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30057516A -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516A
KR20130057516A KR1020110123256A KR20110123256A KR20130057516A KR 20130057516 A KR20130057516 A KR 20130057516A KR 1020110123256 A KR1020110123256 A KR 1020110123256A KR 20110123256 A KR20110123256 A KR 20110123256A KR 20130057516 A KR20130057516 A KR 20130057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touch
case
displa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392B1 (ko
Inventor
안성기
Original Assignee
안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기 filed Critical 안성기
Priority to KR102011012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3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의 케이스 기능과 별도의 외부입력키보드 구조를 동시에 갖도록 하여,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의 활용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말기의 휴대성 및 사용편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외부키보드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항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케이스기능과 외부입력키보드 구조를 동시에 가짐에 따라 단말기 케이스와 외부입력키보드의 별개 구매에 의한 비용낭비도 줄일 수 있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
본 발명은 태블릿PC나 휴대폰 등의 단말기의 외부 보호케이스 기능과 더불어 단말기의 키보드 역할까지 병행할 수 있어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의 활용 면적과 커버 면적을 동시에 최대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키보드로 활용하는 덮개부분이 투명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키보드로 활용하지 않을 때에도 덮개를 개방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기타 테블릿PC 등은 모두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입력 구조를 갖는다.
즉 하나의 디스플레이창이 키패드입력화면과 입력내용 표시화면으로 분할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렇게 하나의 디스플레이창에서 기능별 화면이 동시에 표시됨에 따라 그만큼 입력내용 화면과 키패드입력화면의 면적이 좁게 형설될 수밖에 없어, 시각적으로나 사용에 불편함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키보드를 휴대단말기와 연결하여 디스플레이창의 활용면적을 최대화 한 상태로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외부키보드를 별도로 휴대해야함으로 태블릿pc등의 장점인 휴대성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외부키보드와 단말기 간 연결구조로 인한 사용 상 간편성에도 문제를 가질 수밖에 없다.
또한 외부키보드를 단말기에 덮개 형태로 결합시키고, 평소에는 외부키보드가 단말기를 덮고 있고, 외부 자판 사용 시 외부키보드를 외부로 젖혀 펼쳐 사용하는 구조도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외부키보드와 단말기를 단순히 결합한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키도드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할 수 없어 매번 외부키보드를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휴대단말기의 장점인 신속한 조작 등의 장점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2011-0001066(2011.01.0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휴대단말기와 별개의 외부입력키보드 구조를 갖도록 하여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의 활용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케이스 기능도 함께 갖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와 항시 일체화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휴대성 및 사용편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외부키보드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항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케이스기능과 외부입력키보드 구조를 동시에 가짐에 따라 단말기 케이스와 외부입력키보드의 별개 구매에 의한 비용낭비도 줄일 수 있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단말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 일단부가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으며 투광성 재질이고 표면에 전도성 구조를 갖는 커버,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감지센서, 상기 케이스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CPU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센서의 입력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투명재질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터치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프레임 표면에 자판표시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제1터치프레임과 제2터치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노출되어 있는 태양광 집광판 및 상기 태양 집광판과 연결되어 있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를 감싸고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체와 연결부재간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거나 개방하는 형태로 회동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창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2터치프레임의 위치가 상호 바뀌도록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회동 방향 및 회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단말기의 외부 전체를 둘러싸는 케이스 기능을 갖되 커버에 단말기의 키보드 기능이 부여됨에 따라,
기본적으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서 입력화면이 제거됨으로 그만큼 디스플레이창의 활용면적이 최대화됨과 동시에 더불어 커버의 면적도 넓어짐으로써 자판입력이 손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항시 단말기와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단말기의 휴대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커버가 항시 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커버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항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커버를 통해 디스플레이 창을 조작할 수 있어 자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단말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커버가 단말기 상부면을 덮은 상태의 사시도
도4는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키보드 기능이 발휘된 상태의 평면 개략도
도5 내지 도7은 커버를 덮는 과정에서 회전하여 터치프레임이 상부면에 노출된 상태로 덮여지는 모습의 사시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본체(100)와 커버(200), 전원부(300), 제어부(400) 및 데이터 통신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본체(100)는 본 발명의 두가지 기능 중 실질적인 단말기 보호케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이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단말기(M)가 수용될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조이다.
즉 휴대폰 등의 단말기가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면 케이스본체(100)는 단말기의 하부면과 테두리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케이스본체(10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합성수지 등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단말기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형상도 사각 박스 형태 외에도 단말기의 종류 등에 맞게 규격별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본체(100)에는 커버(200)가 연결 설치된다.
커버(200)는 케이스본체(100)와 더불어 단말기의 보호케이스 역할 및 외부입력 키보드 역할을 병행하는 것으로, 다시 연결프레임(210)과 터치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연결프레임(210)은 커버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본체(100)의 상부면과 거의 동일한 면적의 사각 판재 형태이고 일측 테두리가 케이스본체(100)의 일측 테두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케이스본체(100)와 연결프레임(210) 간의 회동 구조는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이러한 연결프레임(210)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투광성 및 투시성이 높도록 하되, 강화유리나 투명플라스틱 등처럼 충분한 자체 강도를 가지거나 투명실리콘 등 충격흡수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프레임(210)과 함께 커버(200)를 구성하는 터치프레임(220)은 커버(200)를 키보드 용도로 사용할 시 실질적인 사용자와의 접촉을 통해 조작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전도성을 갖는 얇은 필름 형태이고 연결프레임(210)의 상부면에 적층 형성된다.
참고로 커버(200)는 이러한 구조 외에도 자체적으로 전도성 및 투광성을 동시에 갖는 재질이라면 이러한 적층구조 외에 하나의 판재 형태로 제작되어 연결프레임와 터치프레임 기능이 동시에 발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버와 케이스본체(100)를 연결하는 힌지부(230)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커버(200)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다시 회전체(232)와 연결부재(234)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회전체(232)는 전체적으로 구 형태로 일측이 커버(200)의 일측 테두리 중간 지점에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34)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회전체(232)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끼움홈(235)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일측이 케이스본체(100)의 일측 테두리 중앙에 고정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체(232)가 연결부재(234)의 끼움홈(235)에 끼워짐에 따라 회전체(232)는 연결부재(234)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커버(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전체(232)와 연결부재(234)간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케이스본체(100)의 상부면, 즉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창()을 덮거나 개방하는 형태로 회동될 수 있고,
[도 5] 내지 [도 7]처럼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을 덮는 과정에서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커버의 상하부면 위치가 상호 바뀐 상태로 덮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2]와 같이 커버(200)가 회동하여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창(S)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터치프레임(220)이 커버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반대로 회동하여 디스플레이창을 덮게 되면 터치프레임(220)이 커버의 하부면에 위치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창을 덮는 과정에서 [도 5] 및 [도 6]처럼 커버를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임창을 덮은 상태에서도 [도 7]처럼 터치프레임(220)이 커버 상부면에 위치되어, 이 상태에서도 터치프레임을 터치하여 자판 입력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200)가 케이스본체(100)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는 단말기의 외부전체가 케이스본체와 연결프레임(21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진 상태가 되고, 커버(200)가 회동하여 외부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창(S)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참고로 힌지부(230)의 구조는 도면과 위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가 단말기 상부면을 덮거나 개방하는 형태로 회동됨과 동시에 단말기를 덮는 과정에서 상하면의 위치가 바뀔 수 있도록 회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서 커버(200)의 키보드기능 발휘를 위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된다.
그 중 전원부(300)는 커버의 전기적 자판기능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전체적으로 태양전지 구조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부(300)는 다시 크게 태양광 집광판(310)과 집전부(320)로 나누어 구성되는데, 태양광 집광판(310)은 태양광을 최초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버(200)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집전부(320)는 집광판(310)을 통해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함과 동시에 저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버(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태양광 집광판(310) 및 집전부(320)의 구조는 공지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참고로 전원부(300)는 이러한 태양전지 구조 외에도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구조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커버(200)의 자판 입력 시 입력신호의 생성 및 단말기로의 전달 등의 전체 제어기능을 것으로, 전원부(300)와 연결된 상태에서 도면 처럼 커버(200) 내부에 위치하거나 케이스본체(100)에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구비되는 광 조사부(500)는 커버(200) 상에 자판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광신호를 조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원부(300) 및 제어부(4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커버(200) 내부에 위치하여 터치프레임(220) 표면 상으로 광 신호를 조사한다.
이때 광 조사부(500)에서 조사되는 광신호는 자체적으로 자판구조가 표현되도록 세팅되어 있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커버(200)자체가 투광성 재질임에 따라 자판(510) 형상의 광신호가 커버 표면상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터치감지센서(600)는 사용자 피부가 커버(200)에 접촉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전원부(30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신호를 감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시 발생되는 파형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과 더불어 구비되는 데이터 통신부(800)는 단말기(M)와 커버의 제어부(400)를 연결하여 커버(20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부(800)는 일반적인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다채널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와의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데이터 통신부는 이러한 무선구조 외에도 필요에 따라 유선연결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함께 구비되는 작동제어센서부(700)는 커버와 연결된 각 구성요소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전원부(300) 및 힌지부(230)와 연결되어 있고 커버(200) 사용을 위해 커버(200)를 외부로 젖히는 과정에서 힌지부의 작동을 감지하여 전원부(300)로 부터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반대로 커버(200)가 단말기 상부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전원부(300)로 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커버 사용과 관련된 각 요소들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작동제어센서부(700)은 별도의 작동버튼(미도시)을 통해 수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커버(200)이 단말기 상부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작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과 같이 평상시에는 케이스본체(100)가 단말기의 하부 및 사방의 테두리를 감싸고 있고 커버(200)가 단말기의 상부면을 덮고 있어,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단말기를 보호하는 일반 단말기 케이스 역할을 한다.
이때 커버(200)는 투명 상태이기 때문에 [도 3]처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창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SMS송신이나 인터넷 검색 등을 위해 자판입력이 필요할 경우 커버(200)를 [도 2] 및 [도 4]처럼 회동시켜 펼치면 작동제어센서부(700)가 이를 감지하고 이로 인해 전원부(300)로 부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공급과 동시에 고주파신호가 커버(200)의 터치프레임(220) 전면에 걸쳐 공급되고 광 조사부(500)로부터 조사된 광신호에 의해 커버(200) 상에는 [도 4]와 같이 자판(510) 형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데이터 통신부(800)를 통해 단말기와 커버(200)간 무선통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서는 자판 입력화면은 생성되지 않고 정보표시 화면만 생성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전용펜이 커버(200)에 접촉되면 터치프레임(220) 표면에 분포된 고주파신호의 파형 변화가 생성되고, 터치감지센서(600)가 이를 감지하여 해당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400)로 보낸다.
제어부(400)에서는 이러한 입력신호의 위치를 계산하여 해당 위치의 입력신호를 데이터 통신부(80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단말기 디스플레이창(S)에서 해당 문자나 기호 등이 표시된다.
그 후 입력이 종료된 후 커버(200)를 반대로 회동시켜 단말기 상부면을 덮으면 작동제어센서부(700)가 이를 감지하여 전원부(30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함에 따라 커버의 작동이 차단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말기 외부에서 자판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의 활용면적이 최대화 되어 디스플레이창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확인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자판의 형성면적도 기존에 비해 훨씬 넓어지기 때문에 입력오류 등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케이스 기능이 함께 발휘됨에 따라 항시 단말기와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단말기와의 연결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휴대성이 낮아지는 현상도 방지되는 장점도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단말기의 케이스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케이스 커버에 자판기능을 형성시켜 케이스커버의 터치만으로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에서 입력정보가 표시되도록 한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커버(200)는 전체적으로 투명구조이기 때문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창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외부자판처럼 디스플레이창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매번 외부키보드를 젖혀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 외에도 또 다른 특징을 갖는데,
커버(200)을 단말기 상부면에 덮는 과정에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회전시키면 [도 7]처럼 단말기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터치프레임(220)이 커버 상부면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제어센서부(700)를 작동시키면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커버에 전원이 공급되어, 결국 커버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창을 보면서 자판입력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커버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창을 터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커버 자체가 투명상태이고 회동구조에 의해 커버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창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커버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의 터치조작은 순수하게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하거나,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조작이 연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제어부와 전원부, 터치감지센서, 광 조사부, 작동제어센서부가 커버에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위 구성요소들은 커버 외에 케이스본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단말기 케이스 덮개에 외부자판 입력기능을 부가하여 외부자판 입력내용이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창의 활용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100 : 케이스본체 110 : 수용공간
200 : 커버 210 : 연결프레임
220 : 터치프레임 230 : 힌지부
232 : 회전체 234 : 연결부재
235 : 끼움공 300 : 전원부
310 : 집광판 320 : 집전부
400 : 제어부 500 : 광 조사부
510 : 자판
600 : 터치감지센서
700 : 작동제어센서부 M : 단말기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단말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
    일단부가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으며 투광성 재질인 커버,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감지센서,
    상기 케이스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CPU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센서의 입력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는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투명재질의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전도성 터치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프레임에 자판표시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더 갖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
  3. 제2항에서,
    상기 터치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제1터치프레임과 제2터치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
  4. 제3항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를 감싸고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체와 연결부재간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거나 개방하는 형태로 회동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창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2터치프레임의 위치가 상호 바뀌도록 회동되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
  5. 제4항에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회동 방향 및 회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
KR1020110123256A 2011-11-24 2011-11-24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KR101390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56A KR101390392B1 (ko) 2011-11-24 2011-11-24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56A KR101390392B1 (ko) 2011-11-24 2011-11-24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16A true KR20130057516A (ko) 2013-06-03
KR101390392B1 KR101390392B1 (ko) 2014-04-30

Family

ID=4885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256A KR101390392B1 (ko) 2011-11-24 2011-11-24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3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24B1 (ko) * 2013-12-23 2014-11-27 이창현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094231A (ko) * 2014-02-11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20150101819A (ko) * 2014-02-27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WO2016081421A1 (en) * 2014-11-17 2016-05-26 Infocase, Inc. Protective case for hybrid computer
KR20180002350U (ko) 2017-01-25 2018-08-02 조성찬 헤어로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8867B2 (ja) * 2003-04-14 2008-12-03 三星電子株式会社 回転型カメラレンズハウジングを備える携帯用端末機
KR101593409B1 (ko) * 2009-01-12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KR101631949B1 (ko) * 2009-12-16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24B1 (ko) * 2013-12-23 2014-11-27 이창현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094231A (ko) * 2014-02-11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20150101819A (ko) * 2014-02-27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WO2016081421A1 (en) * 2014-11-17 2016-05-26 Infocase, Inc. Protective case for hybrid computer
KR20180002350U (ko) 2017-01-25 2018-08-02 조성찬 헤어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392B1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957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rotective cas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90392B1 (ko)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CN104238662B (zh) 在相对的壳体表面上具有天线窗口的电子设备
CN203689264U (zh) 平板可移动式电子装置的携行装置
KR101649646B1 (ko) 이동 단말기
CN103576880B (zh) 电子装置的外接键盘与电子装置的护套
CN105159409B (zh) 一种具有指纹传感器的移动终端
KR10109476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180010952A (ko) 압력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204129441U (zh) 一种智能系统和智能手表
CN103845041A (zh) 多模式温度测量装置
CN107343061A (zh) 移动终端
CN108989567A (zh) 信息提醒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50096905A (ko) 전자장치의 키패드 장치 및 표시 방법
CN207184575U (zh) 终端的盖板组件、壳体组件及终端
CN107341383A (zh) 滑动解锁方法、装置、存储介质、触控显示屏及终端
KR20170002658U (ko) 접촉식 입력 장치
CN103034294A (zh) 一种平板电脑保护套及保护套的控制方法
KR10191707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207304680U (zh) 终端的壳体组件及具有其的终端
CN207573404U (zh) 终端的盖板组件、壳体组件及终端
KR101546949B1 (ko) 정전식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작동방법
KR100556751B1 (ko)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피디에이용 보호 케이스
CN207251710U (zh) 壳体组件和具有其的终端
CN207560562U (zh) 电子装置的壳体组件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