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237A - 가구용 직물 및 의자 - Google Patents
가구용 직물 및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4237A KR20130084237A KR20127031909A KR20127031909A KR20130084237A KR 20130084237 A KR20130084237 A KR 20130084237A KR 20127031909 A KR20127031909 A KR 20127031909A KR 20127031909 A KR20127031909 A KR 20127031909A KR 20130084237 A KR20130084237 A KR 201300842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ft
- warp
- gradually
- backrest
- ch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9—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textured; curled; crimp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47C7/282—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with mesh-like supports, e.g. elastomeric membran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47C5/06—Special adaptation of seat upholstery or fabric for attachment to tubula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47C7/30—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with springs meandering in a flat plan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6—With additional leno yarn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의자용의 하중 지지 부재로서 적용한 경우에, 쾌적한 착석감이 얻어짐과 함께, 패널용의 스크린 부재로서 적용한 경우에는, 스크린 효과가 적절히 발휘되도록 한 가구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날실 가닥(18) 및 씨실 가닥(19)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조성한 바탕 조직(17a)에, 씨실 가닥(19)보다 폭이 넓은 씨실 밴드부(20)를,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여 이간시켜서, 복수 배열함과 함께, 이들 서로 날실 방향으로 이웃하는 씨실 밴드부(20)끼리의 배열 간격(d1, d2…dn)을,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게 하고, 또한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점차 커지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나 시트체에 팽팽하게 설치되는 커버재 등의 의자용의 하중 지지 부재, 혹은 패널용의 스크린 부재 등에 적용되어서, 여러가지 가구의 일부를 이루도록 사용되는 가구용 직물, 및 등받이나 시트체에 있어서의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에, 신체의 등이나 하반신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커버재를 팽팽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의자에 있어서, 착석 시에, 착석자의 신체가 접하는 면, 즉 신체를 지지하는 등받이의 등 접촉면이나 시트체의 시트면을, 메시 형상으로 편성 또는 직조함으로써 바탕 조직을 조성(組成)한 탄성 직물로 이루어지는 커버재를 팽팽하게 설치함으로써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러한 커버재는, 예를 들면, 착석자가 등받이에 기대앉았을 때에 있어서의 신체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후방으로의 휨량을, 등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측에 비하여, 등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측을 크게 하면, 쾌적한 착석감과 동시에, 적당한 통기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의자의 등받이에 있어서는, 테두리 형상을 이루는 등받이 프레임에, 전체가 균일한 밀도로 조성된 메시 형상의 커버재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재의 하부를 적당한 휨량으로 하면, 상부 측이 후방으로 너무 크게 휘어지고, 반대로, 커버재의 상부를 적당한 휨량으로 하면, 하부 측이 너무 크게 휜다는 문제가 있어, 어느 경우도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없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등받이에 있어서는, 커버재(등받이 시트체)를 구성하고 있는 생지(生地)의 전면(全面)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띠 형상의 메시 형상부(저탄성부)를, 생지와 메시 형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번갈아 늘어서게 하여, 상하 복수단 엮고 있기 때문에, 커버재 전체로서의 휨량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하부 측에 비하여, 상부 측의 후방으로의 휨량을 크게 하여, 착석감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커버재는, 긴 실을 메시 형상으로 조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그 자체의 탄성 변형력은, 직물 전면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균일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커버재를, 예를 들면 의자에 있어서의 등받이의 등 접촉면이나 시트체의 시트면에 적용한 경우, 착석자의 등이나 둔부(臀部), 발이 접하는 부위의 하중에 대한 지지 강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탄성 변형력이 균일한 커버재에서는, 신체의 각 부위에 따른 바람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먼저 출원하여 이미 공개된 의자로서, 등받이의 커버재를, 강한 지지력이 필요한 착석자의 요부(腰部)에 강한 탄성 저항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3).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의자에 있어서의 등받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커버재는, 탄성 직물에 있어서의 메시 형상의 바탕 조직과, 이 바탕 조직보다 빽빽한 밴드부로 완전히 이분되고, 강한 지지력이 필요한 착석자의 요부에 상당하는 부위에 밴드부를 대응시키고, 그 밖의 부위에 대하여 바탕 조직을 대응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커버재에서는, 메시 형상의 바탕 조직과, 이 바탕 조직보다 빽빽한 밴드부가 서로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착석자에게는, 요부의 근방에 상당하는 부위에 있어서, 바탕 조직과 밴드부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탄성 지지력의 차이가 극단적으로 커서,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없다.
또, 탄성 직물을, 패널용의 스크린 부재로서 적용한 경우, 바탕 조직과 밴드부의 투과성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패널에 대하여 보는 시선의 각도를 바꾸면, 가려진 패널의 부위가 보여서, 스크린 효과를 적절히 발휘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의자용의 하중 지지 부재로서 적용한 경우에,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패널용의 스크린 부재로서 적용한 경우에는, 스크린 효과를 적절히 발휘시킬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직물, 및 등받이나 시트체에 팽팽하게 설치되는 커버재를, 착석자의 신체에 있어서의 등이나 하반신의 하중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부위마다 극단적으로 다르게 하지 않고, 필요한 부위에 있어서, 강한 탄성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사(單絲) 또는 굵은 연사(撚絲)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날실 또는 씨실을 복수 개 사용하여, 각각 구성되는 날실 가닥 및 씨실 가닥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조성한 바탕 조직의 생지로 이루어지는 가구용 직물로서, 상기 바탕 조직에, 상기 씨실 가닥보다 넓은 폭의 씨실 밴드부를, 상기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여 이간시켜서, 복수 배열함과 함께, 이들 서로 날실 방향으로 이웃하는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상기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그 후,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상기 씨실 밴드부를 구성하는 굵은 씨실의 개수를 증가시켜서, 씨실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으로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그 후,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상기 굵은 씨실의 개수를 감소시켜서, 씨실 밴드부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점차 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인접하는 씨실 밴드부 사이에 있어서의 바탕 조직의 눈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그 후,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상기 눈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타단 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씨실 밴드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열 모양의 패턴을, 생지의 날실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연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가구용 직물을 커버재로 하여 등받이 또는 시트체에 있어서의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상기 등받이의 상하단(端)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상기 가구용 직물을 상기 등받이 또는 시트체에 있어서의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를 구성하는 굵은 씨실의 개수를,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켜서, 상기 씨실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최소가 되는 부위 근방을, 착석자에게 있어서의 요부 또는 둔부의 지지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등받이 또는 시트체에 있어서의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에, 커버재를 팽팽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의자로서, 상기 커버재의 표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띠 형상 단부(段部)를, 상기 등받이의 상하 방향 또는 시트체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시켜서 배열함과 함께, 이들 서로 이웃하는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상기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 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를, 단사 또는 굵은 연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날실 또는 씨실을 복수 개 사용하여, 각각 구성되는 날실 가닥 및 씨실 가닥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조성한 바탕 조직의 생지로 이루어지는 탄성 직물을 사용하여 형성함과 함께, 상기 바탕 조직에, 상기 씨실 가닥보다 넓은 폭의 씨실 밴드부를 상기 커버재의 표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조성하고, 이 씨실 밴드부를 사용하여 띠 형상 단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씨실 밴드부를 형성하는 굵은 씨실의 개수를 점차 증가시켜서, 상기 씨실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최소가 되는 부위 근방을, 착석자에 있어서의 요부 또는 둔부의 지지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가구용 직물은, 날실 가닥 및 씨실 가닥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조성한 바탕 조직에, 씨실 가닥보다 폭이 넓은 씨실 밴드부를,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여, 복수 이간시켜서 배열함과 함께, 이들 서로 날실 방향으로 이웃하는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그 후,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여 점차 크게, 바꿔 말하면,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게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의자용의 하중 지지 부재로서 사용하여,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작은 부위 근방을, 등받이의 요부 또는 시트체의 둔부로 한 경우, 바탕 조직의 부위와 씨실 밴드부의 부위 사이에 탄성 지지력의 차와 같은 위화감을 받지 않고,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또, 패널용의 스크린 부재로서 적용한 경우에는, 씨실 밴드부의 부위가 넓은 면적에 걸쳐서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린 효과를 적절히 발휘할 수 있다.
또,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씨실 밴드부를 구성하는 굵은 씨실의 개수를 증가시킴과 함께, 씨실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그 후,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굵은 씨실의 개수를 감소시켜서, 씨실 밴드부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타단 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직물을 제작하는 공정 중에서, 씨실 밴드부의 폭의 변화를, 동일한 작업의 반복 횟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만으로, 복수 개의 씨실 밴드부에 의한 배열 모양을, 바탕 조직의 표면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인접하는 씨실 밴드부 사이에 있어서의 바탕 조직의 눈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또한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눈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타단 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직물을 제작하는 공정 중에서, 바탕 조직의 날실 방향의 눈 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복수 개의 씨실 밴드부에 의한 배열 모양을, 바탕 조직의 표면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복수 개의 씨실 밴드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열 모양의 패턴을, 생지의 날실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연속시켜 형성함으로써, 큰 가구 등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의자는,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가구용 직물을 상기 등받이 또는 시트체에 있어서의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등받이나 시트체에 팽팽하게 설치되는 가구용 직물을, 착석자의 신체에 있어서의 등이나 하반신의 하중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부위마다 극단적으로 다르게 하지 않고, 필요한 부위에 있어서 강한 탄성 지지력을 얻을 수 있어,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또, 씨실 밴드부를 구성하는 굵은 연사의 개수를,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켜서, 씨실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작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바탕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커버재에, 빽빽한 씨실 밴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최소가 되는 부위의 근방을, 착석자의 요부 또는 둔부의 지지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지지력을 부위마다 극단적으로 다르게 하지 않고, 필요한 부위에 있어서 강한 탄성 지지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의자는, 커버재의 표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띠 형상 단부를, 등받이의 상하 방향 또는 시트체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시켜서 배열함과 함께, 이들 서로 이웃하는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 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재 상에서의 착석자의 등이나 다리의 사이에 걸친 부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버재를, 단사 또는 굵은 연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날실 또는 씨실을 복수 개 사용하여, 각각 구성되는 날실 가닥 및 씨실 가닥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조성한 바탕 조직의 생지로 이루어지는 탄성 직물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또한 바탕 조직에, 씨실 가닥보다 폭이 넓은 씨실 밴드부를 커버재의 표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조성함으로써, 씨실 밴드부를 띠 형상 단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띠 형상 단부를, 커버재의 제작 공정 내에서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씨실 밴드부를 형성하는 굵은 연사로 각각 이루어지는 씨실의 개수를 점차 증가시켜서, 씨실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하도록 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의 조정을, 커버재의 제작 공정 내에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최소가 되는 부위 근방을, 착석자의 요부 또는 둔부의 지지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착석자의 신체에 있어서의 등이나 다리의 사이에 걸친 부위의 미끄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 실시 형태의 가구용 직물을 등받이의 커버재로 사용한 의자의 불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의자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의자의 뒤로 젖힌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커버재를 구성하는 탄성 직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원 A부에 있어서의 탄성 직물의 생지의 바탕 조직을 구성하는 날실 가닥과 씨실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눈 형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각진 프레임 B부에 있어서의 바탕 조직을 구성하는 날실 가닥과 씨실 가닥의 조성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의자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의자의 뒤로 젖힌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커버재를 구성하는 탄성 직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원 A부에 있어서의 탄성 직물의 생지의 바탕 조직을 구성하는 날실 가닥과 씨실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눈 형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각진 프레임 B부에 있어서의 바탕 조직을 구성하는 날실 가닥과 씨실 가닥의 조성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 실시 형태의 가구용 직물을 등받이의 커버재로 사용한 의자의 불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도 2는, 동(同) 의자의 사용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동 의자의 뒤로 젖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실시예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1)는, 선단부에 캐스터(2)를 구비하는 방사상의 5개의 다리로드(3)를 가지는 다리체(4)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체(4)의 중앙에는, 가스 스프링(도시 생략)을 구비하는 신축(伸縮)식의 다리 기둥(5)이 세워서 설치되고, 다리 기둥(5)의 상단(上端)에는, 지지 베이스(6)의 후부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 베이스(6)와 다리 기둥(5)과 다리체(4)를, 일체화하는 경우도 있다.
지지 베이스(6)는, 전방을 향하여 확개(擴開)되는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의 얕은 접시 형상을 이루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前) 상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시트체(7)는, 합성 수지제의 시트판(8)과, 그 상면에 장착된 쿠션재(9)로 이루어지고, 시트판(8)의 전단(前端) 양 측부는, 지지 베이스(6)의 전단 양 측부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피벗(10)을 사용하여 피벗 부착되고, 시트체(7)는, 도 1에 나타내는 후(後) 상향으로 경사지는 대기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수평 또는 후 하향으로 경사지는 사용 위치에, 피벗(1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착석자의 하중이 다리 기둥(5)보다 후방에 가해져서, 시트체(7)의 후부에 의해, 착석자의 둔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시트판(8)의 후단 양 측부에는, 등받이(12)의 하단 양 측부가, 좌우 방향을 향하는 축(11)을 사용하여 피벗 부착되어 있다. 등받이(12)는, 도 2에 나타내는 대략 상방을 향하는 기립(起立) 위치와, 이 기립 위치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뒤로 젖힌 위치에, 축(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받이(1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거꾸로 된 U자 모양을 이루는 등받이 프레임(13)과, 이 등받이 프레임(13)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의 하방에 가로로 걸친 중간 프레임(14)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15)에, 메시 형상의 커버재(16)를 팽팽하게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커버재를 구성하는 탄성 직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 종단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원 A부에 있어서의 탄성 직물의 생지의 바탕 조직을 구성하는 날실 가닥과 씨실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눈 형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각진 프레임 B부에 있어서의 바탕 조직을 구성하는 날실 가닥과 씨실 가닥의 조성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재(16)는, 탄성 직물(17)을, 날실 가닥(18) 및 씨실 가닥(19)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조성한 바탕 조직(17a)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날실 가닥(18) 및 씨실 가닥(19)끼리는, 대략 동일한 폭으로 격자 형상으로 조성함으로써, 눈의 균일한 바탕 조직(17a)으로 되어 있다. 이 바탕 조직(17a)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실 가닥(18)과 씨실 가닥(19)을 격자 형상으로 조성했을 때에, 예를 들면 폭 2mm의 날실 가닥(18)과, 폭 2mm의 씨실 가닥(19)을 각각 2mm의 간격을 두고 격자 형상으로 조성하면, 격자의 중앙에 날실·씨실 2mm의 사각형의 눈의 구멍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좌우로 연장되는 씨실 가닥(19)에는, 도 1,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실 방향, 즉, 등받이(12)의 상하 방향으로, 씨실 가닥(19)보다 폭이 넓은 씨실 밴드부(20)가, 씨실 방향, 즉 등받이(12)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씨실 밴드부(20)는, 바탕 조직(17a)보다 빽빽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씨실 밴드부(20)는, 생지의 날실 방향으로 서로 이간시켜서 복수 배열되고, 이들이 서로 날실 방향으로 이웃하는 씨실 밴드부(20)끼리의 간격(d1, d2…dn)을, 등받이(12)의 상단으로부터 하방 또는 시트체(7)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착석자의 요부에 상당하는 위치를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그 최소 dn이 된 부위로부터 점차 커지는 배열 간격(dn, dn+1…), 바꿔 말하면, 등받이(12)의 상하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씨실 밴드부(20)끼리의 배열 간격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또한 이들 씨실 밴드부(20)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탕 조직(17a) 상의 표면에 돌출시킴으로써, 바탕 조직(17a) 상의 표면에, 복수 개의 씨실 밴드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배열 모양[이하, 이것을 횡단(橫段) 모양이라고 칭한다]을 형성하고 있다.
이 횡단 모양의 패턴은, 적용되는 의자의 등받이(12)의 크기에 맞춰, 생지의 날실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연속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씨실 밴드부(20)의 배열에 의해, 착석자의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실 밴드부(2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후기하는 바탕 조직(17a)에 있어서의 씨실 가닥(19)의 조성에 있어서, 단사(21)와 굵은 연사(23)를 조합시키고, 굵은 연사(23)가 바탕 조직(17a)의 표면으로부터 이랑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는 이랑직(rib weave) 조직으로 조성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씨실 밴드부(20)는, 띠 형상 단부로서 바탕 조직(17a)의 표면에 단차를 갖게 하여 돌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생지의 바탕 조직(17a)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실 가닥(18)을, 복수 개의 단사(21), 예를 들면 4개의 얇은 날실(21a∼21d)과 복수 개의 굵은 연사(22), 예를 들면 4개의 굵은 날실(22a∼22d)에 의해 구성함과 함께, 이들 굵은 날실(22a∼22d)의 양측에, 얇은 날실(21a∼21d)을 각각 2개씩 배열한다.
한편, 씨실 가닥(19)은, 복수 개의 굵은 연사(23), 예를 들면 3개의 굵은 씨실(23a∼23c)에 의해 구성한다.
또, 이들 서로 날실 방향으로 이웃하는 씨실 가닥(19) 사이의 눈의 구멍이 되는 격자 간극 중에는, 복수 개의 단사(24), 예를 들면 3개의 투명한 얇은 씨실(24a∼24c)이, 보강사(補强絲)로서 배열되어 있다.
다음으로, 생지에 있어서의 바탕 조직(17a)의 조성 상태를 설명한다.
날실 가닥(18)를 구성하는 4개의 얇은 날실(21a∼21d) 중에 있어서의 일방의 외측에 배열되는 얇은 날실(21a)에 대해서는, 3개의 얇은 씨실(24a∼24c)이, 3개의 굵은 씨실(23a∼23c)을 3개 넘어 평직 상태로 조직된다.
타방의 외측에 배열되는 얇은 날실(21d)에 대해서는, 3개의 얇은 씨실(24a∼24c) 및 3개의 굵은 씨실(23a∼23c)이 평직 상태로 조직된다.
날실 가닥(18)을 구성하는 4개의 굵은 날실(22a∼22d)에 대해서는, 3개의 얇은 씨실(24a∼24c) 및 3개의 굵은 씨실(23a∼23c)이 각각 번갈아 평직 상태로 조직됨과 함께, 4개의 굵은 날실(22a∼22d) 중에 있어서의 외측 2개의 굵은 날실(22a, 22d)은, 4개의 얇은 날실(21a∼21d) 중에 있어서의 내측 2개의 얇은 날실(21b, 21d)에 대하여, 각각 여직 상태로 얽히게 하여 조직된다. 이것에 의해, 생지의 바탕 조직(17a)을, 날실 가닥(18)과 씨실 가닥(19)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조성함과 함께, 조성 후의 날실 가닥(18)이 씨실 방향으로 어긋나거나, 씨실 가닥(19)이 날실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고, 격자 형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조직된다.
상기한 커버재(16)에 있어서의 생지의 바탕 조직(17a)을 구성하는 씨실 가닥(19)을, 부분적으로 바탕 조직(17a)의 표면에 돌출될 수 있는 씨실 밴드부(20)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씨실 가닥(19)에 있어서의 날실 방향의 양측에, 굵은 씨실(23a, 23b, 23c)을 2개씩 포갬과 함께, 이들 굵은 씨실(23a, 23b, 23c)을, 씨실 가닥(19)의 직조 공정 중에, 필요에 따라 보강사가 되는 얇은 씨실(24a, 24b, 24c)을 보충하면서 짜 넣고, 씨실 가닥(19)를 구성하는 굵은 씨실(23a, 23b, 23c)과 함께 이랑직 조직으로 조성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 서로 날실 방향으로 이웃하는 씨실 밴드부(20)끼리의 배열 간격(d1, d2…dn)을, 등받이(12)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착석자의 요부에 상당하는 위치를 향함에 따라 점차 작게 하기 위해서는, 각 씨실 밴드부(20)의 폭(s1, s2…sn, sn+1)을, 굵은 씨실(23a, 23b, 23c)의 개수를 부분적으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씨실 밴드부(20) 사이에 있어서의 날실 방향의 눈 수를 점차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씨실 밴드부(20)끼리의 배열 간격이 최소 dn이고, 또한 씨실 밴드부(20)의 폭이 가장 넓은 sn 부위로부터 씨실 밴드부(20)끼리의 배열 간격(dn, dn+1…)을 점차 크게 하기 위해서는, 굵은 씨실(23a, 23b, 23c)의 개수를 부분적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씨실 밴드부(20) 사이에 있어서의 바탕 조직(17a)의 날실 방향의 눈 수를 점차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등받이(12)의 상부와 같이, 씨실 밴드부(20)끼리의 배열 간격(d1, d2)이 넓고, 씨실 밴드부(20)의 폭(s1, s2)이 좁고 대략 동일한 부위에 있어서는, 서로 날실 방향으로 이웃하는 씨실 밴드부(20) 사이에 있어서의 바탕 조직(17a)의 날실 방향의 눈 수만을 감소시킴으로써, 씨실 밴드부(20)끼리의 배열 간격을 부분적으로 점차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의자의 등받이에 팽팽하게 설치되는 커버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시트체 등에 팽팽하게 설치되는 커버재나 대형의 패널 등의 큰 가구의 스크린 부재에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체의 경우에는, 횡단(橫段) 모양을 형성하는 각 씨실 밴드부(20)끼리의 배열 간격(d1, d2…dn)을, 시트체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착석자의 둔부에 상당하는 부위를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아지도록 배열하고, 그 후의 배열 간격(dn, dn+1…)을 점차 커지도록 배열, 바꿔 말하면,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의 착석자의 둔부에 상당하는 안쪽을 향하여 씨실 밴드부(20)끼리의 배열 간격이 작아지도록 배열함으로써, 착석자의 둔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큰 가구의 스크린 부재의 경우에는, 크기에 맞추어 횡단 모양을, 생지의 날실 방향으로 적어도 수 회 반복하고 연속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어, 스크린 효과를 적절히 발휘시킬 수 있다.
1: 의자 2: 캐스터
3: 다리로드 4: 다리체
5: 다리 기둥 6: 지지 베이스
7: 시트체 8: 시트판
9: 쿠션재 10: 피벗
11: 축 12: 등받이
13: 등받이 프레임 14: 중간 프레임
15: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 16: 커버재
17: 탄성 직물 17a: 바탕 조직
18: 날실 가닥 19: 씨실 가닥
20: 씨실 밴드부(띠 형상 단부) 21: 단사
21a∼21d: 얇은 날실 22: 굵은 연사
22a∼22d: 굵은 날실 23: 굵은 연사
23a∼23c: 굵은 씨실 24: 단사
24a∼24c: 얇은 씨실
3: 다리로드 4: 다리체
5: 다리 기둥 6: 지지 베이스
7: 시트체 8: 시트판
9: 쿠션재 10: 피벗
11: 축 12: 등받이
13: 등받이 프레임 14: 중간 프레임
15: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 16: 커버재
17: 탄성 직물 17a: 바탕 조직
18: 날실 가닥 19: 씨실 가닥
20: 씨실 밴드부(띠 형상 단부) 21: 단사
21a∼21d: 얇은 날실 22: 굵은 연사
22a∼22d: 굵은 날실 23: 굵은 연사
23a∼23c: 굵은 씨실 24: 단사
24a∼24c: 얇은 씨실
Claims (12)
- 단사(單絲) 또는 굵은 연사(撚絲)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날실 또는 씨실을 복수 개 사용하여, 각각 구성되는 날실 가닥 및 씨실 가닥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조성(組成)한 바탕 조직의 생지(生地)로 이루어지는 가구용 직물로서, 상기 바탕 조직에, 상기 씨실 가닥보다 넓은 폭의 씨실 밴드부를, 상기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여 이간시켜서, 복수 배열함과 함께, 이들 서로 날실 방향으로 이웃하는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상기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그 후,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상기 씨실 밴드부를 구성하는 굵은 씨실의 개수를 증가시켜서, 씨실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으로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그 후,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상기 굵은 씨실의 개수를 감소시켜서, 씨실 밴드부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점차 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직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인접하는 씨실 밴드부 사이에 있어서의 바탕 조직의 눈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생지의 날실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함에 따라 일단 점차 작게 하고, 그 후, 그 최소가 된 부위로부터 상기 눈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타단 측을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직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씨실 밴드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열 모양의 패턴을, 생지의 날실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연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직물. - 제1항에 기재된 가구용 직물을 커버재로 하여 등받이 또는 시트체에 있어서의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상기 등받이의 상하단(端)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상기 가구용 직물을 상기 등받이 또는 시트체에 있어서의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를 구성하는 굵은 씨실의 개수를,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증가시켜서, 상기 씨실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씨실 밴드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최소가 되는 부위 근방을, 착석자에게 있어서의 요부(腰部) 또는 둔부(臀部)의 지지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등받이 또는 시트체에 있어서의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에, 커버재를 팽팽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의자로서,
상기 커버재의 표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띠 형상 단부(段部)를, 상기 등받이의 상하 방향 또는 시트체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간시켜서 배열함과 함께, 이들 서로 이웃하는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상기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 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를, 단사 또는 굵은 연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날실 또는 씨실을 복수 개 사용하여, 각각 구성되는 날실 가닥 및 씨실 가닥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조성한 바탕 조직의 생지로 이루어지는 탄성 직물을 사용하여 형성함과 함께, 상기 바탕 조직에, 상기 씨실 가닥보다 넓은 폭의 씨실 밴드부를 상기 커버재의 표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조성하고, 이 씨실 밴드부를 사용하여 띠 형상 단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을, 씨실 밴드부를 형성하는 굵은 씨실의 개수를 점차 증가시켜서, 상기 씨실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등받이의 상하단 또는 시트체의 전후단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단부끼리의 배열 간격이 최소가 되는 부위 근방을, 착석자에 있어서의 요부 또는 둔부의 지지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33797 | 2010-06-11 | ||
JP2010133797A JP5616135B2 (ja) | 2010-06-11 | 2010-06-11 | 椅子 |
JP2010133796A JP5571470B2 (ja) | 2010-06-11 | 2010-06-11 | 椅子 |
JP2010133795A JP5600032B2 (ja) | 2010-06-11 | 2010-06-11 | 家具用布帛 |
JPJP-P-2010-133796 | 2010-06-11 | ||
JPJP-P-2010-133795 | 2010-06-11 | ||
PCT/JP2011/063131 WO2011155525A1 (ja) | 2010-06-11 | 2011-06-08 | 家具用布帛および椅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4237A true KR20130084237A (ko) | 2013-07-24 |
Family
ID=4509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7031909A KR20130084237A (ko) | 2010-06-11 | 2011-06-08 | 가구용 직물 및 의자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991931B2 (ko) |
EP (1) | EP2580994B1 (ko) |
KR (1) | KR20130084237A (ko) |
CN (1) | CN102946763B (ko) |
WO (1) | WO201115552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6308B1 (ko) | 2022-05-23 | 2022-11-18 | (주)아모스아인스가구 | 가구용 직물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72062A1 (en) * | 2014-05-08 | 2015-11-12 | World Class Prototypes, Inc. | Flexible substrate assembly and associated furniture using the same |
US20160066695A1 (en) * | 2014-09-05 | 2016-03-10 | Zenithen USA LLC d/b/a Z Company | Elastic belt chair rest part |
GB2530297B (en) * | 2014-09-18 | 2019-06-05 | Perch Dynamic Solutions Ltd | A chair back |
US9789790B2 (en) * | 2014-10-03 | 2017-10-17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
CN105780243A (zh) * | 2016-05-19 | 2016-07-20 | 海宁市辉腾织带有限公司 | 一种织带、织带的制造方法及应用该织带的户外椅 |
JP6775015B2 (ja) * | 2016-06-20 | 2020-10-28 | コクヨ株式会社 | 椅子及び座の支持機構 |
US10279714B2 (en) | 2016-08-26 | 2019-05-07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
US20190261790A1 (en) * | 2017-01-03 | 2019-08-29 | Dreamzen, Inc. | Articles including beneficial objects dispersed in horsehair and methods of manufacture |
JP2018122771A (ja) * | 2017-02-02 | 2018-08-09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乗物用シート |
JP7440503B2 (ja) * | 2018-10-25 | 2024-02-28 |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圧縮制限部を有する懸架織布を備えた椅子 |
CN109667036A (zh) * | 2018-12-24 | 2019-04-23 | 浙江鸿燕新材料有限公司 | 一种天地轴玻纤布及其织造方法 |
IT201900011508A1 (it) * | 2019-07-11 | 2021-01-11 | Dv8 Id S R L | Tessuto per seggiola componibile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59597A (en) * | 1935-06-22 | 1936-11-03 | L Leybold Shokwan Kk | Back rest |
US3679261A (en) * | 1970-04-03 | 1972-07-25 | Christo G Slabakov | Automobile seat back |
JPH0141320Y2 (ko) | 1984-09-08 | 1989-12-07 | ||
CN86206222U (zh) * | 1986-08-18 | 1987-04-29 | 贺定文 | 车用座椅 |
US6102482A (en) * | 1999-05-07 | 2000-08-15 | Collins & Aikman Products Co. | Lightweight suspension panel for vehicle seats and door panels |
JP4109441B2 (ja) | 2001-11-02 | 2008-07-02 | 株式会社岡村製作所 | 椅子の背凭れ |
JP2004033542A (ja) * | 2002-07-04 | 2004-02-05 | Itoki Crebio Corp | 椅子 |
US7455366B2 (en) * | 2002-08-07 | 2008-11-25 | Delta Tooling Co., Ltd. | Thin sheet |
JP4238122B2 (ja) | 2003-11-28 | 2009-03-11 | 株式会社イトーキ | 椅子の座板並びに背板 |
JP4734879B2 (ja) * | 2004-09-29 | 2011-07-27 | 株式会社イトーキ | 椅子 |
CN2792862Y (zh) * | 2004-12-28 | 2006-07-05 | 刘福顺 | 汽车用坐垫、靠背及头枕 |
JP2009112360A (ja) | 2007-11-02 | 2009-05-28 | Okamura Corp | 椅子の背凭れ |
JP5304038B2 (ja) * | 2008-06-09 | 2013-10-02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シート装置 |
CN102202546A (zh) | 2008-10-29 | 2011-09-28 | 株式会社冈村制作所 | 椅子的靠背 |
CN201445168U (zh) * | 2009-05-26 | 2010-05-05 | 刘远刚 | 一种网椅 |
-
2011
- 2011-06-08 KR KR20127031909A patent/KR201300842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6-08 EP EP11792482.9A patent/EP258099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1-06-08 CN CN201180028582.9A patent/CN10294676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6-08 WO PCT/JP2011/063131 patent/WO201115552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6-08 US US13/703,310 patent/US899193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6308B1 (ko) | 2022-05-23 | 2022-11-18 | (주)아모스아인스가구 | 가구용 직물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946763A (zh) | 2013-02-27 |
US8991931B2 (en) | 2015-03-31 |
CN102946763B (zh) | 2015-07-15 |
EP2580994A1 (en) | 2013-04-17 |
WO2011155525A1 (ja) | 2011-12-15 |
US20130088065A1 (en) | 2013-04-11 |
EP2580994A4 (en) | 2014-04-02 |
EP2580994B1 (en) | 2016-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84237A (ko) | 가구용 직물 및 의자 | |
US11825957B2 (en) | Zoned suspension seating structure | |
JP2001505258A (ja) | 弾性を有する多層編地 | |
US9334588B2 (en) | Three-dimension fabric | |
JPH04361784A (ja) | いすばり布帛 | |
CN101426406B (zh) | 座椅类家具或躺卧类家具的无支承的覆盖物 | |
JP2015221112A (ja) | 椅子 | |
JP5616135B2 (ja) | 椅子 | |
JP4061167B2 (ja) | メッシュ張り椅子 | |
JP5600032B2 (ja) | 家具用布帛 | |
US11851788B2 (en) | Cover fabric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seat cover fabric | |
JP5841202B2 (ja) | 椅子 | |
JP5571470B2 (ja) | 椅子 | |
JP5823555B2 (ja) | 椅子張り生地 | |
JP5850655B2 (ja) | 布バネ材用経編地 | |
US12070132B2 (en) | Seating structure having a knitted suspension material | |
JP2013226326A (ja) | 椅子 | |
JP2013011035A (ja) | 布バネ材用織編物 | |
KR20230128087A (ko) | 높은 공기 투과성, 탄력성 및 지지성을 가지는 워프니티드 스페이서 메쉬 패브릭 | |
JP2010099106A (ja) | 椅子用背もたれ及び椅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