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561A -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26561A KR20120126561A KR1020110044444A KR20110044444A KR20120126561A KR 20120126561 A KR20120126561 A KR 20120126561A KR 1020110044444 A KR1020110044444 A KR 1020110044444A KR 20110044444 A KR20110044444 A KR 20110044444A KR 20120126561 A KR20120126561 A KR 201201265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rder
- right eye
- lenticular lens
- left eye
- pixel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안 수평화소라인과 우안 수평화소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안 수평화소라인과 상기 우안 수평화소라인 중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나머지 하나의 상단까지의 거리로서 화소 피치가 정의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상부의 선편광층과; 상기 선편광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좌안 수평화소라인에 대응되어 선편광 된 상기 좌안영상을 좌원편광 시키는 좌안 리타더와, 상기 우안 수평화소라인에 대응되어 선편광 된 상기 우안영상을 우원편광 시키는 우안 리타더를 포함하는 패턴드 리타더층과; 상기 선평광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좌안 리타더와 상기 우안 리타더에 각각 대응하는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는 부착공차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 피치보다 작은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야각이 향상된 렌티큘러 렌즈 필름을 포함하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깊이감과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으로는 두 눈 사이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 외에도 심리적, 기억적 요인이 있으며, 이에 따라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술 역시 관찰자에게 어느 정도의 3차원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통상 부피표현방식(volumetric type), 3차원표현방식(holographic type), 입체감표현방식(stereoscopic type)으로 구분된다.
부피표현방식은 심리적인 요인과 흡입효과에 의해 깊이 방향에 대한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투시도법, 중첩, 음영과 명암, 움직임 등을 계산에 의해 표시하는 3차원 컴퓨터그래픽, 또는 관찰자에게 시야각이 넓은 대화면을 제공하여 그 공간 내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은 착시현상을 불러일으키는 이른바 아이맥스 영화 등에 응용되고 있다.
그리고, 3차원표현방식은 가장 완전한 입체영상 표시기술로서, 레이저광 재생 홀로그래피 내지 백색광 재생 홀로그래피로 대표될 수 있다.
또한, 입체감표현방식은 양안의 생리적 요인을 이용하는 입체감을 느끼는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약 65㎜정도 떨어져 있는 좌우안에 시차정보가 포함된 평면의 연관영상을 제공하면, 뇌가 이들을 융합하는 과정에서 표시면 전후의 공간정보를 생성해 입체감을 느끼는 능력, 즉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입체감표현방식은 다안상 표시방식이라 불리며, 실질적인 입체감 생성위치에 따라 관찰자가 특수안경을 착용하는 안경방식 또는 표시면 측의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나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인테그럴(integral) 등의 렌즈어레이(lens array)를 이용하는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안경방식은 무안경 방식에 비해 시야각이 넓고 감상 시 어지러움증 유발이 적으며, 비교적 저렴한 원가, 특히 홀로그램에 비해서는 매우 저렴한 원가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3차원 입체영상 감상 시에는 안경을 착용하고 2차원 평면영상 감상 시에는 안경을 착용치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한 개의 영상 표시장치를 2차원 평면영상 및 3차원 입체영상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안경방식은 셔터안경 방식(shutter glasses)과 편광분할 방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셔터안경 방식은, 하나의 화면으로 좌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하고 셔터안경의 좌측 셔터와 우측 셔터의 순차적 개폐 타이밍(timing)을 좌우안 영상의 시교차 시간과 일치시켜서 각 영상이 좌안과 우안에 따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그리고, 편광분할 방식은, 하나의 화면의 화소를 열, 행 또는 화소단위로 2분할하여 좌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방향으로 표시하고, 편광안경의 좌측 안경과 우측 안경이 서로 다른 편광방향을 갖도록 하여 각 영상이 좌안과 우안에 따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셔터안경 방식은 감상 시 피로감을 줄이고 입체감을 높이기 위해 단위 시간 당 시교차의 횟수를 높일 필요가 있는데, 이 방식을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와 스캔(scan) 방식의 화면 어드레싱 타이밍(addressing timing)이 시교차 타이밍에 완전히 일치하지 못함에 따라 기인한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감상 시 어지러움증과 같은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편광분할 방식은 위와 같은 플리커 현상 발생 요인이 없으므로 감상 시 피로 유발이 적으나, 한 화면으로 동시에 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행, 열, 또는 화소를 2분할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액정패널과 같은 현존하는 표시패널 대부분이 이미 고해상도를 달성하고 있으며 향후 해상도를 더 향상시키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편광분할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는 해상도 반감이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셔터안경 방식은 시교차 표시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내 하드웨어, 또는 회로 등이 구비되어야 하며, 셔터안경이라는 고가의 안경을 필요로 하여 여러 명이 감상할 경우 비용이 매우 상승되는 반면, 편광분할 방식은 표시패널 전면에 편광을 분할할 수 있는 패터닝된 편광분할 광학매체, 예를 들어,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나 마이크로 편광자(micro polarizer) 등을 장착하면 가격이 매우 저렴한 편광안경을 착용하고 다수가 감상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든다.
이러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유기전계발광패널 등의 평판표시패널을 영상표시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20)과, 표시패널(20) 상부에 형성되는 편광필름(50)과, 편광필름(50) 상부에 형성되는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6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2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A)과 표시영역(DA) 사이의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하고, 표시영역(DA)은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을 포함한다.
좌안영상을 표시하는 좌안 수평화소라인(Hl)과 우안영상을 표시하는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은 표시패널(20)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고,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 각각에는 적, 녹, 청색 화소영역(R, G, B)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편광필름(50)은, 표시패널(20)이 표시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각각 선편광된 좌안영상 및 선편광된 우안영상으로 변조하여 패턴드 리타더(60)에 전달한다.
패턴드 리타더(60)는,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를 포함하는데,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는 각각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에 대응되어 표시패널(20)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된다.
여기서, 좌안 리타더(Rl)는 선편광을 좌원편광으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우안 리타더(Rr)는 선편광을 우원편광으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패널(2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은, 편광필름(5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된 후, 패턴드 리타더(6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면서 좌원편광 되고, 표시패널(20)의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표시하는 우안영상은, 편광필름(5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된 후, 패턴드 리타더(6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면서 우원편광 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시청자가 착용하고 있는 편광안경(80)은, 좌안렌즈(82) 및 우안렌즈(84)를 포함하는데, 좌안렌즈(82)는 좌원편광만 투과시키고 우안렌즈(84)는 우원편광만 투과시킨다.
따라서, 시청자에게 전달된 영상 중, 좌원편광 된 좌안영상은 좌안렌즈(82)를 통하여 시청자의 좌안에 전달되고, 우원편광 된 우안영상은 우안렌즈(84)를 통하여 시청자의 우안에 전달되며, 시청자는 좌우안으로 각각 전달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조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로, 액정표시패널을 영상표시부로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20)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22, 40)과, 제1 및 제2기판(22, 4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48)을 포함한다.
제1기판(22)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도시하지 않음)과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24)이 형성되고, 게이트 배선 및 게이트 전극(24)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층(26)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24)에 대응되는 게이트 절연층(26) 상부에는 반도체층(28)이 형성되고, 반도체층(28) 상부에는 서로 이격하는 소스 전극(32) 및 드레인 전극(34)과, 소스 전극(32)에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데이터 배선은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한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24), 반도체층(28), 소스 전극(32) 및 드레인 전극(34)은 박막트랜지스터(T)를 구성한다.
소스 전극(32), 드레인 전극(34) 및 데이터 배선 상부에는 보호층(36)이 형성되는데, 보호층(36)은 드레인 전극(34)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36a)을 포함한다.
보호층(36) 상부에는 드레인 콘택홀(36a)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34)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38)이 화소영역 각각에 형성된다.
제2기판(40) 하부에는 각 화소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및 박막트랜지스터(T)에 대응되는 블랙매트릭스(42)가 형성되고, 블랙매트릭스(42) 하부와 블랙매트릭스(42)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된 제2기판(40) 하부에는 컬러필터층(44)이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컬러필터층(44)은 화소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적, 녹, 청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컬러필터층(44) 하부에는 투명한 공통 전극(46)이 형성된다.
액정층(48)은 제1기판(22)의 화소 전극(38)과 제2기판(40)의 공통 전극(46)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정층(48)과 화소 전극(38) 사이 및 액정층(48)과 공통 전극(46) 사이에는 액정 분자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1기판(22) 하부에는 제1편광판(52)이 위치하고, 제2기판(40) 상부에는 도 1의 편광필름에 해당하는 제2편광판(50)이 위치한다. 제1 및 제2편광판(52, 50)은 광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며, 제1편광판(52)의 광투과축은 제2편광판(50)의 광투과축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2편광판(50) 상부에는 패턴드 리타더(60)가 부착되는데, 패턴드 리타더(60)는, 베이스필름(62)과, 베이스필름(62) 하부의 리타더층(64)과, 리타더층(64) 하부의 블랙스트라이프(black stripe)(66)와, 블랙스트라이프(66) 하부의 점착층(68)을 포함한다.
리타더층(64)은, 수직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를 포함하고, 블랙스트라이프(66)는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의 경계부에 대응된다.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는, 위상지연(retardation)을 λ/4파장(quarter wave: λ/4)으로 하고, 그 광축을 표시패널 출사광인 선편광의 편광방향과 각각 +45도 및 -45도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스트라이프(66)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이 시청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동시에 전달되는 3차원 크로스토크(3D cross-talk)를 방지하여 상하방향의 3차원 시야각(3D viewing angle)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는, 3차원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해, 블랙스트라이프(66)를 형성하지 않고 표시패널(20) 내의 블랙매트릭스(42) 폭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블랙스트라이프나 블랙매트릭스와 3차원 크로스토크 및 3차원 시야각의 관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3차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도 3a와 도 3b는 각각 블랙스트라이프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및 블랙스트라이프를 포함하는 경우의 3차원 크로스토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블랙스트라이프 없이 블랙매트릭스의 폭을 증가시킨 경우의 3차원 크로스토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3a 및 도 3b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10)의 정면 또는 좌우 시야각에서는, 표시패널(2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Il)이 패턴드 리타더(6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여 좌원편광 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되고, 표시패널(20)의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표시하는 우안영상(Ir)이 패턴드 리타더(6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여 우원편광 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되므로, 좌안영상(Il) 및 우안영상(Ir)이 혼합되어 발생하는 3차원 크로스토크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10)의 상하 시야각에서는, 표시패널(2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Il)의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6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여 우원편광 되어 출력된다.
즉, 우안영상(Ir)과 일부의 좌안영상(Il)이 우원편광 되어 편광안경(80)의 우안렌즈(84)를 통과하여 시청자의 우안에 전달되므로, 우안영상(Ir)과 일부의 좌안영상(Il)이 서로 간섭하여 3차원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상하방향의 3차원 시야각 특성이 저하된다.
물론, 표시패널(20)의 제1높이(h1)를 갖는 표시영역(DA) 사이에 배치된 비표시영역(NDA)에 의하여 좌안영상(Il) 및 우안영상(Ir)의 간섭을 저감할 수는 있지만, 표시패널(20)과 패턴드 리타더(60)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3차원 크로스토크 방지 효과는 미미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드 리타더(60)의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 사이에 블랙스트라이프(66)를 형성하거나,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랙스트라이프 없이 표시패널(20) 내부의 블랙매트릭스(43)의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2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여 패턴드 리타더(60)의 우안 리타더(Rr)로 향하는 일부의 좌안영상(Il)은 블랙스트라이프(66) 또는 블랙매트릭스(43)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우원편광 되어 출력되지 않는다.
즉, 우안영상(Ir)만이 우원편광 되어 편광안경(80)의 우안렌즈(84)를 통과하여 시청자의 우안에 전달되므로, 우안영상(Ir)과 일부의 좌안영상(Il)의 간섭에 의하여 3차원 크로스토크가 방지되고, 상하방향의 3차원 시야각 특성이 개선된다.그러나, 표시패널(20)은, 블랙스트라이프(66)에 의하여 비표시영역(NDA)보다 큰 블랙스트라이프영역(BS)을 포함하게 되어, 표시영역(DA)이 제1높이(h1)보다 작은 제2높이(h2)를 갖게 되거나, 또는, 블랙매트릭스(43)에 의하여 비표시영역(NDA)이 증가하게 되어 표시영역(DA)이 제1높이(h1)보다 작은 제3높이(h3)를 갖게 되므로, 개구율 및 휘도가 감소한다.
3차원 크로스토크를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턴드 리타더(60)의 상부에 렌티큘러 렌즈 필름(70)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렌티큘러 렌즈 필름(70)은 예를 들어 좌안 영상이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한 빛을 완전히 꺽이도록 함으로써 3차원 크로스토크를 방지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각 렌티큘러 렌즈(74)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70)의 렌즈 피치(PL)는, 표시패널(20)의 수직방향을 따라 한 화소의 상단으로부터 다음 화소의 상단까지 거리로 정의될 수 있는 표시패널(20)의 화소 피치(PP)와 비교하여, 크거나 같다.
이때, 일반적으로 렌티큘러 렌즈 필름(70)과 표시패널(20)은 그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화소 피치(PP)와 렌즈 피치(PL)를 맞추도록 부착 공정을 거친다.
여기서, 렌티큘러 렌즈 필름(70)이 정확하게 부착 된 경우,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이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한 빛은 렌티큘러 렌즈 필름(70)에 의해서 더욱 외각으로 굴절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되지 못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3D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부착 공정 과정에서, 그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부착 공정을 거친다는 것은 초정밀 작업으로서 힘든 작업이 된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렌티큘러 렌즈(74)는 대응하는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에 정확하게 부착되지 못하고, 어긋나게 부착됨으로써, 각 렌티큘러 렌즈(74)와 대응되는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는 오차를 가지며 정렬 된다.
이에 따라,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이 우안 리타더(Rr)빛이 어긋나게 부착된 렌티큘러 렌즈(74)를 통과하여(PT 부분) 집광됨으로써 정면으로 출사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즉, 정면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즉, 렌트큘러 렌즈 필름(70)이 패턴드 리타더(60)에 정확하게 부착 된 경우에 비해서 정면 크로스토크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은 부착 오차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면 부착 오차가 2.5㎛인 경우 약 0.5%가 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부착 공정 과정에서 발생된 오차에 의해, 약 5%의 정면 크로스토크가 상승된다.
도 4c는 렌티큘러 렌즈(74)가 어긋나게 부착된 경우의 정면 크로스토크 발생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이 우안 리타더(Rr) 빛이 렌티큘러 렌즈(74)를 통과하여(PT 부분) 집광됨으로써, 정면으로 출사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즉, 정면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즉, 3차원 크로스토크를 개선하기 위하여 렌티큘러 렌즈 필름(70)을 더욱 형성하더라도, 렌티큘러 렌즈 필름(70)을 패턴드 리타더(60)에 정확하게 부착하는 공정은 초정밀 작업으로서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바,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발생된 오차에 의해서 정면 크로스토크가 약 5%이상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크로스토크를 방지하여 3차원 시야각 특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개구율 및 휘도가 향상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 필름의 부착 오착에 의해 발생하는 정면 크로스토크를 개선하는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안 수평화소라인과 우안 수평화소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안 수평화소라인과 상기 우안 수평화소라인 중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나머지 하나의 상단까지의 거리로서 화소 피치가 정의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상부의 선편광층과; 상기 선편광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좌안 수평화소라인에 대응되어 선편광 된 상기 좌안영상을 좌원편광 시키는 좌안 리타더와, 상기 우안 수평화소라인에 대응되어 선편광 된 상기 우안영상을 우원편광 시키는 우안 리타더를 포함하는 패턴드 리타더층과; 상기 선평광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좌안 리타더와 상기 우안 리타더에 각각 대응하는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는 부착공차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 피치보다 작은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착공차는, 적용 정면 크로스토크 상승률과 화소 피치의 곱으로 결정된다.
상기 부착공차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의 합은 상기 화소 피치이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두께는 20㎛ 내지 200㎛의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은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필름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필름은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에 인접한 베이스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은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진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필름은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에 인접한 베이스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은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는, 패턴드 리타더 상부에 렌티큘러 렌즈를 배치하여 출사하는 광을 특정 각도로 집광시킴으로써, 3차원 크로스토크를 방지하여 3차원 시야각 특성을 개선하고, 동시에 개구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렌티큘러 렌즈 필름의 오착 부착 시 발생하는 정면 크로스토크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3차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렌티큘러 렌즈의 화소 피치가 크거나 작은 경우, 부착 오착에 의해서 상승되는 정면 크로스토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정면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정면 크로스토크가 발생되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2는 종래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3차원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렌티큘러 렌즈의 화소 피치가 크거나 작은 경우, 부착 오착에 의해서 상승되는 정면 크로스토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정면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정면 크로스토크가 발생되는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20)과, 표시패널(120) 상부에 형성되는 편광필름(150)과, 편광필름(150) 상부에 형성되는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160) 및 패턴드 리타더(160) 상부에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필름(170)을 포함한다. 여기서,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은 시트(sheet)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표시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DA)과 표시영역(DA) 사이의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하고, 표시영역(DA)은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을 포함한다.
좌안영상을 표시하는 좌안 수평화소라인(Hl)과 우안영상을 표시하는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은 표시패널(120)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고,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 각각에는 적, 녹, 청색 화소영역(R, G, B)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편광필름(150)은, 표시패널(120)이 표시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각각 선편광된 좌안영상 및 선편광된 우안영상으로 변조하여 패턴드 리타더(160)에 전달한다.
패턴드 리타더(160)는,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를 포함하는데,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는 각각 좌안 수평화소라인(Hl) 및 우안 수평화소라인(Hr)에 대응되어 표시패널(120)의 수직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된다.
여기서, 좌안 리타더(Rl)는 선편광을 좌원편광으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우안 리타더(Rr)는 선편광을 우원편광으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은 패턴드 리타더(160)로부터 출력되는 좌원편광 또는 우원편광의 출사 각도를 특정 방향으로 집광함으로써, 상하방향의 시야각을 개선한다.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은 표시패널(120)의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174)를 포함하며, 각 렌티큘러 렌즈(174)는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에 대응한다.
여기서, 각 렌티큘러 렌즈(174)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의 렌즈 피치(PL)는, 표시패널(120)의 수직방향을 따라 한 화소의 상단으로부터 다음 화소의 상단까지 거리로 정의될 수 있는 표시패널(120)의 화소 피치(PP)와 비교하여, 렌즈 피치(PL)가 화소 피치(PP)보다 작다. 이에 따라, 각 렌티큘러 렌즈(174)는 이격 거리를 가지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과 표시패널(120)은 그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화소 피치(PP)와 렌즈 피치(PL)를 맞추도록 부착 공정을 거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부착 공정 과정에서, 그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부착하는 공정을 거친다는 것은 매우 미세한 작업으로서 힘든 작업이 된다. 따라서, 부착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감안하여, 렌즈 피치(PL)가 화소 피치(PP)보다 작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이 정확하게 부착된 것을 전제로, 크로스토크를 가장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렌즈 피치(PL)는 표시패널의 화소 피치(PP)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약 ±5㎛ 이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화소 피치(PP)가 렌즈 피치(PL)보다 작거나 같을 때이다. 즉, 이러한 렌즈 피치(PL)의 수치는, 표시패널(110)의 제조 공정 과정에서 각 렌티큘러 렌즈(174)가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에 정확하게 대응하여 얼라인먼트(alignment)가 된 경우에 이상적인 수치가 된다.
그러나, 표시패널(110)의 제조 공정 과정에서 각 렌티큘러 렌즈(174)를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에 정확하게 대응하여 배치 한다는 것은 초정밀 작업으로써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174)와 패턴트 리타더(160)의 부착 오차에 의하여, 정면 크로스토크가 정확하게 공정된 경우에 비해서 더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정확한 부착이 된 경우의 이상적인 렌즈 피치(PL)에 오차 공정을 감안하여, 부착공차(AT)를 설정함으로써 렌즈 피치(PL)의 수치를 줄이는 것이다. 즉, 화소 피치(PP)보다 렌즈 피치(PL)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의 부착 공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각 렌티큘러 렌즈(174)가 대응하는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 상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각 렌티큘러 렌즈(174) 사이에 이격 간격을 둠으로써, 부착 과정 중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렌티큘러 렌즈(174) 각각이 대응하지 않는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 상부에 배치되지 않고, 대응되는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이 부착 오차에 의해서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 상부에 어긋나게 부착 되지 않으므로, 정면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렌즈 피치(PL)에 부착공차(AT)를 적용하여, 화소 피치(PP)의 수치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함으로써,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은 각 렌티큘러 렌즈(174)가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에 대응될 수 있도록 패턴드 리타더(16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부착 될 수 있다.
여기서,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은, 부착 오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바, 실질적으로 정면 크로스토크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부착공차(AT)는 식(1)로부터 구할 수 있다.
식(1): 부착공차(AT) = 적용 정면 크로스토크 상승률 * 화소 피치(PP).
이때의 적용 정면 크로스토크 상승률은, 렌즈 피치(PL)가 화소 피치(PP)와 비교하여 크거나 같고, 정확하게 부착된 경우와 비교해서 예측되는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 비율이다.
다시 말하면, 렌즈 피치(PL)가 전술한 이상적인 수치를 가지고, 각 레틴큘러 렌즈(174)가 패턴드 리타더(160)의 좌안 리타터(Rl) 또는 우안 리타더(Rr)에 정확하게 대응되도록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이 부착된 경우보다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되는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을 의미한다.
즉,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착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을 인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부착공차(AT)를 계산한다.
부착공차(AT)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적용 크로스토크 상승률을 3% 로 설정하고, 화소 피치(Pp)가 541㎛인 경우 부착공차(AT)는 약 16㎛가 된다. 이에 따라, 각 렌티큘러 렌즈(174)는 약 16㎛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용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은, 부착 공정 과정 시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정면 크로스토크 상승률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되는 바, 이상적인 렌치 피치(Pp)를 갖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보다 정면 크로스토크 개선에 실질적으로 더 큰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120)의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은, 편광필름(15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된 후, 패턴드 리타더(16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면서 좌원편광 되고,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을 통과하면서 제1방향으로 출사된다. 또한, 표시패널(120)의 우안 수평화소라인(Hr)이 표시하는 우안영상은, 편광필름(150)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된 후, 패턴드 리타더(16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면서 우원편광 되고,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을 통과하면서 제1방향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제1방향으로 출사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은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또한,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위적으로 정면 크로스토크 상승률을 증가시키나, 이는 부착 공정 과정 중 오차(정렬 오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정면 크로스토크 상승률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바, 실질적으로 더욱 개선된 화질을 제공하게 된다.
시청자가 착용하고 있는 편광안경(180)은, 좌안렌즈(182) 및 우안렌즈(184)를 포함하는데, 좌안렌즈(182)는 좌원편광만 투과시키고 우안렌즈(184)는 우원편광만 투과시킨다.
따라서, 시청자에게 전달된 영상 중, 좌원편광 된 좌안영상은 좌안렌즈(182)를 통하여 시청자의 좌안에 전달되고, 우원편광 된 우안영상은 우안렌즈(184)를 통하여 시청자의 우안에 전달되며, 시청자는 좌우안으로 각각 전달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을 조합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좌안영상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160)의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하여 우원편광 되거나, 우안영상 중 일부가 패턴드 리타더(160)의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하여 좌원편광 될 수 있는데, 이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을 통과하면서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출사되므로 시청자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렌티큘러 렌즈(174)의 두께에 의해서 초점 거리가 조절되는데,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174)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초점 거리가 짧아진다. 또한, 초점 거리가 짧아질수록 렌티큘러 렌즈(174)의 굴절률은 더욱 커진다. 이에 따라,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한 우안 영상은 외부로 더욱 굴절되어 시청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우안영상과 좌안영상의 간섭에 따른 3차원 크로스토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야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정면 크로스토크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부착 공정 과정 중 오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정면 크로스토크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바, 실질적으로 더욱 개선된 화질을 제공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20)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122, 140)과, 제1 및 제2기판(122, 14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48)을 포함한다.
제1기판(122)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도시하지 않음)과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124)이 형성되고, 게이트 배선 및 게이트 전극(124)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층(126)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24)에 대응되는 게이트 절연층(126) 상부에는 반도체층(128)이 형성되고, 반도체층(128) 상부에는 서로 이격하는 소스 전극(132) 및 드레인 전극(134)과, 소스 전극(132)에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반도체층(128)은 순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과 불순물이 도핑된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오믹콘택층을 포함하며, 오믹콘택층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2, 134)과 동일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배선은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한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124), 반도체층(128), 소스 전극(132) 및 드레인 전극(134)은 박막트랜지스터(T)를 구성한다.
소스 전극(132), 드레인 전극(134) 및 데이터 배선 상부에는 보호층(136)이 형성되는데, 보호층(136)은 드레인 전극(134)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36a)을 포함한다.
보호층(136) 상부에는 드레인 콘택홀(136a)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134)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138)이 화소영역 각각에 형성된다.
제2기판(140) 하부에는 각 화소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및 박막트랜지스터(T)에 대응되는 블랙매트릭스(142)가 형성되고, 블랙매트릭스(142) 하부와 블랙매트릭스(142)의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된 제2기판(140) 하부에는 컬러필터층(144)이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컬러필터층(144)은 화소영역에 각각 대응되는 적, 녹, 청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적, 녹, 청 컬러필터는 도 5에서와 같이 표시패널(120)의 수직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컬러필터층(144) 하부에는 투명한 공통 전극(146)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컬러필터층(144)과 공통 전극(146) 사이에는 컬러필터층(144)의 보호 및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오버코트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액정층(148)은 제1기판(122)의 화소 전극(138)과 제2기판(140)의 공통 전극(146)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정층(148)과 화소 전극(138) 사이 및 액정층(148)과 공통 전극(146) 사이에는 액정 분자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는 화소 전극(138)과 공통 전극(146)이 각각 제1 및 제2기판(122, 140)에 형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화소 전극(138)과 공통 전극(146)은 제1기판(122) 상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기판(122) 하부에는 제1편광판(152)이 위치하고, 제2기판(140) 상부에는 도 4의 편광필름에 해당하는 제2편광판(150)이 위치한다. 제1 및 제2편광판(152, 150)은 광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만을 투과시키며, 제1편광판(152)의 광투과축은 제2편광판(150)의 광투과축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1기판(122)과 제1편광판(152) 사이 그리고 제2기판(140)과 제2편광판(154) 사이에는 점착층이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편광판(152)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배치되어 표시패널(120)에 빛을 공급한다.
여기서는 표시 패널(120)이 액정패널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표시 패널(120)은 유기전기발광패널일 수도 있다. 이때, 제1편광판(152)은 생략되며, 제2편광판(150)은 λ/4파장플레이트(quarter wave plate: QWP)와 선편광자(linear polariz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편광판(150) 상부에는 패턴드 리타더(160)가 부착되는데, 패턴드 리타더(160)는, 제1베이스필름(162)과, 제1베이스필름(162) 하부의 리타더층(164)과, 리타더층(164) 하부의 점착층(168)을 포함한다. 리타더층(164)은, 수직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타더층(164)과 제1베이스필름(162)의 위치는 바뀔 수도 있다. 즉, 점착층(168)을 사이에 두고 제1베이스필름(162)이 제2편광판(150)에 부착되고, 제1베이스필름(162) 상부에 리터더층(164)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베이스필름(162)은 TAC(tri-acetyl cellulose) 또는 COP(cyclo olefin 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안 리타더(Rl) 및 우안 리타더(Rr)는, 위상지연(retardation)을 λ/4파장(quarter wave: λ/4)으로 하고, 그 광축을 표시패널 출사광인 선편광의 편광방향과 각각 +45도 및 -45도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패턴드 리타더(160) 상부에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이 위치한다.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은 제2베이스필름(172)과, 제2베이스필름(172) 상부의 렌티큘러 렌즈(174)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베이스필름(172)은 패턴드 리타더(160)와 점착층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제2베이스필름(172)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나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PET의 경우 복굴절로 인한 편광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TA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베이스필름(172)은 약 60㎛ 내지 80㎛의 두께를 가진다.
패턴드 리타더(160)의 제1베이스필름(162)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리타더층(164)은 제2편광판(150)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제2베이스필름(17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각 렌티큘러 렌즈(174)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의 렌즈 피치(PL)는, 표시패널(120)의 화소 피치(PP)보다 작다. 이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 부착 공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감안하여, 부착 공차(AT)를 설정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화소 피치(PP)는 도 5에서 표시패널(120)의 수직방향을 따라 한 화소의 상단으로부터 다음 화소의 상단까지 거리로 정의될 수 있으며, 패턴드 리타더(160)의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의 폭에 대응한다.
한편, 렌티큘러 렌즈(174)의 두께(d)는 곡률 반경에 따른 초점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렌티큘러 렌즈(174)의 초점거리에 따라 최대 시야각이 달라지게 되며, 렌티큘러 렌즈(174)를 통과하여 출사되는 빛의 각도에 따라 3차원 크로스토크 값을 예측하고, 이로부터 최대 시야각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47인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화소 피치(PP)가 541㎛이고, 정면 크로스토크 상승률을 인위적으로 약 3% 더욱 증가시킬 경우, 부착 공차(AT)는 식(1)에 따라서 약 16㎛가 되고, 이에 따라 렌즈 피치(PL)는 약 525㎛가 된다.
이때, 렌티큘러 렌즈(174)의 두께(d)는 일예로 약 20㎛ 내지 200㎛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정면 3차원 크로스토크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175)의 렌즈 피치(PL)는 화소 피치(Pp)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부착공차(AT)에 대응하여, 렌즈 피치(PL)는 화소 피치(PP)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즉, 부착공차(AT)를 설정함으로써, 정렬 오차를 보완한다. 따라서, 렌즈 피치(PL)를 화소 피치(PP)보다 부착공차(AT) 값에 대응되는 값으로 작게 설정함으로써, 각 렌티큘러 렌즈(174)를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r)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 오차에 의한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보다 작은 수치를 가지는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을 가질 수 있다.
즉,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이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한 빛은 렌티큘러 렌즈(174)를 통과하지 않아(NP 부분), 정면으로 집광되지 못하여, 정면으로 출사되지 않는 바 시청자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반면에,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이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한 경우의 빛은 렌티큘러 렌즈(174)를 통과하여,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정면 크로스토크의 상승률을 렌티큘러 렌즈(174)가 어긋나게 부착 된 경우보다 낮출 수 있다.
도 8은 렌즈 피치(PL)를 화소 피치(PP)보다 작게 형성한 경우 빛이 출사되는 것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이 우안 리타더(Rr)를 통과한 경우의 빛은 렌티큘러 렌즈(174)를 통과하지 않아(NP 부분), 정면으로 출사되지 않는 바 시청자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반면에, 좌안 수평화소라인(Hl)이 표시하는 좌안영상이 좌안 리타더(Rl)를 통과한 경우의 빛은 렌티큘러 렌즈(174)를 통과하여, 시청자에게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렌즈 피치(PL)를 화소 피치(PP)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부착 공정 시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정면 크로스토크를 개선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필름(170)의 각 렌티큘러 렌즈(174)를 그에 대응하는 좌안 리타더(Rl) 또는 우안 리타더(Rl)에 부착하는 미세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바,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110: 입체영상 표시장치 120: 표시 패널
150: 편광필름 160: 패턴드 리타더
170: 렌티큘러 렌즈 필름 180: 편광안경
182: 좌안렌즈(182) 184: 우안렌즈
150: 편광필름 160: 패턴드 리타더
170: 렌티큘러 렌즈 필름 180: 편광안경
182: 좌안렌즈(182) 184: 우안렌즈
Claims (6)
- 좌안 수평화소라인과 우안 수평화소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안 수평화소라인과 상기 우안 수평화소라인 중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나머지 하나의 상단까지의 거리로서 화소 피치가 정의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상부의 선편광층과;
상기 선편광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좌안 수평화소라인에 대응되어 선편광 된 상기 좌안영상을 좌원편광 시키는 좌안 리타더와, 상기 우안 수평화소라인에 대응되어 선편광 된 상기 우안영상을 우원편광 시키는 우안 리타더를 포함하는 패턴드 리타더층과;
상기 선평광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좌안 리타더와 상기 우안 리타더에 각각 대응하는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는 렌티큘러 렌즈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는 부착공차에 대응하여 상기 화소 피치보다 작은
영상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공차는,
적용 정면 크로스토크 상승률과 화소 피치의 곱으로 결정되는
영상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공차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의 합은 상기 화소 피치인
영상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두께는 20㎛ 내지 200㎛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영상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은 상기 선편광층과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필름의 사이에위치하는
영상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 필름은 상기 패턴드 리타더층에 인접한 베이스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은 TAC(tri-acetyl cellulose)로 이루어지는
영상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4444A KR20120126561A (ko) | 2011-05-12 | 2011-05-12 | 영상 표시장치 |
US13/297,407 US20120287504A1 (en) | 2011-05-12 | 2011-11-16 | Image display device |
CN201110424158.8A CN102778756B (zh) | 2011-05-12 | 2011-12-13 | 图像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4444A KR20120126561A (ko) | 2011-05-12 | 2011-05-12 | 영상 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6561A true KR20120126561A (ko) | 2012-11-21 |
Family
ID=4712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4444A KR20120126561A (ko) | 2011-05-12 | 2011-05-12 | 영상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287504A1 (ko) |
KR (1) | KR20120126561A (ko) |
CN (1) | CN102778756B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9221A (ko) * | 2013-11-21 | 2015-06-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다중시각 표시장치 |
KR20160083513A (ko) * | 2014-12-31 | 2016-07-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패널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
KR20180105217A (ko) * | 2016-01-28 | 2018-09-27 | 쉔젠 들로들로 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근거리 광 증폭 모듈, 근거리 광 증폭 방법, 및 근거리 광 증폭 시스템 |
KR20180105698A (ko) * | 2016-01-28 | 2018-09-28 | 쉔젠 들로들로 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근거리 광 증폭 모듈, 증폭 방법 및 증폭 시스템 |
CN118400511A (zh) * | 2024-06-28 | 2024-07-26 | 江西农业大学 | 一种基于液态柱状透镜的裸眼三维显示方法及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66090B2 (en) | 2011-09-09 | 2015-06-23 | Lg Display Co., Ltd.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02645753B (zh) * | 2012-02-29 | 2015-10-1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被动偏光式三维显示装置 |
JP5970907B2 (ja) * | 2012-03-28 | 2016-08-1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印刷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
KR20130115896A (ko) * | 2012-04-13 | 2013-10-2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US20140078426A1 (en) * | 2012-09-19 | 2014-03-20 |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Patterned Retarder 3D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2854631B (zh) * | 2012-09-27 | 2015-05-20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立体影像显示设备以及其形成方法 |
KR101983262B1 (ko) * | 2012-11-23 | 2019-05-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TWI519869B (zh) * | 2012-11-29 | 2016-02-01 | Lg化學股份有限公司 | 具有週期性微圖案化結構之圖案化延遲膜 |
CN103424924B (zh) * | 2013-08-09 | 2015-12-0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可切换二维与三维显示模式的显示装置 |
CN103676251A (zh) * | 2013-11-28 | 2014-03-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电驱动液晶立体显示元件及制作方法、显示设备 |
CN104143308B (zh) * | 2014-07-24 | 2016-09-0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三维图像的显示方法及装置 |
CN106200130A (zh) * | 2016-09-07 | 2016-12-0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3d显示装置及3d显示系统 |
CN112868227B (zh) * | 2018-08-29 | 2024-04-09 | Pcms控股公司 | 用于基于镶嵌周期性层的光场显示的光学方法及系统 |
WO2020187846A1 (en) * | 2019-03-15 | 2020-09-24 | Realfiction Aps | Directional color oled device |
WO2024222255A1 (zh) * | 2023-04-28 | 2024-10-3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立体显示基板和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413993B (en) * | 1996-03-15 | 2000-12-01 | Sharp Kk | Image display device |
GB2351866A (en) * | 1999-07-07 | 2001-01-10 | Sharp Kk | Stereoscopic display |
DE10252830B3 (de) * | 2002-11-13 | 2004-05-27 | Albert Maly-Motta | Autostereoskopischer Adapter |
US7663570B2 (en) * | 2003-02-27 | 2010-02-16 | Nec Corporation | Image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anel |
US7301587B2 (en) * | 2003-02-28 | 2007-11-27 | Nec Corporation | Imag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
KR100677637B1 (ko) * | 2006-02-22 | 2007-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고해상도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
US8687273B2 (en) * | 2006-09-07 | 2014-04-01 | Sharp Kabushiki Kaisha | Image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parallax barrier element |
JP2008134617A (ja) * | 2006-10-23 | 2008-06-12 | Nec Lcd Technologies Ltd | 表示装置、端末装置、表示パネル及び光学部材 |
US20100033557A1 (en) * | 2008-07-28 | 2010-02-11 | Sony Corporatio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2011
- 2011-05-12 KR KR1020110044444A patent/KR201201265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11-16 US US13/297,407 patent/US2012028750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12-13 CN CN201110424158.8A patent/CN102778756B/zh active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9221A (ko) * | 2013-11-21 | 2015-06-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다중시각 표시장치 |
KR20160083513A (ko) * | 2014-12-31 | 2016-07-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패널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
KR20180105217A (ko) * | 2016-01-28 | 2018-09-27 | 쉔젠 들로들로 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근거리 광 증폭 모듈, 근거리 광 증폭 방법, 및 근거리 광 증폭 시스템 |
KR20180105698A (ko) * | 2016-01-28 | 2018-09-28 | 쉔젠 들로들로 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근거리 광 증폭 모듈, 증폭 방법 및 증폭 시스템 |
US11604349B2 (en) | 2016-01-28 | 2023-03-14 | Shenzhen Dlodlo New Technology Co., Ltd. | Short-distance optical amplification module, amplification method and amplification system |
CN118400511A (zh) * | 2024-06-28 | 2024-07-26 | 江西农业大学 | 一种基于液态柱状透镜的裸眼三维显示方法及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778756A (zh) | 2012-11-14 |
US20120287504A1 (en) | 2012-11-15 |
CN102778756B (zh) | 2014-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26561A (ko) | 영상 표시장치 | |
EP2682790B1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WO2013061734A1 (ja) | 立体表示装置 | |
US10021375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KR20120075319A (ko) | 영상 표시장치 | |
KR20120125001A (ko) | 영상 표시장치 | |
US8988618B2 (en) | Stereoscopic display comprising a phase retarde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trip shapes and a plurality of board-like structures disposed in a liquid-crystal layer | |
KR101861616B1 (ko)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46676B1 (ko) |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24060B1 (ko) | 무안경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126562A (ko) | 영상 표시장치 | |
KR20130005700A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1862073B1 (ko) | 삼차원 영상 표시장치 및 편광안경, 그리고 삼차원 영상 구현시스템 | |
KR101849177B1 (ko) |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30114376A (ko)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
KR101706579B1 (ko) | 영상 표시장치용 리타더 제조 방법 | |
KR101360780B1 (ko) | 다시점 무안경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925413B1 (ko) |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861717B1 (ko) | 패턴드 리타더, 이를 포함하는 삼차원 영상 표시장치 및 삼차원 영상 구현시스템 | |
KR101774279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1949388B1 (ko) | 3d 영상 표시장치 | |
KR101966726B1 (ko) | 영상 표시장치 | |
KR101842052B1 (ko) |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86304B1 (ko) |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941622B1 (ko) | 영상 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