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07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6076A KR20120116076A KR1020110033604A KR20110033604A KR20120116076A KR 20120116076 A KR20120116076 A KR 20120116076A KR 1020110033604 A KR1020110033604 A KR 1020110033604A KR 20110033604 A KR20110033604 A KR 20110033604A KR 20120116076 A KR20120116076 A KR 201201160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display
- coordinates
- reference position
- ch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크린 상에 결상된 광빔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광빔의 좌표 산출을 위한 기준위치를 포함하는 제1영상 및 광빔의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스크린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스크린 상에 표시되게 산출 좌표를 영상처리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크린 상에 광빔을 투사하는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스크린 상에 결상된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는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 또는 영상데이터를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하여 패널 또는 스크린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그 방식에 따라서 TV, 모니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등 다양하게 구현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소정의 궤적을 감지하여, 이 감지된 궤적에 기초하는 영상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전자칠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칠판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크린을 감압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여 스크린 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과,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에 의해 스크린 상에 결상된 광빔의 궤적을 카메라로 감지하는 방식 등이 있다.
후자와 같은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광빔의 궤적에 기초하는 영상을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기 설정된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궤적의 좌표를 산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준위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크린 상에 형성하는 소정의 영상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서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특성이 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기준위치 또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광빔의 궤적 좌표를 산출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광빔의 궤적 좌표가 정상적으로 산출되지 않으면 해당 궤적에 대응하는 영상 또한 정상적으로 표시되기 곤란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크린 상에 결상된 광빔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광빔의 좌표 산출을 위한 기준위치를 포함하는 제1영상 및 상기 광빔의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상이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되게 상기 산출된 좌표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상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이 점멸되게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점멸된 상기 일부 영역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상기 일부 영역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영상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의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위치로 설정되는 상기 제1영상의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제1영상의 네 꼭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벡터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기준위치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재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자이로스코프센서,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에 관한 설정값이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상기 제1영상의 상대 위치,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크기, 화면 비율, 해상도, 휘도, 색상,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는 프로젝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스크린 상에 결상된 광빔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광빔의 좌표 산출을 위한 기준위치를 포함하는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이 점멸되게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점멸된 상기 일부 영역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상기 일부 영역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제1영상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의 좌표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위치로 설정되는 상기 제1영상의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제1영상의 네 꼭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변화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벡터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위치벡터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변화된 기준위치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벡터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이로스코프센서,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위치벡터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에 관한 설정값이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상기 제1영상의 상대 위치,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크기, 화면 비율, 해상도, 휘도, 색상,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서 기준위치의 대응 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스크린에 대한 제1영상의 상대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서 기준위치의 대응 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스크린에 대한 제1영상의 상대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스크린(100)과, 광빔을 투사하여 스크린(100) 상에 광빔의 궤적을 결상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200)와, 스크린(100) 상에 결상된 광빔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P2)을 스크린(100) 상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300)는 프로젝션(projection) 방식으로 구현되어, 스크린(100)에 영상(P1)을 투사함으로써 대화면의 영상(P1)이 표시되게 한다.
스크린(100)은 벽면과 같이 실질적으로 직립한 설치면 상에 거치 등의 형태로 설치되며, 판면 상에 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P)이 표시된다. 스크린(100)은 디스플레이장치(30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P1, P2)이 표시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그 크기, 컬러 등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100)은 영상(P1)이 보다 선명하게 표시되고 광빔의 궤적이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백색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스크린(100)은 설치면에 대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설치면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솔리드(solid)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는 바, 그 재질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광빔을 생성하며, 생성된 광빔을 스크린(100) 상의 소정 방향을 향해 투사시킨다.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막대 형상을 가지며, 광빔의 생성 여부 및 투사방향 등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된다.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파장범위의 광빔을 생성한다.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스크린(100) 상에 결상된 광빔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광빔의 좌표에 대응하는 영상(P2)을 스크린 상에 투사한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200)로 스크린(100) 상에 광빔을 투사하면, 디스플레이장치(300)는 기 설정된 영상(P1)에 기초하여 광빔의 궤적의 좌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산출된 좌표를 따라서 드로잉(drawing)된 라인 궤적을 포함하는 영상(P2)을 스크린(100) 상에 투사한다. 이에 의하여, 스크린(100)에는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200)로 드로잉한 광빔의 궤적이 영상(P2)으로 표시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포인팅 디바이스(200)로부터 투사되어 스크린(100) 상에 결상되는 광빔을 감지하는 카메라(310)와, 기 설정된 제1영상(P1) 및 카메라(310)에 의해 감지되는 광빔의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P2)을 스크린(100)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부(320)와, 영상처리부(320)가 영상(P1, P2)을 표시함에 있어서 참조되는 다양한 설정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33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340)와,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350)와, 사용자입력부(340) 또는 감지부(350)로부터 발생하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반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영상(P1) 및 제2영상(P2)의 용어는 상호 구분을 위해 편의상 지칭한 것일 뿐으로서, 이러한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카메라(310)는 포인팅 디바이스(200)로부터 투사되는 광빔이 스크린(100) 상에 결상되면 스크린(100)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 및 감지하며, 제어부(360)에 의해 스크린(100) 상의 광빔의 궤적의 좌표가 산출되도록 해당 감지 결과를 제어부(36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310)는 광이 수신되는 렌즈 구성(미도시)과, 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을 감지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310)가 디스플레이장치(300)에 포함되는 구성인 것으로 표현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와 통신 가능한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3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영상데이터를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하여 스크린(100) 상에 제1영상(P1)으로 표시한다. 또한, 영상처리부(320)는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310)에 감지되는 광의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P2)을 처리하여 스크린(100)에 표시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32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션(projection) 방식으로 구현된다. 영상처리부(320)는 광을 생성 및 조사하는 조명광학부(321)와, 조명광학부(321)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기초하여 판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소자(322)와, 디스플레이소자(322)에 표시되는 영상을 스크린(100)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광학부(323)를 포함한다.
조명광학부(321)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미도시) 및 광원(미도시)으로부터의 광을 평행광화, 균일화, 편광변환, 집속 등 다양하게 광특성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소자(322)에 조사하는 광학렌즈(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광학렌즈(미도시)는 수차 보정을 위해 복수 개가 광경로를 따라서 배치된다.
디스플레이소자(322)는 조명광학부(32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켜 영상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소자(322)는 입사되는 광을 각 픽셀 단위로 선택적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영상을 형성하는 반사형 표시소자와, 입사광을 각 픽셀 단위로 선택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영상을 형성하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형 표시소자로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소자, 반사형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on silicon, LCOS) 등이 있다.
투사광학부(323)는 디스플레이소자(322)에 형성된 영상을, 광경로를 따라서 배치된 다양한 렌즈 구성(미도시)에 의해 확대시켜 스크린(100)에 투사함으로써, 디스플레이소자(322)에 형성된 영상이 스크린(100) 상에 확대 표시되게 한다.
저장부(330)는 플래시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330)는 영상처리부(320)가 표시하는 영상(P1, P2)의 표시 특성에 관한 다양한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설정정보는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스크린(100) 상에서 제1영상(P1)의 상대 위치, 제1영상(P1)의 표시 크기, 화면 비율, 해상도, 휘도, 색상, 콘트라스트 등이 있다. 저장부(330)는 영상처리부(320)가 억세스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영상처리부(320)가 저장부(33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P1, P2)이 표시되게 처리한다.
사용자입력부(340)는 디스플레이장치(300) 외측에 설치된 입력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장치(3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 등으로 구현된다. 사용자입력부(3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커맨드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부(340)는 저장부(330)의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으며, 업데이트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P1, P2)의 표시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감지부(35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위치 변화 여부 및 위치 변화량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어부(36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350)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Geomagnetic)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제2영상(P2)을 표시하기 위해, 카메라(310)로부터 전달되는 광빔의 궤적의 좌표를 산출한다. 좌표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좌표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 필요한 바, 제어부(360)는 영상처리부(320)에 의해 표시되는 제1영상(P1)에서 기 설정된 지점을 기준위치로 설정한다. 이러한 기준위치는 제1영상(P1) 내에서 다양한 위치 또는 영역이 지정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상(P1)의 네 꼭지점(R0, R1, R2, R3) 또는 이들 꼭지점(R0, R1, R2, R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준위치로 지정될 수 있다.
도 3은 스크린(100) 상에 표시되는 제1영상에서 기준위치의 대응 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상(P1) 내의 소정 영역(R0, R1, R2, R3)이 기준위치에 대응하게 지정된 상태에서, 제어부(360)는 제1영상(P1)의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카메라(310)에 의해 감지된 광빔의 궤적의 좌표를 산출한다. 제어부(360)는 좌표가 산출되면, 해당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P2)을 스크린(100)에 투사하게 영상처리부(320)를 제어하며, 이로써 스크린(100) 상에는 포인팅 디바이스(200)에 의한 광빔에 대응하는 제2영상(P2)이 표시된다.
그런데, 기준위치를 포함하는 제1영상(P1)은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사용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그 표시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300)가 초기위치로부터 이동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위치 이동에 따라서 스크린(100) 상의 제1영상(P1)의 상대적 위치, 크기, 어스펙트(aspect) 비 등이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영상(P1)의 변화로 인해,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 또한 변화한다. 도 4는 스크린(100)에 대한 제1영상(P1)의 상대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상(P1)의 기준위치 대응영역(R0, R1, R2, R3)의 초기 좌표를 (u0, v0), (u1, v1), (u2, v2), (u3, v3)라고 한다.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위치가 이동하면, 이에 대응하여 제1영상(P1)의 기준위치 대응영역(R0, R1, R2, R3)의 좌표가 (x0, y0), (x1, y1), (x2, y2), (x3, y3)로 각각 변경된다.
이와 같이 기준위치가 변화한 상태에서 광빔의 궤적의 좌표를 산출하는 경우, 해당 좌표를 정상적으로 산출하는 것은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P2)이 스크린(100) 상에 표시되게 상기와 같이 산출된 좌표를 영상처리부(320)에 전달한다. 이로써, 재설정된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좌표가 정상적으로 산출되고, 결과적으로 광빔의 궤적이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60)는 감지부(350)에 의해 감지된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위치 변화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한 기 설정값은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장치 특성 및 사용 환경에 따라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값으로서, 구체적인 수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360)는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처리부(320)를 제어하여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제1영상(P1)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 예를 들면 도 3의 R0, R1, R2, R3가 소정 회수 점멸시킨다. 그리고, 카메라(310)는 이와 같이 일부 영역(R0, R1, R2, R3)이 점멸되는 제1영상(P1)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1영상(P1)의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영역(R0, R1, R2, R3)만을 점멸시킴으로써, 기준위치의 재설정 시 사용자가 제1영상(P1)을 시청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영상(P1)에서 기준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구별하여 찾아낼 수 있다.
제어부(360)는 카메라(310)에 의해 감지된 제1영상(P1)에서 상기와 같이 점멸된 영역(R0, R1, R2, R3)을 판독하고, 이 판독된 영역(R0, R1, R2, R3)의 좌표에 기초하여 기준위치를 재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카메라(310)에 의해 스크린(100) 상에 광빔의 궤적이 감지되면, 상기와 같이 재설정한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광빔 궤적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를 영상처리부(320)에 전달한다. 영상처리부(320)는 전달받은 좌표에 기초하여 제2영상(P2)을 스크린(100) 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위치를 포함하는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준위치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광빔의 궤적에 대응하는 제2영상(P2)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감지부(35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위치가 변화한 것을 감지하면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영상의 표시 특성 변화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저장부(330)에 저장된 영상(P1, P2)의 표시 특성에 관한 설정값이 변경된 경우에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저장부(330)에 저장된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 예를 들면 표시 크기, 화면 비율, 해상도, 휘도, 색상, 콘트라스트 등에 관한 설정값이 사용자입력부(340) 또는 기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제어부(360)는 이러한 모니터링 과정에서 해당 설정값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여 기준위치의 재설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340)를 통해 제1영상(P1)의 휘도값을 변경시키는 경우, 제어부(360)는 사용자입력부(340)로부터의 변경 커맨드에 대응하여 저장부(330)의 설정값을 업데이트하고, 또한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여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위치의 재설정 방법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60)는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이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360)는 제1영상(P1)에서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소정 회수 점멸시킨다(S110). 제어부(360)는 카메라(310)에 의해 감지된 점멸 영역의 좌표에 기초하여 기준위치를 재설정한다(S120).
반면, S100 단계에서 제1영상(P1)의 표시 특성이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360)는 기준위치를 재설정하지 않는다.
카메라(310)에 의해 스크린(100) 상에서 광빔이 감지되면(S130), 제어부(360)는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광빔의 좌표를 산출한다(S140). 그리고, 제어부(360)는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P2)이 표시되게 영상처리부(32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요인에 의해 기준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기준위치의 재설정이 가능한다. 이로써, 기준위치의 변화와 무관하게 포인팅 디바이스(200)에 의한 광빔의 궤적에 대응하는 영상이 스크린(100) 상에 정상적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감지부(35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면, 제어부(360)가 기준위치를 제1영상에서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점멸시키고, 점멸 영역의 좌표에 기초하여 기준위치를 재설정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360)는 감지부(35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의 위치 변화량에 기초하여 기준위치의 변화량을 산출함으로써 기준위치를 판단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감지부(350)는 자이로스코프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등으로 구현되므로, 만일 디스플레이장치(1)가 위치이동한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의 초기위치 및 이동위치 사이의 위치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에서, 좌측은 초기위치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해 표시되는 제1영상(P1)을 나타낸 것이며, 우측은 이동위치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해 표시되는 제1영상(P1)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스크린(100) 상에 표시되는 제1영상(P1)의 상대 좌표 또한 변화한다. 예를 들면, 초기위치에서의 기준위치 좌표인 (u0, v0), (u1, v1), (u2, v2), (u3, v3)는, 이동위치에서 각각 (x0, y0), (x1, y1), (x2, y2), (x3, y3)으로 변화한다.
어느 하나의 기준위치 좌표인 (u0, v0)은 디스플레이장치(1)에 이미 지정되어 있는 값이며, 감지부(350)에 의해 산출된 위치 변화량은 변화 방향을 포함하는 벡터값이다. 그러므로, 제어부(360)는 (u0, v0)에 상기와 같은 위치 변화량을 적용하는 시뮬레이팅을 통해 (x0, y0)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팅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기위치 좌표 (u0, v0)에서 변화된 기준위치의 좌표인 (x0, y0)는,
x0=(a11*u0+a21*v0+a31)/(a13*u0+a23*v0+a33)
y0=(a12*u0+a22*v0+a32)/(a13*u0+a23*v0+a33)
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a11, a12, a13, a21, a22, a23, a31, a32, a33의 값들은 3x3 매트릭스인 {a11 a12 a13, a21 a22 a23, a31 a32 a33}를 의미하며, 이 매트릭스 값은 감지부(350)에 의한 위치 변화량으로부터 기 설정된 산출방법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감지부(350)의 위치 변화량으로부터 상기한 3x3 매트릭스를 산출하는 방법은 장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한 사항인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360)는 변화된 기준위치의 좌표 (x0, y0), (x1, y1), (x2, y2), (x3, y3)가 산출되면, 산출 좌표에 따라서 기준위치를 재설정한다. 재설정된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는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감지부(350)에 의해 감지된 디스플레이장치(1)의 위치벡터 변화량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기준위치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여 기준위치를 재설정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 스크린
200 : 포인팅 디바이스
300 : 디스플레이장치
310 : 카메라
320 : 영상처리부
330 : 저장부
340 : 사용자입력부
350 : 감지부
360 : 제어부
100 : 스크린
200 : 포인팅 디바이스
300 : 디스플레이장치
310 : 카메라
320 : 영상처리부
330 : 저장부
340 : 사용자입력부
350 : 감지부
360 : 제어부
Claims (19)
-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스크린 상에 결상된 광빔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광빔의 좌표 산출을 위한 기준위치를 포함하는 제1영상 및 상기 광빔의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스크린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상이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되게 상기 산출된 좌표를 상기 영상처리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상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이 점멸되게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점멸된 상기 일부 영역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상기 일부 영역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영상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의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로 설정되는 상기 제1영상의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제1영상의 네 꼭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벡터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기준위치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자이로스코프센서,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에 관한 설정값이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상기 제1영상의 상대 위치,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크기, 화면 비율, 해상도, 휘도, 색상,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프로젝션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상에 결상된 광빔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광빔의 좌표 산출을 위한 기준위치를 포함하는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 상기 기준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광빔의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이 점멸되게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에서 상기 점멸된 상기 일부 영역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상기 일부 영역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제1영상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의 좌표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로 설정되는 상기 제1영상의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제1영상의 네 꼭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변화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벡터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위치벡터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변화된 기준위치의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위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벡터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이로스코프센서, 가속도센서 및 지자기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위치벡터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에 관한 설정값이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특성은, 상기 스크린 상에서의 상기 제1영상의 상대 위치, 상기 제1영상의 표시 크기, 화면 비율, 해상도, 휘도, 색상,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604A KR20120116076A (ko) | 2011-04-12 | 2011-04-12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US13/369,789 US8823646B2 (en) | 2011-04-12 | 2012-02-09 |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calculating coordinates of a light beam |
EP12156551.9A EP2512140A3 (en) | 2011-04-12 | 2012-02-22 |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calculating coordinates of a light bea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604A KR20120116076A (ko) | 2011-04-12 | 2011-04-12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6076A true KR20120116076A (ko) | 2012-10-22 |
Family
ID=4565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3604A KR20120116076A (ko) | 2011-04-12 | 2011-04-12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823646B2 (ko) |
EP (1) | EP2512140A3 (ko) |
KR (1) | KR2012011607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58644A (ja) * | 2014-02-25 | 2015-09-03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16173779A (ja) * | 2015-03-18 | 2016-09-29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US10268284B2 (en) * | 2015-07-29 | 2019-04-23 | Maxell, Ltd. | Image display system |
CN107682595B (zh) * | 2017-08-14 | 2019-12-13 |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 一种交互投影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27885B1 (en) * | 1999-09-07 | 2004-04-27 | Nikon Corporation |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position or attitude detector |
US20010010514A1 (en) * | 1999-09-07 | 2001-08-02 | Yukinobu Ishino | Position detector and attitude detector |
US6618076B1 (en) * | 1999-12-23 | 2003-09-09 | Justsystem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projector-camera system |
JP4018326B2 (ja) * | 2000-08-07 | 2007-12-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座標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
US7830362B2 (en) * | 2001-07-05 | 2010-11-09 | Michael Cain Finley | Laser and digital camera computer pointer device system |
JP4272904B2 (ja) * | 2003-03-06 | 2009-06-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
US7683881B2 (en) * | 2004-05-24 | 2010-03-23 | Keytec, Inc. | Visual input pointing device for interactive display system |
JP5015270B2 (ja) * | 2007-02-15 | 2012-08-29 |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点滅する電磁放射線を用いた入力 |
US8297757B2 (en) * | 2008-10-29 | 2012-10-30 | Seiko Epson Corporation | Projector and projector control method |
US8847879B2 (en) * | 2010-04-08 | 2014-09-30 | Disney Enterprises, Inc. | Motionbeam interaction techniques for handheld projectors |
-
2011
- 2011-04-12 KR KR1020110033604A patent/KR201201160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
- 2012-02-09 US US13/369,789 patent/US8823646B2/en active Active
- 2012-02-22 EP EP12156551.9A patent/EP2512140A3/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12140A2 (en) | 2012-10-17 |
US8823646B2 (en) | 2014-09-02 |
US20120262373A1 (en) | 2012-10-18 |
EP2512140A3 (en) | 2016-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44076B2 (ja) |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 |
CN100505851C (zh) | 图像处理系统、投影机、便携式装置和图像处理方法 | |
KR100571175B1 (ko) | 화상 처리 시스템, 프로젝터, 정보 기억 매체 및 화상처리 방법 | |
CN108989777B (zh) | 投影设备、投影设备的控制方法和非暂时性存储介质 | |
US11131911B2 (en) |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 |
US20110181636A1 (en) | Projection apparatus and image blur preventive control method for projection apparatus | |
CN103019638A (zh) | 显示装置、投影仪以及显示方法 | |
JP2010122273A (ja) | 投写光学系のズーム比測定方法、そのズーム比測定方法を用いた投写画像の補正方法及びその補正方法を実行するプロジェクタ | |
JP2008268579A (ja) | 背面投射型表示装置 | |
KR20120116076A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6749402B2 (ja) | 投射型映像表示装置および投射映像の調整方法 | |
JP6180117B2 (ja) | 投写型表示装置 | |
JP2020039082A (ja) |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 |
US2006028483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laser spot | |
JP4301028B2 (ja) | 投影装置、角度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130021642A (ko) |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포커스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 |
JP2014187515A (ja) |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 |
JP5664725B2 (ja) | プロジェクター、画像投写システムおよび画像投写方法 | |
JP2021105639A (ja) | 投写システムの制御方法、投写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JP2005150818A (ja) | 歪補正手段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 |
JP2020191045A (ja) | 指示体、表示システムおよび動作方法 | |
JP2015053734A (ja) | プロジェクター、画像投写システムおよび画像投写方法 | |
JP7302640B2 (ja) | 表示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表示装置 | |
JP2011166336A (ja) | 監視カメラ | |
JP2005318355A (ja) | プロジェクタの台形歪み補正装置と該台形歪み補正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