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30087224A -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224A
KR20130087224A KR1020120008349A KR20120008349A KR20130087224A KR 20130087224 A KR20130087224 A KR 20130087224A KR 1020120008349 A KR1020120008349 A KR 1020120008349A KR 20120008349 A KR20120008349 A KR 20120008349A KR 20130087224 A KR20130087224 A KR 20130087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cultivation
shiitake mushrooms
shiitake
med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의
이병홍
송호연
Original Assignee
이병의
이병홍
송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의, 이병홍, 송호연 filed Critical 이병의
Priority to KR102012000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7224A/ko
Publication of KR2013008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22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은 기존 block 형태의 톱밥 봉지재배를 대신하여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연중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느타리버섯 등 일반 버섯 재배사의 활용도 가능하므로 초기 투자비용이 매우 저렴하여 시장의 상황에 적합하게 품목변환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일반 톱밥 봉지재배의 장점인 배지의 운반이 손쉽고 노동력이 절감되므로 block 형태의 톱밥 봉지재배의 장점과 원목재배의 특징인 고품질의 표고버섯 생산은 수입대체 효과 및 소득향상에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은 중국식의 비효율과 일본식의 고비용의 단점은 해결하고 한국적 현장에 적합한 표고버섯 재배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Multistage cultivation methods of Lentinus edodes from utility sawdust}
본 발명은 톱밥을 이용하여 넓은 다단식의 균상에 연중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이과(Tricholomataceae) 표고속(Lentinula)에 속하는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대표적인 식용버섯으로 봄과 가을에 산지의 활엽수의 마른 줄기나 그루터기 따위에서 자란다. 버섯 갓의 지름은 보통 5∼10 cm이고 처음에는 반구 모양이지만 점차 커지며 펴져서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다갈색에서 흑갈색으로 솜털처럼 생긴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으며 건조하거나 커지면서 때로는 터져서 흰살이 보이기도 한다. 갓 가장자리는 어렸을 때 안쪽으로 감기고 흰색 또는 연한 갈색의 피막으로 덮여 있다가 터지면 갓 가장자리와 버섯대에 떨어져 붙는다. 주로 참나무 원목에 의한 인공재배가 이루어지며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재배를 많이 한다. 최근에는 톱밥을 이용한 재배가 점차 늘고 있으나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하여 보급률이 매우 낮은 편이다.
원목을 사용한 기존 표고버섯 재배방식에서 block 형태의 톱밥을 이용한 봉지 재배로 대체되는 가장 큰 이유는 작업이 용이하고 산림의 훼손이 덜하며, 최종적으로 연중 버섯생산이 가능한 것이 가장 장점이다. 그러나 톱밥을 사용한 기존의 봉지재배는 편리한 작업성에 비하여 배지의 소형화로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데 기술적인 어려움이 많다. 또한 block 형태의 톱밥을 이용한 봉지재배는 용기의 특성상 톱밥 배지에 표고버섯 균사가 성장하고 갈변이 되면 봉지의 형태에 따라 성형이 되는데 현재 사용하는 용기의 크기가 일반적으로 배지량이 1 kg 크기의 원통형 또는 2.5 kg 크기의 직사각형 모양의 block 형태이다. 갈변이 완료된 배지를 균상에서 봉지를 제거하면 이러한 모양의 특성상 윗면에서 발생하는 표고버섯은 모양이 재대로 갖추어지나 90도 각도의 옆면에서 발생하는 버섯은 성장함에 따라서 대의 모양이 굽어지며 배지의 붙어 자라기 쉬워 고품질의 버섯을 생산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현재는 주로 1 kg 크기의 원통형을 비닐하우스 바닥에 깔아 봉지의 윗면만을 제거하고 재배하고 있다. 이러한 재배방식은 다닥을 포장하지 않은 비닐하우스의 특성상 습도 유지가 좋아 1회성인 표고버섯에 생산에는 유리하지만 토지 이용률이 너무 낮어 결과적으로 수개월의 기간동안 생산되는 표고버섯의 생산량이 크게 적어 본래 연중 재배가 가능한 봉지를 이용한 톱밥재배의 취지에서 크게 벗어나 있다. 또한 이렇게 맨 토양의 바닥에 깔고 재배하는 방식은 토지가 넓은 중국식으로 중국의 현실에서는 인건비가 적어 아직은 경제성이 있지만 인건비가 높고 토지 가격이 비싼 한국의 현실에서는 부적합하다.
원목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는 우수한 품질의 표고버섯을 생산할 수 있지만 봄에 원목에 종균을 접종하고 균사가 성장하도록 적재해서 버섯을 생산하기까지 1년을 기다려 다음해에 표고버섯이 발생되므로 많은 시간을 기다리고 버섯 생산의 시기도 정해져 있다. 나무도 1.2 m의 길이와 지름 25 ∼ 30 cm 의 크기이므로 원목자체의 무게와 부피로 작업 시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힘든 노동력이 필요하다. 또한 버섯 재배에 바닥만을 활용하므로 토지의 활용도도 매우 낮고, 버섯 생산이 연중 원하는 시기에 생산되지 못하고 계절의 영향에 좌우되기 때문에 점차로 연중 생산과 작업이 편리하도록 시설을 이용한 block 형태의 봉지를 이용한 톱밥재배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block 형태의 봉지를 이용한 톱밥재배는 원목재배에서 사용하지 않는 작은 크기의 잡목도 사용하여 산림보호 효과도 크고 높은 공간 활용도와 각종 공조시설을 이용한 편리함이 있으나 초기 비용투자가 과다하고 버섯의 품질이 원목에 비하여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원목재배와 비슷하게 바닥에 깔아서 재배하는 수준으로서 작업의 용이함은 있으나 연중 재배하지 못하여 현실적으로 봉지를 이용한 block 재배의 특성을 살린 사계절 재배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원목 수준의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생산하면서도 봉지를 이용한 톱밥재배의 편리성과 사계절 재배가 가능하도록 새로운 방식의 톱밥을 이용한 다단식 표고버섯 재배방법으로 기존의 봉지 톱밥재배의 단점을 해결하는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은 연중으로 재배하기 위해 냉난방 공조시설을 갖춘 표고버섯 재배사에서 토지의 활용도를 높기 위해 배지를 바닥에 깔아서만 표고버섯을 재배하지 않고 작업의 효율성과 편리성도 갖추기 위하여 바닥으로부터 50 cm 전후의 공간을 확보하고 위로 3 ∼ 5단 다단식으로 배지를 놓도록 재배사의 재배면적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방법에서는 각각의 다단식 균상에 발효된 배지를 입상시켜 표고버섯의 모양의 상품성이 우수하도록 상면에서만 표고버섯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방법으로서, (a) 배지 제조는 참나무 톱밥 80%, 쌀겨 10%, 면실피 10%를 혼합하여 함수율을 63%로 수분을 조절하는 단계, (b) 3일간 60℃, 58℃ 그리고 56℃로 일일씩 발효시키는 단계, (c) 발효된 배지는 다단식 균상에 20 ∼ 30 cm 두께로 깔고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d) 22 ∼ 23℃에서 70 ∼ 80일간 배양 및 갈변 숙성시키는 단계, (e) 갈변 후 12 ∼ 13℃에서 2일간 온도 충격을 주는 단계, (f) 15℃에서 표고버섯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방법에 의하면, 기존 톱밥 봉지 재배의 단점을 극복하여 상면에서 우수한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연중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표고버섯 재배사는 신축도 가능하지만 기존의 느타리버섯 균상 재배사를 이용하여 재배가 가능하므로 유휴시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시설을 이용함은 block 형태의 톱밥 봉지재배 전용 재배사를 신축하기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중 재배가 가능하여 기존의 중국식 바닥재배로부터 뛰어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2는 기존의 block 형태로 재배되는 표고버섯 그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균상에서 재배되는 표고버섯 그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균상에서 상자로 재배되는 표고버섯 그림.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톱밥을 이용하여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방식에 있어서 다단식 형태의 균상에 직접 배지를 올려 재배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표고버섯 재배가 원목재배에서 개선된 것이 톱밥을 이용한 봉지재배인데, 봉지재배는 공조시설로 연중 재배가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렇게 톱밥을 이용한 봉지재배는 일명 block 재배라고도 하는데 연중 재배를 위한 공조 설비에 초기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그러나 연중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이 안정화되면 이러한 부분은 시간이 가면서 상쇄되고 경제성도 확보된다. 하지만 원목재배에 비교하여 안정적인 생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확보되기 전에 대부분은 포기하게 되고 최근에는 자체생산 또는 배양센터에서 배지를 분양받아 연간 1∼2회 비닐하우스 바닥에 깔고 표고버섯 재배가 용이한 자연재배 형태로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톱밥 표고버섯의 봉지를 이용한 block 형태의 톱밥 봉지재배의 단점을 극복하고 우수한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연중으로 생산하고자 다단식 균상 재배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기존의 균상재배 방법은 양송이버섯과 느타리버섯에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배지의 특성상 아직 양송이버섯은 다단식 균상을 이용한 재배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느타리버섯은 대부분 균상재배를 벗어나 용기재배로 전환되었다. 균상재배의 가장 큰 특징은 많은 배지의 균사 활력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버섯을 생산하는 것이지만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의 용기재배(병재배)에 비하여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은 용기재배가 가능하므로 대부분 기존의 균상재배에서 용기재배로 전환되는 중이다.
그러나 표고버섯 재배를 기존의 균상식의 다단식 재배로 전환하려는 시도는 표고버섯의 특징이 다른 용기재배에서 재배하는 버섯들과는 달리 1회 수확에 그치지 않고 3∼4회 반복수확을 하기 때문이다. 다른 버섯들과는 달리 표고버섯은 block 형태의 톱밥 봉지 재배를 해도 1회 수확 후 휴지기를 지나서 다시 침수 후에 2차 발생 등으로 배지의 상태에 따라 이러한 과정을 총 3∼4회 반복하게 되므로 1회 수확 후 배지를 폐기하는 팽이버섯, 새송이버섯, 느타리버섯, 만가닥버섯, 잎새버섯 등 다른 용기재배 버섯들과는 생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오히려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는 단계별 수확 후 물주기에 매우 유리하여 block 형태의 봉지 재배보다 수회에 발생하는 표고버섯의 생리에 보다 적합한 재배방식이다. 또한 많은 양의 배지가 다단식의 균상에 충분히 적재되어 있으므로 균사의 활력이 매우 우수하여 고품질의 표고버섯이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톱밥 표고버섯을 다단식 재배방법으로 재배하는 것은 연중 생산이 가능한 표고버섯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방식이며, 기존의 버섯 재배사를 가지고 있는 재배농가에서도 기존 시설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며 적은 노동력으로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생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은 적은 비용과 노동력으로 손쉽게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고소득의 효과가 매우 크며, 기존의 버섯 재배사도 이용이 가능하므로 시장의 원리에 따라 품목을 변경하려는 버섯재배 농가에도 유리하다. 특히 표고버섯은 현재 유통되는 식용버섯 중에서 상시 가격이 가장 높은 품목이므로 앞으로 유가 및 재료비등 생산원가 상승과 점차 노동력이 줄어드는 농촌에서도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량화를 통한 산업화도 가능하므로 수입대체 효과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톱밥을 면적 1.5 m × 10 m × 20 cm의 수준의 다단식 균상에 깔아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방식으로서, 각각의 다단식 균상 면적은 재배사의 여건에 따라 조금씩 크기가 조정될 수 있으나 폭(세로) 1.0 ∼ 2.0 m, 길이(가로) 5 ∼ 15 m, 높이(배지 적재높이) 10 ∼ 30 c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재배사의 다단식 균상은 바닥에서 30 ∼ 60 cm의 공간을 확보하고 다단식 균상은 좌우 2개, 위로 3 ∼ 5단계로서 균일한 온도와 수분분포를 위해서 상하좌우 환기 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a) 배지 제조는 참나무 톱밥 80%, 쌀겨(밀기울) 10%, 면실피 10%를 혼합하여 함수율을 63%로 수분을 조절하는 단계, (b) 혼합한 배지는 3일간 60℃, 58℃ 그리고 56℃로 일일씩 발효시키는 단계, (c) 발효된 배지는 다단식 균상에 20 ∼ 30 cm 두께로 깔고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하는 단계, (d) 22 ∼ 23℃에서 70 ∼ 80일간 배양 및 갈변 숙성시키는 단계, (e) 갈변 후 12 ∼ 13℃에서 2일간 온도 충격을 주는 단계, (f) 15℃에서 표고버섯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제2항에 있어서,
    재배사의 여건상 다단식 균상에 직접 배지를 적재하지 않고 배지를 10 ∼ 15 kg 씩 상자에 넣어 직접 상자를 서로 맞붙여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08349A 2012-01-27 2012-01-27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 Ceased KR20130087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349A KR20130087224A (ko) 2012-01-27 2012-01-27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349A KR20130087224A (ko) 2012-01-27 2012-01-27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224A true KR20130087224A (ko) 2013-08-06

Family

ID=4921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349A Ceased KR20130087224A (ko) 2012-01-27 2012-01-27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72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1995A (zh) * 2015-02-08 2015-04-29 邬方成 一种香菇栽培方法
KR20180068924A (ko) 2018-06-11 2018-06-22 김양희 표고버섯 미토콘드리아 기질 자극을 통한 생장속도 향상을 위한 혼합조성물
KR101870566B1 (ko) 2017-03-31 2018-06-22 강현성 측,하면 버섯발생이 억제된 표고버섯 재배방법
CN111837804A (zh) * 2020-04-26 2020-10-30 柞水县科技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玉木耳菌包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1995A (zh) * 2015-02-08 2015-04-29 邬方成 一种香菇栽培方法
KR101870566B1 (ko) 2017-03-31 2018-06-22 강현성 측,하면 버섯발생이 억제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20180068924A (ko) 2018-06-11 2018-06-22 김양희 표고버섯 미토콘드리아 기질 자극을 통한 생장속도 향상을 위한 혼합조성물
CN111837804A (zh) * 2020-04-26 2020-10-30 柞水县科技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玉木耳菌包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4035B (zh) 暗褐网柄牛肝菌人工栽培方法
CN103583210B (zh) 一种茶园套种灵芝的方法
CN102613001B (zh) 利用修剪的芒果枝叶为主要原料在芒果树底栽培平菇的方法
CN102138435B (zh) 一种灵芝的生态培植方法
CN104255366B (zh) 桃树一字形省力化树形整形栽培方法
KR20080105001A (ko)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CN104584974A (zh) 一种薄壳山核桃篱壁形树形及其整形方法
CN103371053A (zh) 一种利用纯长水稻秸秆栽培绿色天然平菇的方法
CN102652486B (zh) 一种以修剪的芒果枝叶为主要原料在芒果树吊式栽培木耳的方法
CN104335819A (zh) 一种平菇与葡萄的套种方法
KR102663030B1 (ko) 곰보버섯 재배용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곰보버섯의 재배방법
KR20090010922A (ko) 땅찌만가닥 버섯의 균상 재배방법
CN102318499A (zh) 一种榉树套种下的多层林木栽培方法
CN104521565A (zh) 一种温室种植灵芝的方法
KR101013750B1 (ko) 혐기성 발효 및 저온 살균 단계를 포함하는 표고 버섯재배용 톱밥배지의 제조방법 및 이 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재배 방법
KR20130087224A (ko)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다단식 재배 방법
CN104041329A (zh) 一种灵芝的培育方法
KR101169751B1 (ko) 송이재배용 고체종균배지 및 그를 이용한 송이의 재배방법
KR101006734B1 (ko) 접 붙이기 수단을 이용한 관상용 영지버섯 제조방법
CN113207621A (zh) 一种用于大樱桃的营养土及其制备方法
CN105594455B (zh) 云芝栽培方法
CN104381021A (zh) 一种大型灵芝栽培方法
Yamanaka Commercial cultivation of Lyophyllum shimeji.
Pasailiuk Growing of Polyporus umbellatus
CN103749202A (zh) 一种容器培育小叶枸骨的栽培基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