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721A - 가설교량을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장치 - Google Patents
가설교량을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2721A KR20130042721A KR1020110106767A KR20110106767A KR20130042721A KR 20130042721 A KR20130042721 A KR 20130042721A KR 1020110106767 A KR1020110106767 A KR 1020110106767A KR 20110106767 A KR20110106767 A KR 20110106767A KR 20130042721 A KR20130042721 A KR 201300427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concrete
- temporary
- temporary bridge
- beam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7—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combined with ground-supported vehicles for the transport, handling or placing of such bridges or of section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교량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이 구축되는 콘크리트 타설 현장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레미콘차량이 콘크리트몰탈을 배출시키면서 주행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타설장비인 복수의 CPB 장비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교량과;
상기 가설교량에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양측 하부 빔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서로 대설하는 상태로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바퀴와;
상기 가설교량의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들을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 채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교량받침용 빔과;
상기 교량받침용 빔 각각의 상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레일 위로 돌출하도록 하나씩 설치되는 브라켓 각각에 피스톤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출몰작동시키도록 장착되는 교량이동용 유압잭과;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 각각의 피스톤로드 선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설교량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크로스빔 각각의 양단에 하향 돌출하도록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돌출프레임과;
상기 가설교량의 양측 하부 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 크로스빔 각각의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기준하여 상기한 각 연결부위의 양측 각각에서 하향으로 피스톤로드를 출몰시키도록 한 쌍씩 설치되어 가설교량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교량상승용 유압잭;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상기 가설교량에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양측 하부 빔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서로 대설하는 상태로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바퀴와;
상기 가설교량의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들을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 채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교량받침용 빔과;
상기 교량받침용 빔 각각의 상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레일 위로 돌출하도록 하나씩 설치되는 브라켓 각각에 피스톤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출몰작동시키도록 장착되는 교량이동용 유압잭과;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 각각의 피스톤로드 선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설교량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크로스빔 각각의 양단에 하향 돌출하도록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돌출프레임과;
상기 가설교량의 양측 하부 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 크로스빔 각각의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기준하여 상기한 각 연결부위의 양측 각각에서 하향으로 피스톤로드를 출몰시키도록 한 쌍씩 설치되어 가설교량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교량상승용 유압잭;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설교량을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진(强震) 대비를 위해 지면(地面)에 초대형의 내진용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설교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연속해서 타설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질학 이론인 판구조론에 따르면 지각은 한 덩어리로 붙어 있지 않고 여러 개의 판들로 나뉘어 있으며, 이들 판과 판이 충돌하는 경계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최근(2011년 3월경) 일본에는 리히터 규모 8.9의 강진으로 인한 쓰나미 발생으로 바닷물이 육지로 엄습하여 많은 건물이 바닷물이 침수되는 피해가 일어나고, 이와 동시에 발생된 지진으로 인해 많은 건물과 각종 시설물이 무너지는 등 커다란 피해가 일어난 바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는 지진에 대비하여 각종 산업시설을 건축할 때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구조를 건축설계에 반영하여 건축물을 건설하고 있는바,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내진구조는 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지진발생시 건물이 손상 내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겠지만, 건물 자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보호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때문에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여러 나라에서는 지진발생시 건물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므로써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기계 시설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내진구조물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진발생시 건물이 손상 내지 붕괴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 건물 자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므로써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기계 시설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강진발생시 지층이 요동하게 되더라도 절대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대규모의 크기 예를 들면, 길이 1000m, 폭 300m, 두께 27m 정도의 초대형 규모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이 구축되는 콘크리트 타설 현장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레미콘차량이 진입하여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타설장비인 복수의 CPB(concrete placing boom)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교량과;
상기 가설교량에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양측 하부 빔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서로 대설하는 상태로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바퀴와;
상기 가설교량의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들을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 채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교량받침용 빔과;
상기 교량받침용 빔 각각의 상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레일 위로 돌출하도록 하나씩 설치되는 브라켓 각각에 피스톤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출몰작동시키도록 장착되는 교량이동용 유압잭과;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 각각의 피스톤로드 선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설교량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크로스빔 각각의 양단에 하향 돌출하도록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돌출프레임과;
상기 가설교량의 양측 하부 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 크로스빔 각각의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기준하여 상기한 각 연결부위의 양측 각각에서 하향으로 피스톤로드를 출몰시키도록 한 쌍씩 설치되어 가설교량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교량상승용 유압잭;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설교량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양측 상부 빔의 상면에는 양단이 고정 연결되는 상부 크로스빔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크로스빔 각각에는 레미콘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복공판들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설교량에 연결 설치된 복수의 복공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는 레미콘차량의 바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퀴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설교량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크로스빔의 양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프레임 각각의 양측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양측 롤러지지대 하단에는 상기 교량받침용 빔의 양측 상부날개 저부에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교량받침용 빔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내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설교량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부 크로스빔 각각 양단에 가드레일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드레일 각각에는 가설교량에 연결 설치된 복공판 위로 주행하는 레미콘차량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몰탈를 골재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아니하는 상태로 타설할 수 있도록 상기 가설교량의 좌,우 양측으로 콘크리트몰탈의 낙하를 안내하는 슈트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설교량의 양단에는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으로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진입로는 가설교량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ㄴ자형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설교량의 양단에는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으로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진입로는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입로는 받침판 양측에는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진입로의 폭 방향 양측에는 받침판의 양단을 탄력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이 탄력설치되어 있는 양측 고정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입로는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 현장의 길이방향을 향해 평행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강선 각각에는 가설교량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진입로를 이동시키기 위한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이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진에 대비하여 지상에 길이 1000m, 폭 300m, 두께 27.5m의 초대형 규모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고자 할 때 레미콘차량이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 현장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가설교량 위로 주행하면서 콘크리트몰탈을 배출시켜서 타설하는 방법으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콘크리트 타설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가설교량을 받쳐주는 교량받침용 빔 및 레일들은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에 묻히지 않고 일정간격씩 이동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가설교량의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적은 작업인원으로도 가설교량을 일정간격씩 이동시키면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나아가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 현장에 가설교량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가설교량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상부에 레미콘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상부 빔의 폭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부 크로스빔 상면에 2줄상으로 연결 형성되는 복수의 복공판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하부 빔의 폭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부 크로스빔 각각에 설치되는 교량이동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을 일정간격씩 이동시키는 교량이동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이동장치의 교량받침용 빔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교량상승용 유압잭의 작동상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을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는 작동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을 일정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한 후 가설교량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이동용 유압잭의 재설치상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으로 레미콘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일실시예의 진입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으로 레미콘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다른 실시예의 진입로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이 이동한 만큼씩 진입로를 이동시키는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의 설치상태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상부에 레미콘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상부 빔의 폭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부 크로스빔 상면에 2줄상으로 연결 형성되는 복수의 복공판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의 하부 빔의 폭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하부 크로스빔 각각에 설치되는 교량이동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을 일정간격씩 이동시키는 교량이동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이동장치의 교량받침용 빔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교량상승용 유압잭의 작동상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을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는 작동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을 일정높이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한 후 가설교량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이동용 유압잭의 재설치상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으로 레미콘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일실시예의 진입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가설교량으로 레미콘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다른 실시예의 진입로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가설교량이 이동한 만큼씩 진입로를 이동시키는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의 설치상태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가설교량을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도시는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측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폭 방향으로 가설교량(1)의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은 터파기 공사에 의하여 큰 면적으로 굴착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는 1000m 정도, 폭 방향으로는 300m 정도, 깊이는 17m 정도로 굴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굴착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에는 설계에 맞추어 철근을 배설하면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며, 이렇게 구축되는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은 지하에 17m 정도의 깊이로 묻힌 상태로 구축되고 지상으로는 10m 정도의 높이로 노출되도록 구축되는 것이므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은 길이 1000m, 폭 300m, 두께 27m 규모로 구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대규모의 크기로 구축되는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은 현재까지 지구상에서 발생하였었거나 또는 앞으로 발생될 수 있는 어떠한 강진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게 되므로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에서 구축되는 기초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건축되는 건축물 및 각종 산업시설물을 강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바닥에는 가설교량(1)을 수평 유지 상태로 지지하면서 길이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가설교량(1) 위로 주행하는 레미콘차량에서 교반되고 있는 콘크리트몰탈을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으로 직접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일측 부분 예를 들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도면상 좌측 부분에서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할 때에는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좌측부분에서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가설교량(1)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가설교량(1) 위로 레미콘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설교량의 양단에 진입로(7a 또는 7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에는 일정 두께로 구축된 콘크리트 바닥(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가설교량(1)은 트러스구조로 상,하 연결된 채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양측 상,하부 빔(1a,1b)과, 상기 양측 상,하부 빔(1a,1b)이 서로 일정한 폭을 유지하도록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상,하부 크로스빔(1c,1d)과, 상기 복수의 상부 크로스빔(1c)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복공판(11)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상부 빔(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크로스빔(1c) 각각의 양단에는 가드레일(12)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가설교량(1) 위에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복공판(11)의 양단에는 가설교량을 주행하는 레미콘차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바퀴이탈방지턱(1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가설교량(1)에 연결 설치되는 복공판(11)을 2줄상으로 연결 설치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
상기 가설교량(1)은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폭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씩 자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설교량(1)의 양측 하부 빔(1b)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하부 크로스빔(1d)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하부 크로스빔(1d)의 양단이 연결되는 부위의 양측 하부 빔(1b) 저부에는 양측 바퀴(2a,2b)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설교량(1)의 양측 하부 빔(1b) 저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각 쌍의 양측 바퀴(2a,2b)들은 교량받침용 빔(3) 위에서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량받침용 빔(3)들 각각의 상면에는 양측 바퀴(2a,2b)들이 실질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구름이동을 안내하는 레일(31)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교량받침용 빔(3)의 양단에는 레일(31) 위를 구름 이동하는 양측 바퀴(2a,2b)가 부착되어 있는 가설교량(1)의 이동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양측 스토퍼(32,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 바퀴(2a,2b)들이 설치되어 있는 각 위치에서 양측 하부 빔(1b)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 크로스빔(1d)들 각각의 양단 저부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양측 돌출프레임(14,15)이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프레임(14.15)들 각각의 양면에는 복수의 롤러지지대(16)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지지대(16)의 하단에 축설된 롤러축(17) 각각의 일단 즉, 교량받침용 빔(3)의 양측 상부날개(34)의 하부까지 돌출하는 롤러축(17)의 일단에는 상기 교량받침용 빔(3)의 양측 상부날개(34)의 저부에 밀착된 상태로 구름이동하는 안내롤러(18)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롤러(18)들은 교량받침용 빔(3)의 양측 상부날개(31) 저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름이동을 하게 되므로써 가설교량(1)이 레일(3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각 교량이동용 빔(3)들을 들어올리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교량받침용 빔(3) 각각에는 레일(31)보다 높은 위치에서 피스톤로드(41)를 수평상으로 출몰작동시키는 교량이동용 유압잭(4)이 하나씩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4)들은 교량받침용 빔(3) 각각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31) 위에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브라켓(42)에 하나씩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42) 각각은 교량받침용 빔(3)의 양측 상부날개(33)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교량받침용 빔(3)을 관통하는 지지축(43)에 의하여 교량받침용 빔(3)에 장착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지지축(43)은 브라켓(42) 및 교량받침용 빔(3)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브라켓(42)에 설치된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피스톤로드(41)의 출몰작동(전,후진 작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피스톤로드(41) 선단을 양측 돌출프레임(14,15) 중 어느 한쪽의 돌출프레임에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상(도 5 및 도 6 참조) 좌측 돌출프레임(14)에 연결하거나 또는 도면상(도 13 참조) 우측 돌출프레임(15)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설교량(1)의 양측 하부 빔(1b)을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하부 크로스빔(1d)들의 양단이 연결되는 부위를 기준하여 양측 하부 빔(1b) 각각의 저부 양측에는 서로 마주하는 복수 쌍의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들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쌍의 교량상승용 유압잭들 각각은 하부 빔(1b) 저부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하향을 향해 피스톤로드(51)를 출현시키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설교량(1)의 폭 방향 좌,우 양측에는 복공판(11) 위로 주행하는 레미콘차량에서 배출시키는 콘크리트몰탈의 낙하를 안내하는 슈트안내판(6)이 경사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슈트안내판(6)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발판(61)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한 슈트안내판(6)은 평탄한 철판 구조로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콘베이어 구조로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설교량(1)의 하부 빔(1b)에는 일정간격으로 콘크리트 유입방지커버(10)이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유입방지커버(10)는 가설교량(1)을 이동 및 상승작동이 가능하게 받쳐주는 교량받침용 빔(3)과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교량이동용 유압잭(4) 및 가설교량을 승강작동시키기 위한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 등을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한 각 구성요소들을 커버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도 4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가설교량(1)은 연결 설치된 복수의 복공판(11) 위를 진입하는 레미콘차량이 정지된 상태 또는 주행하는 상태에서 콘크리트몰탈을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또는 콘크리트 타설장비인 CPB(concrete placing boom)를 가설교량(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해 놓는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레미콘차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가설교량(1)에 설치된 복공판(11) 위로 레미콘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진입로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상기한 진입로는 두 종류의 실시예가 있다.
먼저, 일실시예의 진입로(7a)의 경우는,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1)의 이동방향으로 주행하면서 가설교량(1) 위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4의 도시와 같이 레미콘차량이 진입하는 진입부(71)와 상기 가설교량(1)의 양단에 연결되는 연결부(72)가 ㄴ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진입로(7a)를 통해서는 가설교량(1)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해 주행하는 레미콘차량이 진입부(71)에서 진입한 후 연결부(72)를 향해 90°각도로 방향 전환하여 가설교량(1)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복공판(11) 위를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다른 실시예의 진입로(7b)의 경우는,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1)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레미콘차량이 진입하는 진입부(71)와 가설교량(1)의 양단에 연결되는 연결부(72)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진입로(7b)는 진입부(71)와 연결부(72) 사이에 복수의 이동발판(73)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한 복수의 이동발판(73)들 각각의 양단과 양측 고정지지대(74) 사이에는 복수의 스프링(75)이 탄력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발판(73)들 각각의 저부에는 복수의 롤러(도시 생략)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레미콘차량이 상기 진입로(7b)로 진입 내지 진출하는 도중 앞바퀴 또는 뒷바퀴가 진입부(71)에 올라선 상태이고 다른 바퀴(뒷바퀴 또는 앞바퀴)는 지면에 있는 상태에서 가설교량(1)이 이동하게 될 때에는 레미콘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지지하고 있는 이동발판(73)들은 레미콘차량의 중량에 의해 정지된 상태로 있고 나머지 이동발판(73)들은 가설교량(1)과 같이 가설교량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레미콘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가 올라서 있는 이동발판들은 정지된 상태에서 가설교량(1)과 같이 이동하게 되는 진입로(7b)가 이동하는 거리만큼 압축스프링(75)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게 되며(도 17 참조), 상기 가설교량(1)이 일정거리 이동하여 정지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진입로(7b)도 정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진입로(7b)가 정지되었을 때에는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1) 위로 안전하게 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1) 위로 진입하기 위해 주행하게 되면 압축스프링(75)을 탄력적으로 압축하고 있던 이동발판(73)에서 레미콘차량의 바퀴가 벗어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압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75)들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도 16 참조)
또한 상기한 진입로(7a,7b)는 가설교량(1)과 같이 일정거리만큼씩 반복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한 진입로(7a,7b)에는 복수 가닥의 강선(81)들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강선(81)들의 타단은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길이방향 끝부분에 일정간격으로 지하에 수직상으로 박힌 고정 파일에 지지되도록 횡설된 버팀용 빔(82)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강선(81)들의 타단은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8)의 후방 고정구(8b)에서 전방 고정구(8a)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8)들은 전방 고정구(8a)가 강선(81)을 붙잡은 상태에서 출현작동될 때에는 후방 고정구(8b)는 강선(81)이 전방 고정구(8a)와 함께 당김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전방 고정구(8a)가 몰입작동될 때에는 후방 고정구(8b)가 강선(81)을 붙잡고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각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8)이 전방 고정구(8a)를 출몰작동시킬 때마다 전방 고정구(8a)가 출몰작동되는 거리만큼씩 강선(81)들을 반복적으로 잡아당겨 주는 작동으로 상기한 진입로(7a,7b)를 가설교량(1)과 같이 일정간격씩 반복해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가설교량(1) 위로 직접 레미콘차량이 주행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가설교량(1) 위에 일정간격으로 CPB를 설치해 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데, 먼저 레미콘차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설교량(1)은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지하에 일정 깊이로 굴착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가설교량(1)의 양단에는 레미콘차량의 진입을 안내하는 일실시예의 진입로(7a) 또는 다른 실시예의 진입로(7b) 중 선택된 하나의 진입로가 설치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에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는 작업은 다수의 레미콘차량들이 가설교량(1) 위를 줄지어 진입하여 정지된 상태 또는 주행하는 상태에서 콘크리트몰탈을 쏟아붓는 방법으로 타설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가설교량(1)을 콘크리트 타설 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반복하면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바닥에는 가설교량(1)을 수평 유지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가설교량(1)을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씩 반복해서 이동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 바닥(110)이 수평을 이루도록 구축되어 있다.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좌측부분에서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할 때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좌측부분에서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가설교량(1)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가설교량(1)의 양단에는 레미콘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의 진입로(7a) 또는 다른 실시예의 진입로(7b)를 설치하여 레미콘차량이 상기 진입로(7a 또는 7b)를 통해 가설교량(1)으로 진입하여 그 가설교량(1) 위를 주행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또한 상기한 레미콘차량이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시작하는 초기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가설교량(1)의 양측 하부 빔(1b) 각각에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양측 바퀴(2a,2b)들 중 일측(도면상 좌측) 바퀴(2a)가 교량받침용 빔(3)의 좌측단의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진행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좌측부분에서부터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설교량(1)이 교량받침용 빔(3)의 좌측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좌측 스토퍼(32)에 의해 정지된 위치에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 좌측부분의 폭 방향 전체에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가설교량(1)을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교량받침용 빔(3)에 부착된 브라켓(42)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피스톤로드(41)를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피스톤로드(41)가 출현된 길이만큼 가설교량(1)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설교량(1) 위로 레미콘차량이 주행하면서 콘크르트 타설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가설교량(1)의 이동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피스톤로드(41) 출현작동으로 가설교량(1)을 이동시키는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가설교량(1)을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는데, 이때 도 8의 도시와 같이 양측 바퀴(2a,2b) 각각 좌,우 양측에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을 작동시켜서 피스톤로드(51)들을 동시에 하향으로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설교량(1)의 피스톤로드(51)의 출현작동된 길이만큼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가설교량(1)의 하부 크로스빔(1d) 양측에서 하향 돌출된 양측 돌출프레임(14,15) 각각의 양측에 고정 부착된 양측 돌출지지대(15) 각각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양측 안내롤러(18)가 교량받침용 빔(3)의 양측 상부날개(31)를 들어올리게 되므로써 상기 교량받침용 빔(3)은 콘크리트 바닥(110)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피스톤로드(51)를 출현작동시켜서 가설교량(1)을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상기 가설교량(1)의 하중이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에 집중되는 한편, 교량받침용 빔(3)에는 가설교량(1)의 하중이 실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피스톤로드(41)를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상기한 피스톤로드(41)는 그 선단이 가설교량(1)의 하부 빔(1b) 일측(도 5 및 도 6 참조) 돌출프레임(15)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실린더 몸체를 잡아당기는 상태가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4)과 지지축(43)에 의해 브라켓(42)과 결합되어 있는 교량받침용 빔(3)은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교량받침용 빔(3)을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다시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피스톤로드(51)를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가설교량(1)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교량받침용 빔(3)은 콘크리트 바닥(110)에 지지 고정되는 것이며, 이어서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피스톤로드(41)를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상기한 피스톤로드(41)가 출현작동된 길이만큼 가설교량(1)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도 6 참조)
상기와 같이 교량이동용 유압잭(4)과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을 교대로 작동시켜서 가설교량(1)을 일정간격씩 이동시키는 방법을 반복하여 상기 가설교량(1)을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길이방향 좌측 끝부분에서부터 우측 끝부분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가설교량(1)을 일정높이로 상승시킨 다음, 상승된 가설교량(1)의 하측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계속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설교량(1)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설교량(1)이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도면상 우측 끝부분까지 이동하는 위치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110)에 복수의 앵커볼트(120)가 설계에 의해 미리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앵커볼트(120)의 직상방에 하부 빔(1b)이 위치하도록 가설교량(10)을 정지시킨 다음, 상기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피스톤로드(51)를 출현작동시켜서 가설교량(1)을 상기한 피스톤로드(51)의 출현길이만큼 상기 가설교량(1)의 상승시키고, 이어서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가설교량(1)의 하부 빔(1b) 하측에서 수직교량받침용 빔(130)의 하단을 앵커볼트(120)에 볼트로 체결한 다음, 상기 가설교량(1)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렸던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피스톤로드(51)를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가설교량(1)은 앵커볼트(12)에 체결해 놓은 수직교량받침용 빔(130)의 상단에 받쳐진 상태가 된다.
이어서, 수직교량받침용 빔(130) 상단에 받쳐지도록 가설교량(1)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켰던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몰입작동된 피스톤로드(51)의 선단을 도 11의 도시와 같이 유압잭 받침용 빔(140)으로 받쳐놓고 다시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피스톤로드(51)를 출현작동시켜서 상기 가설교량(1)을 한차례 더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 다음, 도 12의 도시와 같이 앞서 앵커볼트(120)에 수직상으로 설치해 놓았던 수직교량받침용 빔(130)의 상단에 또 하나의 수직교량용 빔(131)을 수직상으로 연결 조립한 후 다시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피스톤로드(51)를 몰입작동시키면서 상기 가설교량(1)이 2단으로 수직 연결되어 있는 수직교량받침용 빔(130,131)에 의해 받쳐진 상태가 되도록 하면 상기 가설교량(1)은 설계대로의 일정 높이로 상승이동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일정 높이로 상승 이동된 가설교량(1) 하측의 콘크리트 바닥(110)에는 콘크리트몰탈이 타설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이다.(도 13 참조)
따라서 앞서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을 받쳐주었던 유압잭 받침용 빔(140)을 수거처리하고, 또한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피스톤로드(51)를 몰입작동시킨 다음, 콘크리트 펌프카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가설교량(1)의 하측부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는데, 이때에는 도 13에 도시된 가상선 표시 부분까지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콘크리트 바닥(110) 전체에 동일한 두께로 콘크르몰탈을 타설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콘크리트 펌프카 등을 이용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이 완전히 경화하였을 때에는 상기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피스톤로드(51)를 출현작동시켜서 가설교량(1)을 받쳐주는데, 이때에는 상기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이 도 13의 가상선 표시 부분의 상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수직교량받침용 빔(131)에 지지되어 있는 가설교량(1)을 상향으로 들어올리도록 한 다음, 상기한 수직교량받침용 빔(131)을 콘크리트몰탈에 매랩되어 있는 수직교량받침용 빔(130)에서 분리시키고 수거처리한 후 다시 상기 교량상승용 유압잭(5a,5b)의 피스톤로드(51)를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설교량(1)은 경화된 콘크리트몰탈 타설면 위에 내려앉는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는 가설교량(1)을 받쳐주도록 장착된 교량받침용 빔(3)의 레일(31)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교량이동용 유압잭(4)을 상기 교량받침용 빔(3)에 부착시키고 있던 지지축(43)을 분리하고, 또한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피스톤로드(41) 선단을 도면상 우측 돌출프레임(15)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4) 및 브라켓(42) 각각을 180°로 회전시켜서 설치방향을 반대로 하여 상기한 지지축(43)을 교량받침용 빔(3)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피스톤로드(41) 선단은 도면상 좌측 돌출프레임(14)에 연결되어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도면상 좌측방향을 향해 출몰작동하는 상태가 된다.(도 13 참조)
따라서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4)은 전술에서 가설교량(1)을 도면상 좌측 끝부분에서 우측 끝부분으로 일정간격씩 반복해서 이동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면상 우측 끝부분에서부터 좌측 끝부분까지 일정간격씩 반복해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가설교량(1)을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도면상 좌측 끝부분까지 이동시킨 다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이동용 유압잭(4)의 설치상태를 180°로 바꾸어주게 되면 가설교량(1)을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가설교량(1)을 일정 높이씩 상승시키고, 또 이동방향을 교대적으로 좌,우로 바꾸어주는 방법을 반복 되풀이하게 되면 지하에 굴착되어 있는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은 몰론이고 지상에서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부분까지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설교량(1)을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좌,우방향을 향해 교대적으로 일정간격씩 이동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1) 위로 진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따라서 상기 가설교량(1)이 이동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레미콘차량이 안전하게 가설교량(1) 위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진입로(7a,7b)는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강선(81)들이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8)들이 전방 고정구(8a)가 각 강선(81)들을 붙잡고 있는 상태에서 전진이동할 때에는 각 후방 고정구(8b)들은 강선(81)들이 전진 고정구(8a)와 함께 전진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와 반대로 전진 고정구(8a)가 각 강선(81)들은 놓아준 상태로 후진 이동하게 될 때에는 각 후방 고정구(8b)들이 각 강선(81)들을 꼭 붙잡아주게 되므로 상기 복수의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8)들이 버팀용 빔(82)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 고정구(8a)를 전진 이동시킬 때마다 복수의 강선(81)들을 일정간격으로 잡아당겨는 작동으로 진입로(7a,7b)를 일정간격씩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상기 진입로(7a,7b)를 가설교량(1)과 같이 이동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입로(7a,7b)들 중 일실시예의 진입로(7a)의 경우는 진입부(71)가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1)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입로(7a)가 가설교량(1)과 같이 이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진입부(71)로 진입하게 되더라도 레미콘차량이 진입로(7a)에 안전하게 진입하여 가설교량(1) 위로 주행할 수 있게 되며(도 14의 화살표 참조), 다른 실시예의 진입로(7b)의 경우는 진입로(71)가 가설교량(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진입로(7b)로 진입하는 레미콘차량의 앞바퀴(W)가 진입부(71)의 이동발판(73) 위에 올라탄 상태이고, 뒷바퀴는 지상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진입로(7b)가 가설교량(1)과 같이 이동하게 될 때에는 레미콘차량의 하중에 의해 레미콘차량의 앞바퀴(W)가 올라서 있는 이동발판(73)은 그대로 정지된 상태가 되지만, 그외의 다른 나머지 이동발판(73)들은 가설교량(1)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이동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써 레미콘차량의 앞바퀴(W)가 올라가 있는 이동발판(73)을 탄력지지하고 있는 스프링(75)들은 도 17의 도시와 같이 가설교량(1)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 일측(도면상 좌측) 고정지지대(74)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축되므로써 레미콘차량은 진입로(7b)의 이동시에도 차체에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써 레미콘차량은 진입로(7b)가 가설교량(1)과 같이 이동하게 되는 도중에도 진입로(7b)에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레미콘차량의 주행작동으로 스프링(75)을 압축시킨 이동발판(73)에서 앞바퀴(W)가 벗어나게 되면 그 이동발판은 압축되었던 스프링(7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진입로(7b)가 가설교량(1)과 같이 이동하고 있을 때에도 레미콘차량은 안전하게 진입로(7b)로 진입하여 가설교량(1) 위로 주행하면서 콘크리트몰탈을 쏟아붓는 작동으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가설교량(1) 위로 레미콘차량이 진입하여 주행하면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가설교량(1)은 레미콘차량 대신에 콘크리트 타설장비의 하나인 CPB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설교량(1)에 CPB장비를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해 놓고 콘크리트 펌프카로부터 공급되는 콘크리트몰탈을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에 콘크리틀 타설하는데, 이때에도 상기 가설교량(1)을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씩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상기 콘크리트 타설현장(100)의 지하 및 지상에 길이 1000m, 폭 300m 및 두께 27m 정도인 대규모 크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계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변형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가설교량 1a,1b : 상,하부 빔
1c,1d : 상,하부 크로스빔 11 : 복공판
12 : 가드레일 13 : 바퀴이탈방지턱
14,15 : 돌출 프레임 17 : 롤러축
2a,2b : 바퀴 3 : 교량받침용 빔
31 : 레일 32,33 : 스토퍼
34 : 상부날개 4 : 교량이동용 유압잭
41,51 : 피스톤로드 42 : 브라켓
43 : 지지축 5a,5b : 교량상승용 유압잭
6 : 슈트안내판 61 : 받침발판
7a,7b : 진입로 71 : 진입부
72 : 연결부 73 : 이동발판
74 : 고정지지대 75 : 스프링
8 :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 8a,8b : 전방 및 후방 고정구
81 : 강선 82 : 버팀용 빔
1c,1d : 상,하부 크로스빔 11 : 복공판
12 : 가드레일 13 : 바퀴이탈방지턱
14,15 : 돌출 프레임 17 : 롤러축
2a,2b : 바퀴 3 : 교량받침용 빔
31 : 레일 32,33 : 스토퍼
34 : 상부날개 4 : 교량이동용 유압잭
41,51 : 피스톤로드 42 : 브라켓
43 : 지지축 5a,5b : 교량상승용 유압잭
6 : 슈트안내판 61 : 받침발판
7a,7b : 진입로 71 : 진입부
72 : 연결부 73 : 이동발판
74 : 고정지지대 75 : 스프링
8 : 어스앵커 긴장용 유압잭 8a,8b : 전방 및 후방 고정구
81 : 강선 82 : 버팀용 빔
Claims (8)
-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이 구축되는 콘크리트 타설 현장의 폭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레미콘차량이 진입하여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타설장비인 복수의 CPB(concrete placing boom)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교량과;
상기 가설교량에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양측 하부 빔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서로 대설하는 상태로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바퀴와;
상기 가설교량의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들을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 채 가설교량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교량받침용 빔과;
상기 교량받침용 빔 각각의 상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레일 위로 돌출하도록 하나씩 설치되는 브라켓 각각에 피스톤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출몰작동시키도록 장착되는 교량이동용 유압잭과;
상기 교량이동용 유압잭 각각의 피스톤로드 선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설교량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크로스빔 각각의 양단에 하향 돌출하도록 한 쌍씩 형성되어 있는 돌출프레임과;
상기 가설교량의 양측 하부 빔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 크로스빔 각각의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기준하여 상기한 각 연결부위의 양측 각각에서 하향으로 피스톤로드를 출몰시키도록 한 쌍씩 설치되어 가설교량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설치되는 교량상승용 유압잭;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교량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양측 상부 빔의 상면에는 양단이 고정 연결되는 상부 크로스빔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크로스빔 각각에는 레미콘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복공판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교량에 연결 설치된 복공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는 레미콘차량의 바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퀴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교량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크로스빔의 양단에는 하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프레임 각각의 양측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양측 롤러지지대 하단에는 상기 교량받침용 빔의 양측 상부날개 저부에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교량받침용 빔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내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교량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부 크로스빔 각각 양단에 가드레일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드레일 각각에는 가설교량에 연결 설치된 복수의 복공판 위로 진입하는 레미콘차량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몰탈를 골재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아니하는 상태로 타설할 수 있도록 상기 가설교량의 좌,우 양측으로 콘크리트몰탈의 낙하를 안내하는 슈트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교량의 양단에는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으로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진입로는 가설교량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ㄴ자형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교량의 양단에는 레미콘차량이 가설교량으로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진입로는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입로는 받침판 양측에는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진입로의 폭 방향 양측에는 받침판의 양단을 탄력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이 탄력설치되어 있는 양측 고정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로는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 현장의 길이방향을 향해 평행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강선 각각에는 가설교량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진입로를 이동시키기 위한 어스앵커긴장용 유압잭이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교량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767A KR20130042721A (ko) | 2011-10-19 | 2011-10-19 | 가설교량을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767A KR20130042721A (ko) | 2011-10-19 | 2011-10-19 | 가설교량을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2721A true KR20130042721A (ko) | 2013-04-29 |
Family
ID=4844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6767A KR20130042721A (ko) | 2011-10-19 | 2011-10-19 | 가설교량을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42721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9377A (ko) * | 2013-10-30 | 2015-05-0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심 플레이트 설치 장치 및 방법 |
CN110042761A (zh) * | 2019-05-05 | 2019-07-23 | 陕西路桥集团有限公司 | 一种0#块托架预应力预压工法 |
CN110735385A (zh) * | 2019-10-24 | 2020-01-31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便于浇筑的防震桥梁建设用装配式支墩结构 |
CN111005322A (zh) * | 2019-12-31 | 2020-04-14 |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桥梁的临时支撑及施工方法 |
-
2011
- 2011-10-19 KR KR1020110106767A patent/KR20130042721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9377A (ko) * | 2013-10-30 | 2015-05-0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심 플레이트 설치 장치 및 방법 |
CN110042761A (zh) * | 2019-05-05 | 2019-07-23 | 陕西路桥集团有限公司 | 一种0#块托架预应力预压工法 |
CN110735385A (zh) * | 2019-10-24 | 2020-01-31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便于浇筑的防震桥梁建设用装配式支墩结构 |
CN111005322A (zh) * | 2019-12-31 | 2020-04-14 |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桥梁的临时支撑及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356167B (zh) | 深基坑支撑拆除体系及施工方法 | |
JP6503716B2 (ja) |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 |
KR20130042721A (ko) | 가설교량을 이용한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장치 | |
KR101580111B1 (ko) | 스틸폼을 이용한 잔교식 구조물의 연속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
KR20190041189A (ko) |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 |
JP6966853B2 (ja) | 傾斜面の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移動式型枠装置 | |
CN116378711A (zh) | 一种浅埋暗挖隧道分离式台车装置及施工方法 | |
CN109457619B (zh) | 一种用于混凝土主梁现浇施工的复合型多功能移动支架 | |
CN111042173B (zh) | 一种流沙层沉井施工方法 | |
KR101335796B1 (ko) | 지하구조물의 현수식 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지보 역타설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 |
CN202023149U (zh) | 建筑用挂篮 | |
JP2021042632A (ja) | 橋梁工事用片持ち装置および橋梁の架設解体方法 | |
KR101243703B1 (ko) | 케이슨 외부 거푸집 및 케이슨 내부 거푸집을 포함하는 케이슨 제작장치 | |
JP6449637B2 (ja) | 建物の構築方法 | |
CN209779679U (zh) | 一种管廊节段的移位系统 | |
CN221702408U (zh) | 一种一体式桩基施工平台 | |
KR100679986B1 (ko) | 무량판 데크 설치용 현수식 지지 거더의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역타설 공법 | |
CN216663826U (zh) | 全封闭声屏障桥梁现浇三墙移动模架 | |
RU2716319C1 (ru) |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 |
KR100227537B1 (ko) | 대형판 거푸집 및 동바리 현수식 역타설 거푸집 공법 | |
CN221645601U (zh) | 桥台承重拱腿拆除结构 | |
JP2018123617A (ja) | 高層ビルの解体工法 | |
CN110965803B (zh) | 一种地下连续墙拆除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 |
JP2019173365A (ja) | 線形状構築物の施工方法 | |
CN218147885U (zh) | 一种移动式雨水箱涵外模板安装拆卸台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