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999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3999A KR20130083999A KR1020120004655A KR20120004655A KR20130083999A KR 20130083999 A KR20130083999 A KR 20130083999A KR 1020120004655 A KR1020120004655 A KR 1020120004655A KR 20120004655 A KR20120004655 A KR 20120004655A KR 20130083999 A KR20130083999 A KR 201300839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ink
- developing
- pressing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108091008695 photoreceptor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6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exposure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단순한 구조를 통해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며,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창을 포함하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며,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커버와 연동하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광창을 개방하고, 커버가 본체를 개방할 때 광창을 폐쇄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한다. 셔터유닛은 광창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현상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광창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현상롤러와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한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며,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창을 포함하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며,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커버와 연동하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광창을 개방하고, 커버가 본체를 개방할 때 광창을 폐쇄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한다. 셔터유닛은 광창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현상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광창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현상롤러와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그 내부에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감광체유닛의 주위에 배치되어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유닛과,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 및 광주사유닛을 구비한다. 광주사유닛은 대전유닛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유닛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롤러를 감광체에 접촉시켜 현상제를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서로 접촉시켜야 하고, 현상유닛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와 감광체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서로 분리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현상유닛을 가압하거나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해제를 위해 레버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였으나, 특히 복수의 현상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현상유닛에 대응하는 수의 레버가 필요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공간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 또는 가압해제가 개별적으로 수행되므로 각각의 현상유닛 별로 편차가 발생하여 화상품질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순한 구조를 통해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 또는 가압해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며,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창;을 포함하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며,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커버와 연동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광창을 개방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현상유닛의 가압면과 상기 현상롤러는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투과하는 광을 통과시키는 개방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현상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상,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현상유닛의 하단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셔터유닛을 연동시키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유닛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connection ro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커버와 접촉하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항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각각 접촉하며, 제1회전방향 및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는 상기 1링크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면은 상기 제2접촉면보다 상기 제2링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를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가압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1가압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제2링크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가압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2가압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과,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여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폐하며,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광주사유닛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커버와 연동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방하는 제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광주사유닛을 폐쇄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광주사유닛에서 주사된 광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구와, 상기 개방구의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현상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과,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여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폐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커버와 연동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상기 셔터유닛을 연동시키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를 지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단과 접촉하며,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셔터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와 접촉하며, 상기 제2링크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1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제2링크와 접촉하며, 상기 제2링크가 상기 제1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링크의 가압력을 전달받는 제2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돌기는 상기 제1가압돌기에 비해 상기 제2링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커버의 개폐동작과 연동하는 셔터유닛을 통해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다.
또한, 셔터유닛에 복수의 가압부를 장착하여 복수의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 또는 가압해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상유닛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커버를 개폐하는 단순한 동작으로 복수의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 또는 가압해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셔터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링크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셔터유닛이 제2위치에 배치될 때 현상롤러 및 감광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셔터유닛이 제1위치에 배치될 때 현상롤러 및 감광체가 접촉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셔터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링크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셔터유닛이 제2위치에 배치될 때 현상롤러 및 감광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셔터유닛이 제1위치에 배치될 때 현상롤러 및 감광체가 접촉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감광체유닛(50), 전사유닛(60), 정착유닛(7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8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체(10)의 일측에는 커버(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11)는 본체(10)의 일부분을 개폐한다. 사용자는 커버(11)를 열고 본체(10)의 내부로 접근하여 인쇄경로 상의 잼(jam)된 용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6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현상유닛(40)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52)에 주사하여 감광체(52)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광을 생성하는 광원(32)과, 광원(32)에서 생성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복수의 반사미러(34)와, 복수의 반사미러(34)에서 반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광창(36)을 포함한다.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현상롤러(42)와 공급롤러(44, 46)를 가진다. 공급롤러(44, 46)는 현상제를 현상롤러(42)에 공급하며, 현상롤러(42)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52)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에 대응하는 각각의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은 감광체(52)와 대전기(54)를 가진다. 대전기(54)는 감광체(52)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며, 대전기(54)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52)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전사유닛(60)은 각각의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의 감광체(52)에 접촉하여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61), 전사벨트(61)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63), 전사벨트(61)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롤러(65), 각각의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의 감광체(52)에 현상되어 있는 가시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롤러(6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착유닛(7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71)와, 가열롤러(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7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7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80)은 복수의 배지롤러(81)를 구비하여 정착유닛(7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각각의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은 본체(10) 내부에 고정되고,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본체(10)의 일측을 통해 장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각각의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에 회전중심(CY, CM, CC, CK)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에 포함된 현상롤러들(42)과, 각각의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에 포함된 감광체들(52)은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동작을 수행할 때 서로 접촉하고,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교체하기 위해 탈착할 때 서로 분리되는데, 이하에서는 현상롤러(42)와 감광체(52)를 서로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셔터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링크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42)와 감광체(52)는 커버(11)의 개폐동작과 연동하는 셔터유닛(100)에 의해 서로 접촉하거나 분리되고, 커버(11)와 셔터유닛(100) 사이에는 커버(11)와 셔터유닛(100)을 연동시키는 링크유닛(200)이 배치된다.
셔터유닛(100)은 광주사유닛(30)의 상부 및 복수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하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를 관통하며, 몸체부(110)가 이동하는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개방구(120)와, 몸체부(110)의 양측에 몸체부(110)가 이동하는 길이 방향으로 배열, 결합되는 복수의 가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본체(10) 내부의 양측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들(10a, 10b)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커버(11)와 연동하여 커버(11)가 본체(10)를 폐쇄할 때 제1방향(A1)으로 이동하여 광주사유닛(30)을 개방하는 제1위치(P1)에 배치되고, 커버(11)가 본체(10)를 개방할 때 커버(11)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제1방향(A1)과 반대되는 제2방향(A2)으로 이동하여 광주사유닛(30)을 폐쇄하는 제2위치(P2)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방향(A1)은 커버(11)가 개폐하는 본체(1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몸체부(110)의 일단에는 몸체부(110)가 커버(11)와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유닛(200)과 연결되는 연결로드(112)가 마련된다. 연결로드(112)는 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커버(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또한, 연결로드(112)는 링크유닛(200)의 제2링크(220)와 접촉하여 가압력을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가압돌기(112a)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가압돌기(112a)와 연결로드(112)가 마련되는 몸체부(110)의 일단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118)가 결합되어 몸체부(11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가압되어 회전할 때 현상롤러(42)와 감광체(52)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으로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한다.
복수의 개방구(120)는 커버(11)가 본체(10)를 폐쇄할 때 광주사유닛(30)에 마련되는 복수의 광창(36)과 대응하는 위치의 몸체부(110)에 마련되어 복수의 광창(36)을 투과한 광이 감광체(52)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가압부(130)는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과 접촉하여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부재(132)와, 가압부재(132)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34)와, 가압부재(132) 및 제2탄성부재(134)를 수용하는 수용부재(136)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압부재(132)는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본체(10) 내부에 장착되었을 때,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가압면(41)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이 때 복수의 가압부재(132) 및가압면(41)은 현상롤러(42)와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회전중심(CY, CM, CC, CK)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복수의 가압부재(132)는 몸체부(110)와 함께 이동하며, 몸체부(110)가 광주사유닛(30)을 개방하는 제1위치(P1)에 배치될 때, 가압면(41)을 가압하여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회전중심(CY, CM, CC, CK)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중심(CY, CM, CC, CK)의 상부에 위치한 현상롤러(42)가 감광체(52)와 서로 접촉하게 한다.
제2탄성부재(134)의 일단(134a)은 가압부재(132)의 후면과 접촉하고, 타단(134b)은 수용부재(136)의 지지면(136c)와 접촉하여, 가압부재(132)를 탄성 지지한다. 제2탄성부재(134)는 가압부재(132)가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현상롤러(42)와 감광체(52)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으로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한다. 따라서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가압되어 현상롤러(42)가 감광체(52)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현상롤러(42) 또는 감광체(52)가 충돌로 인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제2탄성부재(134)는 현상롤러(42)가 감광체(52)와 접촉한 상태에서 일정한 힘으로 현상롤러(42)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현상롤러(42)와 감광체(52)와의 사이에 일정한 현상갭(gap)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부재(136)는 가압부재(132)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136a)과, 제2탄성부재(134)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136b)과, 제2수용홈(136b)의 일면에 마련되어 제2탄성부재(134)의 타단(134b)을 지지하는 지지면(136c)을 포함한다. 수용부재(136)는 셔터유닛(100)의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유닛(200)은 커버(11)와 셔터유닛(10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11)와 상기 셔터유닛(100)을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링크(210)와, 회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링크(220)와, 제1링크(210) 및 제2링크(2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링크(210)는 커버(11)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과정에서 셔터유닛(10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커버(11)와 접촉하는 접촉면(212)과,제2링크(220)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가압돌기(214)를 포함한다.
접촉면(212)은 커버(11)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제1링크(210)의 일단에 마련되며, 커버(11)가 본체(10)의 일측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커버(11)의 내면과 접촉하고, 커버(11)가 본체(10)의 일측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커버(11)의 내면과 분리된다.
제1가압돌기(214)는 제1링크(21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가이드(230)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슬롯(232)에 수용, 결합되어 제1가압돌기(214)가 커버(11)에 의해 가압되거나 가압해제 되는 과정에서 제1가압돌기(214)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제2링크(220)의 제1접촉면(222)과 접촉하여 제2링크(2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가압한다.
제2링크(220)는 제1링크(210)와 접촉하여 가압되는 과정에서 커버(11)가 본체(10)의 일측을 폐쇄하는 방향과 동일한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 이동하고, 제1링크(21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과정에서 제1회전방향(R1)과 반대되며 커버(11)가 본체(10)의 일측을 개방하는 방향과 동일한 제2회전방향(R2)으로 회전 이동하며, 제1링크(210)의 제1가압돌기(214)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222)과, 연결로드(112)의 제2가압돌기(112a)와 접촉하는 제2접촉면(224)을 포함한다.
제1접촉면(222)은 제1링크(21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가압돌기(214)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1가압돌기(214)와 접촉하는 제2링크(220)의 일면(225a)에 제1가압돌기(214)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접촉면(224)은 제2링크(220)가 회전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가압돌기(112a)에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2가압돌기(112a)와 접촉하는 제2링크(220)의 타면(225b)에 제2가압돌기(112a)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230)는 제1가압돌기(214)가 수용되는 제1가이드슬롯(232)과, 제2가압돌기(112a)가 수용되는 제2가이드슬롯(234)과, 제2링크(22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236)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슬롯(232)은 가이드(230)의 양 측면을 관통하며, 제1가압돌기(2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가압돌기(214)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제1링크(21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가압돌기(214)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제2가이드슬롯(234)은 제1가이드슬롯(232)의 하부에서 가이드(230)의 양 측면은 관통하며, 제2가압돌기(112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가압돌기(112a)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제1링크(21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고 연결로드(112)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2가압돌기(112a)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회전축(236)은 제2링크(220) 및 가이드(230)와 결합되어 제2링크(220)의 회전 이동을 지지하며, 제2링크(220)의 회전중심이 된다.
제1가압돌기(214) 및 제1가압돌기(214)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222)은 각각 제2가압돌기(112a) 및 제2가압돌기(112a)와 접촉하는 제2접촉면(224)보다 회전축(236)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된다. 이는 이중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커버(11)를 닫는 데 드는 힘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제1가압돌기(214) 및 제1접촉면(222)이 접촉하는 지점과, 제2가압돌기(112a) 및 제2접촉면(224)이 접촉하는 지점으로 인해 이중으로 힘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11), 셔터유닛(100), 링크유닛(200)이 연동하여 현상롤러(42)와 감광체(52)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셔터유닛이 제2위치에 배치될 때 현상롤러 및 감광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셔터유닛이 제1위치에 배치될 때 현상롤러 및 감광체가 접촉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커버가 본체의 일측을 개방한 상태이고, 도 7에서는 커버가 본체의 일측을 폐쇄한 상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가 본체(10)의 일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셔터유닛(100)은 광주사유닛(30)의 광창(36)을 폐쇄하는 제2위치(P2)에 배치된다. 이 때 링크유닛(200)은 커버(11)에 의해 가압되지 않고, 셔터유닛(100)은 링크유닛(20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커버(11)를 회전시키면, 커버(1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링크유닛(200)의 제1링크(210)가 커버(11)에 의해 가압되어 본체(1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제2링크(220)를 제1회전방향(R1)으로 회전시킨다.
제2링크(220)는 회전하면서 제2링크(220)와 접촉한 연결로드(112)를 가압하고, 연결로드(112)와 결합된 셔터유닛(100)의 몸체부(110)가 제1방향(A1)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광주사유닛(30)의 광창(36)을 개방한다.
몸체부(110)가 광주사유닛(30)의 광창(36)을 개방함과 동시에 몸체부(110)에 결합된 복수의 가압부(130)가 몸체부(110)와 함께 제1방향(A1)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의 가압면(41)를 가압하여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회전중심(CY, CM, CC, CK)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현상롤러(42)는 점점 감광체(52)에 근접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커버(11)가 본체(10)의 일측을 일정 이상으로 폐쇄하면, 제1링크(210), 제2링크(220), 몸체부(110) 및 가압부(130)의 슬라이드 또는 회전 이동이 완료되고, 몸체부(110)는 광주사유닛(30)을 개방하는 제1위치(P1)에 배치되고, 현상롤러(42)는 감광체(52)와 접촉하여 일정한 갭(gap)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가 본체(10)의 일측을 폐쇄한 상태에서 셔터유닛(100)은 광주사유닛(30)의 광창(36)을 개방하는 제1위치(P1)에 배치된다. 이 때 링크유닛(200)은 커버(11)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고, 셔터유닛(100)은 링크유닛(200)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커버(11)를 회전시키면, 커버(1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링크유닛(200)의 제1링크(210)에 대한 커버(11)의 가압이 해제되고, 제1링크(210)는 커버(11)가 개방하는 본체(1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2링크(220)는 제2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제2링크(220)는 회전하면서 제2링크(220)와 접촉한 연결로드(11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고, 이 때 연결로드(112)와 결합된 셔터유닛(100)의 몸체부(110)는 제2방향(A2)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광주사유닛(30)의 광창(36)을 폐쇄한다.
몸체부(110)가 광주사유닛(30)의 광창(36)을 폐쇄함과 동시에 몸체부(110)에 결합된 복수의 가압부(130)가 몸체부(110)와 함께 제2방향(A2)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회전중심(CY, CM, CC, CK)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각각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현상롤러(42)는 점점 감광체(52)에 멀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커버(11)가 본체(10)의 일측을 일정 이상으로 개방하면, 제1링크(210), 제2링크(220), 몸체부(110) 및 가압부(130)의 슬라이드 또는 회전 이동이 완료되고, 몸체부(110)는 광주사유닛(30)을 폐쇄하는 제2위치(P2)에 배치되고, 현상롤러(42)는 감광체(52)와 분리된다.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11: 커버, 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0: 광주사유닛, 40: 현상유닛,
50: 감광체유닛, 60: 전사유닛,
70: 정착유닛, 80: 인쇄매체 배출유닛,
100: 셔터유닛, 110: 몸체부,
120: 개방구, 130: 가압부,
200: 링크유닛, 210: 제1링크,
220: 제2링크, 230: 가이드.
11: 커버, 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0: 광주사유닛, 40: 현상유닛,
50: 감광체유닛, 60: 전사유닛,
70: 정착유닛, 80: 인쇄매체 배출유닛,
100: 셔터유닛, 110: 몸체부,
120: 개방구, 130: 가압부,
200: 링크유닛, 210: 제1링크,
220: 제2링크, 230: 가이드.
Claims (25)
-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며,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창;을 포함하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며,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커버와 연동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광창을 개방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현상유닛의 가압면과 상기 현상롤러는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투과하는 광을 통과시키는 개방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현상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상,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현상유닛의 하단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셔터유닛을 연동시키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유닛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connection ro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커버와 접촉하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항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각각 접촉하며, 제1회전방향 및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1링크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면은 상기 제2접촉면보다 상기 제2링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를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가압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1가압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제2링크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가압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2가압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과,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여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폐하며,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광주사유닛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커버와 연동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방하는 제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광주사유닛을 폐쇄하는 제2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광주사유닛에서 주사된 광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구와, 상기 개방구의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현상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과,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여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폐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커버와 연동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셔터유닛을 연동시키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를 지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셔터부재의 일단과 접촉하며,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셔터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와 접촉하며, 상기 제2링크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1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재는, 상기 제2링크와 접촉하며, 상기 제2링크가 상기 제1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링크의 가압력을 전달받는 제2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돌기는 상기 제1가압돌기에 비해 상기 제2링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4655A KR101848397B1 (ko) | 2012-01-16 | 2012-01-16 | 화상형성장치 |
EP13151372.3A EP2626751B1 (en) | 2012-01-16 | 2013-01-15 | Image forming apparatus |
US13/742,019 US8948651B2 (en) | 2012-01-16 | 2013-01-15 | Image forming apparatus |
CN201310015914.0A CN103207549B (zh) | 2012-01-16 | 2013-01-16 | 成像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4655A KR101848397B1 (ko) | 2012-01-16 | 2012-01-16 |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3999A true KR20130083999A (ko) | 2013-07-24 |
KR101848397B1 KR101848397B1 (ko) | 2018-05-28 |
Family
ID=4782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4655A KR101848397B1 (ko) | 2012-01-16 | 2012-01-16 |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948651B2 (ko) |
EP (1) | EP2626751B1 (ko) |
KR (1) | KR101848397B1 (ko) |
CN (1) | CN103207549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35965A1 (ko) * | 2014-09-03 | 2016-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34743B2 (en) * | 2009-03-27 | 2014-01-21 | Fuji Xerox Co., Ltd. | Detachable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JP6119536B2 (ja) * | 2013-09-30 | 2017-04-2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20160028218A (ko) | 2014-09-03 | 2016-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JP6946628B2 (ja) * | 2016-09-30 | 2021-10-0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7069851B2 (ja) * | 2018-03-06 | 2022-05-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7056491B2 (ja) * | 2018-09-27 | 2022-04-19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23002265A (ja) * | 2021-06-22 | 2023-01-10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99162B2 (ja) * | 1997-07-03 | 2006-07-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H11109833A (ja) | 1997-10-03 | 1999-04-23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3634807B2 (ja) * | 2002-02-20 | 2005-03-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4585746B2 (ja) * | 2002-06-25 | 2010-11-24 | 三星電子株式会社 |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現像ユニット及びそれを採用した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
JP4134984B2 (ja) * | 2004-12-27 | 2008-08-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695913B2 (ja) * | 2005-04-12 | 2011-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4661507B2 (ja) | 2005-09-30 | 2011-03-3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EP2407829B1 (en) * | 2006-12-28 | 2015-09-02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developing unit and developer cartridge precisely |
JP5282375B2 (ja) | 2007-06-25 | 2013-09-0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装置 |
KR101212295B1 (ko) | 2008-01-08 | 2012-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JP5067875B2 (ja) | 2008-03-31 | 2012-11-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721471B2 (ja) * | 2009-03-23 | 2011-07-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683228B2 (ja) | 2009-12-11 | 2015-03-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2011215561A (ja) | 2010-03-18 | 2011-10-27 | Ricoh Co Ltd |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4985819B2 (ja) * | 2010-05-17 | 2012-07-2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299441B2 (ja) * | 2011-01-14 | 2013-09-2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
2012
- 2012-01-16 KR KR1020120004655A patent/KR1018483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1-15 US US13/742,019 patent/US8948651B2/en active Active
- 2013-01-15 EP EP13151372.3A patent/EP2626751B1/en active Active
- 2013-01-16 CN CN201310015914.0A patent/CN103207549B/zh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35965A1 (ko) * | 2014-09-03 | 2016-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207549A (zh) | 2013-07-17 |
KR101848397B1 (ko) | 2018-05-28 |
US20130183062A1 (en) | 2013-07-18 |
EP2626751A1 (en) | 2013-08-14 |
US8948651B2 (en) | 2015-02-03 |
CN103207549B (zh) | 2018-11-30 |
EP2626751B1 (en) | 2015-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8397B1 (ko) | 화상형성장치 | |
RU2569788C2 (ru) | Проявляющий картридж и электр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 |
US8606143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acting and spacing member | |
US8792805B2 (en) |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969725B1 (ko) |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
US809503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opening and closing unit | |
RU2561768C2 (ru) | Проявочный картридж и содержащее его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 |
US8824919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otation-regulated process cartridge | |
KR101721013B1 (ko) | 화상 형성 장치 | |
KR101766782B1 (ko) | 화상형성장치 | |
JP2016008977A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ユニット | |
US1026146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925060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015202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7184689B2 (en) | Developing cartridge having protective co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1115060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848386B1 (ko) | 화상형성장치 | |
KR20120055431A (ko) |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
US1089584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link mechanism for positioning cartridge | |
JP5601632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1079530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withdrawing mechanism and withdrawal holding mechanism | |
JP2023097625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6235347A (ja) | 画像形成装置 | |
KR20150072952A (ko) | 화상형성장치 | |
KR20220014663A (ko) |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