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124234A -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234A
KR20120124234A KR1020110042005A KR20110042005A KR20120124234A KR 20120124234 A KR20120124234 A KR 20120124234A KR 1020110042005 A KR1020110042005 A KR 1020110042005A KR 20110042005 A KR20110042005 A KR 20110042005A KR 20120124234 A KR20120124234 A KR 20120124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edicine
unit
insp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1004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4234A/ko
Priority to US13/460,815 priority patent/US8885914B2/en
Priority to EP12166361A priority patent/EP2521077A1/en
Priority to CN2012101449447A priority patent/CN102768211A/zh
Publication of KR2012012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23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6Trinkets, e.g. shirt buttons or jewellery i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개별 포장된 약품의 영상 분석하여 결함여부를 검사 후, 결함 약포에 관하여 결함여부를 재검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는 조제 정보 및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에 따른 1차 검사 데이터를 전달받는 약포정보송수신부, 상기 약포정보송수신부와 연결되어, 1차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의 결함여부를 재검사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약품재검사제어부,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1차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의 영상을 촬영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제공하는 약포영상의 약품을 분석하여,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결함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Automatic reinspection system and the method of prescription drugs}
본 발명은 조제된 약품의 결함여부를 재검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개별 포장된 약품의 영상 분석하여 결함여부를 검사 후, 결함 약포에 관하여 결함여부를 재검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및 약국에서 조제된 약품은 1회 복용량으로 개별 포장되고, 복용 기간 또는 횟수에 따라 포장된 약품이 환자에게 제공된다.
이렇게 제공되는 약품은 조제 과정이 완료되면 개별 포장으로 밀봉되어, 조제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약품으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약품 포장지를 투명 재질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포장지에 밀봉된 약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조제 약품을 대량으로 관리하는 병원 및 약국에서 조제 상태의 정상여부를 개별 포장 약품을 확인하는 작업은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오랜 검사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색상이나 크기가 동일 또는 유사한 약품의 오류는 쉽게 판단할 수 없으므로 그로 인한 조제 약품의 불량 발생은 환자의 치료의 효과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해를 끼칠 수 있는 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조제 약포의 결함 여부를 검사하는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1차 약포 결함 판정 시, 조제 정보와 일치하는 정확한 약품이 포장되었음에도 약품의 위치에 따라 결함 판정이 되는 경우가 많아 1차 결함 판정의 신뢰성이 다소 저조함에 따라 결함 판정된 조제 약포만을 재검사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1차 결함 판정된 약포를 재검사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일일이 약포를 검사해야 하며, 이 경우 다수의 약포 다발 중에 결함 판정된 약포를 식별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재조제 후, 약포를 제공하는 과정도 자동화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의 목적은 1차 약포검사부에서 전달받은 검사데이터를 이용하여, 결함 약포의 약품만을 재검사하여, 조제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식별정보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약포에 형성된 식별부재를 이용하여, 조제정보 및 1차 약포 검사 결과의 조회를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약포이송부를 더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약포다발에서 결함약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결함약포수정부를 더 포함하여, 결함이 확정된 약포의 약품을 재조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재검사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재검사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재조제에 따른 약포 수정내용을 관리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약포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재검사가 완료된 약포를 환자 또는 병동 정보에 따라 절단하여,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의 신체 높이를 측정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작업대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의 신체 높이에 따라서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영상처리부를 포함하여, 1차 약포검사부에서 약포 결함으로 판단된 약포의 영상만을 획득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결함분석부를 포함하여, 약포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에 따라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약품의 크기, 수량, 외형 등의 다양한 패턴 정보로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를 판단하여, 조제 약품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은 결함약포의 영상분석을 통해,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재검사를 수행하는 작업자를 고려하여, 재검사 작업의 환경을 조절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1차 약포 검사가 완료된 약포에 형성된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결함 판정된 약포를 재검사 대상으로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재검사 시에도 결함이 확정되면, 결함의 원인이 된 약품을 재조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약포의 재검사 결과 및 재조제된 약포의 약품 수정 정보를 저장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결함약포의 영상을 획득 후, 이를 분석하여,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를 조제정보와 비교하여, 결함여부를 재검사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결함약포의 영상에서 각 약품의 크기를 분석하여, 약품의 결함여부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는 조제 정보 및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에 따른 1차 검사 데이터를 전달받는 약포정보송수신부, 상기 약포정보송수신부와 연결되어, 1차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의 결함여부를 재검사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약품재검사제어부,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1차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의 영상을 촬영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제공하는 약포영상의 약품을 분석하여,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결함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은 약포정보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조제서버 및 1차약포검사부로부터 1차 약포 결함여부에 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처리부를 이용하여, 결함약포의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결함분석부를 이용하여, 1차약포검사부의 검사 결과와 결함약포의 영상을 비교하여,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는 1차 약포검사부에서 전달받은 검사데이터를 이용하여, 결함 약포의 약품만을 재검사하여, 조제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함으로써, 조제 약품 관리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별정보인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약포에 형성된 식별부재를 이용하여, 조제정보 및 1차 약포 검사 결과의 조회를 용이하게 하고, 1차 약포검사에서 결함 판정이 된 약포를 제공받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약포이송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연결된 약포다발에서 결함약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함약포수정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결함이 확정된 약포의 약품을 재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검사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재검사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재조제에 따른 약포 수정내용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포제공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재검사가 완료된 약포를 환자 또는 병동 정보에 따라 절단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인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대조절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 높이를 고려하여,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약포 재검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를 포함함으로써, 1차 약포검사부에서 약포 결함으로 판단된 약포의 영상만을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함분석부를 포함함으로써, 약포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에 따라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품의 크기, 수량, 외형 등의 다양한 패턴 정보로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를 판단하여, 조제 약품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은 결함약포의 영상분석을 통해,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검사를 수행하는 작업자를 고려하여, 재검사 작업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차 약포 검사가 완료된 약포에 형성된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결함 판정된 약포를 재검사 대상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검사 시에도 결함이 확정되면, 결함의 원인이 된 약품을 재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포의 재검사 결과 및 재조제된 약포의 약품 수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함약포의 영상을 획득 후, 이를 분석하여,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를 조제정보와 비교하여, 결함여부를 재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함약포의 영상에서 각 약품의 크기를 분석하여, 약품의 결함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의 작업환경조절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의 영상처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의 결함분석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의 전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의 S20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의 S50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의 S50 단계의 일실시예를 나 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의 S70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의 S70 단계의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의 약품 히스토그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의 전체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약포정보송수신부(10), 약품재검사제어부(20), 작업환경조절부(30), 식별정보인식부(40), 약포이송부(50), 영상처리부(60), 결함분석부(70), 재검사정보관리부(80), 디스플레이부(85), 결함약포수정부(90) 및 약포제공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약포정보송수신부(10)는 조제 정보 및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에 따른 1차 검사 데이터를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포정보송수신부(10)는 조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와 연결되어, 조제정보를 검색하고, 1차약포검사부와 연결되어, 1차 약포 검사 시, 결함 판정된 약포의 정보 및 약포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조제 약포의 재검사 완료 후, 재검사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 상기 약포정보송수신부(10)와 연결되어, 1차 약포 검사 시,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의 결함여부를 재검사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업환경조절부(30)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재검사 작업 환경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인식부(31) 및 작업대조절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자인식부(31)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재검사 시, 작업자의 신체 높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작업대조절부(33)는 상기 작업자인식부(31)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인식부(31)에서 인식한 작업자의 신체 높이에 따라서 작업대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환경조절부(30)를 포함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 높이를 고려하여,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약포 재검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식별정보인식부(40)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약포 상에 형성된 식별부재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상세하게는 1차 약포 검사 완료 후, 부착되거나 초기 포장작업 시 인쇄된 식별부재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수단이며, 상기 식별정보에는 각 약포의 약품 정보 및 약포의 결함 여부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별정보인식부(40)는 약포다발이 이송될 때 각 약포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 이외에 약포 다발이 아닌 개별 약포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보조식별정보인식부(4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식별정보인식부(45)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약포이송부(55)를 통해 이송할 수 없는 개별 약포를 수동으로 인식하여, 조제 결함을 재검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약포이송부(50)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1차 약포 검사가 종료된 약포 다발 중 1차 결함 판정된 약포를 상기 영상처리부(6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포이송부(5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약포보빈장치(51)를 포함하고, 상기 약포보빈장치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이송롤러(52, 5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약포보빈장치(51) 간의 상호 동작으로 약포 다발 중 1차 결함 판정된 약포까지 고속으로 약품다발을 감고, 결함여부 재검사가 완료된 약포를 모두 감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약포보빈장치(51)를 통해, 약포다발을 감고 푸는 동작을 통해, 약품의 위치 중복 등으로 1차 결함 판정된 약포를 흔들어줌에 따라 약품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별정보인식부(40)에서 인식한 식별정보를 통해 1차 약포 검사에 따른 결함 약포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약포이송부(50)를 통해, 이러한 1차 결함 약포만을 재검사 대상으로 제공하여, 약포의 재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포이송부(50)는 비상 시, 상기 약포보빈장치(51)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비상정지버튼(5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처리부(60)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1차 약포검사에서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의 영상을 촬영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61), 촬영부(63), 영상획득부(65) 및 영상분석부(67)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부(63)는 상기 1차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를 촬영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영상획득부(65)는 상기 촬영부(63)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분석부(67)는 상기 영상획득부(65)와 연결되어, 약품 영상을 분석하여, 각 약품별 패턴정보를 도출하는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조명부(61)는 상기 촬영부(63)의 약품 포장지 및 내부 약품의 촬영 모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처리부(60)의 동작 설명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결함분석부(70)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처리부(60)에서 제공하는 약포영상의 약품을 분석하여,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패턴입력부(71) 및 약품패턴판단부(73)을 포함한다.
상기 약품패턴입력부(71)는 개별 약품의 기본 정보 및 약품 외형을 촬영한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를 입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약품패턴판단부(73)는 상기 약품패턴입력부(71)와 연결되어, 조제 정보에 따른 약품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와 상기 약품패턴저장부에 저장된 약품의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품의 패턴 정보는, 약품의 크기, 수량, 외형, 컬러, 심볼마크, 무게, 두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함분석부(70)의 동작 설명은 상기 영상처리부(60)와 함께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재검사정보관리부(80)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재검사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재조제한 약포의 수정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재검사정보관리(80)에 저장되는 정보는 약품 재검사 시, 검색한 조제 정보, 약품 정보, 약품 수정 내역 정보, 작업자 정보, 작업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5)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약품 재검사 과정을 외부에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영상처리부(60) 및 결함분석부(70)에서 작업하는 약포 영상의 분석 과정 및 조제 정보 등을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함약포수정부(90)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1차 결함 판정 약포의 재검사 후, 결함이 확정되면 결함 내용에 따라 약포 내부의 약품을 재조제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결함약포수정부(90)는 세부적으로는 약포를 개봉하는 부재와, 조제정보에 따른 약을 공급하는 약품공급부 및 개봉된 약포를 봉합하는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포제공부(100)는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20)와 연결되어, 재검사 완료 후 환자 및 병동 정보에 따라 약포를 절단하여 제공하거나, 약포 재검사 시작 시와 동일하게 약포 다발을 권취하여 제공하는데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작업대의 정면에 조제 약품 재검사 상황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5)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85)의 양측에는 약포보빈장치(51)를 구비하였으며, 상기 약포보빈장치(51) 사이에는 상하의 이송롤러(52, 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52, 53)의 하부에는 이송되는 조제 약포를 촬영하여,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부(60)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조제 약포가 이송되는 동일 선상에 약포에 형성된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인식부(40)를 형성하였다.
또한, 작업대(1)의 상측에는 결함으로 확정된 조제 약포를 수정 조제하는 결함약포수정부(90)가 형성된다.
더불어, 작업대(2)의 일측에는 약포 다발이 아닌 개별 약포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보조식별정보인식부(45)를 형성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를 제공하면, 1차 약포검사부에서 전달받은 검사데이터를 이용하여, 결함 약포의 약품만을 재검사하여, 조제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함으로써, 조제 약품 관리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를 이용한 재검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약포정보송수신부(10)를 이용하여, 조제서버 및 1차약포검사부로부터 1차 약포 결함여부에 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상기 S10 단계는 상기 조제서버로부터 약품의 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1차 약포검사부로부터 1차 약포 검사의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작업환경조절부(30)를 이용하여, 재검사 작업 환경을 조절하는 단계(S20)를 수행하며, 상기 S20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자인식부(31)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 높이를 측정하는 단계(S21)를 수행하고, 상기 작업대조절부(33)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신체 높이를 고려하여,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23)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식별정보인식부(40)를 이용하여, 약포에 형성된 식별부재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
상기 S40 단계는 1차 약포 검사부의 약포 검사 완료 후, 부착 또는 형성되는 식별부재를 인식하는 단계로, S4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결함 약포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1차 약포 검사 시, 결함 판정된 약포만을 재검사 대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약포이송부(50)를 이용하여, 결함약포를 이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
상기 S40 단계는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식별정보인식부(40)에서 인식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1차 약포 검사에서 결함으로 판정된 약포를 고속으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영상처리부(60)를 이용하여, 결함약포의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
[도 7]은 상기 S50 단계의 상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먼저 촬영부(63)를 이용하여, 결함 약포의 RGB 컬러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획득부(65)를 통해 영상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
다음으로, 상기 RGB 컬러 영상에서 B채널을 분리하는 단계(S53)를 수행하고, 조제 약품의 흑백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5)
이때 상기 조명부(61)의 조절로 하나의 촬영부로 컬러영상과 흑백영상을 동시에 촬영하는 일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흑백 영상을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진화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4)
상기 S54 단계에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흑백영상을 이진화하기 위한 기준 화소값을 말한다.
[도 8]의 (a)는 상기 S51 단계의 조제 약품의 흑백 영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진화된 영상을 각 약품 연결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55단계는 이진화 영상의 코너의 중심에서 일정한 구간의 원형영상을 추출하여, 영상의 면적과 분리선의 각도를 측정하여 약품 접합코너를 판별하는 작업을 방법으로 수행된다.
다음으로 각 약품별 독립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6)
[도 8]의 (b)는 상기 S57단계의 조제 약품의 독립 영역으로 분리된 영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약품의 독립영역의 크기, 중심점, 및 수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7)
다음으로, 상기 S50단계의 영상 분석을 통해 도출된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크기 및 수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8)
다음으로, 조제 약품 결함을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60)
만일 상기 S60 단계에서 조제 정보의 약품 크기 및 수량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조제 약품을 재조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0)
상기 S60 단계에서 약품의 크기 및 수량이 조제정보와 일치할 경우, 결함분석부를 이용하여, 1차약포검사부의 검사 결과와 결함약포의 영상을 비교하여,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S70 단계의 상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약품의 독립영역의 외곽선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1)
[도 10]는 S70의 세부 흐름에 따른 약품 패턴 분석 영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S71단계의 수행에 따라 (a) 독립영역 영상에서 (b) 영상과 같이 외곽선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의 (c)와 같이, 약품의 외곽선과 중심점 간의 접선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3)
다음으로, [도 10]의 (d)와 같이, 약품의 형상 외곽선의 히스토그램을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5)
다음으로, 상기 약품의 히스토그램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정보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7)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된 타원형 약품은 [도 11]에 도시된 약품패턴저장부의 (b) 약품과 일치하며, (b)약품이 조제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60)
만일, 상기 S60 단계에서 약품의 히스토그램 정보와 조제된 약품의 정보가 상이하다면 약품을 재조제하는 단계(S80)를 수행 후, 재검사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약국 관리 서버 또는 작업자에 통지하는 단계(S9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약포제공부를 이용하여, 병동 또는 환자별 조제 약포를 절단하여 제공하거나 약포 다발을 감아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은 1차 약포 검사 시, 결함 판정된 약포의 영상분석을 통해, 약포의 결함여부를 신속하게 확정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 : 약포정보송수신부 20 : 약품재검사제어부
30 : 작업환경조절부 31 : 작업자인식부
33 : 작업대조절부 40 : 식별정보인식부
50 : 약포이송부 60 : 영상처리부
61 : 조명부 63 : 촬영부
65 : 영상획득부 67 : 영상분석부
70 : 결함분석부 71 : 약품패턴입력부
73 : 약품패턴판단부 80 : 재검사정보관리부
90 : 결함약포수정부 100 : 약포제공부

Claims (22)

  1. 조제 정보 및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에 따른 1차 검사 데이터를 전달받는 약포정보송수신부;
    상기 약포정보송수신부와 연결되어, 1차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의 결함여부를 재검사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약품재검사제어부;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1차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의 영상을 촬영하여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제공하는 약포영상의 약품을 분석하여,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결함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약포 상에 형성된 식별부재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식별정보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1차 검사가 종료된 약포 다발 중 1차 결함 판정된 약포를 상기 영상처리부로 이송하는 약포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이송부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약포보빈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약포보빈장치 간의 상호 동작으로 약포 다발 중 1차 결함 판정된 약포까지 고속으로 약품다발을 감고, 결함여부 재검사가 완료된 약포를 모두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1차 결함 판정 약포의 재검사 후, 결함이 확정되면 결함 내용에 따라 약포 내부의 약품을 재조제하는 결함약포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재검사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재조제한 약포의 수정 정보를 관리하는 재검사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재검사 완료 후 환자 및 병동 정보에 따라 약포를 절단하여, 제공하는 약포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재검사 시, 작업자의 신체 높이를 측정하는 작업자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인식부에서 인식한 작업자의 신체 높이에 따라서 작업대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대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1차 결함 판정을 받은 약포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수집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영상획득부와 연결되어, 약품 영상을 분석하여, 각 약품별 패턴정보를 도출하는 영상분석부 및
    상기 촬영부의 약품 포장지 및 내부 약품의 촬영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분석부는,
    개별 약품의 기본 정보 및 약품 외형을 촬영한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를 입력하는 약품패턴입력부 및
    상기 약품패턴입력부와 연결되어, 조제 정보에 따른 약품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와 상기 약품패턴저장부에 저장된 약품의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약품패턴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의 패턴 정보는, 약품의 크기, 수량, 외형, 컬러, 심볼마크, 무게, 두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재검사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제 약품의 재검사 상황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14. 약포정보송수신부를 이용하여, 조제서버 및 1차약포검사부로부터 1차 약포 결함여부에 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처리부를 이용하여, 결함약포의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결함분석부를 이용하여, 1차약포검사부의 검사 결과와 결함약포의 영상을 비교하여,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약포 결함여부에 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작업자인식부 및 작업대조절부를 이용하여, 재검사 작업 환경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작업 환경을 조절하는 단계 이후에,
    식별정보인식부를 이용하여, 약포에 형성된 식별부재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에 형성된 식별부재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이후에,
    약포이송부를 이용하여, 결함약포를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단계에서,
    약포의 결함으로 확정되면, 약포수정부를 이용하여, 결함약포를 재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이후에,
    재검사정보관리부에 약포 재검사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 재검사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약포제공부를 이용하여, 병동별 또는 환자별 약포를 절단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약포의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조제 약품을 RGB 영상으로 촬영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약품 영상에서 B(Blue)채널을 분리하는 단계;
    약품의 흑백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조제 약품의 흑백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진화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진화된 영상을 각 약품 연결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
    각 약품별 독립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독립영역의 크기, 중심점, 및 수량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크기 및 수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포의 결함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약품 영상의 독립영역의 외곽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약품의 외곽선과 중심점 간의 접선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약품의 형상 외곽선의 히스토그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약품의 히스토그램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재검사 방법.
KR1020110042005A 2011-05-03 2011-05-03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 Ceased KR20120124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05A KR20120124234A (ko) 2011-05-03 2011-05-03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
US13/460,815 US8885914B2 (en) 2011-05-03 2012-04-30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specting prescription drugs
EP12166361A EP2521077A1 (en) 2011-05-03 2012-05-02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specting prescription drugs
CN2012101449447A CN102768211A (zh) 2011-05-03 2012-05-03 处方药品再检测装置及其再检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005A KR20120124234A (ko) 2011-05-03 2011-05-03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234A true KR20120124234A (ko) 2012-11-13

Family

ID=4645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005A Ceased KR20120124234A (ko) 2011-05-03 2011-05-03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85914B2 (ko)
EP (1) EP2521077A1 (ko)
KR (1) KR20120124234A (ko)
CN (1) CN10276821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67A (ko) * 2015-06-26 2017-01-04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 장치 및 약포 검사 방법
KR101877248B1 (ko) * 2016-11-28 2018-07-1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995746B1 (ko) * 2018-01-04 2019-07-03 주식회사 디월드 편광시트 재검사방법
KR102271342B1 (ko) * 2020-06-15 2021-06-3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캡슐검사시스템 및 방법
CN115148375A (zh) * 2022-08-31 2022-10-04 之江实验室 一种高通量真实世界药物有效性与安全性评价方法及系统
WO2022265320A1 (ko) * 2021-06-14 2022-12-22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7856B2 (ja) * 2014-07-03 2019-04-10 アレイ株式会社 錠剤識別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分包錠剤監査装置
WO2016149577A1 (en) 2015-03-18 2016-09-22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contents of a shipment
EP3284037A1 (en) 2015-04-16 2018-02-21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Enhanced multi-layer cargo screening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R3077907B1 (fr) * 2018-02-13 2021-06-18 Pharmed S A M Installation et procede pour la detection du contour, et de la localisation d’un produit en trois dimensions reposant a l’endroit ou a l’envers sur une surface
CN112105330B (zh) * 2018-03-29 2022-11-08 富士胶片富山化学株式会社 药剂判定装置以及药剂判定方法
CN112883958B (zh) * 2021-01-11 2023-12-05 壹药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药品货位盘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65537A1 (en) * 1996-09-06 1998-03-12 Adrian Neil Bargh Customer specific packaging line
WO2002025568A2 (en) * 2000-09-22 2002-03-28 Sound Vision, Inc. Pill identification and prescription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40010328A1 (en) * 2002-06-10 2004-01-15 Carson Barry R.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rgonomic settings at a worksite
NL1025161C1 (nl) * 2003-08-19 2005-07-04 Global Factories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spreiden van/naast op elkaar liggende voorwerpen.
US8266878B2 (en) * 2004-10-01 2012-09-18 Edge Medical Propert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nd assembling a multiple prescription package
US20100294927A1 (en) * 2005-09-12 2010-11-25 Nanolnk, Inc. High throughput inspecting
NL2000854C2 (nl) * 2007-09-12 2009-03-18 Global Factories B V Wikkelinrichting.
KR101123656B1 (ko) * 2008-10-08 2012-03-21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장치
CN103025301B (zh) * 2010-03-09 2016-11-09 破赛普提医药有限公司 药物验证和分配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67A (ko) * 2015-06-26 2017-01-04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 장치 및 약포 검사 방법
KR101877248B1 (ko) * 2016-11-28 2018-07-1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995746B1 (ko) * 2018-01-04 2019-07-03 주식회사 디월드 편광시트 재검사방법
KR102271342B1 (ko) * 2020-06-15 2021-06-3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캡슐검사시스템 및 방법
WO2021256789A1 (ko) * 2020-06-15 2021-12-23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캡슐검사시스템 및 방법.
WO2022265320A1 (ko) * 2021-06-14 2022-12-22 (주)제이브이엠 약포 검사 시스템
CN115148375A (zh) * 2022-08-31 2022-10-04 之江实验室 一种高通量真实世界药物有效性与安全性评价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0075A1 (en) 2012-11-08
US8885914B2 (en) 2014-11-11
CN102768211A (zh) 2012-11-07
EP2521077A1 (en)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4234A (ko)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
JP6369456B2 (ja) 薬剤鑑査装置、及び薬剤分包システム
US9904992B2 (en) Packeted drug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JP5196285B1 (ja) 薬剤鑑査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EP2671068B1 (en) Method for packaged medicament inspection
KR20120124235A (ko) 약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조제 약품 제공 방법
ES2880928T3 (es) Sistema de gestión de medicamentos y procedimiento que utiliza el mismo
KR101224384B1 (ko)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09212618A (zh) 安检设备和安检方法
US20210182520A1 (en) Reading a plurality of codes
KR102214873B1 (ko) 포터블한 자동 조제 검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수방법
JP2014221134A (ja) 一包化薬剤鑑査装置
KR102361199B1 (ko) 조제약 자동 검사 시스템 및 검사 방법
CN108327934A (zh) 自动包药过程中的药品检查方法
KR20160069082A (ko) 의약품 조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