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116074A -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 Google Patents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074A
KR20120116074A KR1020110033602A KR20110033602A KR20120116074A KR 20120116074 A KR20120116074 A KR 20120116074A KR 1020110033602 A KR1020110033602 A KR 1020110033602A KR 20110033602 A KR20110033602 A KR 20110033602A KR 20120116074 A KR20120116074 A KR 20120116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assembly
rubber
mass damper
strut
reboun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김세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6074A/ko
Priority to JP2011207067A priority patent/JP5864980B2/ja
Priority to US13/302,784 priority patent/US8678361B2/en
Priority to CN201110397048.7A priority patent/CN102729753B/zh
Priority to DE102011056078.5A priority patent/DE102011056078B4/de
Publication of KR2012011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60G2204/4502Stops limiting travel using resilient buf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에 관한 것으로, 리바운드스톱퍼(30)가 댐퍼역할을 수행하는 매스댐퍼(35)를 구비한 구성으로, 상기 매스댐퍼(35)의 댐퍼 작용에 의해 차체(19)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REBOUND STOPPER OF STRUT ASSEMBLY FOR SUSPENSION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를 통해 차체로 입력되는 진동과 소음을 줄여서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노면으로부터의 진동과 충격을 완화해서 승차감을 좋게 하는 차량의 현가장치 중 스트럿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의 너클과 차체를 연결하는 스트럿(1)과, 상기 스트럿(1)에 결합된 하단스프링시트(3)와 상단스프링시트(5)에 양단이 지지되면서 상기 스트럿(1)을 감싸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스프링시트(3)와 상단스프링시트(5) 사이의 스트럿(1)은 더스트커버(9)로 감싸여져 있고, 상기 더스트커버(9) 내측에는 상기 스트럿(1)에 관통되는 형태로 범프스토퍼(11)가 결합되며, 상기 상단스프링시트(5)의 윗면에는 베어링(13)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13)의 상단에는 인슐레이터(1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5)는 하부너트(17)에 의해 상기 스트럿(1)에 결합되고, 상기 인슐레이터(15)가 결합된 상기 스트럿(1)의 상단은 차체(19)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차체(19)를 관통한 상기 스트럿(1)의 상단에는 상부너트(21)를 매개로 리바운드스토퍼(30)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럿(1)의 상단이 차체(19)를 관통해서 차체(19)와 고정되도록 설치되면 상기 인슐레이터(15)는 상기 차체(19)의 실외측 바깥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리바운드스토퍼(30)는 상기 스트럿(1)에 끼워져서 상기 하부너트(17)와 상부너트(21) 사이에 설치되는 스틸플레이트(31)와, 상기 스틸플레이트(31)의 바깥 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끼워져서 일체로 결합되는 러버플레이트(33)로 구성되는 바,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 시 상기 스틸플레이트(31)는 강성유지 역할을 하고, 상기 러버플레이트(33)는 차체(19)와 스틸플레이트(31)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면서 쿠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트럿어셈블리는 타이어를 통해 입력되는 하중을 스트럿(1)과 코일스프링(7)을 이용해 완화시키는 것으로, 비교적 작은 하중에 대해서는 진동과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게 됨으로써 차체(19)쪽으로는 거의 전달이 되지 않지만, 큰 하중이 입력될 때에는 흡수되지 못한 나머지의 충격과 진동이 그대로 차체(19)쪽으로 전달됨에 따라 진동과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리바운드스토퍼(30)가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댐퍼(damper)의 역할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상기와 같이 차체(19)쪽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보다 더 완화시킬 수 있지만, 종래의 리바운드스토퍼(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강성유지 역할을 하는 스틸플레이트(31) 및 쿠션 역할을 하는 러버플레이트(33)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댐퍼 기능을 구비한 리바운드스톱퍼를 제공하여, 타이어를 통해 입력된 진동과 충격을 한층 더 완화시켜서 차체쪽으로의 전달을 최소화함으로써 차체쪽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NVH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는, 차체를 관통한 스트럿의 상단에 중앙부가 관통된 형태로 상기 스트럿에 결합된 스틸플레이트와; 상기 스틸플레이트의 바깥 둘레면에 끼워져 결합된 러버플레이트와; 상기 러버플레이트에 결합되어서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 동작시 상기 러버플레이트에 대한 탄력적인 움직임을 통해 댐퍼역할을 수행하는 매스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스댐퍼는 상기 러버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러버플레이트의 윗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러버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매스댐퍼에는 상기 러버돌기가 각각 관통되어서 끼워지는 다수개의 돌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 동작시에 상기 매스댐퍼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러버돌기가 스프링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매스댐퍼가 상기 러버돌기에 끼워져 결합될 때에 상기 러버플레이트의 윗면과 상기 매스댐퍼의 밑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스댐퍼는 소정 두께를 지닌 원형 고리모양의 플레이트로서 스틸(steel)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러버돌기는 상기 러버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러버플레이트는 상기 스틸플레이트의 바깥 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스틸플레이트의 바깥 테두리부의 윗면과 아래면을 동시에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는, 주행 중 타이어를 통해 입력된 하중을 매스댐퍼가 한층 더 완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차체쪽으로 하중의 전달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차체의 진동과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차량의 NVH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리바운드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스트럿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리바운드스토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바운드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스트럿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바운드스토퍼의 사시도,
도 6과 도 7은 차체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의 크기를 종래 구조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스트럿조립체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의 너클과 차체를 연결하는 스트럿(1)과, 상기 스트럿(1)에 결합된 하단스프링시트(3)와 상단스프링시트(5)에 양단이 지지되면서 상기 스트럿(1)을 감싸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단스프링시트(3)와 상단스프링시트(5) 사이의 스트럿(1)은 더스트커버(9)로 감싸여져 있고, 상기 더스트커버(9) 내측에는 상기 스트럿(1)에 관통되는 형태로 범프스토퍼(11)가 결합되며, 상기 상단스프링시트(5)의 윗면에는 베어링(13)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13)의 상단에는 인슐레이터(1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5)는 하부너트(17)에 의해 상기 스트럿(1)에 결합되고, 상기 인슐레이터(15)가 결합된 상기 스트럿(1)의 상단은 차체(19)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차체(19)를 관통한 상기 스트럿(1)의 상단에는 상부너트(21)를 매개로 리바운드스토퍼(30)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럿(1)의 상단이 차체(19)를 관통해서 차체(19)와 고정되도록 설치되면 상기 인슐레이터(15)는 상기 차체(19)의 실외측 바깥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구조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바운드스토퍼(30)는 상기 스트럿(1)에 끼워져서 상기 하부너트(17)와 상부너트(21) 사이에 설치되는 스틸플레이트(31)와, 상기 스틸플레이트(31)의 바깥 둘레면에 끼워져서 일체로 결합되는 러버플레이트(33)와, 상기 러버플레이트(33)에 결합되어서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 동작시 상기 러버플레이트(33)에 대한 탄력적인 움직임을 통해 댐퍼역할을 수행하는 매스댐퍼(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스트럿조립체가 리바운드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스틸플레이트(31)는 강성유지 역할을 하고, 상기 러버플레이트(33)는 차체(19)와 스틸플레이트(31)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쿠션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매스댐퍼(35)는 타이어로부터 입력된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매스댐퍼(35)는 상기 러버플레이트(3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매스댐퍼(35)가 상기 러버플레이트(33)에 보다 안적적인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보다 원활한 댐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러버플레이트(33)의 윗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러버돌기(3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매스댐퍼(35)에는 상기 러버돌기(33a)가 각각 관통되어서 끼워지는 다수개의 돌기구멍(35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매스댐퍼(35)는 상기 러버플레이트(33)의 위쪽에서 상기 러버돌기(33a)에 끼워져 결합된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매스댐퍼(35)가 상기 러버돌기(33a)에 끼워져서 결합될 때에 상기 러버플레이트(33)의 윗면과 상기 매스댐퍼(35)의 밑면은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되는 바, 이는 스트럿조립체가 리바운드 동작을 할 때에 상기 매스댐퍼(35)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러버돌기(33a)가 스프링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와 같이 러버돌기(33a)가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매스댐퍼(35)는 보다 원활한 댐퍼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타이어로부터 입력된 진동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매스댐퍼(35)는 소정 두께를 지닌 원형 고리모양의 플레이트로서 스틸(steel)로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스댐퍼(35)는 소정 두께를 지닌 원형 고리모양의 플레이트로서 스틸(steel)로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매스댐퍼(35)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재질은 소정의 무게를 지닌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러버돌기(33a)는 상기 러버플레이트(33)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구조가 바람직한 바, 이는 상기 매스댐퍼(35)가 전체의 러버돌기(33a)에 균일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상기 매스댐퍼(35)의 원활한 댐퍼 역할 및 상기 러버돌기(33a)의 원활한 스프링 역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러버플레이트(33)는 상기 스틸플레이트(31)의 바깥 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스틸플레이트(31)의 바깥 테두리부의 윗면과 아래면을 동시에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결합된 구조인 바, 이는 상기 러버플레이트(33)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스틸플레이트(31)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를 통해 하중이 입력될 때 비교적 작은 하중이 입력되면 스트럿(1)과 코일스프링(7)의 완충작용으로 진동과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켜서 차체(19)쪽으로의 전달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비교적 큰 하중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스트럿(1)과 코일스프링(7)이 1차적으로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고, 매스댐퍼(35)가 2차적으로 완화시켜서 차체(19)쪽으로의 전달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즉, 스트럿조립체가 리바운드 동작을 할 때에 매스댐퍼(35)가 댐퍼의 역할을 하면서 입력되는 하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인슐레이터(15)를 통해 차체(19)쪽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차체(19)의 진동과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차량의 NVH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교적 작은 하중이 입력될 때에도 매스댐퍼(35)가 댐퍼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에는 타이어를 통해 입력된 하중에 의해 차체(19)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 선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타이어의 입력하중에 의해 진동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영역대는 230Hz 영역대(A1)로, 상기 230Hz 영역대(A1)의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종래의 구조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가 약 2dB?3dB 정도 크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타이어를 통해 입력된 하중에 의해 차체(19)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 선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타이어의 입력하중에 의해 소음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영역대는 220Hz?240Hz 영역대(A2)로, 상기 220Hz?240Hz 영역대(A2)의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종래의 구조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가 약 2dB?3dB 정도 크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1 - 스트럿 19 - 차체
30 - 리바운드스토퍼 31 - 스틸플레이트
33 - 러버플레이트 33a - 러버돌기
35 - 매스댐퍼 35a - 돌기구멍

Claims (8)

  1. 차체(19)를 관통한 스트럿(1)의 상단에 중앙부가 관통된 형태로 상기 스트럿(1)에 결합된 스틸플레이트(31)와;
    상기 스틸플레이트(31)의 바깥 둘레면에 끼워져 결합된 러버플레이트(33)와;
    상기 러버플레이트(33)에 결합되어서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 동작시 상기 러버플레이트(33)에 대한 탄력적인 움직임을 통해 댐퍼역할을 수행하는 매스댐퍼(35)
    를 포함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스댐퍼(35)는 상기 러버플레이트(3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버플레이트(33)의 윗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러버돌기(3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매스댐퍼(35)에는 상기 러버돌기(33a)가 각각 관통되어서 끼워지는 다수개의 돌기구멍(35a)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 동작시에 상기 매스댐퍼(35)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러버돌기(33a)가 스프링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매스댐퍼(35)가 상기 러버돌기(33a)에 끼워져 결합될 때에 상기 러버플레이트(33)의 윗면과 상기 매스댐퍼(35)의 밑면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스댐퍼(35)는 소정 두께를 지닌 원형 고리모양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러버돌기(33a)는 상기 러버플레이트(33)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스댐퍼(35)는 스틸(steel)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버플레이트(33)는 상기 스틸플레이트(31)의 바깥 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끼워져 결합되면서 상기 스틸플레이트(31)의 바깥 테두리부의 윗면과 아래면을 동시에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KR1020110033602A 2011-04-12 2011-04-12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KR20120116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602A KR20120116074A (ko) 2011-04-12 2011-04-12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JP2011207067A JP5864980B2 (ja) 2011-04-12 2011-09-22 車両懸架装置用ストラット組立体のリバウンドストッパー
US13/302,784 US8678361B2 (en) 2011-04-12 2011-11-22 Rebound stopper of strut assembly for suspension in vehicle
CN201110397048.7A CN102729753B (zh) 2011-04-12 2011-12-02 用于车辆中的悬架的支柱组件的回弹止挡件
DE102011056078.5A DE102011056078B4 (de) 2011-04-12 2011-12-06 Rückfederungsanschlag einer Federbeinanordnung einer Radaufhängung eines Fahrzeu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602A KR20120116074A (ko) 2011-04-12 2011-04-12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74A true KR20120116074A (ko) 2012-10-22

Family

ID=4693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602A KR20120116074A (ko) 2011-04-12 2011-04-12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78361B2 (ko)
JP (1) JP5864980B2 (ko)
KR (1) KR20120116074A (ko)
CN (1) CN102729753B (ko)
DE (1) DE102011056078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246A (ko) 2020-12-07 202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용 경사형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2414245B1 (ko) * 2021-06-29 2022-06-28 평화산업주식회사 다이나믹 리바운드 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049B1 (ko) 2012-12-31 2019-08-06 바스프 에스이 자운스 범퍼 조립체
KR101551061B1 (ko) * 2014-02-17 201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스트 커버 일체형 범퍼스토퍼
CN104494628A (zh) * 2014-12-03 2015-04-08 青岛澳泰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高速列车、地铁等轨道交通车辆用间壁减振器
DE102015218643B4 (de) 2015-09-28 2023-03-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Abstützung einer Kolbenstange eines Schwingungsdämpfers gegen einen Fahrzeugaufbau
CN106627637B (zh) * 2015-11-04 2018-11-02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多次变刚度止挡的设计方法及产品
US10363789B2 (en) * 2016-07-07 2019-07-30 The Pullman Company Top mount assembly with bushing having integral anti-vibration feature
JP6784554B2 (ja) * 2016-09-23 2020-11-11 株式会社千代田製作所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機構
CN108528356B (zh) * 2017-03-01 2021-11-30 株式会社万都 一种减振支柱用端帽及车辆减振支柱
DE102019110231A1 (de) * 2019-04-18 2020-10-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gereinheit für ein Federbein eines Kraftfahrzeugs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e Lagereinheit an einem Karosserie-Bauteil eines Kraftfahrzeugs
DE102019208307A1 (de) * 2019-06-06 2020-12-10 Aktiebolaget Skf Aufhängungsaxiallagervorrichtung und ein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ausgerüstetes Federbein
US11623490B2 (en) 2020-06-03 2023-04-11 Nissan North America, Inc. Vibration attenuation assembly
KR20230026855A (ko) * 2021-08-18 2023-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럿 인슐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241U (ko) * 1985-08-02 1987-02-19
JPS62100206U (ko) * 1985-12-16 1987-06-26
JPS63116915A (ja) * 1986-11-04 1988-05-2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H0268212A (ja) * 1988-09-03 1990-03-07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4129797C2 (de) * 1991-09-09 1996-12-19 Porsche Ag Schwingungstilger
US5788262A (en) * 1995-12-19 1998-08-04 Chrysler Corporation Rear suspension strut upper mount
JPH11230251A (ja) * 1998-02-18 1999-08-27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の制振装置
JP2000120769A (ja) * 1998-10-07 2000-04-25 Fuji Heavy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SE524074C2 (sv) * 2000-06-02 2004-06-22 Forsheda Ab Anordning för dämpning av vibrationer hos en vibrationsyta och metoder för montering av en sådan anordning
JP2003072338A (ja) * 2001-09-04 2003-03-12 Bridgestone Corp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
JP2003106366A (ja) * 2001-09-28 2003-04-09 Toki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102004021497A1 (de) * 2004-04-30 2005-12-01 Zf Friedrichshafen Ag Federbeinstützlager
JP4421500B2 (ja) * 2005-03-23 2010-02-24 倉敷化工株式会社 防振装置
JP2009243503A (ja) * 2008-03-28 2009-10-22 Tokai Rubber Ind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
FR2934656B1 (fr) * 2008-08-01 2013-05-17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CN201777093U (zh) * 2010-08-19 2011-03-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减振器支柱总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246A (ko) 2020-12-07 202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용 경사형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102414245B1 (ko) * 2021-06-29 2022-06-28 평화산업주식회사 다이나믹 리바운드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56078B4 (de) 2020-08-20
JP5864980B2 (ja) 2016-02-17
US8678361B2 (en) 2014-03-25
US20120261868A1 (en) 2012-10-18
JP2012220024A (ja) 2012-11-12
DE102011056078A1 (de) 2012-10-18
CN102729753A (zh) 2012-10-17
CN102729753B (zh)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6074A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WO2015012072A1 (ja) 防振装置
KR20130135492A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US8398060B2 (en) Vibration absorber for a vehicle suspension spring
KR20150118668A (ko) 트레일링암 부시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KR20130005910A (ko) 차량용 횡치 리프 서스펜션 장치
KR102227851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101544751B1 (ko) 전자동 세탁기용 진동흡수댐퍼
JP5761513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構造
KR20230102246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KR102658038B1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KR20120088160A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조립체
RU123731U1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стойки передней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KR101357655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2487823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JP4867960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2699911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JP7471439B2 (ja) ストラット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
CN204109805U (zh) 手动变速器安装架
CN204253700U (zh) 一种带防护结构的汽车悬架螺旋弹簧隔振垫
KR20080049524A (ko) 트랙 로더용 완충장치
CN101875386B (zh) 摩托车避震器结构
JP6937213B2 (ja) アクティブダンパ用アッパーマウント
KR102452687B1 (ko)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9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