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30011303A - 차량용 토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303A
KR20130011303A KR1020110072361A KR20110072361A KR20130011303A KR 20130011303 A KR20130011303 A KR 20130011303A KR 1020110072361 A KR1020110072361 A KR 1020110072361A KR 20110072361 A KR20110072361 A KR 20110072361A KR 20130011303 A KR20130011303 A KR 20130011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vehicle
towing
sliding rod
tow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6670B1 (ko
Inventor
구도회
윤우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1007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6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45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n elongated single bar or tube
    • B60D1/155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n elongated single bar or tube comprising telescopic or fold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securing to the vehicl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6Ball-and-socket hitches, e.g. constructional details, auxiliary devices, their arrangement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토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는 전, 후방 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중앙에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며, 리어 범퍼빔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고,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로드 하우징; 상기 로드 하우징의 슬라이드 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하여 양측면에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로드; 상기 리어 범퍼빔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선단에 장착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는 토잉 볼; 및 상기 리어 범퍼빔의 후방에서 상기 로드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며, 모터구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로드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토잉장치{A TOWING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토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에 트레일러 혹은 캐리어 등을 연결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토잉장치는 차량의 구난 또는 견인 시, 케이블을 차체에 연결하거나, 트레일러 혹은 캐리어 등을 연결하여 견인하게 위한 장치로, 특히, 트레일러 혹은 캐리어 등을 견인하기 위한 용도의 토잉장치는 차체에 고리 형상의 토잉바를 직접 용접 고정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의 사시도로서, 토잉바(101)의 양단을 리어 플로어 사이드 레일(미도시)에 연결 브라켓(103)을 통하여 장착하고, 상기 토잉바(101)의 중앙 외측에는 장착 브라켓(105)을 통하여 토잉로드(107)를 장착한다.
상기 토잉로드(107)의 선단에는 트레일러 혹은 캐리어 등과 연결하는 토잉볼(109)을 일체로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토잉장치는 토잉로드(107)가 토잉바(101) 중앙 외측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트레일러 혹은 캐리어 등의 견인 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차량에 트레일러 혹은 캐리어를 연결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토잉로드(107)가 차량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토잉로드는 토잉바(101)와 연결 브라켓(103)을 통하여 리어 플로어 사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바, 구성요소가 증가되어 차량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토잉 볼이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 이외에는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차체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보관함으로써, 차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는 차량용 토잉장치에 있어서, 전, 후방 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중앙에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며, 리어 범퍼빔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고,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로드 하우징; 상기 로드 하우징의 슬라이드 홀에 후단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하여 양측면에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로드; 상기 리어 범퍼빔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선단에 장착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는 토잉 볼; 및 상기 리어 범퍼빔의 후방에서 상기 로드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며, 모터구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로드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유닛은 내부에 장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로드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로드; 상기 구동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로드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로드의 양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드와 함께 회전되고, 각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 작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로드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는 그 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연결링크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장착홀에는 상기 로드 하우징의 슬라이딩 슬롯과 상기 연결링크의 슬롯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로드는 양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키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는 일단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서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로드는 후단에 상기 로드 하우징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로드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은 그 형상이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로드와 연결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로드는 상기 절곡부에 대응하여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잉 볼은 상기 장착 브라켓의 수평부에 형성되는 홀에 볼트를 통하여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드 하우징은 그 형상의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토잉 볼이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 이외에는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차체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보관함으로써, 차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리어 범퍼빔의 하부에 직접 장착할 수 있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고, 차량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가 적용된 리어 범퍼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투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가 적용된 리어 범퍼빔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투영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1)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토잉 볼(30)이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 이외에는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차체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보관함으로써, 차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리어 범퍼빔(3)의 중앙 하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토잉장치(1)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 하우징(10), 슬라이디이 로드(20), 토잉 볼(30), 및 작동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로드 하우징(10)은 전, 후방 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중앙에 슬라이드 홀(11)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 범퍼빔(3)의 중앙 하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로드 하우징(10)은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 하우징(10)은 그 형상의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20)는 상기 로드 하우징(10)의 슬라이드 홀(11)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13)에 대응하여 양측면에는 장착홀(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20)는 후단에 상기 로드 하우징(10)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로드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 플레이트(23)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23)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20)가 로드 하우징(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작동유닛(40)의 작동을 통하여 전진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로드 하우징(10)의 후단부에 걸려서 슬라이드 로드(2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로드 하우징(10) 상에서 슬라이딩 로드(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잉 볼(30)은 상기 리어 범퍼빔(3)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20)의 선단에 장착 브라켓(31)을 통하여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브라켓(31)은 그 형상이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33)와, 상기 수평부(33)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로드(20)와 연결되는 절곡부(3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착 브라켓(31)은 상기 슬라이딩 로드(20)의 선단에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잉 볼(30)은 상기 장착 브라켓(31)의 수평부(33)에 형성되는 홀(37)에 볼트(B)를 통하여
한편, 상기 슬라이딩 로드(20)는 상기 절곡부(35)에 대응하여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유닛(40)은 상기 리어 범퍼빔(3)의 후방에서 상기 로드 하우징(10)의 상부에 장착되며, 모터구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 하우징(10)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로드(2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유닛(40)은 케이스(41), 구동모터(43), 구동기어(45), 회전축(47), 종동기어(49), 및 연결링크(51)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41)는 내부에 장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리어 범퍼빔(3)의 후방인 차량의 내측으로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로드 하우징(10)의 상부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터(43)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43)는 상기 제어부(60)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서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43)의 회전축 선단부에는 구동기어(4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로드(47)는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41)의 일측에 배치되며, 양단이 가이드 슬롯(13)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4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종동기어(49)는 상기 구동기어(45)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로드(47)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45)와 치합되어 구동모터(43)의 회전력을 회전로드(47)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링크(51)는 상기 케이스(41)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로드(47)의 양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드(47)와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연결링크(51)의 각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로드(2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드(47)의 회전 작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로드(2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로드(47)는 양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키홈(4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로드(47)와 키홈(48)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링크(51)는 일단부에 상기 회전로드(47)가 삽입되는 삽입홀(5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53)에는 상기 키홈(48)에 삽입되는 걸림돌기(54)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링크(51)는 삽입홀(53)을 통하여 회전로드(47)에 삽입되며, 이 때, 상기 걸림돌기(54)가 키홈(48)에 삽입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회전로드(47)의 회전에 따라 함께 정,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크(51)는 그 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55)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53)은 상기 연결링크(51)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20)의 장착홀(21)에는 상기 로드 하우징(10)의 슬라이딩 슬롯(13)과 상기 연결링크(51)의 슬롯(5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25)이 장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작동유닛(40)은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4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종동기어(49)는 구동모터(43)의 회전력을 구동기어(45)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로드(47)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링크(51)는 상기 회전로드(47)의 키홈(48)에 걸림돌기(54)가 삽입된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회전로드(47)와 함께 회전되는 바, 상기 슬롯(55)이 형성된 타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회전된다.
이 때, 상기 고정핀(25)은 상기 가이드 슬롯(13)과 슬롯(55) 상에 걸린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슬롯(13)과 슬롯(55)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슬라이딩 로드(20)는 상기 고정핀(25)이 상기 연결링크(51)의 슬롯(55)에 의해 상기 가이드 슬롯(13) 상에서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로드 하우징(10)의 슬라이드 홀(1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잉 볼(30)은, 도 2와 같이, 로드 하우징(10)으로부터 전진 이동하는 슬라이딩 로드(20)에 의해 상기 리어 범퍼빔(3)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토잉 볼(30)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43)가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와는 반대로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종동기어(49)가 구동기어(45)를 통해 구동모터(4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상기 회전로드(4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링크(51)는 상기 회전로드(47)와 함께 상기 리어 범퍼빔(3)의 후방을 향하여 회전되며, 상기 고정핀(25)은 연결링크(51)에 의해 상기 슬롯(55) 상에서 회전로드(47) 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슬롯(13) 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슬라이딩 로드(20)는 상기 로드 하우징(10)의 슬라이드 홀(11) 상에서 리어 범퍼빔(3)의 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상기 토잉 볼(30)은 차량의 하부에서 그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잉장치(1)를 적용하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토잉 볼(30)이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 이외에는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차체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보관함으로써, 차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리어 범퍼빔(3)의 하부에 직접 장착할 수 있어 구성요소를 간소화하고, 차량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토잉장치 3 : 리어 범퍼빔
10 : 로드 하우징 11 : 슬라이드 홀
13 : 가이드 슬롯 20 : 슬라이딩 로드
21 : 장착홀 23 : 스토퍼 플레이트
30 : 토잉 볼 31 : 장착 브라켓
33 : 수평부 35 : 절곡부
40 ; 작동유닛 41 : 케이스
43 : 구동모터 45 : 구동기어
47 : 회전로드 48 : 키홈
49 : 종동기어 51 : 연결링크
53 : 삽입홀 54 : 걸림돌기
55 : 슬롯 60 : 제어부
B : 볼트

Claims (13)

  1. 차량용 토잉장치에 있어서,
    전, 후방 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중앙에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며, 리어 범퍼빔의 중앙 하부에 장착되고,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로드 하우징;
    상기 로드 하우징의 슬라이드 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하여 양측면에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로드;
    상기 리어 범퍼빔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선단에 장착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는 토잉 볼; 및
    상기 리어 범퍼빔의 후방에서 상기 로드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며, 모터구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로드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작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내부에 장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로드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부에 장착되는 구동기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로드;
    상기 구동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로드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로드의 양단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드와 함께 회전되고, 각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 작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로드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그 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연결링크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장착홀에는
    상기 로드 하우징의 슬라이딩 슬롯과 상기 연결링크의 슬롯
    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는
    양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키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일단부에 상기 회전로드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조절이 가능한 서보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는
    후단에 상기 로드 하우징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로드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장착 브라켓은
    그 형상이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로드와 연결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는
    상기 절곡부에 대응하여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볼은
    상기 장착 브라켓의 수평부에 형성되는 홀에 볼트를 통하여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하우징은
    그 형상의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잉장치.
KR1020110072361A 2011-07-21 2011-07-21 차량용 토잉장치 KR10128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61A KR101286670B1 (ko) 2011-07-21 2011-07-21 차량용 토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61A KR101286670B1 (ko) 2011-07-21 2011-07-21 차량용 토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303A true KR20130011303A (ko) 2013-01-30
KR101286670B1 KR101286670B1 (ko) 2013-07-16

Family

ID=4784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361A KR101286670B1 (ko) 2011-07-21 2011-07-21 차량용 토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6082A (zh) * 2023-11-20 2023-12-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拖车钩组件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40A1 (ko) * 2017-03-17 2018-09-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태양광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409B1 (ko) * 1997-08-29 2000-05-01 구자홍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장치
JP2003072333A (ja) * 2001-09-03 2003-03-12 Sun Craft:Kk 車両牽引用連結器
US6709002B2 (en) * 2002-07-10 2004-03-23 Curt Tambornino Ball hitch
KR101061379B1 (ko) * 2008-12-30 2011-09-0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토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6082A (zh) * 2023-11-20 2023-12-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拖车钩组件及车辆
CN117246082B (zh) * 2023-11-20 2024-02-2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拖车钩组件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670B1 (ko)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700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장치
US8713852B2 (en) Invisible sliding door
AU2019268120B2 (en) Trailer coupl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JP5050793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JP4182142B2 (ja)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CN112437731A (zh) 显示装置和车辆
CN106240318A (zh) 用于车辆的滑动车门模块结构
KR101286670B1 (ko) 차량용 토잉장치
US20230202270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
CN109050740B (zh) 具有旋转收纳后视镜的电动货车
CN210598539U (zh) 一种车用把手结构
US12146356B2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KR101500235B1 (ko)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
US20230202271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KR102522146B1 (ko) 차량용 회전 시트 장치
KR101786353B1 (ko) 차량용 러기지 보드의 구동장치
KR20080021912A (ko) 트레일러 히치
KR101125726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272790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부분 스위블 장치
CN211000883U (zh) 外滑式机构及汽车全景天窗
CN208498299U (zh) 一种汽车座位移动装置
CN109808646A (zh) 一种车载摄像头清洗设备
JP4357462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CN219007603U (zh) 车辆的仪表系统以及车辆
JP758639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