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705A -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50705A KR20130050705A KR1020110115917A KR20110115917A KR20130050705A KR 20130050705 A KR20130050705 A KR 20130050705A KR 1020110115917 A KR1020110115917 A KR 1020110115917A KR 20110115917 A KR20110115917 A KR 20110115917A KR 20130050705 A KR20130050705 A KR 201300507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word input
- keyword
- input field
- search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검색 방법 및 장치는 특히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은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를 표시하는 중에 키워드 입력 필드의 추가를 위한 추가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제 1 키워드에 대한 제 1 검색 결과와 상기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제 2 키워드에 대한 제 2 검색 결과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키워드 입력 필드와 상기 키워드에 의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한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 시장은 구매를 자극하는 다양한 디자인과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하여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온라인 마켓 등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오디오 및 비디오의 재생, 온라인 게임, 방송 청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는 키패드를 통해 키워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 포털 사이트 또는 앱 스토어(App Store) 등에서 찾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에서 종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는 검색 결과를 찾는데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만을 보여줄 뿐, 여러 키워드를 구별하여 입력하고 입력된 각각의 검색 결과들을 표시하는 기능은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는 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중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여러 키워드를 구별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된 각각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은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를 표시하는 중에 키워드 입력 필드의 추가를 위한 추가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제 1 키워드에 대한 제 1 검색 결과와 상기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제 2 키워드에 대한 제 2 검색 결과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이벤트로부터 상기 터치제스처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터치제스처가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이벤트이면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 및 이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검색 결과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키워드 입력을 위한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고, 이렇게 추가된 키워드 입력 필드를 이용한 검색 결과를 기존의 검색 결과와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표시 및 추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삭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표시 및 추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삭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는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 MP3 플레이어), 휴대형 게임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가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는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keyword input field)와 이러한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에 각각 대응되는 검색 결과 표시 필드(search result display field)를 표시하는 키워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키워드 입력 필드는 표시부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키워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 영역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검색 결과 표시 필드는 상기 표시부가 해당 키워드 입력 필드에서 표시되는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 중에서 어느 하나와 해당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삭제하는 키워드 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키워드 검색 기능이 실행되면, 이전의 검색 결과를 최신의 검색 결과로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들에 대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무선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스피커(SPK), 마이크(MIC)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표시부(130)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0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제스처는 터치(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및 스윕(Sweep)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즉, 드롭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프레스는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스윕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조작을 의미한다. 여기서, 드래그는 스크롤이라고도 하며 스윕은 플릭(Flick)이라고도 한다. 제어부(170)는 이동 속도로 스윕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키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검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인터넷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3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되는 영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검색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입력 필드와 이에 대응되는 하나의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다수의 검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검색 화면 중에서 일부가 표시될 때, 사용자는 화면을 스크롤하여 다른 일부를 볼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다수의 검색 화면을 적층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다수의 검색 화면에 대응되는 다수의 검색 화면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검색 화면 태그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검색 화면 태그의 해당 검색 화면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서로 다른 화면들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30)는 표시 영역을 둘로 분할하여 키패드 화면과 검색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상기 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을 서브 화면으로써 상기 메인 화면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30)는 검색 화면을 표시하고 그 위에 키패드 화면을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본 발명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 즉, 연락처, 이미지, 문서, 동영상, 메시지, 메일, 음악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표시부(130)로 출력되는 상기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키패드 화면은 3*4 또는 쿼티(QWERTY)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메뉴 화면은 화면 전환을 위한 화면 전환키(예컨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리턴(return) 키 등),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붙여 넣기 등을 위해 사용자가 메시지, 사진, 웹페이지, 문서 등에서 복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터치 발생 시 진동 여부, 화면 자동 회전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은 키워드와 이에 대한 검색 결과를 포함한 검색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키워드 검색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검색 결과는 제어부(170)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사용자 기능,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을 각각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 영역은 키워드 검색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 검색 프로그램은 상술한, 키워드 검색 기능, 키워드 삭제 기능 및 업데이트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키워드 검색 프로그램은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키워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검색 프로그램은 앱 스토어에서 키워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검색 프로그램은 인터넷에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근거리 통신 모듈(예컨대, 와이파이(Wi-Fi) 모듈) 및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앱 스토어, 정보의 검색이 가능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 접속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6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도 2와 같은 키워드 검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키워드 검색부는 제어부(17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70)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터치제스처 감지부(171), 터치제스처 판별부(172), 검색 실행부(173) 및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삭제부(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제스처 감지부(171)는 터치스크린(110)과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입력 필드가 표시되는 중에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터치제스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제스처 판별부(172)는 감지된 터치제스처의 의미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된 터치제스처의 의미는 "키패드 표시", "키워드 검색",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및 "키워드 입력 필드 삭제"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중인 키워드 입력 필드가 사용자에 의해 탭이 되면 터치스크린(110)은 이와 관련한 터치이벤트를 터치제스처 감지부(171)로 전달한다. 그러면 터치제스처 감지부(171)는 키워드 입력 필드에 대한 사용자의 탭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터치제스처 판별부(172)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터치제스처 판별부(172)는 상기 "키워드 입력 필드에 대한 사용자의 탭"을 "키패드를 표시하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제스처 판별부(172)는 상기 "키워드 입력 필드에 대한 사용자의 탭"을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라"로 해석할 수도 있다. 검색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탭이 감지되면 터치제스처 판별부(172)는 이러한 터치제스처를 "입력된 키워드로 검색하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제스처 판별부(172)는 상기 "검색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탭"을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삭제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탭이 감지되면 터치제스처 판별부(172)는 이러한 터치제스처를 상기 삭제 버튼에 해당되는 "키워드 입력 필드 및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삭제하라"로 해석할 수 있다.
검색 실행부(172)는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따라,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 기능을 수행한다. 즉 터치제스처 판별부(172)에서 감지된 터치제스처가 키워드 검색으로 해석되면 검색 실행부(172)는 검색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검색 기능이 데이터 영역에서 검색하기 위한 용도이면 검색 실행부(172)는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에서 찾아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이면 검색 실행부(172)는 무선 통신부(150)를 제어하여,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아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 앱 스토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이면 검색 실행부(172)는 무선 통신부(150)를 제어하여,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표시부(13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한다.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삭제부(174)는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 필드의 추가 또는 삭제 요청에 따라,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여 표시하거나 키워드 입력 필드 및 그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삭제한다. 다시 말해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삭제부(174)는 검색 화면을 새로 추가하여 표시하거나, 표시 중인 검색 화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검색 화면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카메라 모듈과, GPS 수신 모듈과,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및 위치 변화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과,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휴대 단말기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70)는 대기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상태는 키워드 검색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대기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키워드 검색 기능의 실행에 대한 요청이 있게 되면 단계 301에서 제어부(170)는 키워드 검색 기능을 실행하고,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입력 필드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키워드 입력 필드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결과 표시 필드는 이전에 찾은 검색 결과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키워드로 데이터베이스(즉,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 포털 사이트, 앱 스토어 등)를 다시 검색하고, 상기 이전 검색 결과 대신에 상기 다시 검색된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를 적층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키워드 입력 필드 바로 아래에 해당 검색 결과 표시 필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키워드 검색 기능의 실행에 따라 키워드 입력 필드가 표시 중인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터치제스처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터치제스처가 감지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302로 진행된다. 단계 302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된 터치제스처가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를 위한 터치제스처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302에서의 판별 결과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를 위한 것으로 판별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303으로 진행된다. 단계 303에서 제어부(170)는 키워드 입력 필드 하나가 추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추가된 키워드 입력 필드는 표시부(130)의 표시 영역에서 최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표시 영역에서 최하단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된 키워드 입력 필드를 통해 키워드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상기 입력된 키워드로 검색을 실행한다. 이후 단계 304에서 제어부(170)는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에 의한 검색 결과들을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 각각에 대한 다수의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단계 302에서의 판별 결과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305로 진행된다. 단계 305에서 제어부(170)는 감지된 터치제스처가 키워드 입력 필드 삭제를 위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305에서의 판별 결과 키워드 입력 필드 삭제를 위한 것으로 판별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306으로 진행된다. 단계 306에서 제어부(170)는 삭제가 요청된 키워드 입력 필드와 이에 해당되는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삭제한다. 단계 305에서의 판별 결과 감지된 터치제스처가 키워드 입력 필드 삭제가 아닌 다른 기능(예컨대, 화면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통한 키워드의 입력)을 위한 것이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키워드를 해당 키워드 입력 필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으로 상기 단계 304 또는 306 수행 후 제어부(170)는 키워드 검색 기능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단계 302로 복귀될 수 있다. 반면 키워드 검색 기능이 종료되면 제어부(170)는 검색 결과를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키워드 검색 기능이 실행되면 제어부(170)는 상술한 업데이트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표시 및 추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먼저 도 4 (a)를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410)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4 (b) 및 (c)를 참조하면,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410)가 사용자에 의해 탭이 되면 제어부(170)는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410)의 아래에 키패드(42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410)의 위에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43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키워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 입력 필드를 선택하는 터치제스처는 키워드 입력 필드의 추가 이벤트로 인식될 수 있다. 이렇게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어부(430)는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키패드(420)를 통해 제 1 키워드(411)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Driving Navigation'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제 1 키워드(411)를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410)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410)의 제 1 검색 버튼(412) 또는 키패드(420)의 엔터 키(enter key; 421)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제 1 키워드(411)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441)를 제 1 검색 결과 표시 필드(4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키패드(420)가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 1 검색 버튼(412) 대신 그 자리에 제 1 삭제 버튼(413)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계속해서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도 4 (c) 및 (d)를 참고하면,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430)가 사용자에 의해 탭이 되면 제어부(170)는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430) 아래에 키패드(42)를 다시 표시하고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43)의 위에 제 3 키워드 입력 필드(45)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키패드(42)를 통해 제 2 키워드(431)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Daily Calendar'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제 2 키워드(411)를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430)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4 (d) 및 (e)를 참고하면,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430)의 제 2 검색 버튼(432) 또는 키패드(420)의 엔터 키(421)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제 2 키워드(431)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461)를 제 2 검색 결과 표시 필드(4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키패드(420)가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 2 검색 버튼(432) 대신 그 자리에 제 2 삭제 버튼(433)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으로,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를 적층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각각의 키워드 입력 필드 아래에 해당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키워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 입력 필드를 선택하는 터치제스처를 감지하면, 이러한 터치제스처를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기 위한 이벤트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의 최상단에 새로운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지만 표시 영역의 최하단에 새로운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삭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5 (a) 및 (b)를 참고하면 삭제 버튼(533)에 탭이 발생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키워드 입력 필드(530)와 검색 결과 표시 필드(560)를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른 화면은 도 5 (b)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먼저 도 6 (a)를 참고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610)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6 (b) 및 (c)를 참고하면,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610)가 사용자에 의해 탭이 되면 제어부(170)는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610)의 아래에 키패드(62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키패드(620)를 통해 제 1 키워드(611)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제 1 키워드(611)를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610)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610)의 제 1 검색 버튼(612) 또는 키패드(620)의 엔터 키(621)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610)의 아래에 제 1 검색 결과 표시 필드(63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 1 키워드(611)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631)를 제 1 검색 결과 표시 필드(6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610)의 위에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64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제 1 키워드(611)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으면,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640)를 추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으로, 키워드 검색을 요청하는 터치제스처가 키워드 입력 필드의 추가 이벤트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을 요청하는 터치제스처를 감지하면, 이러한 터치제스처를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기 위한 이벤트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의 최상단에 새로운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입력 필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다수의 검색 화면 중에서 하나만을 표시하고 상기 다수의 검색 화면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검색 화면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화면은 하나의 키워드 입력 필드와 이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 표시 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다수의 검색 화면 태그 중에서 어느 하나(710)가 사용자에 의해 탭이 되면 제어부(170)는 다수의 검색 화면 중에서 해당 검색 화면(720)만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20: 키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무선통신부 160: 오디오처리부
170: 제어부 171: 터치제스처 감지부
172: 터치제스처 판별부 173: 검색 실행부
174: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삭제부
110: 터치스크린 120: 키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무선통신부 160: 오디오처리부
170: 제어부 171: 터치제스처 감지부
172: 터치제스처 판별부 173: 검색 실행부
174: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삭제부
Claims (14)
-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를 표시하는 중에 키워드 입력 필드의 추가를 위한 추가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제 1 키워드에 대한 제 1 검색 결과와 상기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제 2 키워드에 대한 제 2 검색 결과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와 상기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를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키워드 입력 필드를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 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에 상기 제 1 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가 선택되면 상기 추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에 상기 제 1 키워드가 입력된 상태에서 검색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검색 요청 이벤트를 상기 추가 이벤트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를 표시하는 중에 키워드 입력 필드의 삭제를 위한 삭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삭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와 함께 상기 제 1 검색 결과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키워드 검색을 위한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제 1 키워드 입력 필드에 입력된 제 1 키워드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 1 검색 결과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이벤트로부터 상기 터치제스처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터치제스처가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이벤트이면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 및 이들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검색 결과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키워드 검색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를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키워드 입력 필드 중에서 상기 추가된 키워드 입력 필드를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제스처를 감지하는 터치제스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터치제스처의 의미를 판별하는 터치제스처 판별부와,
상기 감지된 터치제스처의 의미가 상기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이벤트이면 키워드 입력 필드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제스처의 의미가 키워드 입력 필드 삭제 이벤트이면 표시 중인 키워드 입력 필드를 삭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삭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스처 판별부는,
키워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키워드 입력 필드를 선택하는 터치제스처를 상기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이벤트에 해당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스처 판별부는,
키워드 입력 필드에 입력된 키워드로 검색을 요청하는 검색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검색 요청 이벤트를 상기 키워드 입력 필드 추가 이벤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검색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5917A KR20130050705A (ko) | 2011-11-08 | 2011-11-08 |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
US13/667,249 US20130113741A1 (en) | 2011-11-08 | 2012-11-02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keywor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5917A KR20130050705A (ko) | 2011-11-08 | 2011-11-08 |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0705A true KR20130050705A (ko) | 2013-05-16 |
Family
ID=4822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5917A KR20130050705A (ko) | 2011-11-08 | 2011-11-08 |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13741A1 (ko) |
KR (1) | KR2013005070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89190A1 (ko) * | 2013-05-24 | 2014-11-27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데이터 부재 태깅 기반의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821565C (en) * | 2011-01-07 | 2017-04-18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US20140379747A1 (en) * | 2013-06-19 | 2014-12-25 | Microsoft Corporation | Identifying relevant apps in response to queries |
CN108459781B (zh) * | 2016-12-13 | 2021-03-12 |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 输入框的展现控制方法、装置及用户终端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18518B1 (en) * | 1999-12-20 | 2004-04-0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Non-disruptive search facility |
US7664770B2 (en) * | 2003-10-06 | 2010-02-16 | Lycos, Inc. | Smart browser panes |
US7873622B1 (en) * | 2004-09-02 | 2011-01-18 | A9.Com, Inc. | Multi-column search results interface |
US20060248060A1 (en) * | 2005-04-13 | 2006-11-02 | Silverberg Marc E | Search results web page with provisions for e-mailing individual search results |
US8725729B2 (en) * | 2006-04-03 | 2014-05-13 | Steven G. Lisa | System,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embedded internet searching and result display |
JP4513023B2 (ja) * | 2006-04-11 | 2010-07-28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8799307B2 (en) * | 2007-05-16 | 2014-08-05 | Google Inc. | Cross-language information retrieval |
US20090089690A1 (en) * | 2007-09-28 | 2009-04-02 | Yahoo! Inc. |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tag entry for a content item |
US8280886B2 (en) * | 2008-02-13 | 2012-10-02 | Fujitsu Limited | Determining candidate terms related to terms of a query |
US7991780B1 (en) * | 2008-05-07 | 2011-08-02 | Google Inc. | Performing multiple related searches |
US20100107100A1 (en) * | 2008-10-23 | 2010-04-29 | Schneekloth Jason S | Mobile Device Style Abstraction |
US8862576B2 (en) * | 2010-01-06 | 2014-10-14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pping directions between search results |
-
2011
- 2011-11-08 KR KR1020110115917A patent/KR201300507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
- 2012-11-02 US US13/667,249 patent/US20130113741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89190A1 (ko) * | 2013-05-24 | 2014-11-27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데이터 부재 태깅 기반의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113741A1 (en) | 2013-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4573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 |
AU201032745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 |
KR102113272B1 (ko) | 전자장치에서 복사/붙여넣기 방법 및 장치 | |
KR102083209B1 (ko) |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휴대 단말 | |
JP6487149B2 (ja) | 携帯端末機のアプリ提供方法、そのための電子装置及びそれ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 |
KR101971067B1 (ko)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20130052151A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 |
KR20140026027A (ko) |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휴대 단말 | |
US20140365950A1 (en) |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method in portable terminal | |
US2013014488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ly managing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 |
KR20130070045A (ko) |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 | |
US1107992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 |
KR20130024490A (ko) |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20130126038A (ko) | 컨텐트에 대한 오토 네이밍 방법 및 이 기능을 갖는 장치와 기록 매체 | |
US11416122B2 (en) | Location text | |
US20150019522A1 (en) |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20130111405A1 (en) |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130050705A (ko) |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장치 | |
KR102077158B1 (ko) | 메모 기능이 연동된 메시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 |
KR20140007607A (ko) |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 |
KR20120011215A (ko) | 단말기에서 시간표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단말기 | |
KR20140091137A (ko) | 화면 내 선택에 따른 맞춤 광고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20140136823A (ko) | 전자 기기의 오디오 데이터의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101874898B1 (ko) | 휴대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