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255A -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4255A KR20130024255A KR1020110087582A KR20110087582A KR20130024255A KR 20130024255 A KR20130024255 A KR 20130024255A KR 1020110087582 A KR1020110087582 A KR 1020110087582A KR 20110087582 A KR20110087582 A KR 20110087582A KR 20130024255 A KR20130024255 A KR 201300242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recording
- voice
- recording function
- memo
-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9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8669 Terminal sta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상기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운용 중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또는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 패널, 상기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을 출력하는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 작성 및 저장 시 음성 녹음 기능을 함께 운용하도록 지원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터치 패널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터치 패널에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해당 사용자 동작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이용 중에 특정 사건들에 정보 기입을 위하여 메모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메모 기능은 단순히 메모장을 활성화한 후, 텍스트 정보를 기입하고 저장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 기입을 수행하는 경우 보통 약식의 정보만을 기재하거나 함축된 형태로 정보를 기재하기 때문에 추후에 메모 확인을 다시 할 경우 어떠한 내용을 위하여 메모를 작성하였는지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은 점이 있다. 또한 작성된 메모는 일괄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메모 관리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메모 기능은 메모 관리가 불편하며, 작성된 메모의 내용을 유추하고 기억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사용자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안 복합적인 기능 운용을 기반으로 데이터 기록을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적인 기능 운용을 기반으로 기록된 데이터의 특성을 보다 손쉽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은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수신 과정, 상기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운용 중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수신 과정, 상기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상기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운용 중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또는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 패널, 상기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을 출력하는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 기록을 복합적인 방법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기록된 데이터의 검색과 확인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호출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음성 녹음 기능 지원의 제어맵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에 따른 음성 녹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메모 기능 설명을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화면 변환 기능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이동 기능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기록 정보 검색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기록 정보 검색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호출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음성 녹음 기능 지원의 제어맵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에 따른 음성 녹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메모 기능 설명을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화면 변환 기능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이동 기능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기록 정보 검색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기록 정보 검색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터치스크린(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메모 기능과 음성 녹음 기능을 동시 지원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록되는 메모 정보와 음성 녹음 정보를 통합한 복합 기록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예를 들면 무선통신부(110) 기반의 통화 기능 운용 중에 메모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통화 기능 운용 시 수집되는 음성을 음성 녹음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수집된 음성 녹음 정보를 메모 정보에 포함시켜 복합 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합 기록 정보 검색 시 메모 정보 또는 음성 녹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해당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데이터 통신 기능 중에 오디오 신호를 타 단말기 또는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음성 녹음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부(110) 운용 중에 본 발명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즉 무선통신부(110) 운용 중에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을 기반으로 무선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음성 녹음하면서 메모 작성을 동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터치스크린(140) 상에 출력되는 쿼티 키 맵, 3*4 키맵, 4*3 키맵, 메뉴 맵, 제어키 맵 등으로 구현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4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에 따라 메모 기능이 활성화되는 중에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를 요청하기 위한 입력 신호, 음성 녹음 완료를 위한 입력 신호, 음성 녹음 정보를 해당 메모 정보와 함께 복합 기록 정보로 저장하기 위한 입력 신호, 저장된 복합 기록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들은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운용 수행을 지원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운용 시 즉 메모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음성 녹음 기능 지원을 위해 마이크(MIC)를 활성화하고, 메모 작성 중에 오디오 신호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집된 음성 녹음 정보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메모 정보와 함께 복합 기록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표시 패널(141)과 터치 패널(143)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40)은 표시 패널(141) 전면에 터치 패널(143)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41)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 패널(141)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14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은 터치 패널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 패널(141)은 데이터 복합 기능 지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복합 기능 지원 인터페이스는 메모 기능 활성화에 따른 메모 작성 화면 인터페이스, 메모 작성 중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에 따른 음성 녹음 화면 인터페이스, 음성 녹음 완료에 따라 음성 녹음 정보가 첨가된 메모 작성 화면 인터페이스, 작성된 메모 정보들을 멀티 이미지로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41)은 데이터 복합 기능 운용에 따라 생성된 복합 기록 정보 검색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41)을 통하여 출력되는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패널(143)은 상기 표시 패널(141)의 상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며 터치 물체 예를 들면 사용자 손가락 접촉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43)을 구성하는 센서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터치 패널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해당 위치 정보와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60)에 전달된다. 특히 상기 터치 패널(143)은 본 발명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메모 작성 화면에 대한 터치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터치 패널(143)은 메모 작성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글자나 선 또는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 이벤트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널(143)은 음성 녹음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메모 작성 화면에 출력되는 경우 해당 음성 녹음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에 특정 메모 정보가 작성되지 않도록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43)은 터치 이벤트 특성에 따라 음성 녹음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에 일부 특정 메모 정보가 기입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4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단말기(100)의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상기 단말기(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검색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복합 기록 지원 프로그램(15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기록 지원 프로그램(159)은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 음성 녹음 지원 프로그램(15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은 단말기(100)의 메모 작성 기능 및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상기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은 메모 작성 화면 출력 루틴, 메모 작성 지원 루틴, 작성된 메모를 저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은 메모 작성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음성 녹음 기능을 호출할 수 있도록 일정 메뉴를 제공하는 루틴, 음성 녹음 기능 호출에 따라 음성 녹음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음성 녹음 정보를 작성 중인 메모 작성 화면에 추가하는 루틴, 메모 저장 입력 신호에 따라 음성 녹음 정보가 추가된 메모 정보를 복합 기록 정보로 저장하는 루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은 복합 기록 정보를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로 변환하고 이를 멀티 이미지 화면에 표시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은 통화 중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맵 출력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녹음 지원 프로그램(153)은 음성 녹음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며, 특히 메모 작성 중 음성 녹음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음성 녹음 지원 프로그램(153)은 메모 작성 화면이 지원되는 상태에서 일정 메뉴 선택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는 루틴, 녹음 완료 신호에 따라 녹음된 정보를 기반으로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하는 루틴, 생성된 음성 녹음 정보를 메모 지원 프로그램(151)에 제공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성 녹음 지원 프로그램(153)은 생성된 음성 녹음 정보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 작성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제목 지원 루틴, 음성 녹음 정보를 지시하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이동을 지원하는 루틴, 재생 요청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에 링크된 음성 녹음 정보를 재생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녹음 지원 프로그램(153)은 음성 녹음 상태를 지시하는 다양한 제어맵을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목 지원 루틴은 오디오 신호로부터 변환된 텍스트 정보 중 처음 시점부터 일정 길이의 텍스트를 해당 음성 녹음 정보의 제목으로 할당하는 서브루틴, 할당된 제목 정보를 해당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에 적용하여 출력하는 서브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목 지원 루틴은 텍스트 정보 중 일정 횟수 이상 반복된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해당 음성 녹음 정보의 제목으로 할당하는 서브루틴, 해당 제목을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서브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데이터,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터치 패널(143)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복합 기록 정보(155)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기록 정보(155)는 메모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을 기반으로 작성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복합 기록 정보(155)는 메모 정보와 음성 녹음 정보가 혼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음성 인식 기능 지원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단말기(100)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메모 작성 지원부(161), 음성 녹음 지원부(163),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지원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단말기(100)의 메모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단말기(100)의 메모 기능 지원을 수행한다. 이러한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메모 기능 활성화를 위한 메뉴 항목 또는 위젯 항목을 제공하고, 해당 항목을 활성화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메모 작성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오디오 신호 관련 특정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 음성 녹음 기능 등이 활성화되는 경우 표시 패널(141)에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메모 기능 활성화를 위한 링크 이미지나 버튼 맵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에 따른 메모 작성 과정에서 음성 녹음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메모 작성 화면에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를 위한 링크 이미지나 버튼맵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녹음 기능이 호출되면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해당 음성 녹음 기능 지원 중 및 음성 녹음 완료에 따른 음성 녹음 정보를 지시하는 이미지를 메모 작성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음성 녹음 정보를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으로 출력하도록 지원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을 메모 작성 화면 영역 상에서 이동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단말기 상태 전환 예를 들면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의 변경 또는 그 반대의 변경이 발생하면 해당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을 변화된 화면 비율에 맞도록 크기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화면의 줌인 또는 줌아웃 입력 신호에 따라 메모 작성 화면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크기를 해당 화면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메모 작성 화면 종료에 따라 작성된 복합 기록 정보를 저장할 경우 해당 복합 기록 정보를 썸네일 이미지로 변환한다. 그리고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정보 검색을 위하여 해당 썸네일 이미지를 멀티 이미지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썸네일 이미지에는 작성된 메모 내용뿐만 아니라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도 포함될 수 있다. 추가로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복합 기록 정보에 포함된 메모 내용에서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들을 제외시키고 메모 내용만 포함된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해당 썸네일 이미지가 음성 녹음 정보를 포함한 이미지임을 지시하는 색인을 해당 썸네일 이미지의 적어도 일측에 나타내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메모 작성 지원부(161)는 해당 메모 정보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멀티 이미지 화면에 출력하되 해당 썸네일 이미지의 인접된 영역 상에 음성 녹음 정보를 별도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단말기(100)의 음성 녹음 기능을 지원하면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음성 녹음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에 따라 메모 작성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음성 녹음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사용자가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음성 녹음 수행과 관련된 제어맵을 메모 작성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맵은 음성 녹음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맵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음성 녹음 완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저장된 음성 녹음을 기반으로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음성 녹음의 전체 시간 정보와 날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음성 녹음 정보에 포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음성 녹음 정보의 제목을 임의의 제목으로 기입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음성 녹음 정보에 포함된 음성 중 적어도 일부를 음성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음성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상기 음성 인식된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상에 제목으로 기입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에 의하여 출력되고 있는 메모 작성 화면에는 음성 인식된 일정 텍스트가 제목으로 기입된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이 출력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음성 인식된 내용들에서 일정 빈도수 이상의 단어를 검색하고, 가장 많은 빈도수를 가진 단어 또는 일정 빈도수 이상을 가지는 단어를 제목으로 할당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할 때 음성 녹음 중에 기입된 메모 정보만을 수집하여 해당 음성 녹음 정보에 포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 작성 화면에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이 출력됨과 아울러,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인접된 영역에 일부 메모 정보가 음성 녹음 보조 메모 정보로서 배치될 수 있다. 음성 녹음 과정에서 별도로 작성된 메모가 없는 경우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에 의하여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만 메모 작성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지원부(165)는 본 발명의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 음성 녹음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라디오 기능 등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지원부(165)는 특정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지원 시 표시 패널(141)에 데이터 복합 기능 호출을 위한 링크 이미지나 버튼맵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복합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지원부(165)는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특성에 따라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 및 음성 녹음 지원부(163)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지원부(165)에 의한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 또는 음성 녹음 지원부(163)에 의해 지원되는 메모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은 그 시점까지의 정보를 자동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추가로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 의도에 따라 메모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이 자동 종료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모 작성 지원부(161) 및 음성 녹음 지원부(163)는 메모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이 일정 시간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단말기는 메모 기능 운용 과정에서 음성 녹음 기능을 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음성 녹음 기능에 의하여 수집된 음성 녹음 정보를 해당 메모 기능에 의한 메모 정보에 포함시켜 복합 기록 정보로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 기능 등 오디오 신호 수집이 가능한 기능 운용 시 메모 기능과 함께 음성 녹음 기능을 용이하게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메모 정보와 음성 녹음 정보가 함께 저장 및 관리됨에 따라 정보 검색 시 사용자는 음성 녹음 정보 또는 메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보다 용이한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 제어부(160)는 301 단계에서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말기의 각 구성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303 단계에서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이나 녹음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과 관련이 없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3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파일 검색 기능, 웹 접속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303 단계에서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307 단계로 분기하여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309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통화 기능이나, 음성 녹음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라디오 기능 등 303 단계에서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고 필요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307 단계에서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311 단계에서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는 음성 녹음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 입력 신호 생성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화면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상태에서 메모 작성을 위한 입력 신호 즉 다양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터치 이벤트에 따른 메모 작성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313 단계에서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315 단계로 분기하여 음성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음성 녹음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음을 지시하는 이미지를 메모 작성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음성 녹음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메모 기능에 따른 메모 작성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음성 녹음 완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수집된 음성 녹음을 기반으로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음성 녹음 정보에 해당하는 메모 작성 화면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음성 녹음 정보에 해당하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을 메모 작성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317 단계에서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31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303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및 이의 운용을 통한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운용 시 출력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기능 중 해당 기능 호출과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단말기(100) 운용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즉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이 와서 응답하거나 타 단말기에 요청한 통화 요청에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타 단말기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고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화 중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통화 중 화면 출력 과정에서 본 발명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링크 이미지 또는 버튼맵(30)을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중 화면에서 상기 버튼맵(30)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해당 버튼맵(30)을 선택하는 터치이벤트를 생성하여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해당 버튼맵(30)을 선택하여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요청한 경우 통화 기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통화 기능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하여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41)은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중 메모 기능에 대응하는 메모 작성 화면(40)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메모 작성 화면(40)을 5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작성이 가능한 메모 영역(41)과, 메모 작성과 관련된 도구들을 선택할 수 있는 툴 영역(45), 그리고 복합 기능 호출을 위한 호출 영역(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기능 호출을 위한 호출 영역(42)에는 카메라 기능 호출을 위한 카메라 아이콘(31),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을 위한 음성 녹음 아이콘(33), 특수 기능 호출을 위한 특수 기능 아이콘(35)을 포함할 수 있다. 501 화면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운용을 위하여 음성 녹음 아이콘(33)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 패널(141)은 503 화면에서와 같이 음성 녹음 기능이 적용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 패널(141)은 음성 녹음 기능 지원 상태를 지시하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은 메모 영역(41) 상에 일정 영역에 출력될 수 있으며 특히 기 작성된 메모 정보(46)들과 중첩되지 않는 일정 영역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은 음성 녹음과 관련된 다양한 상태를 지시하도록 특정 색인이나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특히 503 화면에서와 같이 음성 녹음 중인 경우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은 음성 녹음 중임을 지시하는 색인 또는 음성 녹음 진행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녹음 완료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503 화면에서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의 중지 버튼 즉 사각형 형상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음성 녹음 완료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 패널(141)은 505 화면에서와 같이 녹음된 음성으로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해당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에 제목을 기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녹음된 음성의 적어도 일부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 내용을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에 제목으로 기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에 출력되는 다양한 제어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에 표시되는 제어맵은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에 따라 음성 녹음 중 임을 지시하며 음성 녹음 완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1 제어맵(601), 제1 제어맵(601)에서 음성 녹음 완료 버튼 예를 들면 사각형 이미지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음성 녹음 완료를 지시하고 녹음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2 제어맵(6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어맵은 제2 제어맵(603)에서 녹음된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버튼 예를 들면 삼각형 이미지 버튼 선택에 따른 녹음된 음성 재생을 지시하고, 재생 중인 음성을 일시 정지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3 제어맵(60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맵은 제3 제어맵(605)에서 일시 정지를 위한 버튼 예를 들면 "11" 이미지 버튼 선택에 따른 일시 정지 상태를 지시하고, 다시 재생 또는 재생 중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4 제어맵(607)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다양한 제어맵을 기반으로 음성 녹음, 녹음된 음성의 재생, 재생 중 정지 또는 일시 정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제어맵은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메모 작성 화면(40)의 메모 영역(41) 상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변경되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 패널(141)은 복수의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1, 53)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505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음성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가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을 지원하는 중에 사용자의 음성 녹음 기능을 운용에 따라 제1 음성 녹음 정보가 생성되면 단말기는 505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1)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호출 영역(42)에 있는 아이콘들 중 음성 녹음 아이콘(33)을 재선택하여 추가적인 음성 녹음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새로운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에 따라 제2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3)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제2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3)을 제1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1)과 구별되는 영역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2 음성 녹음 기능이 완료되면 제어부(160)는 녹음된 음성으로 제2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3) 상에 제목을 기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1) 상에 제목 출력 과정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제어부(160)는 새로 녹음된 제2 음성 녹음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 내용을 제목으로 제2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3)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화면 인터페이스 기반의 메모 작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을 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단말기(100)는 801 화면에서와 같이 메모 기능 운용을 위한 메모 작성 화면(40)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 작성 화면(40)은 음성 녹음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 음성 녹음 아이콘(33)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음성 녹음 아이콘(33) 선택을 수행하고 음성 녹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성 녹음 완료 시 제어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녹음에 따른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메모 작성 화면(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메모 정보(46)가 기입되지 않은 메모 영역(41)에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음성 녹음 기능이 완료된 이후에도 메모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803 화면에서와 같이 음성 녹음 기능이 완료된 이후라도 메모 작성을 위한 메모 작성 화면(40)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메모 영역(41) 상에 추가 메모 정보(47)를 기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이 출력되지 않은 메모 영역(41)에 메모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추가 메모 정보(47)를 기입하는 과정에서 추가 메모 정보(4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에 중첩되더라도 상기 제어부(160)는 이를 허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추가 메모 정보(47) 작성을 위한 터치 이벤트가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거쳐 발생하더라도 이를 유효한 터치 이벤트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추가 메모 정보(47) 적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어부(160)는 805 화면에서와 같이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해서는 무효 처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이 출력된 위치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무효처리하여 별도의 추가 메모 정보(47)가 작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추가 메모 정보(47) 기입 불가를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진동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 중 제어맵 영역(603)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에 링크된 음성 녹음 정보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화면 인터페이스의 화면 전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41)은 본 발명의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운용에 따라 901 화면에서와 같이 메모 정보(46)와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이 출력되는 메모 작성 화면(40)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메모 작성 화면(40)을 확대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메모 작성 화면(40) 상에서 줌인 이벤트를 생성시키기 위한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터치 동작의 거리와 속도 등에 대응하는 화면 확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903 화면에서와 같이 줌인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비율로 확대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은 별도의 화면 확대 없이 이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60)는 메모 정보(46) 확대에 따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메모 정보(46) 확대에 따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이 상기 메모 정보(46)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 이동 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기(100) 운용 중에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 상태 변경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905 단계에서와 같이 가로 모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단말기(100)는 가로 모드에 따라 표시 패널(141) 출력을 지원한다. 특히 즉 상기 제어부(160)는 903 화면에서 출력되고 있던 세로 화면을 가로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가로 모드에 대응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의 일정 영역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가로 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이 메모 정보(46)와 중첩되지 않도록 화면 위치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화면 인터페이스 이동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41)은 1001 화면에서와 같이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과 메모 정보(46)가 함께 출력되는 메모 작성 화면(4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메모 작성 화면(40)의 임의의 영역에 출력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이 출력된 영역 상에서 일정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롱 터치, 복수의 탭 터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1003 화면에서와 같이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이 선택되었음을 지시하는 화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박스 처리하거나, 하이라이트 처리하거나 색반전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제거할 수 있는 제거 버튼맵(55)을 해당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의 인접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거 버튼맵(55)을 선택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제거 버튼맵(55)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의 제거뿐만 아니라,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에 링크된 음성 녹음 정보까지 함께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이 선택되면, 사용자는 터치 무브 동작 즉 드래그 이벤트를 생성시켜 선택된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메모 작성 화면(40)의 임의의 영역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1005 화면에서와 같이 선택된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메모 작성 화면(40) 하단에 배치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후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메모 작성 화면(40) 하단에 고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41)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40)에 해당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화면 인터페이스를 11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이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모 작성 화면(40)에서 음성 녹음 아이콘(33) 선택을 위한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1103 화면에서와 같이 음성 녹음 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음성 녹음 기능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을 메모 작성 화면(40)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마이크(MIC)가 수집하는 오디오 신호 등을 음성 녹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1103 화면에서와 같이 음성 녹음 중에도 메모 작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음성 녹음 중에 추가된 메모 정보(48)가 메모 작성 화면(40)에 출력될 수 있다.
음성 녹음을 완료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의 제어맵 영역(601)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성 녹음 완료를 위한 제어맵 영역(601)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1105 화면에서와 같이 음성 녹음 중 추가된 메모 정보(48)를 발췌하여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50)에 인접된 영역에 음성 녹음 보조 메모 정보(56)로서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기반으로 생성된 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원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기반으로 생성된 복합 기록 정보들을 썸네일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된 썸네일 이미지들(1201, 1202, 1203)을 멀티 이미지 화면 상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1201, 1202, 1203)은 정보 기록 시점에 작성된 메모 정보와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일정 비율로 각각 축소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썸네일 이미지(1201)는 일정 메모 정보와 하나의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이 화면 중앙에 배치된 형태의 복합 기록 정보가 축소되어 생성될 수 있다. 제2 썸네일 이미지(1202)는 일정 메모 정보와 두 개의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이 각각 화면 일정 영역에 분리되어 배치된 형태의 복합 기록 정보가 축소되어 생성될 수 있다. 제3 썸네일 이미지(1203)는 일정 메모 정보와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이 배치되데 사용자 제어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이 화면 하단으로 이동 고정된 형태의 복합 기록 정보가 축소되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썸네일 이미지들(1201, 1202, 1203)을 확인하여 해당 썸네일 이미지들(1201, 1202, 1203)이 어떠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기반으로 생성된 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원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41)은 두 개의 복합 기록 정보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들(1301, 1302)이 각각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썸네일 이미지들(1301, 1302)은 각각 특정 방식에 따라 작성된 복합 기록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낸 썸네일 이미지들(1301, 1302)은 음성 녹음 중 추가 메모 정보를 작성함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에 음성 녹음 보조 메모 정보가 추가된 형태의 복합 기록 정보로부터 생성된 이미지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에 출력되는 제목은 음성 녹음 정보의 음성 인식 결과 중 일정 빈도수 이상의 단어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즉 첫 번째 썸네일 이미지(1301)는 "promise" 단어가 일정 빈도수 이상 포함된 음성 녹음 정보를 가지는 복합 기록 정보로부터 생성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두 번째 썸네일 이미지(1303)는 "meeting" 단어가 일정 빈도수 이상 포함된 음성 녹음 정보를 가지는 복합 기록 정보로부터 생성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들(1301, 1302)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안에 기입된 단편 정보들만으로 해당 복합 기록 정보의 전체 내용을 유추함으로써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여 복합 기록 정보의 원본을 호출하지 않더라도 정보 확인을 보다 빠르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메모 기능 및 음성 녹음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터치스크린 141 : 표시 패널
143 : 터치 패널 150 : 저장부
151 : 메모 지원 프로그램 153 : 음성 녹음 지원 프로그램
155 : 복합 기록 정보 159 : 복합 기록 기능 지원 프로그램
160 : 제어부 161 : 메모 작성 지원부
163 : 음성 녹음 지원부 165 :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지원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터치스크린 141 : 표시 패널
143 : 터치 패널 150 : 저장부
151 : 메모 지원 프로그램 153 : 음성 녹음 지원 프로그램
155 : 복합 기록 정보 159 : 복합 기록 기능 지원 프로그램
160 : 제어부 161 : 메모 작성 지원부
163 : 음성 녹음 지원부 165 :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지원부
Claims (20)
-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수신 과정;
상기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운용 중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수신 과정;
상기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완료 시 녹음된 음성을 기반으로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음성 녹음 정보를 상기 메모 기능에 따른 메모 정보에 포함시켜 복합 기록 정보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기록 정보를 썸네일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멀티 이미지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수신 과정;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에 따른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을 상기 메모 작성 화면 상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새로운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수신 과정;
상기 새로운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에 따른 새로운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을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과 구분되는 상기 메모 작성 화면 상에 출력하는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완료 시 녹음된 음성 중 적어도 일부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제목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완료 시 녹음된 음성 중 적어도 일부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 중 일정 빈도수 이상의 단어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에 제목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출력 과정은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음성 녹음 중 상태임을 지시하며 음성 녹음 완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1 제어맵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1 제어맵에서 음성 녹음 완료 버튼 선택에 따른 음성 녹음 완료를 지시하고 녹음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2 제어맵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2 제어맵에서 녹음된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버튼 선택에 따른 녹음된 음성 재생을 지시하고 재생 중인 음성을 일시 정지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3 제어맵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3 제어맵에서 일시 정지를 위한 버튼 선택에 따른 일시 정지 상태를 지시하고 다시 재생 또는 재생 중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4 제어맵을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중 추가된 메모 정보만을 발췌하는 과정;
상기 발췌된 음성 녹음 중 추가된 메모 정보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인접된 영역에 음성 녹음 보조 메모 정보로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이동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을 상기 메모 작성 화면 중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선택 시 해당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삭제를 위한 제거 버튼맵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메모 작성 화면 확대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을 확대된 메모 정보와 중첩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 정렬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방법. -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상기 오디오 신호 관련 기능 운용 중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또는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 패널;
상기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활성화에 따라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을 출력하는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이 가능한 메모 작성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완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녹음된 음성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음성 녹음 정보, 상기 음성 녹음 정보를 상기 메모 기능에 따른 메모 정보에 포함시켜 생성되는 복합 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합 기록 정보를 썸네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표시 패널 상에 구현되는 멀티 이미지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입력부 또는 입력 기능의 터치 패널로부터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수신 시,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에 따른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을 상기 메모 작성 화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새로운 음성 녹음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수신 시, 상기 새로운 음성 녹음 기능 활성화에 따른 새로운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을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과 구분되는 상기 메모 작성 화면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녹음 완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녹음된 음성 중 적어도 일부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제목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녹음 완료를 입력 신호 발생 시 녹음된 음성 중 적어도 일부를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 중 일정 빈도수 이상의 단어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에 제목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상에 상기 음성 녹음 중 상태임을 지시하며 음성 녹음 완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1 제어맵;
상기 제1 제어맵에서 음성 녹음 완료 버튼 선택에 따른 음성 녹음 완료를 지시하고 녹음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2 제어맵;
상기 제2 제어맵에서 녹음된 음성을 재생하기 위한 버튼 선택에 따른 녹음된 음성 재생을 지시하고 재생 중인 음성을 일시 정지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3 제어맵;
상기 제3 제어맵에서 일시 정지를 위한 버튼 선택에 따른 일시 정지 상태를 지시하고 다시 재생 또는 재생 중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4 제어맵; 중 적어도 하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녹음 중 추가된 메모 정보만을 발췌하고, 상기 발췌된 음성 녹음 중 추가된 메모 정보를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의 인접된 영역에 음성 녹음 보조 메모 정보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이동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 작성 화면 중 일정 위치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선택 시 해당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삭제를 위한 제거 버튼맵;
상기 메모 작성 화면 확대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확대된 메모 정보와 중첩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 정렬되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합 기록 기능 지원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7582A KR101844903B1 (ko) | 2011-08-31 | 2011-08-31 |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US13/589,813 US9729691B2 (en) | 2011-08-31 | 2012-08-20 |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recording of data |
CN201210307838.6A CN103135760B (zh) | 2011-08-31 | 2012-08-27 | 用于数据的多记录的便携式装置和方法 |
EP20171614.9A EP3739858B1 (en) | 2011-08-31 | 2012-08-28 |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multiple recording of data |
EP12182052.6A EP2566141B1 (en) | 2011-08-31 | 2012-08-28 |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the multiple recording of data |
JP2012192031A JP6207135B2 (ja) | 2011-08-31 | 2012-08-31 | データ複合記録機能サポート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端末機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7582A KR101844903B1 (ko) | 2011-08-31 | 2011-08-31 |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4255A true KR20130024255A (ko) | 2013-03-08 |
KR101844903B1 KR101844903B1 (ko) | 2018-04-04 |
Family
ID=4685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7582A KR101844903B1 (ko) | 2011-08-31 | 2011-08-31 |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729691B2 (ko) |
EP (2) | EP2566141B1 (ko) |
JP (1) | JP6207135B2 (ko) |
KR (1) | KR101844903B1 (ko) |
CN (1) | CN103135760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0083A (ko) * | 2020-09-23 | 2022-03-30 | 네이버 주식회사 | 음성 파일에 대한 텍스트 변환 기록과 메모를 함께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US12148430B2 (en) | 2020-09-23 | 2024-11-19 | Naver Corporation |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text transcript and memo for audio fi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3320B1 (ko) * | 2012-09-21 | 2019-04-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JP6411451B2 (ja) * | 2013-03-15 | 2018-10-24 | ビデ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Videri Inc. | デジタル・アートを配信、表示、鑑賞および制御し、画像形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 |
CN103281429A (zh) * | 2013-06-01 | 2013-09-04 | 苏州联讯达软件有限公司 | 一种手机通话记录功能扩展方法 |
KR20150009036A (ko) * | 2013-07-10 | 2015-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메모 처리 방법 및 장치 |
KR102337157B1 (ko) * | 2014-11-05 | 2021-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18179425A1 (ja) * | 2017-03-31 | 2018-10-04 | 株式会社オプティム | 音声内容記録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9947906A (zh) * | 2017-09-11 | 2019-06-28 | 慧利众科技股份有限公司 | 智能语音交互式电子备忘录及其操作方法 |
CN115187701A (zh) * | 2018-10-16 | 2022-10-14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内容编辑的方法及终端 |
US20240046248A1 (en) * | 2022-08-03 | 2024-02-08 | Capital One Services, Llc | Tone verification of a physical card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54629A (en) | 1993-12-22 | 1998-05-19 | Hitachi, Ltd.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hich can handle voice or image data |
US5966122A (en) * | 1996-03-08 | 1999-10-12 | Nikon Corporation | Electronic camera |
US6453281B1 (en) * | 1996-07-30 | 2002-09-17 | Vxi Corporation | Portable audio database device with icon-based graphical user-interface |
US6404856B1 (en) | 1998-04-10 | 2002-06-11 | Fuji Xerox Co., Ltd. | System for recording, annotating and indexing audio data |
US6732915B1 (en) * | 1999-09-10 | 2004-05-11 | Fuji Xerox Co.,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resentation using physical objects |
DE60122708D1 (de) * | 2000-05-11 | 2006-10-12 | Nes Stewart Irvine | Zeroklick |
JP2004096502A (ja) | 2002-08-30 | 2004-03-25 |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 録音データ主題検出装置 |
KR100685975B1 (ko) | 2005-08-12 | 2007-0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화 중 메모 작성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
EP1753210A3 (en) | 2005-08-12 | 2008-09-03 | LG Electronics Inc.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memo function |
KR100780436B1 (ko) * | 2006-05-25 | 2007-11-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
JP4783713B2 (ja) | 2006-11-10 | 2011-09-28 |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
CN101232542A (zh) | 2007-01-23 | 2008-07-30 |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 移动终端实现语音备忘功能的方法及应用其的移动终端 |
CN101043347A (zh) | 2007-03-15 | 2007-09-26 | 华为技术有限公司 | 备忘录业务实现系统、实现方法及备忘录应用服务器 |
US20090006089A1 (en) | 2007-06-27 | 2009-01-01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real time information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US9996612B2 (en) * | 2007-08-08 | 2018-06-12 | Sony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audio identification and metadata retrieval |
US8327272B2 (en) * | 2008-01-06 | 2012-12-04 | Apple Inc. |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nd managing electronic calendars |
KR101067406B1 (ko) * | 2008-05-23 | 2011-09-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미팅 정보 관리 방법 |
KR101070362B1 (ko) * | 2008-06-19 | 2011-10-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위치 알람 제어 방법 및 장치 |
US8918085B2 (en) * | 2008-08-05 | 2014-12-23 | Mediafriends, Inc. | Social messaging hub |
KR101592296B1 (ko) * | 2008-09-03 | 2016-0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
KR101609162B1 (ko) * | 2008-11-13 | 2016-04-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
KR101544475B1 (ko) * | 2008-11-28 | 2015-08-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
KR101593598B1 (ko) * | 2009-04-03 | 2016-0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
JP5504722B2 (ja) * | 2009-07-15 | 2014-05-2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KR101651128B1 (ko) * | 2009-10-05 | 2016-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
CA2717553C (en) * | 2009-10-13 | 2015-06-30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User interface for a touchscreen display |
WO2011105768A2 (ko) * | 2010-02-23 | 2011-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KR101718027B1 (ko) * | 2010-09-09 | 2017-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모 관리방법 |
-
2011
- 2011-08-31 KR KR1020110087582A patent/KR1018449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8-20 US US13/589,813 patent/US9729691B2/en active Active
- 2012-08-27 CN CN201210307838.6A patent/CN103135760B/zh active Active
- 2012-08-28 EP EP12182052.6A patent/EP2566141B1/en active Active
- 2012-08-28 EP EP20171614.9A patent/EP3739858B1/en active Active
- 2012-08-31 JP JP2012192031A patent/JP6207135B2/ja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0083A (ko) * | 2020-09-23 | 2022-03-30 | 네이버 주식회사 | 음성 파일에 대한 텍스트 변환 기록과 메모를 함께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US12148430B2 (en) | 2020-09-23 | 2024-11-19 | Naver Corporation |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text transcript and memo for audio f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135760B (zh) | 2018-05-04 |
EP3739858A1 (en) | 2020-11-18 |
EP2566141B1 (en) | 2020-05-06 |
EP3739858C0 (en) | 2024-05-15 |
JP6207135B2 (ja) | 2017-10-04 |
KR101844903B1 (ko) | 2018-04-04 |
EP3739858B1 (en) | 2024-05-15 |
US9729691B2 (en) | 2017-08-08 |
CN103135760A (zh) | 2013-06-05 |
US20130054229A1 (en) | 2013-02-28 |
JP2013055659A (ja) | 2013-03-21 |
EP2566141A1 (en) | 2013-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4903B1 (ko) |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JP5974068B2 (ja) | 端末及びその表示方法 | |
KR101569427B1 (ko) |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 |
KR101613838B1 (ko) |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841574B1 (ko) |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CN102754352B (zh) |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 |
KR101921203B1 (ko) | 녹음 기능이 연동된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 |
KR101857561B1 (ko) |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20110047409A (ko) |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 |
US20120210201A1 (en) | Operation method for memo function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
KR20110093097A (ko) |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 |
KR20120123814A (ko) |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KR20120020394A (ko) | 멀티 터치에 따른 리스트 데이터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KR20120048886A (ko) | 웹 페이지 출력 방법 및 장치 | |
KR20140099606A (ko) |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TW201523433A (zh) | 用於在不相似螢幕上顯示應用程式資料的遠端控制 | |
KR101966708B1 (ko) |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KR20140089696A (ko) | 가상 키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KR101863654B1 (ko) | 입력 신호에 따른 화면 변화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973180B1 (ko) |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및 단말기 | |
KR101727927B1 (ko) |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
JP6129749B6 (ja) | メモ機能の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携帯端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