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893A - Pliers - Google Patents
Pli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9893A KR20130039893A KR1020110104545A KR20110104545A KR20130039893A KR 20130039893 A KR20130039893 A KR 20130039893A KR 1020110104545 A KR1020110104545 A KR 1020110104545A KR 20110104545 A KR20110104545 A KR 20110104545A KR 20130039893 A KR20130039893 A KR 201300398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s
- branches
- actuator
- rotating shaft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413 garde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661 flower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25B7/04—Jaws adjust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의 가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기 위해 가지의 조직이 유연해지도록 상기 가지를 비트는데 사용되는 원예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이 결합되는 상부손잡이와, 호(弧)형상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상기 상부손잡이로부터 직교되게 양측으로 연장된 일체형의 제1 집게부로 구성되는 상부작동체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간을 연결하는 연결홀로 이루어진 간격조절홀을 형성한 하부손잡이와, 상기 제1 집게부의 형상과 대칭이 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손잡이로부터 직교되게 양측으로 연장된 일체형의 제2 집게부로 구성되는 하부작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작동체와 하부작동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와의 간격을 조절하고, 회전축은 간격조절홀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와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제1,2 집게부의 내측면은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의 가지 유인을 위한 원예용 비틀기 집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ticultural tongs used to twist the branches so that the tissues of the branches become flexible so as to attract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in the desired direction. An upper actuator configured to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actuator comprising an integral first tongs extending in both sides perpendicularly from the upper handle; A lower handle having a gap adjusting hole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and a connecting hole connecting the through holes, and formed to be symmetric to the shape of the first tongs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ower handle; And a lower actuator configured to include a single integrated second clamp portion, wherein the upper actuator and the lower actuator rotate about a rotating shaft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lamp portion and the second clamp portion, and the rotating shaft is It is movable in the gap adjusting hole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ong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ongs for the attraction of the fruit branc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slip uneven portion is formed It relates to gardening torsion forcep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수의 가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기 위해 가지의 조직이 유연해지도록 상기 가지를 비트는데 사용되는 과수의 가지 유인을 위한 원예용 비틀기 집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rticultural torsion forceps for attracting a branch of an orchard used to twist the branch so that the tissue of the branch is flexible to attract the branch of the fruit tree in the desired direction.
일반적으로 과수농가에서는 열매를 수확하기 위한 과수나무의 재배시, 과수나무의 어린목을 토지에 심어 성숙목으로 성장시킨 후 그 성숙목이 맺는 열매를 수확하게 되는데, 이때, 어린목은 그 성장시 일조에 따른 식물의 특성상 몸통 외주에 뻗어 있는 가지가 상부 중심쪽으로 밀집되는 형상으로 자라게 되므로, 가지와 가지 사이의 일조량 부족으로 양질의 성숙목이 될 수 없음은 물론 차후 열매의 량과 질도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Generally, in fruit farms, when growing fruit trees to harvest the fruit, the young trees of the fruit trees are planted in the land and grown into mature trees, and then the fruits of the mature trees are harvested. Due to the nature of the plant, branches that grow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runk grow into a shape that is concentrated toward the upper center, and the lack of sunshine between the branches and the branches can not be a good mature tree, as well a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fruit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future. Have.
그러므로 농가에서는 어린목의 성장시 통상 어린목의 몸체 외주에 뻗어 있는 가지를 일일이 끈으로 묶은 다음 그 끈을 땅 바닥에 고정시켜 가지들을 서로 벌려 주거나 또는 상,하 위치된 가지와 가지 사이에 꼬챙이 또는 각목을 끼워 가지들이 몸체 외주로 펼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자라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일조량 증가를 꾀함은 물론 그로 인한 양질의 과수나무 및 열매를 얻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in farming, when a young tree grows, the branches that normally exten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of the young tree are tied with a string, and then the strings are fixed to the ground, so that the branches are open to each other, or a skewer or The tree trunks are bran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to induce them to grow at regular intervals to increase the amount of sunshine and to obtain high quality fruit trees and fruits.
이상과 같이 과수나무는 나무의 성장 및 열매의 성장과정에 있어 일조량의 영향이 매우 크므로 어린목의 가지 유도작업은 과수농가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종래의 끈을 이용하여 유인하는 경우 일직선으로 유인이 어려워 원하는 각도와 방향으로 가지를 배치하기가 어려웠다.As mentioned above, fruit trees have a very large influence on the growth of trees and fruit growth. Therefore, branching of young trees occupies a large proportion in fruit farms. Difficult to attract, it was difficult to place branches at the desired angle and direction.
<참조 문헌>REFERENCES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2337호(2010.05.19.)Publication No. 10-2010-0052337 (2010.05.19.)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0196호(2011.01.07.)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0196 (2011.01.07.)
본 발명의 목적은 과수의 가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기 위해 가지의 조직이 유연해지도록 상기 가지를 비트는데 사용되는 과수의 가지 유인을 위한 원예용 비틀기 집게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rticultural torsion forceps for attracting a branch of an fruit tree, which is used to twist the branch so that the tissue of the branch becomes flexible to attract the fruit tree branch in the desired direc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원예용 집게에 있어서,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gardening tongs,
회전축이 결합되는 상부손잡이와, 호(弧)형상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상기 상부손잡이로부터 직교되게 양측으로 연장된 일체형의 제1 집게부로 구성되는 상부작동체와;An upper operating member including an upper handle 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and an integral first tong portion extending in both sides perpendicularly from the upper handle in an arc-shaped cross sec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간을 연결하는 연결홀로 이루어진 간격조절홀을 형성한 하부손잡이와, 상기 제1 집게부의 형상과 대칭이 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손잡이로부터 직교되게 양측으로 연장된 일체형의 제2 집게부로 구성되는 하부작동체;를 포함하며,A lower handle having a gap adjusting hole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and a connecting hole connecting the through holes, and formed to be symmetric to the shape of the first tongs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ower handle; Includes; the lower working body consisting of a second integrated tongs unit,
상기 상부작동체와 하부작동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와의 간격을 조절하고, 회전축은 간격조절홀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와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제1,2 집게부의 내측면은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의 가지 유인을 위한 원예용 비틀기 집게에 의해 달성된다.The upper actuator and the lower actuator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ongs, and the rotation axis is movable in the gap adjusting hol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ongs Adjusting the spac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econd tongs is achieved by horticultural torsion forceps for attracting branches of fruit tre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slip uneven portion is formed.
한편, 상기와 같은 과수의 가지 유인을 위한 원예용 비틀기 집게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제1,2 집게부의 내측면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A타입이거나, 내측면의 길이방향에 부분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B타입이거나, 내측면의 폭방향에 부분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C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horticultural torsion tongs for attracting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as described above, the uneven portion is A type formed with irregularit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ongs, or partially unev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B type, or C type formed with irregularities parti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과수의 가지를 원하는 각도, 방향으로 일직선 유인이 가능하여 꽃눈 착생률 증진 및 광환경 개선으로 수세안정과 과실의 품질향상이 가능하고, 농가에서 과수의 가지를 유인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a straight line at the desired angle and direction of the fruit tree, thereby improving the flower growth rate and improving the light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water and the quality of the fruit, and reducing the cost for attracting the fruit tree branch from the farm.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수의 가지 유인을 위한 원예용 비틀기 집게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의 초기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집게부에 형성될 다양한 요철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horticultural torsion forceps for attracting branches of fruit tre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FIG. 1 at a different angle;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for adjusting the initial interval of the forc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various irregularities to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to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forc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과수의 가지(2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기 위해 가지(200)의 조직이 유연해지도록 상기 가지(200)를 비트는데 사용되는 원예용 비틀기 집게(100)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rticultural torsion forceps (100) used to twist the branch (200) to soften the tissue of the branch (200) to attract the fruit tree (200) in the desired direction.
이와 같은 원예용 비틀기 집게(100)(이하, '집게(100)'라 한다)는 회전축(31)이 결합되는 상부손잡이(11)와, 호(弧)형상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상기 상부손잡이(1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일체형의 제1 집게부(13)로 구성되는 상부작동체(10)와;Such horticultural torsion forceps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iers 100') have an
상기 회전축(31)이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4)과 상기 관통공(24) 간을 연결하는 연결홀(25)로 이루어진 간격조절홀(26)을 형성한 하부손잡이(21)와, 상기 제1 집게부(13)의 형상과 대칭이 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손잡이(2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일체형의 제2 집게부(23)로 구성되는 하부작동체(20)와;A
미끄럼 방지 및 충격 흡수를 위하여 상기 상,하부손잡이(11,21)에 구비되는 탄성커버(12,22);를 포함하며,It includes; and the elastic cover (12, 22)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handles (11, 21) for preventing slip and shock absorption,
상기 상부작동체(10)와 하부작동체(20)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집게부(13)와 제2 집게부(23)와의 간격을 조절하고, 회전축(31)은 간격조절홀(26)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제1 집게부(13)와 제2 집게부(23)와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제1,2 집게부(13,23)의 내측면은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요철부(14)는 제1,2 집게부(13,23)의 내측면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A타입이거나, 내측면의 길이방향에 부분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B타입이거나, 내측면의 폭방향에 부분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C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작동체(10)와, 하부작동체(20) 및 탄성커버(12,22)로 구성된다.The
상부작동체(10)는 상부손잡이(11)와, 제1 집게부(13) 및 회전축(31)으로 구성된다.The
하부작동체(20)는 복수개의 관통공(24)과 상기 관통공(24) 간을 연결하는 연결홀(25)로 이루어진 간격조절홀(26)이 형성된 하부손잡이(21)와, 제2 집게부(23)로 구성된다.The
탄성커버(12,22)는 미끄럼 방지 및 충격 흡수를 위하여 상기 상,하부손잡이(11,21)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The
이와 같은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손잡이(11)와 하부손잡이(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는 각각 제1 집게부(13)와 제2 집게부(23)가 일체형으로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한 형태로 장착된다.Looking at the above configuration in detail, the
탄성커버(12,22)는 사용자가 상,하부손잡이(11,21)를 잡은 상태에서 가지(200)를 비틀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손과 상,하부손잡이(11,21)의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마찰력이 강하면서도 충격흡수가 좋은 재질(예컨대, 고무 등)로 이루어져 상기 상,하부손잡이(11,21)의 일부분에 끼워진다.The elastic covers 12 and 22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when twisting the
제1,2 집게부(13,23)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가지(200)를 잡는 부분이며 그 형상은 호(弧)형상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그리고 내측에는 가지(200)를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요철부(1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집게부(13,23)의 내측면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A타입이거나, 내측면의 길이방향에 부분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B타입이거나, 내측면의 폭방향에 부분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C타입일 수 있다.The first and
한편, 상부손잡이(11)의 일측은 회전축(31)이 직교되게 결합되고, 이러한 회전축(31)은 하부손잡이(21)의 간격조절홀(26)의 복수개의 관통공(24)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장착됨으로써 상,하부손잡이(11,21)가 지렛대의 원리로서 동작되게 하여 제1,2 집게부(13,23)의 간격을 조절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그리고, 회전축(3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조절홀(26)의 연결홀(25)을 통해 복수개의 관통공(24)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게 이동하면서 제1,2 집게부(13,23)의 초기 간격을 조절한다.As shown in FIG. 3, the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집게(100)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이 위로 뻗어 있는 가지(200)의 밑부분을 잡은 후 회전시키면 가지(100)의 조직이 유연해져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Using the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readil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and that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
100: 집게 200: 가지
10: 상부작동체 11: 상부손잡이
12,22: 탄성커버 13: 제1 집게부
14: 요철부 20: 하부작동체
21: 하부손잡이 23: 제2 집게부
24: 관통공 25: 연결홀
26: 간격조절홀 31: 회전축100: tongs 200: eggplant
10: Upper actuator 11: Upper handle
12,22: elastic cover 13: first clip portion
14: uneven portion 20: lower operating body
21: lower handle 23: second clip unit
24: through hole 25: connecting hole
26: gap adjusting hole 31: rotation axis
Claims (2)
회전축(31)이 결합되는 상부손잡이(11)와, 호(弧)형상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상기 상부손잡이(11)로부터 직교되게 양측으로 연장된 일체형의 제1 집게부(13)로 구성되는 상부작동체(10)와;
상기 회전축(31)이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4)과 상기 관통공(24) 간을 연결하는 연결홀(25)로 이루어진 간격조절홀(26)을 형성한 하부손잡이(21)와, 상기 제1 집게부(13)의 형상과 대칭이 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부손잡이(21)로부터 양측으로 직교되게 연장된 일체형의 제2 집게부(23)로 구성되는 하부작동체(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작동체(10)와 하부작동체(20)는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집게부(13)와 제2 집게부(23)와의 간격을 조절하고, 회전축(31)은 간격조절홀(26)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제1 집게부(13)와 제2 집게부(23)와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제1,2 집게부(13,23)의 내측면은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의 가지 유인을 위한 원예용 비틀기 집게.In the gardening tongs 100,
The upper grip 11 to which the rotating shaft 31 is coupled, and an arc-shaped cross section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tegral first tongs 13 extending to both sides perpendicularly from the upper grip 11. An upper working body (10) configured of;
A lower handle 21 having a gap adjusting hole 26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4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31 passes, and a connection hole 25 connecting the through holes 24; And a lower actuator 20 which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shape of the first tongs 13 and is composed of an integral second tongs 23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both sides from the lower handles 21. ,
The upper actuator 10 and the lower actuator 2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31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ongs 13 and the second tongs 23, the rotary shaft 31 is It is movable in the gap adjusting hole 26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ongs 13 and 23,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ongs 13, 23 for slipping Gardening torsion forceps for attracting branches of fruit tree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even portion 14 is formed.
상기 요철부(14)는 제1,2 집게부(13,23)의 내측면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A타입이거나, 내측면의 길이방향에 부분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B타입이거나, 내측면의 폭방향에 부분적으로 요철이 형성된 C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의 가지 유인을 위한 원예용 비틀기 집게.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cave-convex portion 14 is an A-type in which concave-convex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ongs 13 and 23, or a B-type in which concave-convex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Gardening torsion tongs for attracting the branches of fruit tre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type formed with irregularities parti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4545A KR20130039893A (en) | 2011-10-13 | 2011-10-13 | Pli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4545A KR20130039893A (en) | 2011-10-13 | 2011-10-13 | Pli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893A true KR20130039893A (en) | 2013-04-23 |
Family
ID=4843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4545A Ceased KR20130039893A (en) | 2011-10-13 | 2011-10-13 | Pli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3989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8180A (en) | 2014-08-08 | 2016-02-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A tongs for holding a stem |
WO2016032059A1 (en) * | 2014-08-29 | 2016-03-03 | 주식회사 태진 | Poultry viscera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extraction unit moving upward or downward |
-
2011
- 2011-10-13 KR KR1020110104545A patent/KR2013003989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8180A (en) | 2014-08-08 | 2016-02-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A tongs for holding a stem |
WO2016032059A1 (en) * | 2014-08-29 | 2016-03-03 | 주식회사 태진 | Poultry viscera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extraction unit moving upward or downward |
KR20160026109A (en) * | 2014-08-29 | 2016-03-09 | 주식회사 태진 | Evisceration Apparatus of Fowl Having Evisceration Unit Movable Up and Dow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2216464B2 (en) | Methods for rapidly growing a tree | |
CN105474854A (en) | Cassava pulling tool | |
CN106258788A (en) | The tilting being suitable to soil burial winter protection goes alone the cultural method that single armed Fructus Vitis viniferae is tree-like | |
JP2018509179A (en) | Hydroponic plant | |
KR20120002016U (en) | Pad for plant seedling cover having weed growth suppression function | |
KR20130039893A (en) | Pliers | |
KR200488819Y1 (en) | Interception allurement equipment | |
KR101856761B1 (en) | Tongs for supporting stem of plants | |
KR102177915B1 (en) | Device for drooping a branch of fruit-tree | |
CN205431078U (en) | Gorgon fruit fruit harvesting device | |
CN115362763A (en) | Hoe for manually rotating soil loosening and transplanting | |
CN102265725A (en) | Improved weeding tool | |
KR101213216B1 (en) | Agricultural implement with multipurpose | |
CN105409445B (en) | A kind of Gorgon fruit fruit harvesting device | |
JP3940494B2 (en) | How to grow tomatoes and cucumbers | |
CN215601941U (en) | Weed treatment device used in crop furrow | |
KR200480618Y1 (en) | chilli flower remover | |
FI12253U1 (en) | Apparatus for planting a seedling | |
KR20160005389A (en) | Combined index | |
CN211580940U (en) | Ground nail for gardening | |
KR20100109621A (en) | Vinyl for farming | |
CN106718177A (en) | Fruit tree root system trimming means | |
CN207836365U (en) | A kind of ornamental trees and shrubs plantation righting transformation device | |
KR20230012672A (en) | Floor vinyl fixing tongs for inhibiting the weeds in fruit plantations | |
CN207219500U (en) | A kind of lavender cultivation loose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