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721A - Concentic plug - Google Patents
Concentic plu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6721A KR20120116721A KR1020110034342A KR20110034342A KR20120116721A KR 20120116721 A KR20120116721 A KR 20120116721A KR 1020110034342 A KR1020110034342 A KR 1020110034342A KR 20110034342 A KR20110034342 A KR 20110034342A KR 20120116721 A KR20120116721 A KR 201201167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plug
- outlet
- disposed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 등에 시공되는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ried type outlet installed in a wall surface of a building.
일반적으로 콘센트라 함은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되게 하는 기구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크게 매립형과 노출형의 두가지 종류로 분류된다.In general, an outlet refers to a device that connects a wire and inserts a plug to connect a cord used indoors in an indoor wiring of electricity, and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a buried type and an exposed type.
이 중 매립형 콘센트는 실내 벽면에 부착된 형태로써, 전기기기 사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항상 전류가 흐르는 구성이므로, 전기기기의 사용을 완료한 후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을 경우, 삽입된 플러그에 의한 전원 누출현상으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등 문제점이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콘센트가 개발되어 있다.Among them, the buried type outlet is attached to the interior wall, and the current flows in order to supply the power necessary for using the electric equipment. Therefore, when the plug is not removed from the outlet after the use of the electric equipment is completed, the inserted plug There is a problem that energy is wasted due to power leakage due to the power leakage, and a standby power cut-off outlet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is problem.
하지만 종래의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콘센트는 매립형 콘센트에 대한 정해진 규격 때문에 후면, 측면 등의 크기에 제한을 받았으므로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는 수구가 위치해야 할 부분에 회로기판 등의 구성부품을 위치시켜야만 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andby power cut-off outlet has been limited in size of the rear, side, etc. because of a predetermined standard for a buried type outlet, so that components such as a circuit board had to be placed in the part where the plug for the power plug is to be placed.
이에 따라 2구 크기의 콘센트에 1구의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콘센트만을 배치하여 제작하였고 이러한 개념에 근거하여 수구의 수를 확장한다고 하여도 3구 또는 5구 등의 홀수의 수구를 가지는 콘센트로 구성할 수밖에 없었다.As a result, only one outlet for standby power cut-off was placed in a two-hole outlet, and based on this concept, even if the number of outlets was expanded, the outlet having an odd number of outlets, such as three or five outlets, had to be configured. There was no.
이는 정해진 규격을 가지는 매립형 콘센트의 공간 활용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전기기기에는 사용 후 꺼야 하는 제품들(전자 레인지, TV, 컴퓨터 등-대기전력 자동차단용)과 항상 켜 놓아야 하는 제품들(냉장고, FAX 등-상시전원용)이 존재한다는 면에서 볼 때에도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콘센트만이 배치된 콘센트는 그 효용이 떨어진다.Not only does this significantly reduce the space utilization of a receptacle with a specified size, but also generally requires that appliances be turned off after use (microwave ovens, TVs, computers, etc.) and products that must always be turned on. Even in view of the presence of refrigerators, FAX, etc. (for regular power), an outlet having only a standby power cut-off outlet is not useful.
특히 기존의 2구의 콘센트를 대기전력 자동차단용의 콘센트로 교체할 경우 기존의 콘센트에 전자 레인지와 냉장고가 연결되어 있다면 냉장고는 상시전원이 필요하므로 별도의 전원에서 전류를 공급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particular, when replacing the existing two-prong outlet with the outlet for standby power cut off, if the microwave oven and the refrigerator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outlet, the refrigerator needs a constant power source, so a problem arises in that a current must be supplied from a separate power source.
따라서 콘센트의 모든 공간을 활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및 상시전원용 수구를 모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한 콘센트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outlet capable of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by utilizing all the spaces of the outlet and having both a standby power cut-off and a regular power outle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센트의 모든 공간을 활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및 상시전원용 수구를 모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한 콘센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provides an outlet capable of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by utilizing all the space of the outlet and can be equipped with both standby power cut-off and permanent power supply.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콘센트는, 외관을 이루고 복수의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플러그 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러그 소켓이 장착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장착되는 방향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릴레이가 장착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let includes a case disposed to form an exterior and a plurality of plug connections are formed, and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case, wherein the substrate is form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plug connections. The first substrate includes a first board on which the plug socket is mounted, and a second board on which the relay is dispos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to be mounted in parallel with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1 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러그 소켓이 장착되는 제3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bstrat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bstrate and mounted with a second plug socket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ion portions.
상기 콘센트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되는 면이 상기 제2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되는 면에 비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outlet is an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plug connection portion of the case is formed protruding than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plug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면과 상기 제3 기판과 대향하는 면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면 또는 상기 제3 기판과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센서수신부 잭이 배치될 수 있다.The outlet has a stepped portion formed between a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a surface facing the third substrate, and a sensor receiver jack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stepped surface or the surface facing the third substrate. Can be arranged.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1 기판에 상기 플러그 접속부 중 다른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러그 소켓이 더 장착될 수 있다.The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lug socket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so as to correspond to any one of the plug connection parts.
상기 콘센트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되는 면이 동일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let may have a plane in which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ion parts of the case are formed.
상기 콘센트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된 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형성되는 면에 센서수신부 잭이 배치될 수 있다.The outlet may have a groove formed on a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ion parts are formed, and a sensor receiver jack may be disposed on a surface on which the groove is formed.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2 기판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모드 변경 스위치 및 센서수신부 잭이 장착되는 제4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ubstrat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ubstrate and mounted with a mode change switch and a sensor receiver jack.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1 기판에 장착되는 제1 플러그 소켓이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플러그 소켓으로 결선될 수 있다.The outlet may be a first plug socket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may be connected to a plug socket for standby power cut-off.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2 플러그 소켓이 상시전원용의 플러그 소켓으로 결선될 수 있다.In the outlet, the second plug socket may be connected to a plug socket for constant power.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2 플러그 소켓에 스위치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는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및 상시전원용으로 결선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플러그 소켓이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또는 상시전원용으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The outlet may be connected to a switch to the second plug socket, and the switch may be connected to stand-by power cut-off and constant power, so that the second plug socket may be switched to stand-by power cut-off or standby power by operating the switch. Can be.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1 플러그 소켓이,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되는 접지부에 연결되는 제1 접지편 및 상기 제1 접지편과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플러그 접속부로 노출되어 전원 플러그의 접지단자와 접촉하는 제2 접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piece and the first ground piece, the first plug socket being coupl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ground part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case. It may include a second ground piece exposed to the plug connection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of the power plug.
상기 콘센트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플러그 접속부가 짝수개로 이루어지고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및 상시전력용 접속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The outlet may include an even number of plug connection parts formed on the cas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on for standby power interruption and normal power.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2기판에 배치되는 릴레이가 다극 릴레이 또는 복수의 1극 릴레이일 수 있다.The outlet may include a multipole relay or a plurality of single pole relays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콘센트는, 외관을 이루고 플러그 접속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케이스의 접속부가 형성된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플러그 소켓이 장착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장착되는 방향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릴레이가 장착되는 제2 기판 및 제2 플러그 소켓이 장착되고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및 상기 제2 기판에 장착되는 릴레이의 장착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outle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case and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plug connection portion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substrates disposed in the case, wherein the plurality of substrates are parallel to a surface o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ase is formed. A first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plug socket is mounted, a second substrate on which the relay is mounted such that the first substrate is formed at an angle with the first substrate, and the mounting direction is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plug socke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bstrate mounted to be parallel to a mounting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relay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제1 플러그 소켓 또는 제2 플러그 소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대기전력 자동차단용으로 결선될 수 있다.The outle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plug socket and the second plug socket for standby power cut-off.
상기 콘센트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3 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비하여 돌출되어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may have a stepped surface in which a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of the case protrudes relative to a surface facing the third substrate.
본 발명의 콘센트에 따르면, 콘센트의 모든 공간을 활용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및 상시전원용 수구를 모두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by utilizing all the space of the outlet and it is possible to have both the standby power cut-off and permanent power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콘센트의 기판과 릴레이를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콘센트에 있어서 센서수신부 접속부의 배치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5a는 단차부에 센서수신부 접속부가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제2 플러그 접속부에 센서수신부 접속부가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콘센트에 있어서 센서수신부 접속부의 다른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콘센트의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의 B-B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콘센트에 있어서 기판과 릴레이를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8의 콘센트에 있어서 센서수신부 잭의 배치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3a는 도 1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8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 the AA direction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rranging a substrate and a relay of the outlet of FIG. 1;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state of a sensor receiver connecting portion in the outlet of FIG. 1, FIG. 5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sensor receiver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in a stepped portion, and FIG. 5B is a sensor receiver connecting portion of a second plug connecting portion. Side view showing when plac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rrangement of sensor receiver connecting portions in the outlet of FIG. 1;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outlet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of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in the BB direction of FIG. 8.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ubstrate and a relay are arranged in the outlet of FIG. 8; FIG.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state of a sensor receiver jack in the outlet of FIG. 8;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Figure 1 and Figure 1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FIG.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to 3 is a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A direction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0, 200)와 상기 케이스(100, 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300, 400, 500, 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케이스(100, 200)는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 200)는 합성수지 등의 비도전성의 재료를 사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상부 케이스(100)는 콘센트(10)의 외관을 이루고, 상기 상부 케이스(100)에는 텔레비전, 냉장고, 전자레인지, FAX 등의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부(110, 120)가 복수 개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에 제1 플러그 접속부(110)와 제2 플러그 접속부(120)의 2개의 플러그 접속부(110, 120)가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이 때 상기 상부 케이스(100)에서 상기 제1 플러그 접속부(110)가 형성되는 면은 상기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형성되는 면에 비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플러그 접속부(110)가 형성되는 면은 상기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형성되는 면에 비하여 돌출되어 각 면 사이에 단턱(16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60)이 형성된 면에는 홀(140)이 형성되고 상기 홀(140)을 통해 센서수신부 잭(610)이 외부로 드러난다.In detail,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하단부 둘레에는 리브(150)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150)에 상기 상부 케이스(100)를 전체적으로 덮는 커버(미도시)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미도시)가 벽면에 드러나도록 하여 콘센트가 설치된다.A
상기 하부 케이스(2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와 결합되어 내부에 기판(300, 400, 500, 600)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외측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지부(210)가 구비된다.The
상기 접지부(210)는 벽면 등에 설치되는 설치대(미도시) 등에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10)가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접지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에는 전선 연결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연결부(220)를 통해 외부의 전선이 연결되며 상기 전선 연결부(220)에는 구획편(230)이 삽입되어 각 전선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를 방지한다.A
상기 기판(300, 400, 500, 600)은 케이스(100, 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되며 복수의 기판(300, 400, 500, 600)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The
상기 기판(300, 400, 500, 600)은 인쇄회로기판(300, 400, 500, 600)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기판(300, 400, 500, 600)의 조합에 의해 대기전력 자동차단 회로부(40)를 구성할 수 있다.The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300, 400, 500, 600)은 제1 기판(300), 제2 기판(400), 제3 기판(500) 및 제4 기판(600)의 4개의 기판(300, 400, 500, 60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각 기판(300, 400, 500, 600)은 케이스(100, 200)에 형성된 안착부(미도시)에 각각 안착되어 고정되거나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판(300, 400, 500, 60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상기 제1 기판(300)은 상기 케이스(100, 200)의 플러그 접속부(110, 120)가 형성된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플러그 소켓(310)이 장착된다.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판(300)은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제1 플러그 접속부(110)가 형성된 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플러그 접속부(110)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1 기판(300)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2 and 3, the
이 때 상기 제1 기판(300)에 장착되는 제1 플러그 소켓(310)은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플러그 소켓으로 기능하도록 결선된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제1 플러그 소켓(310)은, 외부의 전선으로부터 후술하는 릴레이(410)를 통하여 결선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릴레이(410)는 예를 들면 일정한 전류 이하의 전류가 흐르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 플러그 소켓(310)이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플러그 소켓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제1 플러그 소켓(310)은, 상기 제1 기판(300)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100, 200)의 외측에 형성되는 접지부(210)에 연결되는 제1 접지편(313) 및 상기 제1 접지편(313)과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제1 플러그 접속부(110)로 노출되어 플러그의 접지단자와 접촉하는 제2 접지편(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판(300)에 제1 플러그 접속편(311)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플러그 접속편(311) 상에 가이드편(312)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편(312) 상에 제1 접지편(313)과 제2 접지편(314)이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제2 접지편(314)으로부터 상기 제1 기판(300)까지 관통하여 볼트(315)가 체결되어 고정된다.2 and 3, a first
이 때 제1 플러그 접속편(311), 제1 접지편(313), 제2 접지편(314) 및 볼트(315)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접지편(313)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접지부(210)에 연결됨으로써 플러그의 접지단자와 접촉하는 제2 접지편(314)과 함께 접지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first
상기 제2 기판(400)은 상기 제1 기판(300)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접속단자의 돌출방향이 상기 제1 기판(30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릴레이(410)가 장착된다.The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기판(400)에는 릴레이(410)가 장착되고, 장착되는 방향이 상기 제1 기판과 평행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릴레이(410)의 몸체 및 상기 릴레이의 접속단자(미도시)는 상기 제1 기판(300)의 일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In detail, the
이 때 상기 제1 기판(300)과 상기 제2 기판(4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기판(300)의 제1 플러그 소켓(310)에 투입되는 전기가 릴레이(410)를 통해 투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3 기판(500)은, 상기 제1 기판(30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속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러그 소켓(520)이 장착된다.The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3 기판(500)은 제2 플러그 소켓(520)이 장착된 부분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형성된 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된다.In detail, the
도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플러그 소켓(520)은 상기 제3 기판(500)에 제2 플러그 접속편(521)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플러그 접속편(521) 상에 가이드편(522)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편(522) 상에 제3 접지편(523)이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제3 접지편(523)으로부터 상기 제3 기판(500)까지 관통하여 볼트(315)가 체결되어 고정된다.2 and 3, the
이 때 상기 제2 플러그 접속편(521), 제3 접지편(523) 및 볼트(315)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315)는 일단이 상기 제3 기판(500)을 관통하여 상기 접지부(2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3 접지편(523)과 함께 접지기능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이 때 상기 제3 기판(500)에 장착되는 제2 플러그 소켓(520)은 상시전원용의 플러그 소켓으로 결선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제2 플러그 소켓(520)에는 외부의 전선이 릴레이(410)를 통과하지 않도록 결선됨으로써 상시적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제3 기판(500)에는 대기전력 자동차단 회로부(4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크기가 큰 콘덴서(510), 트랜스(530) 등은 하부 케이스(200) 면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tandby power cut-off
상기 제4 기판(600)은, 상기 제2 기판(400)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모드 변경 스위치(620) 및 센서수신부 잭(610)이 장착된다.The
상기와 같이 제1 플러그 소켓(310)이 대기전력 자동차단용으로 기능하고 제2 플러그 소켓(520)이 상시전원용으로 기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냉장고와 같이 상시전력이 필요한 기기와 전자레인지와 같이 대기전력 차단이 필요한 기기를 동시에 각각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4 기판(600)에 모드 변경 스위치(620) 및 센서수신부 잭(610)을 배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4 기판(600) 외의 다른 기판(300, 400, 500)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는 제4 기판(600)을 제외하고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상술한 설명에서는 콘센트는 2구의 플러그 접속부(110, 120)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이상의 플러그 접속부를 가진 콘센트에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utlet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two
즉 상술한 바와 같이 1구는 대기전력 자동차단용으로 기능하고 다른 1구는 상시전원용으로 기능하는 2구의 콘센트(10)를 기본으로 하되, 이와 병렬되도록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또는 상시전원용의 플러그 접속부를 가지는 총 4구, 6구 등의 플러그 접속부를 가지는 콘센트를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one outlet is based on two
도 13a에는 총 4구를 가지는 콘센트(10')를 도시하였다.13A illustrates an outlet 10 'having a total of four holes.
따라서 케이스에 형성된 플러그 접속부가 짝수개로 이루어지고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및 상시전력용 접속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콘센트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an outlet having an even number of plug connections formed in the case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nnection for standby power interruption and continuous power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있어서 기판과 릴레이의 배치 및 연결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ubstrate and the relay in th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의 경우는 상술한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배치상태로서 제1 기판(300), 제2 기판(400), 제3 기판(500)이 배치된다. 다만 상기 제2 기판(400)에 배치되는 릴레이(410)는 2극 릴레이가 아니라 1극 릴레이를 2개 사용하였다.In the case of FIG. 4A, the
도 4b의 경우는 제1 기판(300), 제2 기판(400), 제3 기판(500)에서 제2 기판(400)이 콘센트(10)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배치되도록 하였고, 제1 기판(300)과 제2 기판(400)이 케이블(70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이 경우에도 1극 릴레이를 2개 사용하였다.In the case of FIG. 4B, in the
도 4c의 경우는 제2 기판(400)에 배치되는 릴레이(410)가 2극 릴레이로 구성되고 제3 기판(500) 하단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콘덴서(510) 등의 크기가 큰 소자를 제3 기판(500)의 상부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In the case of FIG. 4C, th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릴레이(410)를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대기전력 자동차단을 위한 회로를 각 기판(300, 400, 500, 600)에 분할하여 구성한 후 각 기판(300, 400, 500, 600)을 다양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After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있어서 센서수신부 잭의 배치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sensor receiver jack in th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0)와 같이 제1 플러그 접속부(110)가 형성된 면과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형성된 면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160)에 센서수신부 잭(610)이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5A illustrates a
도 5b는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형성된 면에 센서수신부 잭(610)이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5B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160) 또는 제2 플러그 접속부(120)에 센서수신부 잭(610)이 배치되는 경우 센서수신부 잭(610)에 접속되는 플러그(800)의 돌출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간섭을 최소화하고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illustrated,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 있어서 센서수신부 잭의 배치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sensor receiver jack in th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160) 또는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형성된 면이 아니어도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수신부 잭(610)을 상부 케이스(100)의 각 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5,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결선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nected state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10)는 제1 플러그 접속부(110), 제2 플러그 접속부(120), 대기전력 자동차단 회로부(40)를 구비하고, 스위치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상기 제1 플러그 접속부(110)와 상기 제2 플러그 접속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어 해당 전기기기에 전기를 공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회로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410)를 포함한 회로로서 전원(30)으로부터 전류를 입력받아 제1 플러그 접속부(110) 및 스위치부(50)로 출력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andby power cut-off
상기 대기전력 자동차단 회로부(40)는 상술한 제1 기판(300) 내지 제4 기판(600)에 구성될 수 있고 일정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릴레이(410)가 온(ON) 되어 전류를 통과시키고 일정전류 미만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릴레이(410)가 오프(OFF)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방식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standby power cut-off
상기 스위치부(50)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류 또는 대기전력 자동차단 회로부(40)로부터의 전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제2 플러그 접속부(120)로 출력한다.The
상기 스위치부(50)는 조작자의 수동에 의해 조작되거나 센서수신부 잭(610)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스위치가 제1 접점(C1)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직접 제2 플러그 접속부(120)로 공급되므로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상시전원용으로 작동하게 되고, 스위치가 제2 접점(C2)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전류가 대기전력 자동차단 회로부(40)를 통해 제2 플러그 접속부(120)로 공급되므로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대기전력 자동차단용으로 작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wit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C1, since the current is directly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second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은 사시도이고, 도 9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7의 B-B 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to 10 is a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in the B-B direction of FIG.
하기의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유사한 도면번호로 표시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20)는 제1 플러그 접속부(110)와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상부 케이스(100)의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러그 접속부(110)와 상기 제2 플러그 접속부(120) 사이에 홈(160')이 형성되며 상기 홈(160')에 센서수신부 잭(610)이 배치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300, 400, 500, 600)은 제1 기판(300), 제2 기판(400), 제3 기판(500) 및 제4 기판(600)의 4개의 기판(300, 400, 500, 60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제1 기판(300)은 상기 케이스(100, 200)의 접속부가 형성된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플러그 소켓(310) 및 제2 플러그 소켓(320)이 장착된다.The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기판(300)은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제1 플러그 접속부(110) 및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형성된 면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플러그 접속부(110) 및 제2 플러그 접속부(120)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1 기판(300)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In detail, the
이 때 상기 제1 기판(300)에 장착되는 제1 플러그 소켓(310)은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플러그 소켓으로 기능하도록 결선되고 제2 플러그 소켓(320)은 상시전원용 플러그 소켓으로 기능하도록 결선된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제1 플러그 소켓(310)은 외부의 전선으로부터 상기 릴레이(410)를 통하여 결선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릴레이(410)는 예를 들면 일정한 전류 이하의 전류가 흐르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1 플러그 소켓(310)이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플러그 소켓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이 때 제2 플러그 소켓(320)은 상시전원용의 플러그 소켓으로 결선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플러그 소켓(320)에는 외부의 전선이 릴레이(410)를 통과하지 않도록 결선됨으로써 상시적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3 기판(500)은, 상기 제1 기판(30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대기전력 자동차단 회로부(4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The
상기 제4 기판(600)은, 상기 제2 기판(400)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모드 변경 스위치(620) 및 센서수신부 잭(610)이 장착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의한 콘센트(20)의 경우도 결선방법에 따라 제1 플러그 소켓(310)이 상시전원용으로 제2 플러그 소켓(320)이 대기전력 자동 차단용으로 결선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또한 제2 플러그 소켓(320)을 대기전력 자동차단용으로 하여 2개의 플러그 접속부(110, 120) 모두 대기전력 자동 차단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상술한 설명에서는 콘센트(20)는 2구의 플러그 접속부(110, 120)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이상의 플러그 접속부를 가진 콘센트에 적용이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즉 상술한 바와 같이 1구는 대기전력 자동차단용으로 기능하고 다른 1구는 상시전원용으로 기능하는 2구의 콘센트(20)를 기본으로 하되, 이와 병렬되도록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또는 상시전원용의 플러그 접속부를 가지는 총 4구, 6구 등의 플러그 접속부를 가지는 콘센트를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one hole is based on two
도 13b에는 총 4구를 가지는 콘센트(20')를 도시하였다.13B shows an outlet 20 'having a total of four holes.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콘센트에 있어서 기판과 릴레이의 배치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state of a substrate and a relay in an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배치상태로서 제1 기판(300), 제2 기판(400), 제3 기판(500)이 배치된다. 다만 상기 제2 기판(400)에 배치되는 릴레이(410)는 2극 릴레이가 아니라 대신 1극 릴레이를 2개 사용하였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도 12는 도 8의 콘센트에 있어서 센서수신부 잭의 배치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state of a sensor receiver jack in the outlet of FIG. 8. FIG.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플러그 접속부(110)와 제2 플러그 접속부(120) 사이에 형성된 홈(160')의 측면 또는 밑면에 홀(140')이 형성되며 상기 홀(140')에 센서수신부 잭(610)이 배치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hole 140 'is formed at a side or a bottom of a groove 160' formed betwee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러그 접속부(110)와 제2 플러그 접속부(120) 사이에 형성된 홈(160')의 측면 또는 밑면에 센서수신부 잭(610)이 배치되는 경우 센서수신부 잭(610)의 돌출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간섭을 최소화하고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when the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rt.
Claims (17)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플러그 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러그 소켓이 장착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장착되는 방향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릴레이가 장착되는 제2 기판
을 포함하는 콘센트.A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having a plurality of plug connections formed;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substrate,
A first substrate on which a first plug socket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plug connection parts is mounted;
A second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mounted with a relay disposed such that a mounting direction thereof is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Outlet containing.
상기 제1 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러그 소켓이 장착되는 제3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1,
And a third substrat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bstrate and mounted with a second plug socket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ions.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되는 면이 상기 제2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되는 면에 비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2,
The case is a so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plug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protrudes than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plug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면과 상기 제3 기판과 대향하는 면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면 또는 상기 제3 기판과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센서수신부 잭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3,
A step is formed between a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a surface facing the third substrate, and a sensor receiver jack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tepped surface or the surface facing the third substrate. Outlet.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플러그 접속부 중 다른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2 플러그 소켓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cond plug socket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so as to correspond to any one of the plug connection parts.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되는 면이 동일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5,
The case is an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ion portions are formed is made of the same plane.
상기 복수의 플러그 접속부가 형성된 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형성되는 면에 센서수신부 잭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6,
The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he sensor receiver jack is disposed on the surface is formed.
상기 제2 기판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모드 변경 스위치 및 센서수신부 잭이 장착되는 제4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And a fourth substrat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ubstrate and mounted with a mode change switch and a sensor receiver jack.
상기 제1 기판에 장착되는 제1 플러그 소켓은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플러그 소켓으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The first plug socket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plug socket for standby power cut-off.
상기 제2 플러그 소켓은 상시전원용의 플러그 소켓으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plug socket is an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lug socket for the constant power.
상기 제2 플러그 소켓에는 스위치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는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및 상시전원용으로 결선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플러그 소켓이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또는 상시전원용으로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10. The method of claim 9,
A swit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ug socket, and the switch is connected to stand-by power cut-off and constant power, so that the second plug socket can be switched to stand-by power cut-off or constant power by manipulating the switch. consent.
상기 제1 플러그 소켓은,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형성되는 접지부에 연결되는 제1 접지편 및
상기 제1 접지편과 연결되고 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플러그 접속부로 노출되어 전원 플러그의 접지단자와 접촉하는 제2 접지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lug socket,
A first ground piece coupl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connected to a ground part whose one end is formed outside the case;
A second ground piec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piece and having an end exposed to the plug connection portion of the case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of the power plug;
Outlet comprising a.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플러그 접속부는 짝수개로 이루어지고 대기전력 자동차단용 및 상시전력용 접속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1,
Plug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case is made of an even nu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nnection for the standby power cut-off and permanent power.
상기 제2기판에 배치되는 릴레이는 다극 릴레이 또는 복수의 1극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The method of claim 1,
The relay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pole relay or a plurality of one-pole relay.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기판은,
상기 케이스의 접속부가 형성된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플러그 소켓이 장착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장착되는 방향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릴레이가 장착되는 제2 기판 및
제2 플러그 소켓이 장착되고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및 상기 제2 기판에 장착되는 릴레이의 장착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A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having a plurality of plug connections;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ubstrates disposed inside the case,
The plurality of substrates,
A first substrate disposed in parallel with a surface on which the connection part of the case is formed and on which the first plug socket is mounted;
A second substrat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substrate, and having a relay mounted such that a mounting direction thereof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third substrate on which a second plug socket is mounted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mounting direction of a relay mounted on the second substrate.
상기 제1 플러그 소켓 또는 제2 플러그 소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대기전력 자동차단용으로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16. The method of claim 15,
At least one of the first plug socket or the second plug so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is connected for standby power cut off.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3 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비하여 돌출되어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ase is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is protruded compared to the surface facing the third substrate is formed stepp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4342A KR20120116721A (en) | 2011-04-13 | 2011-04-13 | Concentic plu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4342A KR20120116721A (en) | 2011-04-13 | 2011-04-13 | Concentic plu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6721A true KR20120116721A (en) | 2012-10-23 |
Family
ID=4728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4342A KR20120116721A (en) | 2011-04-13 | 2011-04-13 | Concentic plu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6721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4207A (en) * | 2016-12-05 | 2018-06-14 | 임현 | Pop-Up Type Multitap |
KR20210147128A (en) * | 2020-05-27 | 2021-12-07 | 영화테크(주) | Indoor ac power outlet for electric vehicle |
-
2011
- 2011-04-13 KR KR1020110034342A patent/KR20120116721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4207A (en) * | 2016-12-05 | 2018-06-14 | 임현 | Pop-Up Type Multitap |
KR20210147128A (en) * | 2020-05-27 | 2021-12-07 | 영화테크(주) | Indoor ac power outlet for electric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68562B2 (en) | Modified electrical devices | |
US7057108B1 (en) | Dual input plug apparatus | |
CN104377099A (en) | Straight-line multipath fuse box | |
US8702447B2 (en) |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 |
KR101344929B1 (en) | Bus bar kit | |
TWI412189B (en) | Plug | |
KR20120116721A (en) | Concentic plug | |
KR101466324B1 (en) | Structure for bonding bus bars | |
MX2015005159A (en) | Modified electrical devices. | |
CN117239495A (en) | Track socket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of track socket | |
JP3113266U (en) | Unit distribution board | |
CN212277031U (en) | Power supply wiring module and automatic transfer switch electric appliance with same | |
JP5894885B2 (en) | System furniture | |
JP2011070956A (en) | Attachment plug | |
JP2007318875A (en) | Distribution panel for housing | |
KR102191418B1 (en) | Multi- connectable electric plug | |
JP5786192B2 (en) | Outlet with power management function | |
CN104600477A (en) | In-wall socket | |
CN113766790B (en) | Power supply distribution unit and data center cabinet | |
CN104335424B (en) | Divider chain | |
CN212323303U (en) | Adjustable expansion electric socket | |
CN210868386U (en) | Compact multi-terminal combined two-unit | |
KR200419218Y1 (en) | Multi-tap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upling part of the multi-tap unit | |
KR20180092343A (en) | Multiple-tap having dummy plug | |
KR200346977Y1 (en) | Space saving power conc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