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221A - 한복저고리용 고름 - Google Patents
한복저고리용 고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1221A KR20130071221A KR1020110138605A KR20110138605A KR20130071221A KR 20130071221 A KR20130071221 A KR 20130071221A KR 1020110138605 A KR1020110138605 A KR 1020110138605A KR 20110138605 A KR20110138605 A KR 20110138605A KR 20130071221 A KR20130071221 A KR 201300712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s
- hanbok
- ring
- jeori
- st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한복저고리의 고름을 다양한 형태로 교체 및 변경이 용이하게 하여 고름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고름이 한복으로 분리됨에 의해 세탁의 용이성 및 다리미질의 용이성을 갖게 한 한복저고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고 있는 몸판과 깃, 여밈 부분의 섶, 팔 부분의 소매로 이루어지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한복저고리부터 분리되게 형성한 띠 형상의 고름; 상기 고름을 끼워 넣은 후 고름의 장.단 길이를 분배하여서 매듭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고름고리; 및 상기 고름고리를 한복저고리의 섶에 탈착시킬 수 있게 상기 섶과 고름고리의 배면에 각각 설치한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탈착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고 있는 몸판과 깃, 여밈 부분의 섶, 팔 부분의 소매로 이루어지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한복저고리부터 분리되게 형성한 띠 형상의 고름; 상기 고름을 끼워 넣은 후 고름의 장.단 길이를 분배하여서 매듭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고름고리; 및 상기 고름고리를 한복저고리의 섶에 탈착시킬 수 있게 상기 섶과 고름고리의 배면에 각각 설치한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탈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복저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복저고리의 고름을 다양한 색상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하여 고름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한 한복저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복(韓服)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의복으로서, 특히 조선시대에 입던 형식의 옷을 일컫는다. 현재에는 평상복으로 입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명절이나 경사ㅇ상례ㅇ제례 등의 경우에 많이 입는다. 남자의 옷은, 바지ㅇ저고리ㅇ조끼ㅇ마고자ㅇ두루마기 등이 있고, 여자의 옷은 저고리ㅇ치마ㅇ배자ㅇ마고자ㅇ두루마기ㅇ버선 등이 있다.
이러한 한복은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기본을 이루고 있어, 옷의 선이 아름답다. 특히 여자 옷은 저고리와 치마가 상박하후(上薄下厚)하여 옷차림이 단정하고 아담한 장점이 있고, 또 한복은 몸매를 감싸주므로 그 결점을 덮어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한복의 저고리에는 고름이 구비된다. 이러한 고름은 저고리나 두루마기, 그 외 포(袍) 종류의 여밈을 고정시키기 위해 매는 끈으로서, 상기 고름은 고려시대 후기에 이르면서 실용적인 고름이 생기기 시작했고 조선 중기를 지나면서 고름이 장식화되어 좁고 짧던 것이 다소 길고 넓어졌다. 조선 말기에서 개화기에는 장식적으로 길고 넓어졌다.
이와 같은 고름은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예컨대, 고름의 교체(색상, 길이)만으로도 새로운 느낌의 하복 저고리를 연출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도 3표시와 같이 상기 한복저고리(1)에 긴 고름(1a)과 짧은 고름(1b)이 재봉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름(1a,1b)을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복저고리(1)에 고름(1a,1b)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름(1a,1b)의 장, 단 길이는 조절할 수 없었고, 세탁 후에 고름(1a,1b)을 다리미질함에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2002-0014981호(2002년02월27일 공개)의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가 공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매듭이 형성되어 있는 고름을 한복저고리에 탈착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개는 매듭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고름을 탈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편리성은 제공할 수 있으나, 그 매듭부위가 타 부위보다 항상 두껍게 됨으로서 세탁의 어려움이 있다. 즉, 세탁시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매듭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복저고리의 고름을 다양한 색상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하여 고름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고름이 한복으로 분리됨에 의해 세탁의 용이성 및 다리미질의 용이성을 갖게 한 한복저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를 이루고 있는 몸판과 깃, 여밈 부분의 섶, 팔 부분의 소매로 이루어지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한복저고리부터 분리되게 형성한 띠 형상의 고름; 상기 고름을 끼워 넣은 후 고름의 장.단 길이를 분배하여서 매듭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고름고리; 및 상기 고름고리를 한복저고리의 섶에 탈착시킬 수 있게 상기 섶과 고름고리의 배면에 각각 설치한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탈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수단은 합단추 혹은 매직테이프(magic tap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름을 2개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고름으로 제작하여 여밈으로서 자유자재로 장.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고름의 색상 교체 등이 용이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름을 분리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세탁 및 다리미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름을 고정하기 위한 바느질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한복을 만드는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복저고리에 고름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복저고리에 고름을 부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한복저고리에 고름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복저고리에 고름을 부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한복저고리에 고름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복저고리(100)의 구성은 몸체를 이루고 있는 몸판(102)과 깃(104), 여밈 부분의 섶(106), 팔 부분의 소매(108) 및 고름(110) 등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한복저고리(100)의 구성에서 상기 섶(106)은, 한복저고리(100)의 좌우에 각각 달리는데, 기능적으로 양쪽의 앞을 여미는 여분이 되며, 미적으로도 변화의 선으로 형태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고름(110)은 기능적으로 의복을 정돈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으나 후대에 갈수록 저고리의 길이는 짧아지고 옷고름(110)은 점차 길어지면서 장식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고름(110)은 한복저고리(100)의 앞에 달아 옷자락을 여며 매는 끈으로, 종래에는 긴 고름과 짧은 고름으로 분리되어, 섶 부위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을 묶어 매듭을 형성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1개의 고름(110)으로 분리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깃(104)은 몸판(102)의 목둘레를 장식하는 것이다. 즉, 상기 깃(104)은 앞몸판에서 뒷몸판까지 연결되어 목둘레를 장식하는 것으로, 한국 복식의 형태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 중이 하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한복저고리(100)에서 본 발명은 상기 고름(110)을 한복저고리로부터 분리 구성하여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 구성이 특징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복저고리(100)로부터 분리되게 형성한 1개의 고름(110)과 상기 고름(110)으로 매듭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고름고리(120) 및 상기 고름고리(120)를 한복저고리(100)에 탈착시킬 수 있게 한 탈착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름(110)을 1개의 띠로 구성하여 한복저고리(100)로부터 분리되게 구성함으로서 상기 고름(110)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다른 색상의 고름을 설치하여 한복저고리의 다른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름고리(120)는 한복저고리(100)로부터 분리 구성된 고름(110)으로 매듭을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분리 구성된 고름(110)을 상기 한복저고리(100)에 탈착시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름고리(120)에 상기 고름(110)을 끼워 넣은 후 고름(110)의 장,단 길이를 분배하여서 매듭을 형성하며, 상기 고름고리(120)에 매듭이 형성된 고름을 상기 한복저고리(100)에 탈착시킴에 의해 고름을 한복저고리에 탈착되게 한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130)은 고름고리(120)를 한복저고리의 섶(106)부위에 탈착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섶(106)과 고름고리(120)의 배면에 각각 설치하여 탈착될 수 있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탈착수단(130)은 합단추(130a,130b) 혹은 매직테이프(magic tap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수단(130)은 한복저고리의 앞쪽에 좌우로 위치하는 섶(106)에 각각 위치되게 하여, 상기 고름고리(120)를 고정하였을 경우 양쪽의 앞을 여미는 기능을 갖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름(110)을 색상과 디자인이 다른 고름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한복저고리의 연출이 가능하다. 즉, 한복저고리(100)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름(110)을 다른 색상과 디자인으로 교체할 수 있음으로 새로운 느낌의 한복저고리를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한복저고리(100)의 섶(106) 부위에 합단추(130a)의 한쪽을 설치함과 아울러 합단추(130b)의 다른 한쪽을 고름고리(120)의 배면에 설치하여 상기 고름고리(120)를 한복저고리에 탈착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고름고리(120)는 한복저고리와 같은 색상으로 구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고름고리(120)에는 1개의 긴 띠로 이루어진 고름(110)을 끼워 넣어 고름(110)의 장.단 길이를 분배하여 묶어 줌에 의해 매듭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복저고리(100)는 1개로 이루어지는 고름(110)을 자유로이 색상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한복저고리는 고름을 부착하기 위한 재봉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공정의 단축 및 고름을 분리하여 다리미질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100 - 한복저고리 110 - 고름
120 - 고름고리 130 - 탈착수단
120 - 고름고리 130 - 탈착수단
Claims (2)
- 몸체를 이루고 있는 몸판과 깃, 여밈 부분의 섶, 팔 부분의 소매로 이루어지는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한복저고리부터 분리되게 형성한 띠 형상의 고름;
상기 고름을 끼워 넣은 후 고름의 장.단 길이를 분배하여서 매듭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고름고리; 및
상기 고름고리를 한복저고리의 섶에 탈착시킬 수 있게 상기 섶과 고름고리의 배면에 각각 설치한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탈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저고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합단추 혹은 매직테이프(magic tap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복저고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8605A KR20130071221A (ko) | 2011-12-20 | 2011-12-20 | 한복저고리용 고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8605A KR20130071221A (ko) | 2011-12-20 | 2011-12-20 | 한복저고리용 고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1221A true KR20130071221A (ko) | 2013-06-28 |
Family
ID=4886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8605A KR20130071221A (ko) | 2011-12-20 | 2011-12-20 | 한복저고리용 고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122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8472B1 (ko) * | 2014-12-02 | 2015-04-07 | 박춘화 | 주머니가 구비된 한복 장식고름 |
KR101511919B1 (ko) * | 2014-12-02 | 2015-04-13 | 박춘화 |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
KR102388133B1 (ko) * | 2021-10-01 | 2022-04-19 | 최경숙 | 한복 저고리 |
-
2011
- 2011-12-20 KR KR1020110138605A patent/KR2013007122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8472B1 (ko) * | 2014-12-02 | 2015-04-07 | 박춘화 | 주머니가 구비된 한복 장식고름 |
KR101511919B1 (ko) * | 2014-12-02 | 2015-04-13 | 박춘화 |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
KR102388133B1 (ko) * | 2021-10-01 | 2022-04-19 | 최경숙 | 한복 저고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71221A (ko) | 한복저고리용 고름 | |
KR101511919B1 (ko) | 매듭이 편리한 한복 저고리의 옷고름을 다는 방법과 그 옷고름 | |
KR20140039731A (ko) | 넥타이 장신구 | |
CN203676157U (zh) | 一种带领子文胸 | |
KR20120118322A (ko) | 한복저고리 | |
CN201286352Y (zh) | 哺乳服 | |
CN202603662U (zh) | 收腰饰带大衣 | |
KR200404490Y1 (ko) | 간편 상의 | |
JP2013014870A (ja) | 洋服様着物 | |
CN213096157U (zh) | 一种多种穿法的连衣裙 | |
JP3159483U (ja) | ネックカバーおよび衣装セット | |
KR200231710Y1 (ko) | 한복 웃옷 | |
CN202286446U (zh) | 新式保暖衣壳 | |
CN209498643U (zh) | 一种变形礼服 | |
CN202385791U (zh) | 新型保暖衣壳 | |
CN211353955U (zh) | 一种可多样化穿搭的内衣 | |
JP3210755U (ja) | 服 | |
CN207784329U (zh) | 一种钉珠套装 | |
CN205695803U (zh) | 一种镶边毛织衫 | |
CN201451433U (zh) | 一种新型女式大衣 | |
KR101686449B1 (ko) | 기능성 한복 | |
CN202233064U (zh) | 与皮草拼接毛衫 | |
CN202603648U (zh) | 具有褶领的连衣裙 | |
CN203446562U (zh) | 美观且穿着方便的蕾丝与呢绒复合羊绒衫 | |
CN104336928A (zh) | 穿着方便的舒适度强羊绒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