결제된 결제 금액에 따른 충전 요구 전력량,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충전된 전력량, 충전 시작부터 충전 종료 시까지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된 전체 전력량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연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되는 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supplies the prepaid payment amount,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paid payment amount, the amount of power charg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start of charging to the end of charging. And providing the total amount of power to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to a mobile terminal of a user interworking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제1충전케이블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1통신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충전케이블이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2통신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harging cable includes a separate first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or the second charging cable includes an additional second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ic vehicle Portable portable connection device.
상기 제1통신선 및 상기 제2통신선은 표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통신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are communication lines for standard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상기 제1충전케이블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1통신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2충전케이블이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제2통신선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통신선을 통해 상기 충전전력 공급기로부터 수신하는 공급 전압과 공급 전류를 포함하는 공급 가능 정보, 또는 상기 제2통신선을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로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charging cable includes a separate first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power supply, or the second charging cable includes a separate second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The control unit provides supply information including supply voltage and supply current receiv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i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or battery level information receiving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from the electric vehicl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ting to the mobi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5585A KR101738447B1 (en) | 2012-03-13 | 2012-03-13 |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5585A KR101738447B1 (en) | 2012-03-13 | 2012-03-13 |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4236A true KR20130104236A (en) | 2013-09-25 |
KR101738447B1 KR101738447B1 (en) | 2017-06-09 |
Family
ID=4945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5585A KR101738447B1 (en) | 2012-03-13 | 2012-03-13 |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8447B1 (en)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555236A1 (en) * | 2014-06-25 | 2015-12-29 | Fundación Cartif | System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KR101594792B1 (en) * | 2014-11-12 | 2016-02-17 | 주식회사 코디에스 | Charging device,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for charging |
CN106410911A (en) * | 2016-11-07 | 2017-02-15 | 扬州亮点网络技术有限公司 | Mobile phone and electric vehicle dual-purpose networking intelligent charging integrated machine |
KR101713067B1 (en) * | 2015-10-13 | 2017-03-07 | 주식회사 글로쿼드 |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charging apparatus,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KR20180003996A (en) * | 2016-07-01 | 2018-0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In-cable control box mounted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
CN107571746A (en) * | 2016-07-05 | 2018-01-12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Battery charge controller and method, Charge Management server and electric vehicle |
KR20180091605A (en) * | 2017-02-07 | 2018-08-16 | 한찬희 | Electric connecting device between different kind of electric device capable of user certif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 and control system thereof |
KR101968933B1 (en) * | 2018-12-18 | 2019-04-15 | 유영길 | Charge cable controlled by external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N109849721A (en) * | 2019-01-10 | 2019-06-07 | 上海钛昕电气科技有限公司 | Charging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for fault diagnosis |
KR102029822B1 (en) * | 2019-04-08 | 2019-10-08 | 유영길 | Charge cable capable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charge speed control |
KR102029818B1 (en) * | 2019-04-08 | 2019-10-08 | 유영길 | Charge cab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00027841A (en) * | 2018-09-05 | 2020-03-13 | 주식회사 경신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
KR20200027839A (en) * | 2018-09-05 | 2020-03-13 | 주식회사 경신 | Movable char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00102007A (en) * | 2019-01-31 | 2020-08-31 | 주식회사 오토스원 | Portable charger and charging method for module-type battery pack, and charging station for module-type battery pack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45387B (en) * | 2020-07-13 | 2021-09-28 | 徐州久胜电子科技有限公司 | Anti-theft lock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
KR20240108001A (en) | 2022-12-30 | 2024-07-09 | 주식회사 지에스엠씨 | Electric vehicle charger having plug |
-
2012
- 2012-03-13 KR KR1020120025585A patent/KR10173844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555236A1 (en) * | 2014-06-25 | 2015-12-29 | Fundación Cartif | System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KR101594792B1 (en) * | 2014-11-12 | 2016-02-17 | 주식회사 코디에스 | Charging device,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for charging |
KR101713067B1 (en) * | 2015-10-13 | 2017-03-07 | 주식회사 글로쿼드 | Electric vehicle charging method, charging apparatus,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KR20180003996A (en) * | 2016-07-01 | 2018-0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In-cable control box mounted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
CN107571746A (en) * | 2016-07-05 | 2018-01-12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Battery charge controller and method, Charge Management server and electric vehicle |
CN106410911A (en) * | 2016-11-07 | 2017-02-15 | 扬州亮点网络技术有限公司 | Mobile phone and electric vehicle dual-purpose networking intelligent charging integrated machine |
KR20180091605A (en) * | 2017-02-07 | 2018-08-16 | 한찬희 | Electric connecting device between different kind of electric device capable of user certif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 and control system thereof |
KR20200027841A (en) * | 2018-09-05 | 2020-03-13 | 주식회사 경신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
KR20200027839A (en) * | 2018-09-05 | 2020-03-13 | 주식회사 경신 | Movable char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1968933B1 (en) * | 2018-12-18 | 2019-04-15 | 유영길 | Charge cable controlled by external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N109849721A (en) * | 2019-01-10 | 2019-06-07 | 上海钛昕电气科技有限公司 | Charging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for fault diagnosis |
KR20200102007A (en) * | 2019-01-31 | 2020-08-31 | 주식회사 오토스원 | Portable charger and charging method for module-type battery pack, and charging station for module-type battery pack using the same |
KR102029822B1 (en) * | 2019-04-08 | 2019-10-08 | 유영길 | Charge cable capable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charge speed control |
KR102029818B1 (en) * | 2019-04-08 | 2019-10-08 | 유영길 | Charge cab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8447B1 (en) | 2017-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8447B1 (en) |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through Simplified Charging Vending Machine | |
CN109849726B (en) |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authoriz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from a charging station | |
CN103294045B (en) | Based on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for Bluetooth technology | |
KR101233792B1 (en) | Unmanned selling system of power for charge of electric car and method thereof | |
KR101245540B1 (en) |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Charging and Billing Service for Discharged Electric Vehicle using Other Electric Vehicle | |
CN103123732A (en) | Public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charging method | |
CN104933808B (en) | The charging system of electric powercar and application method of a kind of network management | |
KR101828593B1 (en) | Charging system of mobile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using user portable terminal | |
KR20130006949A (en) |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apparatus thereof | |
CN106899972B (en) | Vehicle registration method, vehicle charg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
KR20140054474A (en) | Contents down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
CN202600763U (en) | Booking system for unit vehicle | |
CN109377326A (en) | A kind of community share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 |
KR102432038B1 (en) | In-cable control box mounted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 |
CN113498056B (en) |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a motor vehicle charging process and server device | |
CN104301369A (en) | Vehicle authentication for a BEV charger | |
EP2685585A1 (en) |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 |
KR20140123622A (en) |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
CN112866104A (en) | Offline battery replacement method, battery replacement station, battery replacement vehicl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Ravindran et al. | OCPP based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and its user interface for AC charging in Indian scenario | |
JP6526300B1 (en) | Charge control system, application program and control method in charge control system | |
CN112706641B (en) | 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lternating-current charging pile and storage medium | |
KR20120031809A (en) | Apparatus for charging power of electric viechle and method therefor | |
KR20190058835A (en) | IoT based electric car recharge service system and service platform therefor | |
KR102707625B1 (en) | A Processing System for a Home Charging Payment of a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for Utilizing a Charging Data with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