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651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1651A KR20130001651A KR1020110062544A KR20110062544A KR20130001651A KR 20130001651 A KR20130001651 A KR 20130001651A KR 1020110062544 A KR1020110062544 A KR 1020110062544A KR 20110062544 A KR20110062544 A KR 20110062544A KR 20130001651 A KR20130001651 A KR 201300016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display module
- key
- terminal
- dri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윈도우부의 측단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키 영역을 라이팅하도록 형성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키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과 단말기 케이스간의 이격된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동일한 면적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모듈 위에 전기적 소자가 형성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말기 전면의 터치 키의 라이팅(Lighting)구현하는 수단에 있어서,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는 발광 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윈도우부의 측단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키 영역을 라이팅하도록 형성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키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광 모듈은, 내주면에 빛이 반사되면서 빛의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 경로부 및 상기 도광 경로부에 빛을 공급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에 대하여 신호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드라이버 IC, 상기 도광 경로부 및 상기 키 영역이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광 경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턴층과 상기 드라이버 I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광 경로부는, 상기 드라이버 IC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수직으로 적층된 상기 드라이버 IC, 상기 도광 경로부 및 상기 키 영역은 일체로 수직면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상기 수직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근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연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윈도우부에 대향하는 일면에 그라운드를 구비하여 적층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로기판과 급전 연결 또는 접지 연결되는 방사 멤버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의 일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사체의 일부로 동작하는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회로기판에 적층되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부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터치 입력가능하게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과 상기 단말기 케이스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적층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단말기 케이스간의 이격된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동일한 면적을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의 개념도.
도 5와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2의 A부분에서 배터리 커버와 배터리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의 개념도.
도 5와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2의 A부분에서 배터리 커버와 배터리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조작부(123), 인터페이스(124), 전원 공급부(1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123)는 리어 케이스(12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조작부(123)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 123)이 예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다면, 전화 번호나 문자 등은 디스플레이부(113)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7), 제2 음향출력부(13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8)는 제2 영상 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130)는 제1 음향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와 별도로 리어 케이스(121)의 일 측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1)는 리어 케이스(12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16) 등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제2 조작부(123) 등은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가 제1 조작부(116)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을 덮도록 윈도우부(140)가 결합 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윈도우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
윈도우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보(명령, 신호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40)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빛의 투과율이 아주 낮은 불투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 조작부(116)에 대응하여 조작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패드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된다. 이러한 조작 패드 윈도우부(140)의 일부분에 조작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음향홀(114b), 윈도우홀(112b), 그리고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홀(114b)은 음향출력부(1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음향, 예를 들어 벨소리, 음악 등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윈도우홀(112b)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영상 입력부(115, 이상 도 1 참조)에 대응하여서는 광 투과성의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에는 회로기판(170), 디스플레이 모듈(141), 스피커 모듈(114a), 카메라 모듈(115a), 그리고 스위치등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사용자가 윈도우부(140)를 터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윈도우부(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부(140)의 내부에는 전극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전극은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으며, 도전체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할 수 있다. 도전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를 터치하면 전극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하며, 이는 결국 손가락과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과 같다.
윈도우부(140)의 전극은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150)이 홀(152)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 이상 도 3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전하량의 변화의 감지에 따라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50)는 윈도우부(140)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연성회로기판(150)의 일단에는 연결부(151)가 형성되어 전극과 연결되며 타단은 커넥터(185)에 의해 회로기판(17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1)는 일정 강성(stiffness)와 탄성을 유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의 개념도이고, 도 5와 도 6은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적층되는 윈도우부(140)와, 윈도우부(140)의 측단에 근접하는 키 영역(116, 216, 316) 및 키 영역(116, 216, 316)을 라이팅하도록 형성되는 발광 모듈(180, 280, 38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회로기판(170)위에 장착되고, 회로기판의 아래에는 각각 안테나(160)와 배터리(19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회로기판과 배터리는 동일 평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윈도우부(140)는 일정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투광성의 윈도우(140a)와 상기 윈도우(140a)의 일면에 적층되어, 윈도우(140a) 터치시 이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패턴층(140b)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윈도우(140a)에는 패턴층(14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층(140b)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전성 전극으로 형성되는 패턴이 될 수 있다.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키 영역(116, 216, 316)은 단말기 하단의 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하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키 영역(116, 216, 316)은 시인성을 높이고 미적 감각을 살리기 위하여, 터치시 발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키 영역(116, 216, 316)에는 단말기의 각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형상화된 키 마크(116b)들이 형성되고, 상기 키 마크(116b)들은 메뉴, 홈, 되돌리기, 서치 등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사각형 형상, 집 형상, 화살표가 후방을 가르키는 형상, 돋보기의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들이 키 마크(116b)들을 보고, 해당 키를 누르거나, 접촉하면 단말기의 원하는 기능이 수행된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즉, 상기 키 영역(116, 216, 316)에는, 서로 다른 패턴으로 이루어진 키 마크(116b)들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키 마크(116b)들을 터치하게 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의 일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키 영역(116, 216, 316)을 라이팅시키기 위해서는 발광 모듈(180, 280, 380)이 키 영역(116, 216, 316)의 하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야 한다. 발광 모듈(180, 280, 380)은 도광 경로부(181, 281, 381)와 발광부(182, 282, 382)를 포함할 수 있는 데, 각각 일정 체적을 갖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단말기 케이스(121)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단말기 케이스(121)를 서로 이격시켜야 하므로, 키 영역(116, 216, 316)은 단말기 케이스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 경로부(181, 281, 381)는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41)과 키 영역(116, 216, 316)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도광 경로부(181, 281, 381)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키 영역(116, 216, 316) 사이에 삽입된 길이 만큼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단말기 케이스(121) 간의 이격된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도광 경로부(181, 281, 381)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이나 도광판(Light guide plate)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도광 경로부(181, 281, 381)는 발광부(182, 282, 382)로부터 나오는 빛의 통로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발광부(182, 282, 382)는 전력 소모 대비 효율이 높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키 영역(116, 216, 316)은 상기 각각의 키 마크(116b)들에 대응하도록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 마크(116b)들은 터치 입력시 상기 키 영역(116, 216, 316)의 하부에 배치된 발광부(182, 282, 382)가 발광되는 경우 빛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키 마크(116b)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키 영역(116, 216, 316)들은 하면에 배치된 발광부(182, 282, 382)에 의해 발광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보다 확실하게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며, 분할된 키 영역(116, 216, 316)에 서로 다른 밝기나 색상의 빛이 새어나와 사용자의 편의성 또는 단말기에 색다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액정층 및 액정층에 대하여 신호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 14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광 경로부(181, 281, 381)는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41)과 키 영역(116, 216, 316) 사이에 배치되면, 윈도우(140a)를 통하여 압력 또는 충격되면, 충격에 민감한 드라이버 IC(142)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 경로부(181, 281, 381)는, 드라이버 IC(14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의 일 예로서 rubber 재질이나 탄성이 있는 수지 재질의 완충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광 경로부(181, 281, 381) 자체가 완충부재의 성질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드라이버 IC(142)와 맞닿는 일면에 완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영역(116)은 디스플레이 모듈(141)위에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드라이버 IC(142)들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수직면에 형성된다. 즉, 드라이버 IC(142), 상기 도광 경로부(181) 및 상기 키 영역(116)이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적층된다. 이로 인하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단말기 케이스(121) 간의 이격된 간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발광 모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 경로부(281)는 패턴층(140b)과 상기 드라이버 IC(142) 사이에 배치되고, 발광부(282)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측면 연장선을 따라 배치된다. 발광부(282)가 발광함으로써, 도광 경로부(281)는 발광부(282)로부터의 빛의 통로가 되어, 패턴층(140b)의 상면에 적층된 키 영역(216)의 적어도 일부를 라이팅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단말기 케이스 간의 이격된 간격이 도 4에 비해 넓지만, 그 간격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회로기판(170)을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모듈(380)은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382b)를 발광부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라이버 IC(142)와 백라이트 사이에 투광성 부재(383)가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버 IC(142)는 상기 투광성 부재(383)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라이트 유닛을 발광부로 활용하는 경우 투광성 부재(383) 및 투광성 부재(383)와 패턴층(140b) 사이에 배치되는 도광 경로부(381)가 빛의 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단말기 케이스 간의 이격된 간격이 도 4에 비해 보다 더 좁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는 드라이버 IC(142)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투광성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단말기 케이스 간의 동일한 이격된 간격을 달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A부분에서 배터리 커버와 배터리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따르는 경우 안테나(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같이 전기 소자들이 장착되는 공간에 근접하여, 안테나들이 배치되면, 안테나의 방사효율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를 방사체의 일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공간 효율을 극대화하면서도, 만족스러운 안테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의 어느 일단에 근접하게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케이스의 일부분을 도전 멤버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는 제1멤버(121a), 급전 연결부(164), 접지 연결부(163) 및 회로기판(160)과 함께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멤버와 제2 멤버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방사 멤버이다. 이와 같은 방사 멤버는 단말기 케이스를 구성하거나, 케이스 내측에 도전성 멤버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멤버(121a)와 제2멤버(121b)는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의 일부로서, 회로기판(16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1멤버(121a)는 도전성의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루프 안테나에서 주 방사체로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멤버(121b)는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또 다른 도전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멤버(121a)와 급전 연결부(164)는 제1패턴(162)으로 연결되고, 제1멤버(121a)와 접지 연결부(163)는 제2패턴(161)으로 연결된다. 상기 패턴들은 캐리어(174)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멤버(121a), 제2멤버(121b) 및 상기 패턴들은 서로 조합하여 각각 충분한 대역 특성을 확보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통신 대역(800~1000MHz),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및 DCS(Digital Cellular System) 대역(1700~1900MHz), 또는 W CDMA(Wideband CDMA) 통신 대역(2.4GHz)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서 동작되는 도전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 루프는 특정한 주파수의 1/2 파장을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제1패턴(162)과 제2패턴(161)은 구불구불한 형태의 도체를 가지며, 도체는 공진 또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수 있다. 이러한 도체에는 급전 연결부(164)를 통해 전류가 급전되며, 접지 연결부(163)를 통해 급전된 전류가 단락된다.
제1멤버(121a)와 제2멤버(121b) 사이에는 서로를 이격시키도록 슬릿부(121c)가 형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제1멤버(121a)는 급전 연결부(164), 접지 연결부(163) 및 상기 패턴들과 함께 도전 루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멤버(121b)가 도전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하더라도, 제2멤버(121b)에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커플링 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루프 안테나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급전 연결부(164)는 제1멤버(121a)를 전기적 연결(또는 EM(Electro-Magnetic)급전방식)로 급전시키고, 접지 연결부(163)는 제1멤버(121a)와 접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단락시켜서 안테나 공진 주파수 및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게 한다.
급전 연결부(164)는 급전 장치(미도시)와 제1멤버(121a)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급전 연결부(164)는 급전판, 급전용 클립 및 급전선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급전판, 급전용 클립 및 급전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급전 장치를 통해 급전되는 전류(또는 전압)를 방사부의 도체로 전달한다. 여기서, 급전선은 기판 상에 인쇄되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을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연결부(163)는 전기적 접지와 제1멤버(121a) 또는 제2멤버(121b)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멤버(121a) 또는 제2멤버(121b)를 접지시킨다. 전기적 접지는 회로기판(160)상의 그라운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 연결부(163)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패스(path)를 구비하며, 각 패스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패스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통해 각 패스는 선택적으로 전기적 접지와 방사체들(일 예로, 제1멤버)을 서로 다른 길이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패스는 접지와 방사체를 연결하는 전기적 통로로, 접지판, 접지용 클립, 및 접지선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지선을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패스의 길이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1)
- 시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고,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부;
상기 윈도우부의 측단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키 영역을 라이팅하도록 형성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키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내주면에 빛이 반사되면서 빛의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 경로부; 및
상기 도광 경로부에 빛을 공급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에 대하여 신호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IC, 상기 도광 경로부 및 상기 키 영역이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경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턴층과 상기 드라이버 IC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경로부는,
상기 드라이버 IC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4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적층된 상기 드라이버 IC, 상기 도광 경로부 및 상기 키 영역은 일체로 수직면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상기 수직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액정층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백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IC와 백라이트 사이에 투광성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버 IC는 상기 투광성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근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연장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 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각각 도광 경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윈도우부에 대향하는 일면에 그라운드를 구비하여 적층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로기판과 급전 연결 또는 접지 연결되는 방사 멤버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의 일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형성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사체의 일부로 동작하는 단말기 케이스;
상기 회로기판에 적층되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터치 입력가능하게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단과 상기 단말기 케이스 사이의 이격된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키 영역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적층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내주면에 빛이 반사되면서 빛의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 경로부; 및
상기 도광 경로부에 빛을 공급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에 대하여 신호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IC, 상기 도광 경로부 및 상기 키 영역이 순차적으로 수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경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턴층과 상기 드라이버 IC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 내에, 단말기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각각 다른 패턴의 키 마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키마크들이 배치되는 키 영역을 각각 분할하여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키 영역의 하면에 각각 도광 경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544A KR101830670B1 (ko) | 2011-06-27 | 2011-06-27 | 이동 단말기 |
US13/432,912 US9392087B2 (en) | 2011-06-27 | 2012-03-28 | Mobile terminal |
EP12003956.5A EP2541880B1 (en) | 2011-06-27 | 2012-05-21 | Mobile terminal |
CN201210202184.0A CN102857601B (zh) | 2011-06-27 | 2012-06-15 | 移动终端 |
US15/207,095 US10104209B2 (en) | 2011-06-27 | 2016-07-11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544A KR101830670B1 (ko) | 2011-06-27 | 2011-06-27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1651A true KR20130001651A (ko) | 2013-01-04 |
KR101830670B1 KR101830670B1 (ko) | 2018-02-21 |
Family
ID=4631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2544A KR101830670B1 (ko) | 2011-06-27 | 2011-06-27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9392087B2 (ko) |
EP (1) | EP2541880B1 (ko) |
KR (1) | KR101830670B1 (ko) |
CN (1) | CN102857601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5350A (ko) * | 2013-05-16 | 2014-1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90000064A (ko) * | 2017-06-22 | 2019-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USRE49544E1 (en) * | 2013-11-30 | 2023-06-06 | Saudi Arabian Oil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orientation of a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75240B2 (en) * | 2011-09-15 | 2017-02-21 | Sharp Kabushiki Kaisha | Display device |
KR101976067B1 (ko) * | 2012-07-25 | 2019-05-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93754B1 (ko) * | 2013-03-14 | 2020-03-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키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
US9223429B2 (en) * | 2013-03-21 | 2015-12-29 | Htc Corporation | Touch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
US9667296B2 (en) * | 2013-07-05 | 2017-05-3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having an antenna |
US20150227167A1 (en) * | 2014-02-10 | 2015-08-13 | Ming Yi CHIANG | Back cover assembly of electronic mobile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emission effect |
TWI522698B (zh) | 2014-08-26 | 2016-02-21 |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 顯示裝置 |
JP6485294B2 (ja) * | 2015-09-09 | 2019-03-20 |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 |
JP2019519803A (ja) | 2016-04-26 | 2019-07-11 | ルミレッ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カメラレンズを取り囲むledフラッシュリング |
US10288983B2 (en) | 2016-04-26 | 2019-05-14 | Lumileds Llc | LED flash ring surrounding camera lens |
CN107509352B (zh) * | 2017-08-25 | 2019-06-0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柔性电路板fpc的固定方法及移动终端 |
CN107426383A (zh) * | 2017-09-13 | 2017-12-01 | 深圳传音制造有限公司 | 屏幕光线传导装置及电子设备 |
CN107395825A (zh) * | 2017-09-16 | 2017-11-24 | 南京中高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 全屏智能手机 |
WO2020004701A1 (ko) * | 2018-06-24 | 2020-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
CN110196617B (zh) * | 2019-04-23 | 2021-04-0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CN110166609B (zh) * | 2019-06-30 | 2021-03-1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装置 |
TWI795235B (zh) * | 2022-03-14 | 2023-03-01 | 達運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44476B2 (ja) | 1998-04-30 | 2005-04-2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携帯用電子機器 |
EP1227388A1 (en) | 2001-01-24 | 2002-07-31 | Inventec Appliances Corp. | Construction of touch screen |
US7750886B2 (en) | 2004-09-27 | 2010-07-06 |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 Methods and devices for lighting displays |
DE202006021037U1 (de) | 2005-08-30 | 2012-08-22 | Lg Electronics Inc. | Berührungsempfindliche Tastenanordnung für ein mobiles Endgerät |
TWI406551B (zh) | 2007-11-06 | 2013-08-21 | Lg Electronics Inc | 行動式終端機 |
KR101301521B1 (ko) | 2007-11-06 | 2013-09-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TW201102883A (en) | 2009-07-10 | 2011-01-16 | Hannspree Inc | Touch display device |
CN102004599A (zh) * | 2009-08-28 | 2011-04-06 |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 具有输入装置的电子设备 |
-
2011
- 2011-06-27 KR KR1020110062544A patent/KR10183067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3-28 US US13/432,912 patent/US939208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5-21 EP EP12003956.5A patent/EP2541880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06-15 CN CN201210202184.0A patent/CN10285760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7-11 US US15/207,095 patent/US101042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5350A (ko) * | 2013-05-16 | 2014-1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RE49544E1 (en) * | 2013-11-30 | 2023-06-06 | Saudi Arabian Oil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orientation of a device |
KR20190000064A (ko) * | 2017-06-22 | 2019-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41880B1 (en) | 2018-09-19 |
KR101830670B1 (ko) | 2018-02-21 |
US9392087B2 (en) | 2016-07-12 |
CN102857601B (zh) | 2016-03-09 |
US10104209B2 (en) | 2018-10-16 |
US20120329526A1 (en) | 2012-12-27 |
US20160323429A1 (en) | 2016-11-03 |
EP2541880A1 (en) | 2013-01-02 |
CN102857601A (zh) | 2013-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067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2439813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2727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0118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31402B1 (ko) |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30012521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94080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90094454A (ko) | 이동 단말기 | |
CN105762484A (zh) | 天线模块以及具有该天线模块的移动终端 | |
KR20170037464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60034042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10700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80122231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73964A (ko) | 이동 단말기 | |
KR102664719B1 (ko) | 고립된 도전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1562585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76450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10010416A (ko) | 이동 단말기 | |
KR10224366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72078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99971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3926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018208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29431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18115B1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