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30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8301A KR20130078301A KR1020110147166A KR20110147166A KR20130078301A KR 20130078301 A KR20130078301 A KR 20130078301A KR 1020110147166 A KR1020110147166 A KR 1020110147166A KR 20110147166 A KR20110147166 A KR 20110147166A KR 20130078301 A KR20130078301 A KR 201300783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deo call
- call module
- state
- display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본체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내측에 화상통화를 위한 촬상부와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화상통화모듈, 디스플레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화상통화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화상통화모듈을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상태와, 디스플레이 본체의 수용부로 수용된 제2상태로 동작되도록 하는 구동부가 디스플레이 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관이 깔끔해지는 디자인적 효과가 있으며,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에 위치하여 카메라와 마이크가 노출됨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내측에 화상통화를 위한 촬상부와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화상통화모듈, 디스플레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화상통화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화상통화모듈을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상태와, 디스플레이 본체의 수용부로 수용된 제2상태로 동작되도록 하는 구동부가 디스플레이 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관이 깔끔해지는 디자인적 효과가 있으며,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에 위치하여 카메라와 마이크가 노출됨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본체와 화상통신모듈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시청하기 위한 장치로서, 데스크 탑 컴퓨터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전화 단말기 등의 소형 경량화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방출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있다. 이들 장치는 음극선관(CRT)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영상크기의 CRT에 비해 작고,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휴대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래 기능 이외에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통화모듈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화상통화모듈은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가 설치된다. 또한, 화상통화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가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측에 마련된다. 화상통화모듈의 신호 전달을 위해 화상통화모듈과 컨트롤부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종래의 화상통화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에 별도로 장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위치에 돌출되어 고정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에 화상통화모듈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상 이질감을 주고, 화상통화모듈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탈부착할 수 있어 분실될 수 있었다. 또한, 화상통화모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와 마이크로 인해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본체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화상통화를 위한 촬상부와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화상통화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통화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상태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수용부로 수용된 제2상태로 동작되도록 하는 구동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의 이동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어와 연결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화상카메라모듈이 자동으로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의 회동을 위하여 힌지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를 통해 상기 화상통화모듈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수직 방향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된 제2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측에 대해 평평하게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배치되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내측에 촬상부와 마이크부가 마련된 화상통화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 결합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결합부의 일측은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내장되는 구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의 일측은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측에 돌출된 제1상태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수용부로 수용된 제2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회동시키기 위한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와 결합되는 큰 기어와, 상기 큰 기어와 연결되는 작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작은 기어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작은 기어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이동을 전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은 기어는 상기 큰 기어와 상기 노브를 연결하는 구동축의 일 측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본체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해지는 디자인적 효과가 있으며,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에 위치하여 카메라와 마이크가 노출됨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본체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본체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형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본체(4)와, 디스플레이 본체(4)를 지지하는 스탠드(2, 3)와, 디스플레이 본체(4)에 위치하는 화상통화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4)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캐비닛(5, 6)을 포함한다. 캐비닛(5, 6)은 전면판(6)과 후면판(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본체(4)는 테두리부를 둘러싸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2, 3)는 베이스부(3)와 넥부(2)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통화모듈(10)은 디스플레이 본체(4)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판(6)에 장착될 수 있다. 화상통화모듈(1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6, 17)과, 화상통화모듈(10)의 내측에 마련되는 촬상부(미도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화상통화모듈(10)의 하우징(16, 17)은 전면 하우징(16)과, 후면 하우징(1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하우징(16)과 후면 하우징(17)에는 마이크부(미도시)로 음성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마이크 홀(13)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상통화모듈(10)은 디스플레이 본체(4)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본체(4)의 하측이나 전면부의 양 측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상부(미도시)는 화상통화모듈(1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며, 마이크부(미도시)는 화상통화모듈(10)의 양 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전면 하우징(16)의 외측에는 촬상부(미도시)의 렌즈(11)가 노출되며, 렌즈(11)에 의하여 촬영이 가능하다. 전면 하우징(16)에는 렌즈(11)가 노출되도록 렌즈홀(12)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모듈이 디스플레이 본체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화모듈(10)은 디스플레이 본체(4)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수용 가능하다. 화상통화모듈(10)이 디스플레이 본체(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제1상태라고 하고, 화상통화모듈(10)이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를 제2상태라고 정의한다.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 본체(4)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여 화상통화모듈(1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6a)가 마련될 수 있다. 수용부(6a)는 디스플레이 본체(4)의 전면판(6)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통화모듈(10)의 전면부가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으로 수용되게 되며, 화상통화모듈(10)은 캐비닛(5, 6)의 전면판(6)에 장착되기 때문에 수용부(6a)는 전면판(6)의 윗면에 마련된다. 화상통화모듈(10)은 디스플레이 본체(4)의 수용부(6a)에 수용된 제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4)의 외면에 대해 평평하게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즉, 화상통화모듈(10)이 디스플레이 본체(4)의 수용부(6a)에 수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4)의 외관과 일체화되어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통화모듈(1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미감상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화상통화모듈(10)은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용될 수 있다. 화상통화모듈(10)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본체(4)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베젤의 폭이 화상통화모듈(10)이 결합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넓어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화상통화모듈(10)이 제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베젤의 폭에 변화를 주지 않아도 되므로 디스플레이 본체(4)의 폭이 넓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화상통화모듈(10)은 수용부(6a)에 수용되는 제2상태에서 렌즈(11)가 위치하는 화상통화모듈(10)의 전면부가 수용부(6a)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통화모듈(10)은 화상통화모듈(10)의 힌지 결합부(15, 도 5 참고)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용부(6a)에 수용된다. 따라서, 제2상태에서 렌즈(11)는 수용부(6a)의 내측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본체(4)에 수용된 화상통화모듈(10)의 표면에는 렌즈(1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14)가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통화모듈(10)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이동하기 위하여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기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통화모듈(10)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의 회동, 또는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의 회동을 위하여 힌지 결합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결합부(15)는 전면판(6)과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화상통화모듈(10)은 힌지 결합부(1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힌지 결합부(15)의 양 측 중 일 측에는 기어부(20)가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상통화모듈(10)이 디스플레이 본체(4)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수용부(6a)로 수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구동부(200)는 힌지 결합부(15)를 통해 화상통화모듈(10)과 결합된다. 기어부(20)는 톱니 수가 많은 큰 기어(21)와, 톱니 수가 적은 작은 기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큰 기어(21)는 힌지 결합부(15)에 결합되며, 작은 기어(22)는 큰 기어(2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작은 기어(22)는 화상통화모듈(10)을 제1상태에서 제2상태, 또는 그 역으로 조작하기 위한 노브(30)와 연결될 수 있다. 작은 기어(22)와 노브(30)는 구동축(23)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브(30)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화상통화모듈(1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노브(30)는 후면판(5)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노브(30)는 사용자의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서 복수의 돌출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통화모듈(10)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노브(30)를 회전시키고, 노브(30)는 작은 기어(2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노브(30)의 회전에 따라 작은 기어(22)가 회전한다. 작은 기어(22)와 큰 기어(21)는 각각의 톱니가 맞물려서 회전하기 때문에 작은 기어(22)의 회전에 따라 큰 기어(21)도 함께 회전한다. 큰 기어(21)의 일 측은 화상통화모듈(10)의 힌지 결합부(15)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큰 기어(21)가 회전함에 따라, 화상통화모듈(10)이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노브(30)를 시계반대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화상통화모듈(10)도 시계반대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상통화모듈(10)의 전면부가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으로 수용됨에 따라, 렌즈(11)는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통화모듈(10)의 오작동에 따라,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통화모듈(40)은 노브와 기어부를 통해 수동으로 회동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300)는 화상통화모듈(40)을 자동으로 제1상태에서 제2상태, 또는 그 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기어부(50)와 연결되는 모터(5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4)는 모터(5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5)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컨(미도시)과 같은 제어수단(미도시)을 통해 제어부(55)로 신호를 보내 모터(54)를 작동시켜 화상통화모듈(40)을 제1상태에서 제2상태, 또는 그 역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통화모듈(60)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화상통화모듈(60)은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이동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동부(65)는 화상통화모듈(60)의 양 측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이는 이동부(65)를 따라 화상통화모듈(60)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부(65)는 화상통화모듈(60)의 일측에 형성되거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부(65)는 기어부(70)와 연결될 수 있다. 기어부(70)는 기어(71)와 구동축(7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어(71)의 일 측은 이동부(65)와 결합하고, 기어(71)의 다른 일 측은 노브(30)와 결합된다. 노브(30)와 기어(71)의 사이에는 구동축(73)이 위치할 수 있다. 이동부(65)는 기어(71)와 접하는 측면에 톱니(65a)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이동부(65)와 기어(71)는 서로 맞물려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부(65)가 화상통화모듈(60)의 양 측면에 마련되기 때문에, 기어(71) 또한 양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단일한 노브(30)의 동작으로 기어(7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양 측의 기어(71)는 연결축(74)을 통하여 결합된다.
화상통화모듈(60)이 디스플레이 본체(4)의 캐비닛에 결합되기 위해서 이동부(65)는 후면판(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후면판(미도시)은 이동부(65)와 결합하기 위한 지지부(6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부(65)는 지지부(68)에 끼워져 이동하게 된다. 즉, 지지부(68)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부(65)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지부(68)는 디스플레이 본체(4)의 후면판(미도시) 결합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68)는 디스플레이 본체(4)의 전면판(76)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통화모듈(60)을 수용하기 위하여 전면판(76)에는 수용홈(76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수용홈(76a)을 통해, 화상통화모듈(60)은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수용부는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에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브(30)를 회전시킴에 따라, 기어부(70)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기어(71)와 맞물려 있는 이동부(6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65)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화상통화모듈(60)은 디스플레이 본체(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며, 이동부(65)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화상부화모듈(60)은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또한, 화상통화모듈(60)은 디스플레이 본체(4)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65)는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화상통화모듈(60)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본체(4)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베젤의 폭이 화상통화모듈(60)이 결합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넓어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화상통화모듈(60)이 제2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베젤의 폭에 변화를 주지 않아도 되므로 디스플레이 본체(4)의 폭이 넓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2: 넥부
3: 베이스부 4: 디스플레이 본체
5: 후면판 6, 76: 전면판
6a: 수용부 10, 40, 60: 화상통화모듈 11: 렌즈 12: 렌즈홀
13, 43, 63: 마이크홀 14, 44, 64: 각도 조절부
15, 45: 힌지 결합부 16, 46, 66: 전면 하우징
17, 47, 67: 후면 하우징 20, 50, 70: 기어부
21, 51: 큰 기어 22, 52: 작은 기어
23, 53, 73: 구동축 30: 노브
31: 돌출부 54: 모터
55: 제어부 65: 이동부
68: 지지부 71: 기어
74: 연결축 76a: 수용홈
200, 300, 400: 구동부
3: 베이스부 4: 디스플레이 본체
5: 후면판 6, 76: 전면판
6a: 수용부 10, 40, 60: 화상통화모듈 11: 렌즈 12: 렌즈홀
13, 43, 63: 마이크홀 14, 44, 64: 각도 조절부
15, 45: 힌지 결합부 16, 46, 66: 전면 하우징
17, 47, 67: 후면 하우징 20, 50, 70: 기어부
21, 51: 큰 기어 22, 52: 작은 기어
23, 53, 73: 구동축 30: 노브
31: 돌출부 54: 모터
55: 제어부 65: 이동부
68: 지지부 71: 기어
74: 연결축 76a: 수용홈
200, 300, 400: 구동부
Claims (18)
-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고, 화상통화를 위한 촬상부와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화상통화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통화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상태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수용부로 수용된 제2상태로 동작되도록 하는 구동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의 이동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어와 연결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화상카메라모듈이 자동으로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의 회동을 위하여 힌지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를 통해 상기 화상통화모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수직 방향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된 제2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측에 대해 평평하게 수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후방에 배치되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내측에 촬상부와 마이크부가 마련된 화상통화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 결합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결합부의 일측은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내장되는 구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의 일측은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외측에 돌출된 제1상태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수용부로 수용된 제2상태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모듈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을 회동시키기 위한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와 결합되는 큰 기어와, 상기 큰 기어와 연결되는 작은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작은 기어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기어는 상기 화상통화모듈의 이동을 전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모터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기어는 상기 큰 기어와 상기 노브를 연결하는 구동축의 일 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7166A KR20130078301A (ko) | 2011-12-30 | 2011-12-30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7166A KR20130078301A (ko) | 2011-12-30 | 2011-12-30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8301A true KR20130078301A (ko) | 2013-07-10 |
Family
ID=4899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7166A KR20130078301A (ko) | 2011-12-30 | 2011-12-30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830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34120A1 (ko) * | 2013-09-09 | 2015-03-12 | 엘지전자(주) |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 |
EP3079358A4 (en) * | 2014-02-28 | 2018-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
-
2011
- 2011-12-30 KR KR1020110147166A patent/KR201300783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34120A1 (ko) * | 2013-09-09 | 2015-03-12 | 엘지전자(주) |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 |
KR20150029219A (ko) * | 2013-09-09 | 2015-03-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 |
US9762780B2 (en) | 2013-09-09 | 2017-09-12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
EP3079358A4 (en) * | 2014-02-28 | 2018-04-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
US10216282B2 (en) | 2014-02-28 | 2019-02-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with a moveable photographing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76702B2 (en) | Graphics and monitor controller assemblies in display systems | |
US7061536B2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gle of image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 |
CA2634827C (en) | Controller and graphics assemblies in multi-screen display systems | |
CN105388653B (zh) |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 |
CA2834029C (en) | Conference device | |
US11743368B2 (en) | Screen component, mobile phone and mobile device | |
EP1855470B1 (en) | Image offset adjustment apparatus for LCD projector and mobile phone having same | |
WO2020224440A1 (zh) | 电子设备和组合件 | |
CN110602277B (zh) |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 |
KR2013007830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40133716A (ko) | 디스플레이장치 | |
KR2020009951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110050541A1 (en) | Dual display device | |
KR20050083030A (ko) |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 |
KR20160001330A (ko) |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 |
WO2020048164A1 (zh) | 移动终端 | |
KR20130078566A (ko) | 멀티미디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
JP2008293878A (ja) | 映像表示装置 | |
CN114815371B (zh) | 显示装置和电子设备 | |
CN214901068U (zh) | 摄像装置及智能终端设备 | |
CN202713412U (zh) | 移动终端 | |
JP5972622B2 (ja) | 反射型液晶表示装置を用いた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ー | |
KR20110045910A (ko) | 클러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CN211930665U (zh) | 电子设备 | |
KR20070116466A (ko) |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