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335A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9335A KR20120119335A KR1020110037188A KR20110037188A KR20120119335A KR 20120119335 A KR20120119335 A KR 20120119335A KR 1020110037188 A KR1020110037188 A KR 1020110037188A KR 20110037188 A KR20110037188 A KR 20110037188A KR 20120119335 A KR20120119335 A KR 201201193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nister
- thruster
- hull
- cable
- pulle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63H2025/425—Propulsive elements, other than jets, substantially used for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only, with means for retracting, or otherwise moving to a rest position outside the water flow around the hu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스러스터; 스러스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스러스터를 구동시키는 캐니스터; 선체에 마련되며,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가 승강하는 공간부를 갖는 트렁크; 및 캐니스터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과, 선체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타단부를 권취하는 케이블 권취유닛을 구비하며,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를 공간부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 내부에서 스러스터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발전 추이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세계적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선박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 선박은,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특정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홈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드릴쉽(drill 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릴쉽 등과 같은 선박은, 그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 때문에 예인선 없이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또한 기존의 계류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험한 해상 조건에서 선박의 위치를 일정 시추 지점에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위치 제어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박의 메인(Main) 추진과 자기위치 제어에 사용되는 핵심적인 장비가 추진장치의 일종인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 이하 "스러스터"라고 함)이다. 이때, 스러스터는 주로 선체의 바닥면 하부에 위치되고, 360도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있어 선박을 추진, 역추진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추진 및 위치제어 겸용의 추진기이다.
상기 스러스터는 조류 및 파도 등 외란에 대해 선박을 목적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자기위치 제어를 수행하고자 할 때, 그리고 선박을 항구 및 해상 구조물에 접안하고자 하는 경우에 메인 스러스터와 러더에 의한 제어가 불가능하여 다수의 스러스터를 이용하여 선박을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선박의 자기위치 제어를 위해 선체의 바닥면 하부에 배치한 스러스트의 위치를 자기위치 제어 모드(dynamic positioning mode, 이하 "DP모드"라 함)라 한다.
그러나, 스러스터는 DP모드에서 선박의 위치제어를 위해 유용하나, 선박 운항 중에는 선체의 바닥면 하부로 돌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저항체가 되며 선박의 운항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DP모드에서 다이버가 선체 바닥면 하부, 즉 해수면 아래에서 상기 스러스터를 설치, 해제, 수리,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위험하고 복잡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선박 운항 중 스러스터의 고장 시에는 특히 수리, 보수를 위한 작업이 복잡하고, 선체의 하부에서 돌출된 구조로 인하여 선체 수리를 위해 도크에 집입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기위치 제어 시에는 선체 외부로 돌출되고, 운항 중에는 선체 내부로 스러스터를 인입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먼저, 스러스터 자체를 인입(retractable)하는 방법은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를 본체축의 하단부에 설치하고, 상기 본체축을 선체의 내부에 설치한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승시켜 스러스터 자체를 선체 내부로 인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스러스터의 추진력에 대하여 프로펠러가 설치된 본체축의 강성에 한계가 있으므로 중소형 선박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이는 선박의 운항 시에 선체의 내부에 스러스터가 인입된 상태(일명, "Transit mode"라고 함)에서 저항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상기 스러스터를 수리, 보수 등을 함에 있어서 다이버가 여전히 해수면 아래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스러스터 자체를 인입하는 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형 선박에도 적용하고자, 또한 종래의 본체축의 강성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스러스터의 상부에 상기 스러스터를 지지하는 캐니스터(canister)를 설치하고, 선체의 내부에 선박의 흘수선의 상부까지 스러스터와 캐니스터를 상승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스러스터와 캐니스터를 인입하는 방법은 선체에 캐니스터 및 스러스터를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수직터널, 즉 트렁크를 설치하고, 상기 트렁크 내부에서 캐니스터와 스러스터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스러스터와 캐니스터를 트렁크 내부에서 승강하는 방법으로는 현재 두 가지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첫째,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사용하여 스러스터와 캐니스터를 선체 내부로 인입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트렁크의 내벽 등에 피니언 기어를 설치하고, 캐니스터에 랙 기어를 설치하여,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치합에 의해 스러스터와 캐니스터를 트렁크의 내부에서 승강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캐니스터에 랙 기어를 설치하기 때문에 랙 기어의 길이는 캐니스터가 수직으로 상승하는 길이 이상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캐니스터의 높이가 길어질 수 있고, 캐니스터 및 스러스터를 수리 및 보수하기 위하여 선체의 갑판 상부로 상승시키는 경우에 갑판 상에 캐니스터가 과대하게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트렁크 및 캐니스터 등의 대형 구조물에 정밀하게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비가 증가하고 제작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스러스터와 캐니스터를 선체 내부로 인입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선체의 갑판에 수직되게 설치한 프레임에 유압실린더를 결합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를 캐니스터의 상부에 연결시켜 상기 스러스터와 캐니스터를 트렁크의 내부에서 승강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스러스터와 캐니스터가 상승하는 높이 만큼 유압실린더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압실린더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짧은 길이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높이만큼 스러스터와 캐니스터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유압실린더의 고정위치를 지속적으로 변경하면서 신축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러스터의 장착 및 정비에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러스터; 상기 스러스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를 구동시키는 캐니스터; 선체에 마련되며, 상기 스러스터 및 상기 캐니스터가 승강하는 공간부를 갖는 트렁크; 및 상기 캐니스터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과,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타단부를 권취하는 케이블 권취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를 상기 공간부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권취유닛은,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는 다수의 윈치; 및 상기 윈치와 상기 캐니스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윈치로 안내하는 제1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풀리는 고정도르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러스터; 상기 스러스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를 구동시키는 캐니스터; 선체에 마련되며, 상기 스러스터 및 상기 캐니스터가 승강하는 공간부를 갖는 트렁크; 및 상기 캐니스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선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양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당기고 푸는 동작을 수행하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를 상기 트렁크의 공간부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갑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를 지나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선체 사이에서 지지하는 제2 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는 상기 제2 풀리에 결합되어 신축할 수 있다.
상기 제1 풀리는 고정도르래이고, 상기 제2 풀리는 움직도르래일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상기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트렁크의 내측벽 및 상기 캐니스터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트렁크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외측벽을 접촉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일 수 있다.
상기 캐니스터의 상기 공간부에서의 하강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캐니스터의 하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 하부의 상기 트렁크의 내측벽에는 상기 돌출부를 안착시키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다.
선체의 바닥면 하측에 해당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선체의 바닥면과 상기 선체가 해수에 잠기는 흘수선 사이에 해당하는 제2 위치와, 상기 흘수선의 상측에 해당하는 제3 위치에 상기 스러스터를 고정시키는 락킹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트렁크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락킹 핀; 및 상기 캐니스터의 외측벽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락킹 핀이 삽입되는 다수의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변화를 감지하는 제1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니스터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승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러스터의 장착 및 정비에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3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3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3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3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해저 원유를 시추하는 드릴쉽,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하는 선박, 액화천연가스-부유식 생산저장설비(LNG-FPSO : Liquefied Natural Gas-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 Floating Storage Unit) 등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되,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스러스터(200)와, 스러스터(2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스러스터(20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가 내부에 설치된 캐니스터(300)와, 선체(100)에 마련되며, 스러스터(200) 및 캐니스터(300)가 승강하는 공간부(410)를 갖는 트렁크(400)와, 캐니스터(300)에 연결되는 케이블(510) 및 케이블(510)을 권취하는 케이블 권취유닛(530)을 구비한 승강장치(500)와, 캐니스터(30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600)와, 캐니스터(300)를 트렁크(400)에 고정하는 락킹장치(700)를 포함한다.
스러스터(200)는 선체의 바닥면(110) 하부에 배치되어, 선박을 추진, 역추진 또는 회전시키고 또한 선박의 자기위치 제어를 위해 추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스러스터(200)는 특정 위치로 선박을 이동시키고, 그 위치에서 선박을 유지하는 자기위치 제어를 위해 주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러스터(200)는 추진과 자기위치 제어에 사용되는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체의 바닥면(110) 하부에 설치하여 선체(100)에 추진력 등을 제공하는 추진장치도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 예의 스러스터(200)는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의미한다.
스러스터(200)는, 원형 노즐 보호판(250)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210)와, 내부에 기어장치로 구성된 동력전달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프로펠러(2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허브(230)를 포함한다. 허브(230)는 캐니스터(300)의 내부에 설치한 구동장치(미도시)에서 전달된 동력을 수직축(270)을 통하여 전달받고, 전달된 동력을 내부에 설치된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프로펠러(2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캐니스터(300)는 스러스터(2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스러스터(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캐니스터(300)는 스러스터(200)를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스러스터(200)가 선체의 바닥면(110) 하부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캐니스터(300)는 스러스터(200)의 추진력에 대하여 스러스터(200)를 지지하고 선체의 바닥면(110) 하부에 위치하는 스러스터(200)를 위치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캐니스터(300)는 다수의 격실(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격실은 상호 격리되게 형성한다. 격실 내부에는 스러스터(200)의 프로펠러(2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캐니스터(300)에는 내부에 출입할 수 있도록 입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캐니스터(300)는 승강장치(500)에 의해 트렁크(400)의 공간부(410)에서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 캐니스터(300)에 결합된 스러스터(200)도 함께 승강한다.
트렁크(400)는 선체(100)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스러스터(200) 및 캐니스터(300)가 승강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때, 트렁크(400)는 선체의 바닥면(110)에서 갑판(130, deck)까지 개구(開口)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트렁크(400)의 내부에 공간부(410)가 형성되고, 공간부(410)에서 스러스터(200) 및 캐니스터(300)가 승강한다. 이러한 공간부(410)와 트렁크(400)는 선체(100) 내부와 수밀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트렁크(400)는 선체(100)의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좌우 대칭되게 선체(100)의 선미부, 중앙평행부, 선수부에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박의 추진력 및 자기위치 제어를 위해 공간부(410)에서 스러스터(200)와 캐니스터(300)를 수직으로 승강시킨다.
그리고,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410) 하부의 트렁크(400)의 내측벽에는 공간부(410)의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450)를 설치하고, 캐니스터(300)의 하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10)를 설치한다. 스토퍼(450)는 트렁크(400)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거나 트렁크(400) 하부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310)는 스토퍼(450)에 대응되게 캐니스터(300)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거나 캐니스터(300)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게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렁크(400)의 하부 및 캐니스터(300)의 하부에 스토퍼(450) 및 돌출부(310)를 각각 설치하여 캐니스터(300)의 공간부(410)에서의 하강운동을 제한함으로써 캐니스터(300)에 연결된 케이블(510)이 끊어지는 경우에 선체(100)의 외부로 캐니스터(300) 및 스러스터(20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캐니스터(300)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600)는 트렁크(400)의 내측벽 및 캐니스터(300)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600)가 트렁크(400)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경우에 캐니스터(300) 승강 시에 가이드부재(600)는 캐니스터(300)의 외측벽을 접촉 지지하여 캐니스터(300)가 안정되게 공간부(410)에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600)는, 본 실시 예에서는, 안정되게 캐니스터(300)가 승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송롤러(600)가 적용된다. 복수의 이송롤러(600)는 공간부(410)를 형성하는 트렁크(400)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캐니스터(300)의 외측벽을 접촉 지지하며, 트렁크(400)의 내측벽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니스터(300)가 승강하는 경우에 이송롤러(600)를 트렁크(400)의 내측벽에 설치하여 캐니스터(300)의 외측벽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캐니스터(300)의 외측벽에 이송롤러(600)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승강장치(500)는 캐니스터(300)와 스러스터(200)를 트렁크(400)의 공간부(410)에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강장치(500)는 캐니스터(300)에 연결되는 케이블(510)과, 선체(100)의 갑판(130)에 설치하여 케이블(510)을 권취하는 케이블 권취유닛(530)과, 케이블(510)의 길이변화를 감지하는 제1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케이블(510)은 와이어로프, 체인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케이블(510)의 일단부는 캐니스터(3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케이블 권취유닛(530)에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을 반복한다.
케이블(510)의 일단부는, 보다 상세하게는 캐니스터(300)의 하부에 설치된 돌출부(310)에 연결된다. 이는 캐니스터(300)를 승강하는 경우에 파도 등과 같은 외란에 의해 캐니스터(300)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케이블 권취유닛(530)은 선체(100)의 갑판(130)에 설치되고, 캐니스터(300)에 연결된 케이블(510)을 감거나 풀어 캐니스터(300) 및 스러스터(200)를 트렁크(400)의 공간부(410)에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블 권취유닛(530)은 트렁크(400) 주위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권취유닛(530)은, 선체(100)의 갑판(130)에 설치되어 케이블(510)을 권취하는 다수의 윈치(531, winch)와, 캐니스터(300)에 연결된 케이블(510)을 윈치(531)로 안내하는 제1 풀리(55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1 풀리(550)를 갑판에 설치하는 경우 제1 풀리(550)를 갑판 상에 고정하는 풀리고정부(551)가 갑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풀리고정부(551)의 일측에도 가이드부재 즉 본 실시예에서의 이송롤러(600)가 설치될 수 있다.
윈치(531)는 전동모터, 유압모터, 유압실린더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회전하고, 케이블(510)은 윈치(531)를 구성하는 드럼부(533)에 감기거나 이로부터 풀리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제1 풀리(550)는 선체(100)의 갑판(130)에 설치되되, 윈치(531)와 캐니스터(30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풀리(550)는 윈치(531)의 드럼부(533)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제1 풀리(550)는 고정도르래를 사용하여, 캐니스터(300)에 수직되게 연결된 케이블(510)을 갑판(130)의 상부에 설치한 윈치(531)의 드럼부(533) 방향으로 수평되게 전환한다.
한편, 승강장치(500)는 캐니스터(300)를 승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치(500)는, 스러스터(200)가 선체의 바닥면(110) 하측에 배치되어 선체(100)의 자기위치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위치(일명, Dynamic positioning mode)와, 선박의 운항 시에 스러스터(200)가 선체의 바닥면(110)과 선체가 해수에 잠기는 흘수선(150) 사이에 배치되어 저항을 줄이도록 선체(100)의 내부에 인입된 제2 위치(일명, Transit mode)와, 스러스터(200)가 흘수선(150)의 상측에 배치되어 설치, 해제, 수리,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제3 위치(일명, Maintenance mode)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윈치(531)의 상부에는 제1 센싱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싱부는 스러스터(200)가 상기한 제1, 2, 3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윈치(531)의 드럼부(533)에 감기는 케이블(510)의 길이변화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센싱부는 드럼부(533)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파악하여 케이블(510)의 길이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케이블(510)의 길이변화를 이용하여 캐니스터(300) 및 스러스터(200)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제1 센싱부는 윈치(531)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제1 센싱부에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장치(500) 특히 본 실시예에서 승강장치(500)의 윈치(53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제1 센싱부에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윈치(531)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트렁크(400)에 설치한 락킹 핀(710)이 캐니스터(300)에 설치된 홈부(730)에 삽입되도록 락킹 핀(7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락킹 핀(7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락킹 핀 제어부는 제어부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승강장치(500)의 제1 센싱부와 별도로, 캐니스터(30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트렁크(400)의 공간부(410)에서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제2 센싱부(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센싱부는 리미트 센서를 포함하고, 캐니스터(30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스러스터(200)에 대한 수리,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스러스터(200)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실현할 수 있도록, 트렁크(400)의 공간부(410)에 유지보수공간(430)을 형성할 수 있다. 유지보수공간(430)은 흘수선(150)의 상측에 위치하며, 작업자가 스러스터(200)의 프로펠러(210) 등을 분리한 후 적재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스러스터(200)가 제1, 2, 3 위치에서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캐니스터(300)를 트렁크(400)에 고정하는 락킹장치(700)를 더 포함한다. 락킹장치(700)는 외란에 대해 캐니스터(300)가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락킹장치(700)는 트렁크(400)의 공간부(410), 즉 트렁크(400)의 내측벽에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한 다수의 락킹 핀(710)과, 캐니스터(300)의 외측벽에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다수의 락킹 핀(710)이 삽입되는 다수의 홈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락킹 핀(710)은 유압 시스템에 의해 공간부(410)로 출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싱부 및 제2 센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스러스터(200)가 제1, 2, 3 위치 중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윈치(531)를 정지시키고 락킹 핀(710)을 공간부(410)로 돌출시켜 홈부(730)에 삽입한다. 락킹 핀(710)과 홈부(730)의 결합에 의해 캐니스터(300)는 공간부(410) 상에 고정되고, 스러스터(200)를 원하는 위치에 안정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를 선체에 인입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3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추진장치에 의한 선박의 자기위치 제어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 스러스터(200)를 선체의 바닥면(110) 하부, 즉 제1 위치(Dynamic positioning mode)에 배치되도록 윈치(531)를 회전시켜 캐니스터(300) 및 스러스터(200)를 공간부(410)에서 하강시킨다.
이때, 캐니스터(300)는 하부에 설치한 돌출부(310)와 트렁크(400)에 설치된 스토퍼(450)에 의해 하강운동이 최종적으로 제한되고, 이로써, 스러스터(200)가 제1 위치에 정확히 배치된다. 그리고, 스러스터(200)가 제1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트렁크(400)에 설치한 락킹 핀(710)을 캐니스터(300)에 설치한 홈부(730)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운항 시에는 스러스터(200)가 선체의 바닥면(110) 하부에 배치되면 저항체로서 작용하므로, 스러스터(200)를 선체(100)의 내부로 인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스러스터(200)를 선체(100)의 내부에 인입하여 제2 위치(Transit mode)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윈치(531)를 회전시켜 캐니스터(300) 및 스러스터(200)를 공간부(410)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제1 센싱부 및 제2 센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케이블(510)의 길이변화 및 공간부(410)에서 캐니스터(300)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스러스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스러스터(200)가 제2 위치로 상승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는 윈치(53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스러스터(200)가 제2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트렁크(400)에 설치된 락킹 핀(710)을 캐니스터(300)에 설치한 홈부(730)에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가 승강장치(500)의 작동 특히 윈치(531)의 작동과 락킹 핀(710)의 작동을 제어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치(531)의 작동과 락킹 핀(710)의 작동이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터(200)를 수리, 보수할 필요가 있어 스러스터(200)를 선체(100)의 내부에 인입하여 제3 위치(Maintenance mode)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윈치(531)를 회전시켜 캐니스터(300) 및 스러스터(200)를 공간부(410)에서 상승시킨다. 그리고, 제1 센싱부 및 제2 센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케이블(510)의 길이변화 및 공간부(410)에서 캐니스터(300)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스러스터(200)의 위치를 파악한다.
따라서, 스러스터(200)가 유지보수공간(430)이 형성된 제3 위치로 상승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는 윈치(53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스러스터(200)가 제2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트렁크(400)에 설치한 락킹 핀(710)이 캐니스터(300)에 설치된 홈부(730)에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510)과, 윈치(531)와 제1 풀리(550)를 구비한 케이블 권취유닛(530)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승강장치(500)를 이용하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캐니스터(300) 및 트렁크(400)에 각각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설치하는 것보다 경량화가 가능하고, 승강장치(500)는 그 구성이 간단하므로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갑판(130)의 상부로 돌출되는 캐니스터(300)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권취유닛(530)이 갑판(130)에 설치되므로 그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스러스터(200a)와, 스러스터(200a)의 상부에 결합되어 스러스터(200a)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가 내부에 설치된 캐니스터(300a)와, 선체(100a)에 마련되며, 스러스터(200a) 및 캐니스터(300a)가 승강하는 공간부(410a)를 갖는 트렁크(400a)와, 캐니스터(300a)에 연결되는 케이블(510a) 및 케이블(510a)에 연결되어 케이블(510a)을 당기고 푸는 동작을 수행하는 유압실린더(530a)를 구비한 승강장치(500a)와, 캐니스터(300a)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600a)와, 캐니스터(300a)를 트렁크(400a)에 고정하는 락킹장치(700a)를 포함한다.
스러스터(200a)는 선체의 바닥면(110a) 하부에 설치하여, 선박을 추진, 역추진 또는 회전시키고 또한 선박의 자기위치 제어를 위해 추진력을 제공한다. 스러스터(200a)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캐니스터(300a)는 스러스터(200a)의 상부에 결합하여 스러스터(200a)에 동력을 전달한다. 캐니스터(300a)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트렁크(400a)는 선체(100a)에 수직되게 형성하여, 스러스터(200a) 및 캐니스터(300a)가 승하강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때, 트렁크(400a)는 선체의 바닥면(110a)에서 갑판(130a)까지 개구(開口)되게 형성할 수 있다. 트렁크(400a)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공간부(410a) 하부의 트렁크(400a)의 내측벽에는 공간부(410a)의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450a)를 설치하고, 캐니스터(300a)의 하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310a)를 설치한다.
돌출부(310a) 및 스토퍼(450a)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600a)는 트렁크(400a)의 내측벽 및 캐니스터(300a)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600a)가 트렁크(400a)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경우에 캐니스터(300a) 승강 시에 가이드부재(600a)는 캐니스터(300a)의 외측벽을 지지하여 캐니스터(300a)가 안정되게 공간부(410a)에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600a)는, 본 실시 예에서는, 안정되게 캐니스터(300a)가 승강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송롤러(600a)가 적용된다. 이송롤러(600a)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승강장치(500a)는 캐니스터(300a)와 스러스터(200a)를 트렁크(400a)의 공간부(410a)에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강장치(500a)는, 캐니스터(300a)에 일단부를 연결하고 타단부를 선체(100a)에 연결한 케이블(510a)과, 케이블(510a)의 양단 사이에 연결되어 케이블(510a)을 당기고 푸는 동작을 수행하는 유압실린더(530a)와, 케이블(510a)의 길이변화를 감지하는 제1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케이블(510a)은 와이어로프, 체인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케이블(510a)의 일단부는 캐니스터(300a)의 돌출부(310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선체(100a)의 갑판(130a)에 연결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530a)는 트렁크(400a)와 수밀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있는 선체의 내부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캐니스터(300a) 및 스러스터(200a)를 공간부(410a)에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승강장치(500a)는 갑판(130a)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풀리(550a)와, 제1 풀리(550a)를 지나 선체(100a)에 결합되는 케이블(510a)을 제1 풀리(550a)와 선체(100a) 사이에서 지지하는 제2 풀리(570a)를 더 포함하며, 유압실린더(530a)의 실린더로드(531a)는 제2 풀리(570a)에 결합되어 신축한다.
예를 들면, 갑판(130a)의 상부에 제1 풀리(550a)를 설치하고, 제1 풀리(550a)와 갑판(130a)에 연결된 케이블(510a)의 일단 사이에 제2 풀리(570a)를 설치하여 순차로 케이블(510a)을 권취한다. 여기서 제1 풀리(550a)는 고정도르래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풀리(570a)는 움직도르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풀리(570a)에 유압실린더(530a)의 실린더로드(531a)를 연결한다. 또한, 유압실린더(530a)는 트렁크(400a)의 측면에 인접하게 트렁크(400a)와 수밀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있는 선체의 내부에서 선체(100a)의 높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풀리(570a)가 움직도르래인 경우에 유압실린더(530a)의 실린더로드(531a)가 선체(100a)의 아래방향으로 'S' 길이만큼 수축하면 캐니스터(300a)에 연결된 케이블(510a)은 '2S' 길이만큼 캐니스터(300a)를 트렁크(400a)의 상방으로 상승시킨다. 유압실린더(530a)의 실린더로드(531a)는 스러스터(200a)가 제1 위치(Dynamic positioning mode)에 배치된 경우에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실린더로드(531a)의 수축에 따라 스러스터(200a)는 공간부(410a) 내에서 제2 위치(Transit mode) 및 제3 위치(Maintenance mode)로 상승한다.
이처럼, 유압실린더(530a)는 실린더로드(531a)를 당길 때 최대하중이 걸리므로 좌굴(buckling)될 우려가 없으며, 실린더로드(531a)가 이동하는 거리의 두배로 캐니스터(300a)를 승강시킬 수 있고, 선체(100a) 내에 설치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센싱부(미도시)는 케이블(510a)의 길이변화를 감지하도록 승강장치(500a), 특히 유압실린더(530a)의 실린더로드(531a)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센싱부는 실린더로드(531a)의 신장 및 수축길이를 파악하여 캐니스터(300a) 측에 연결된 케이블(510a)의 길이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케이블(510a)의 길이변화를 이용하여 스러스터(200a)의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은, 제1 센싱부에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장치(500a) 특히 승강장치(500a)의 유압실린더(530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제1 센싱부에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실린더(530a)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트렁크(400a)에 설치한 락킹 핀(710a)이 캐니스터(300a)에 설치된 홈부(730a)에 삽입되도록 락킹 핀(710a)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락킹 핀(710a)의 작동을 제어하는 락킹 핀 제어부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승강장치(500a)의 제1 센싱부와 별도로, 캐니스터(300a)의 상부에는 제2 센싱부(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제2 센싱부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트렁크(400a)의 공간부(410a)에 유지보수공간(430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공간(430a)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스러스터(200a)가 제1, 2, 3 위치에서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캐니스터(300a)를 트렁크(400a)에 고정하는 락킹장치(700a)를 설치할 수 있다. 락킹장치(700a)는 외란에 대해 캐니스터(300a)가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락킹장치(700a)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200a)를 선체(100a)에 인입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러스터가 제3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추진장치에 의한 선박의 자기위치 제어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 스러스터(200a)를 선체의 바닥면(110a) 하부, 즉 제1 위치(Dynamic positioning mode)에 배치되도록 유압실린더(530a)의 실린더로드(531a)를 신장하여 캐니스터(300a) 및 스러스터(200a)를 공간부(410a)에서 하강시킨다. 이때, 캐니스터(300a)는 하부에 설치한 돌출부(310a)와 트렁크(400a)에 설치한 스토퍼(450a)에 의해 하강운동이 제한되고, 이로써, 스러스터(200a)가 제1 위치에 정확히 배치된다. 그리고, 스러스터(200a)가 제1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트렁크(400a)에 설치한 락킹 핀(710a)을 캐니스터(300a)에 설치한 홈부(730a)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운항 시에 스러스터(200a)가 선체의 바닥면(110a) 하부에 배치되면 저항체로서 작용하므로, 스러스터(200a)를 선체(100a)의 내부로 인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스러스터(200a)를 선체(100a)의 내부에 인입하여 제2 위치(Transit mode)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압실린더(530a)의 실린더로드(531a)를 수축하여 캐니스터(300a) 및 스러스터(200a)를 공간부(410a)로 상승시킨다. 이때, 실린더로드(531a)의 수축길이의 두배가 캐니스터(300a) 및 스러스터(200a)가 공간부(410a)에서 상승하는 거리이다.
그리고, 제1 센싱부 및 제2 센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실린더로드(531a)의 길이변화 및 공간부(410a)에서 캐니스터(300a)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스러스터(200a)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스러스터(200a)가 제2 위치로 상승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는 실린더로드(531a)의 수축동작을 정지시키고, 스러스터(200a)가 제2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트렁크(400a)에 설치한 락킹 핀(710a)이 캐니스터(300a)에 설치한 홈부(730a)에 삽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터(200a)를 수리, 보수할 필요가 있어 스러스터(200a)를 선체(100a)의 내부에 인입하여 제3 위치(Maintenance mode)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압실린더(530a)의 실린더로드(531a)를 더욱 수축하여 캐니스터(300a) 및 스러스터(200a)를 공간부(410a)에서 상승시킨다. 그리고, 제1 센싱부 및 제2 센싱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실린더로드(531a)의 길이변화 및 공간부(410a)에서 캐니스터(300a)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스러스터(200a)의 위치를 파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실린더로드(531a)의 수축길이의 두배가 캐니스터(300a) 및 스러스터(200a)가 공간부(410a)에서 상승하는 거리이다. 따라서, 스러스터(200a)가 유지보수공간(430a)이 형성된 제3 위치로 상승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 제어부는 실린더로드(531a)의 수축동작을 정지시키고, 스러스터(200a)가 제3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트렁크(400a)에 설치된 락킹 핀(710a)이 캐니스터(300a)에 설치한 홈부(730a)에 삽입되도록 락킹 핀(710a)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가 승강장치(500a)의 작동 특히 유압실린더(530a)의 작동과 락킹 핀(710a)의 작동을 제어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압실린더(530a)의 작동과 락킹 핀(710a)의 작동이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510a)과, 고정도르래인 제1 풀리(550a)와, 움직도르래인 제2 풀리(570a)와, 유압실린더(530a)를 구비한 본 실시예의 승강장치(500a)를 이용하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길이가 짧은 유압실린더(530a)의 고정위치를 지속적으로 변경하면서 신축동작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선체(100a) 내부에 유압실린더(530a)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압실린더(530a)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갑판(130a)의 상부로 돌출되는 캐니스터(300a)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530a)를 구비한 승강장치(500a)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100a: 선체 110, 100a: 선체의 바닥면
130, 130a: 갑판 200, 200a: 스러스터
210, 210a: 프로펠러 230, 230a: 허브
250, 250a: 원형 노즐 보호판 270, 270a: 수직축
300, 300a: 캐니스터 310, 310a: 돌출부
400, 400a: 트렁크 410, 410a: 공간부
430, 430a: 유지보수공간 450, 450a: 스토퍼
500, 500a: 승강장치 510, 510a: 케이블
530: 케이블 권취유닛 531: 윈치
533: 드럼부 550, 550a: 제1 풀리
530a: 유압실린더 531a: 실린더로드
570a: 제2 풀리 600, 600a: 가이드부재
700, 700a: 락킹장치 710, 710a: 락킹 핀
730, 730a: 홈부
130, 130a: 갑판 200, 200a: 스러스터
210, 210a: 프로펠러 230, 230a: 허브
250, 250a: 원형 노즐 보호판 270, 270a: 수직축
300, 300a: 캐니스터 310, 310a: 돌출부
400, 400a: 트렁크 410, 410a: 공간부
430, 430a: 유지보수공간 450, 450a: 스토퍼
500, 500a: 승강장치 510, 510a: 케이블
530: 케이블 권취유닛 531: 윈치
533: 드럼부 550, 550a: 제1 풀리
530a: 유압실린더 531a: 실린더로드
570a: 제2 풀리 600, 600a: 가이드부재
700, 700a: 락킹장치 710, 710a: 락킹 핀
730, 730a: 홈부
Claims (15)
- 스러스터;
상기 스러스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를 구동시키는 캐니스터;
선체에 마련되며, 상기 스러스터 및 상기 캐니스터가 승강하는 공간부를 갖는 트렁크; 및
상기 캐니스터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과,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타단부를 권취하는 케이블 권취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를 상기 공간부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권취유닛은,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는 다수의 윈치; 및
상기 윈치와 상기 캐니스터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윈치로 안내하는 제1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는 고정도르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스러스터;
상기 스러스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러스터를 구동시키는 캐니스터;
선체에 마련되며, 상기 스러스터 및 상기 캐니스터가 승강하는 공간부를 갖는 트렁크; 및
상기 캐니스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선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양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당기고 푸는 동작을 수행하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를 상기 트렁크의 공간부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갑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1 풀리를 지나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선체 사이에서 지지하는 제2 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는 상기 제2 풀리에 결합되어 신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는 고정도르래이고, 상기 제2 풀리는 움직도르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서 상기 선체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트렁크의 내측벽 및 상기 캐니스터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승강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트렁크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외측벽을 접촉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이송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의 상기 공간부에서의 하강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캐니스터의 하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 하부의 상기 트렁크의 내측벽에는 상기 돌출부를 안착시키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선체의 바닥면 하측에 해당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선체의 바닥면과 상기 선체가 해수에 잠기는 흘수선 사이에 해당하는 제2 위치와, 상기 흘수선의 상측에 해당하는 제3 위치에 상기 스러스터를 고정시키는 락킹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트렁크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락킹 핀; 및
상기 캐니스터의 외측벽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락킹 핀이 삽입되는 다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변화를 감지하는 제1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캐니스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승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7188A KR20120119335A (ko) | 2011-04-21 | 2011-04-21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7188A KR20120119335A (ko) | 2011-04-21 | 2011-04-21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9335A true KR20120119335A (ko) | 2012-10-31 |
Family
ID=4728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7188A KR20120119335A (ko) | 2011-04-21 | 2011-04-21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9335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6174B1 (ko) * | 2012-02-28 | 2013-12-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분리 유동이 가능한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 |
KR20140073878A (ko) * | 2012-12-07 | 2014-06-17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스러스터 리프팅와이어 가이드박스 |
KR101497337B1 (ko) * | 2013-11-18 | 2015-03-0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스러스터 승강장치 |
KR101523911B1 (ko) * | 2013-07-26 | 2015-06-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
CN106005330A (zh) * | 2016-06-28 | 2016-10-12 | 张学衡 | 一种隐身导弹快艇 |
KR102211880B1 (ko) * | 2020-01-09 | 2021-02-03 | 케이오티 (주) | 트러스터 수중 설치장치 |
KR20220151247A (ko) * | 2021-05-06 | 2022-11-15 | 김희자 | 선박 수리를 위한 선박 이송 자동화시스템 |
CN115743488A (zh) * | 2022-11-28 | 2023-03-07 |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 一种波浪自适应船舶推进装置及使用方法 |
-
2011
- 2011-04-21 KR KR1020110037188A patent/KR201201193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6174B1 (ko) * | 2012-02-28 | 2013-12-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분리 유동이 가능한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 |
KR20140073878A (ko) * | 2012-12-07 | 2014-06-17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스러스터 리프팅와이어 가이드박스 |
KR101523911B1 (ko) * | 2013-07-26 | 2015-06-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
KR101497337B1 (ko) * | 2013-11-18 | 2015-03-0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스러스터 승강장치 |
CN106005330A (zh) * | 2016-06-28 | 2016-10-12 | 张学衡 | 一种隐身导弹快艇 |
KR102211880B1 (ko) * | 2020-01-09 | 2021-02-03 | 케이오티 (주) | 트러스터 수중 설치장치 |
KR20220151247A (ko) * | 2021-05-06 | 2022-11-15 | 김희자 | 선박 수리를 위한 선박 이송 자동화시스템 |
CN115743488A (zh) * | 2022-11-28 | 2023-03-07 |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 一种波浪自适应船舶推进装置及使用方法 |
CN115743488B (zh) * | 2022-11-28 | 2023-11-03 |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 一种波浪自适应船舶推进装置及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19335A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JP5192396B2 (ja) | 深海設置船 | |
KR101299868B1 (ko) | 2개의 데릭을 구비하는 드릴쉽 | |
KR101497397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KR101444146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KR101422177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KR101444150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EP3980325A1 (en) | Deployment of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 |
KR20130011108A (ko) | 시추설비 보관용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 |
EP3243734B1 (en) |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 |
KR102533392B1 (ko) | 충돌방지부를 구비한 수중무인 탐사기 진회수장치 | |
KR101487676B1 (ko) |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 |
KR100568613B1 (ko) |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장치 및 방법 | |
KR20130114867A (ko) | 시추선의 스러스터 유지보수방법 | |
KR101444149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KR101422178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KR101454638B1 (ko) |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 |
KR101444147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US10112689B2 (en) | Watercraft positioning system | |
KR101422176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KR20130104324A (ko) | 시추선의 스러스터 유지보수방법 | |
KR101444148B1 (ko) |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 |
KR20130065024A (ko) |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제작방법 | |
KR20180006110A (ko) | 문풀 댐핑장치 및 그 문풀 댐핑장치의 댐핑과 플립의 보관방법 | |
KR20160003472A (ko) | 드릴쉽의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스러스터 모터 유지보수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