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30067450A -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450A
KR20130067450A KR1020110134826A KR20110134826A KR20130067450A KR 20130067450 A KR20130067450 A KR 20130067450A KR 1020110134826 A KR1020110134826 A KR 1020110134826A KR 20110134826 A KR20110134826 A KR 20110134826A KR 20130067450 A KR20130067450 A KR 20130067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ontent
image
worker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걸 최
양웅연
최진성
김홍기
이범렬
이길행
최병태
손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7450A/ko
Publication of KR2013006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04N13/117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the virtual viewpoint locations being selected by the viewers or determined by viewer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014Augmented reality assists operator in maintenance, repair, programming, assembly, use of head mounted display with 2-D 3-D display and voice feedback, voice and gesture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는 안전모와 일체화된 카메라를 통해 작업자가 바라보는 실제환경 이미지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안전모와 일체화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 {FIELD APPLIED SAFETY HELMET APPARATUS FOR AR-BASED OF MAINTENANCE AND METHOD FOR PROVIDING ITS APPLICATION SERVICE}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콘텐츠 제공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 증강현실 기반 가이드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공간, 예컨대 주택, 공공장소, 작업 현장 및 건설 현장에는 작업자가 투입되어 설비를 정비하거나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특히 화재, 붕괴, 유해가스누출 등 비상상황인 경우 비상상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비상상황발생의 정도를 명확하게 파악하여야 그에 대한 최적의 대응을 해야 한다.
공공시설물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폐쇄회로 카메라, 고속도로 등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카메라 등이 이러한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일정한 건물 내에서나, 일정한 기관에서 지엽적으로 운용하므로, 상황에 대처하는 속도나 그 적합성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황에 대해 유선이나 무선의 전화시스템을 통해 전달하는 경우에는 상황의 정확한 묘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명확한 상황파악이 어려운 점도 노출되고 있다.
한편, 작업현장에 투입된 작업자는 작업 처리를 위해 도면 등 기타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직접 가지고 다녀야 한다. 이는 비상상황 등 긴박한 상황이거나 장소가 협소한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불편을 야기하며, 이는 원활한 작업 진행을 어렵게 한다.
선행기술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42816호에는 외부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안전모 기술에 대해, 미국 공개특허 제20100128468호에는 모션 감지를 위한 조명 장치가 연결된 안전모에 대해 각각 개시하고 있다.
일 양상에 따라,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안한다.
일 양상에 따른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는, 안전모와 일체화된 카메라를 통해 작업자가 바라보는 실제환경 이미지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제환경 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제환경을 인식하고 실제환경 이미지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안전모와 일체화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추가 양상에 따른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는, 가상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콘텐츠 응용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른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제공방법은, 안전모와 일체화된 카메라를 통해 작업자가 바라보는 실제환경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실제환경 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제환경을 인식하고 실제환경 이미지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안전모와 일체화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모와 일체화된 카메라를 통해 작업자가 바라보는 실제환경 이미지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안전모와 일체화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현장에서 두꺼운 매뉴얼이나 인스트럭터의 도움없이 작업을 원활히 진행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작업자의 안전모에 영상 입력부, 음성 입력부, 영상 출력부, 음성 출력부, 센서, 영상 및 센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명령 입력부 및 네트워크 통신부를 일체화하여 작업자가 각 모듈을 따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였다.
나아가, 영상/음성/문자 형태의 작업관련 데이터를 기록하고, 작업관련 콘텐츠 검색 등 증강현실 이외의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관리자 혹은 현장 작업자 스스로 정비 작업 안내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 및 편집이 가능하며, 현장 작업자의 요구 시 온/오프라인으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를 장착한 예를 도시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1)를 장착한 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작업자는 안전모(10)를 장착하고 작업현장에서 장비를 정비하거나 작업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1)는 안전모(10)에 카메라(11), 센서(12), 착용형 디스플레이(13), 음성 출력부(14), 음성 입력부(15), 프로세서(16) 및 명령 입력부(17)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카메라(11)는 안전모(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바라보는 실제환경 이미지를 획득한다. 카메라(11)는 야간 및 어두운 장소에서도 선명하게 주변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카메라는 컬러(color) 이미지뿐만 아니라 깊이(depth) 정보까지 획득할 수 있는 RGB-D 카메라일 수 있다.
센서(12)는 안전모(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현장에서의 주변정보를 센싱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2)는 안전모(10)에 내장될 수 있다. 센서(12)는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센서, 작업자의 자세를 추적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또는 작업자의 자세 및 위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일 수 있으며, 이들의 결합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센서(12)의 일 실시예일 뿐, 센서(12)는 작업현장의 주변정보를 센싱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는 카메라(11)를 통해 획득된 실제환경 이미지를 분석 처리하고 분석된 실제환경 이미지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한다. 가상 콘텐츠는 작업자의 작업 절차, 가이드 맵 또는 작업 장비를 가이드하기 위한 작업관련 콘텐츠이다. 증강현실 콘텐츠는 실제환경 위에 가상의 대상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착용형(wearable) 디스플레이(13)는 안전모(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프로세서(16)에서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현장 작업자의 작업환경 여건을 고려하여 착용형 디스플레이(13)를 제공한다. 착용형 디스플레이(13)는 작업자에게 시각적인 가이드를 위한 증강현실 제공도구이다. 예를 들면, 착용형 디스플레이는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작업자가 눈에 착용하는 EGD(Eyeglasses Display)일 수 있다.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모(10)와 착용형 디스플레이(13)를 각각 착용하는 것은 작업자에게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용형 디스플레이(13)와 안전모(10)를 일체화하여 작업자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한다. 즉, 현장 작업자는 도면 등 기타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직접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안전모(10)와 일체화된 착용형 디스플레이(13)를 통해 작업 절차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설비에 직접 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이해도를 높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음성 입력부(15)는 작업자로부터 작업관련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예를 들면 마이크일 수 있다. 음성 출력부(14)는 음성신호를 재생하는데, 예를 들면 헤드폰일 수 있다. 명령 입력부(17)는 작업자로부터 작업관련 명령신호를 입력받는다. 명령 입력부(17)는 명령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터치 감지수단 또는 모션 인식수단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1)의 내부 구성도이다.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1)는 입력부(미도시), 프로세서(16), 출력부(105) 및 네트워크 통신부(114)를 포함한다.
입력부(미도시)는 영상 입력부(100)를 포함하며, 음성 입력부(15)와 명령 입력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00)는 안전모(10)와 일체화된 카메라(11)를 통해 작업자가 바라보는 실제환경 이미지를 입력받는다. 음성 입력부(15)는 작업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음성은 작업자의 작업관련 내용을 소리 형태로 기록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며, 입력받은 음성 데이터는 콘텐츠 응용 서비스부(20)의 작업상황 DB(220)에 저장될 수 있다.
명령 입력부(17)는 작업자로부터 명령신호를 입력받으며, 이를 콘텐츠 처리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명령 입력부(17)는 콘텐츠 저작부(200)와 작업상황 DB(220)에 저장된 사용자 메뉴, 작업관련 영상/음성/문자 등의 데이터에 접근하여 검색 및 조작을 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6)는 영상 처리부(102)를 포함하며, 센싱 데이터 처리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02)는 영상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받은 작업현장의 실제환경 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제환경을 인식한다. 센싱 데이터 처리부(104)는 안전모(10)에 형성된 센서(12)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작업자 위치 및 동작을 분석하여 실제환경을 인식한다. 센싱 데이터 처리부(104)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 및 동작을 인식함에 따라, 작업자의 실제 동작이 증강현실 콘텐츠에 보다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프로세서(16)는 센싱 데이터 처리부(104)에서의 작업자 위치 및 동작 분석결과와 영상 처리부(102)에서의 실제환경 이미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인식된 실제환경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한다. 가상 콘텐츠는 작업자의 작업 절차, 가이드 맵 또는 작업 장비를 가이드하기 위한 작업관련 콘텐츠이다. 가상 콘텐츠는 콘텐츠 응용 서비스부(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출력부(105)는 영상 출력부(106)를 포함하며, 음성 출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06)는 프로세서(16)에서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착용형 디스플레이(13)를 통해 출력한다. 착용형 디스플레이(13)는 안전모(10)와 일체화된 형태이다. 음성 출력부(14)는 착용형 디스플레이(13)를 통한 영상 제공시에 음성을 동시에 출력한다. 또는 음성 출력부(14)는 음성 입력부(15)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출력부(14)는 작업상황 DB(22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114)는 작업현장으로부터 원격지에 설치된 중앙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듈이다. 네트워크 통신부(114)에 의해 네트워크 상에서의 정비 관련정보를 공유하고, 정비 관련정보를 통합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중앙서버 관리자는 작업현장에서의 작업자를 중앙 통제하며, 작업자는 작업현장을 중앙서버 관리자에게 모니터링한다.
추가 양상에 따르면,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1)는 가상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콘텐츠 응용 서비스부(20)를 포함한다. 콘텐츠 응용 서비스부(20)는 콘텐츠 저작부(200), 콘텐츠 처리부(210) 및 작업상황 DB(220)를 포함한다.
콘텐츠 저작부(200)는 가상 콘텐츠를 생성 및 가공한다. 즉, 콘텐츠 저작부(200)는 가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편집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작업 절차 등 작업관련 데이터를 저작, 편집 및 저장할 수 있다. 가상 콘텐츠는 관리자 또는 현장 작업자 스스로 저작할 수 있다.
콘텐츠 처리부(210)는 콘텐츠 저작부(200)로부터 생성된 가상 콘텐츠를 프로세서(16)에 제공하여, 프로세서(16)가 가상 콘텐츠를 실제환경과 결합하고 이를 영상 출력부(16) 및/또는 음성 출력부(105)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작업관련 데이터를 작업상황 DB(220)에서 읽어들여 영상 출력부(106) 및/또는 음성 출력부(105)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콘텐츠 처리부(210)의 수행 프로세스는 명령 입력부(17)를 통한 작업자 명령신호 입력시에 수행될 수 있다.
작업상황 DB(220)는 영상 입력부(100)와 음성 입력부(15)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되는 작업관련 데이터를 기록하고, 콘텐츠 저작부(200)에서 생성된 가상 콘텐츠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1)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안전모 장치(1)는 안전모(10)와 일체화된 카메라(11)를 통해 작업자가 바라보는 실제환경 이미지를 입력받는다(3000). 이어서, 안전모 장치(1)는 입력받은 실제환경 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제환경을 인식하고, 실제환경 이미지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한다(3100). 이어서, 안전모 장치(1)는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안전모(10)와 일체화된 착용형 디스플레이(13)를 통해 출력한다(3200).
추가 양상에 따르면, 안전모 장치(1)가 안전모(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작업자 위치 및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안전모 장치(1)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 단계(3100)에서 작업자 위치 및 동작 분석결과와 실제환경 이미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실제환경을 인식하고 실제환경 이미지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며,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단계(3200)에서 증강현실 콘텐츠를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추가 양상에 따르면, 안전모 장치(1)는 작업자로부터 작업상황을 음성으로 입력받고 이를 작업상황 DB에 저장한다. 이어서, 작업자 요청시에 작업상황 DB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
추가 양상에 따르면, 안전모 장치(1)는 가상 콘텐츠를 생성 및 가공하고, 가상 콘텐츠를 작업상황 DB에 저장한다. 그러면,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단계(3100)에서, 안전모 장치(1)는 작업상황 DB에 저장된 가상 콘텐츠를 실제환경 이미지에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고,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단계(3200)를 통해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한다.
추가 양상에 따르면, 안전모 장치(1)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작업관련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작업상황 DB에 저장한다. 그리고, 작업자 명령신호를 입력받으면, 작업자 명령에 따라 작업상황 DB에 저장된 작업관련 데이터에 접근하여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검색결과 제공은 영상 출력부(106) 또는 음성 출력부(105)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안전모 11 : 카메라
12 : 센서 13 : 착용형 디스플레이
14 : 음성 출력부 15 : 음성 입력부
16 : 프로세서 17 : 명령 입력부

Claims (18)

  1. 안전모와 일체화된 카메라를 통해 작업자가 바라보는 실제환경 이미지를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실제환경 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제환경을 인식하고, 실제환경 이미지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안전모와 일체화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콘텐츠는 작업자의 작업 절차, 가이드 맵 또는 작업 장비를 가이드하기 위한 작업관련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전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작업자 위치 및 동작을 분석하는 센싱 데이터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데이터 처리부에서의 작업자 위치 및 동작 분석결과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의 실제환경 이미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실제환경을 인식하고, 인식된 실제환경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작업자로부터 작업상황 관련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신호를 작업자 요청시에 재생하는 음성 출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입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는 안전모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는 HMD(Head Mounted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디스플레이는 EGD(Eyeglasses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가상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콘텐츠 응용 서비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응용 서비스부는
    가상 콘텐츠를 생성 및 가공하는 콘텐츠 저작부;
    상기 콘텐츠 저작부로부터 생성된 가상 콘텐츠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콘텐츠 처리부; 및
    가상 콘텐츠를 저장하는 작업상황 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작업자로부터 명령신호 및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명령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처리부는 상기 명령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에 따라 상기 작업상황 DB에서 가상 콘텐츠를 읽어들여 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상황 DB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작업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부는 상기 명령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에 따라 상기 작업상황 DB에 저장된 작업관련 데이터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원격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14.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안전모와 일체화된 카메라를 통해 작업자가 바라보는 실제환경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실제환경 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제환경을 인식하고, 실제환경 이미지에 가상 콘텐츠를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안전모와 일체화된 착용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제공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작업자 위치 및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 위치 및 동작 분석결과와 상기 실제환경 이미지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제공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작업관련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작업관련 음성신호를 작업자 요청시에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제공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가상 콘텐츠를 생성 및 가공하는 단계; 및
    가상 콘텐츠를 작업상황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상황 DB에 저장된 가상 콘텐츠를 실제환경 이미지에 정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제공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작업관련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작업상황 DB에 저장하는 단계;
    작업자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작업자 명령에 따라 상기 작업상황 DB에 저장된 작업관련 데이터에 접근하여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10134826A 2011-12-14 2011-12-14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 KR20130067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826A KR20130067450A (ko) 2011-12-14 2011-12-14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826A KR20130067450A (ko) 2011-12-14 2011-12-14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450A true KR20130067450A (ko) 2013-06-24

Family

ID=4886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826A KR20130067450A (ko) 2011-12-14 2011-12-14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7450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3786A (zh) * 2015-11-11 2016-01-1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监控方法及系统
KR20160111904A (ko) * 2014-01-23 2016-09-27 소니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KR20170022642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위치 계측 장치
WO2017100654A1 (en) * 2015-12-11 2017-06-15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KR20190056935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코이노 휴대단말과 원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원격 가이던스 방법
KR20190115483A (ko) * 2018-03-12 2019-10-14 한국기계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착용형 로봇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용형 로봇 제어방법
WO2020054905A1 (ko) * 2018-09-13 2020-03-19 주식회사 이엠아이티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한 증강현실 설비 조립 가이드 시스템
KR20200068075A (ko) * 2018-11-27 2020-06-15 주식회사 코이노 하이퍼모션 단계 처리가 가능한 증강현실 및 기계학습 기반 원격 가이던스 장치 및 그 방법
CN112445319A (zh) * 2019-08-16 2021-03-0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配电房作业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61985B1 (ko) * 2020-12-29 2022-02-14 주식회사 버넥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매뉴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554163A (zh) * 2022-04-25 2022-05-27 深圳酷源数联科技有限公司 煤矿井下作业监视系统
WO2022145655A1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딥파인 증강현실시스템
KR20220118822A (ko) 2021-02-19 2022-08-26 이경복 지능형 안전모 및 이를 구비한 안전 관리 시스템
WO2022220658A1 (ko) * 2021-04-16 2022-10-20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디지털 트윈 및 가상 이미지와 연동하는 혼합현실 산업용 안전모
WO2023056818A1 (zh) * 2021-10-08 2023-04-13 煤炭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基于ar的全息头戴显示系统、方法和全息头戴
KR20230076984A (ko) * 2021-11-24 2023-06-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증강현실을 활용한 위치정보 기반 철도 궤도 장대레일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121403A (ko) * 2023-02-02 2024-08-09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윙슈트 점프용 ar 글라스 헬멧 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904A (ko) * 2014-01-23 2016-09-27 소니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KR20170022642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위치 계측 장치
CN105243786A (zh) * 2015-11-11 2016-01-1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监控方法及系统
WO2017100654A1 (en) * 2015-12-11 2017-06-15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US9824437B2 (en) 2015-12-11 2017-11-21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US10217209B2 (en) 2015-12-11 2019-02-26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US10679337B2 (en) 2015-12-11 2020-06-09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tool mapping
KR20190056935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코이노 휴대단말과 원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원격 가이던스 방법
KR20190115483A (ko) * 2018-03-12 2019-10-14 한국기계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착용형 로봇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용형 로봇 제어방법
WO2020054905A1 (ko) * 2018-09-13 2020-03-19 주식회사 이엠아이티 스마트글라스를 활용한 증강현실 설비 조립 가이드 시스템
KR20200068075A (ko) * 2018-11-27 2020-06-15 주식회사 코이노 하이퍼모션 단계 처리가 가능한 증강현실 및 기계학습 기반 원격 가이던스 장치 및 그 방법
CN112445319A (zh) * 2019-08-16 2021-03-0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配电房作业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61985B1 (ko) * 2020-12-29 2022-02-14 주식회사 버넥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매뉴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145655A1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딥파인 증강현실시스템
KR20220118822A (ko) 2021-02-19 2022-08-26 이경복 지능형 안전모 및 이를 구비한 안전 관리 시스템
WO2022220658A1 (ko) * 2021-04-16 2022-10-20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디지털 트윈 및 가상 이미지와 연동하는 혼합현실 산업용 안전모
KR20220143528A (ko) *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디지털 트윈 및 가상 이미지와 연동하는 혼합현실 산업용 안전모
WO2023056818A1 (zh) * 2021-10-08 2023-04-13 煤炭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基于ar的全息头戴显示系统、方法和全息头戴
KR20230076984A (ko) * 2021-11-24 2023-06-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증강현실을 활용한 위치정보 기반 철도 궤도 장대레일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554163A (zh) * 2022-04-25 2022-05-27 深圳酷源数联科技有限公司 煤矿井下作业监视系统
KR20240121403A (ko) * 2023-02-02 2024-08-09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윙슈트 점프용 ar 글라스 헬멧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7450A (ko) 현장적용형 증강현실 기반 작업 가이드용 모듈 일체형 안전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제공방법
US12079439B2 (en) Shared augmented reality session recording and playback
US11127210B2 (en) Touch and social cues as inputs into a computer
US9928569B2 (en) Augmented reality overlays based on an optically zoomed input
US9390561B2 (en) Personal holographic billboard
US10339715B2 (en) Virtual reality system
US20130174213A1 (en) Implicit sharing and privacy control through physical behaviors using sensor-rich devices
US20120293506A1 (en) Avatar-Based Virtual Collaborative Assistance
KR20140108428A (ko) 착용형 디스플레이 기반 원격 협업 장치 및 방법
US11074292B2 (en) Voice tagging of video while recording
KR102418994B1 (ko) 증강현실 기반 작업 공정 모니터링 및 작업 숙련도 평가방법
CN109523041A (zh) 核电站管理系统
JPWO202001295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44776A (ja) 作業支援システム、作業支援装置、及び作業支援方法
JP2014192861A (ja) 監視支援システム
Shen et al. A system for visualizing sound source using augmented reality
EP4124073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performing audio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30122450A1 (en) Anchored messages for augmented reality
US20240288948A1 (en) Wearable terminal apparatus,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913868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69997A1 (ja) 仮想三次元空間共有システム、仮想三次元空間共有方法、及び仮想三次元空間共有サーバ
JP2021190729A (ja) 画像特定システムおよび画像特定方法
KR102538056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WO2023053481A1 (ja) 調査支援装置および調査支援方法
WO202115737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