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027A - Humidification filter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 Google Patents
Humidification filter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3027A KR20120113027A KR1020110030691A KR20110030691A KR20120113027A KR 20120113027 A KR20120113027 A KR 20120113027A KR 1020110030691 A KR1020110030691 A KR 1020110030691A KR 20110030691 A KR20110030691 A KR 20110030691A KR 20120113027 A KR20120113027 A KR 201201130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humidifying
- humidification
- water tank
- sh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필터 및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외관이 만곡된 형상에 설치되면서 가습량을 증대시키는 가습필터 및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apparatus having a humidifying filter and a humidifying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midifying filter having a humidifying filter and a humidifying filter installed in a curved shape to increase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는 습기의 생성 방법이 수조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기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기로 나뉜다. In general, a humidifier that artificially generates and sprays moisture to increase humidity in a room is a method of generating moisture and a heated humidifier, in which a method of spraying water generated by heat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spontaneously sprayed into a room. Ultrasonic humidifier which is a method of spraying the stored water to ultrasonically vibrate the stored water by ultrasonic vibration, and a combined humidifier equipped with a heating and ultrasonic humidification method simultaneously.
최근에는, 수조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킨 후 가습필터 상부측으로 이동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거나, 다수의 디스크의 일부분을 수조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표면에 부착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자연식(송풍식) 가습기도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the wat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isk is blown by evaporating the water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humidifying filter after immersing the humidification filter in the water tank, or by rotating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isks in the water tank. Natural humidifiers using a method such as vaporization are also used.
일반적으로, 자연식 가습기의 경우, 송풍팬이 외부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송풍팬에 의해 흡인된 공기가 가습필터를 통과하면서 무화(霧化)된다. 무화된 공기는 가습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건조한 실내를 가습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natural humidifier, the blower fan sucks external air, and the air sucked by the blower fan is atom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umidification filter. The atomiz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umidifier discharge port to humidify the dry room.
자연식 가습장치의 경우, 가습장치능을 위하여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져야하는 점에서 주로 스탠드형 구조를 가지나, 가습장치의 외관은 다양한 형상을 가진다. The natural humidifier has a stand-type structure mainly in that it has a structur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for the capability of the humidifier, but the appearance of the humidifier has a variety of shapes.
예를 들어, 가습장치가 박스형 외관을 가진 경우에, 가습장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청정필터와 가습필터는 블럭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가습장치의 외관이 만곡된 형상을 가진 경우에도 블럭형 공기청정필터 및/또는 가습필터를 사용하기에는 공간의 제약이 많이 있다. 이에 따라, 외관이 만곡된 형상을 가진 가습장치의 경우, 공기청정필터 및 가습필터의 형상 변경이 요구되는 바이다. For example, when the humidifier has a box-like appearance, the air cleaning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installed inside the humidifier generally have a block shape. However, even whe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humidifier has a curved shape, there is a lot of space limitation to use the block type air cleaning filter and / or the humidification filter.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humidifier having a curved shape,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shape of the air cleaning filter and the humidification filt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면적을 넓히면서 만곡된 외관을 가진 장치하우징에 설치가능한 구조를 가진 가습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filte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in a device housing having a curved appearance while increasing the installation area.
또한, 본 발명은 가습필터가 유연하게 원통형 수조의 내주면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수조에 설치되어, 가습필터의 가습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가습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pparatus having a humidifying filter which is installed in a water tank in a state in which the humidifying filter flex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water tank,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by increasing the humidifying area of the humidifying filter. It is d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는 주름 잡힌 플리츠 형상을 가진 가습부재; 및 가습부재의 주름 사이로 삽입 고정되어, 주름 간격을 유지토록 제공된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umid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umidifying member having a pleated pleated shape; And a shape holding member which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leats of the humidifying member and provided to maintain the pleat spac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형상유지부재는 사형(蛇形) 단면을 가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maintaining member is preferably a shape having a dead cross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형상유지부재는 가습부재의 주름 사이로 충전된 후 경화된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maintain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of a cured silicone after being filled between the wrinkles of the humidify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형상유지부재는 가습부재가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가습부재의 일면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maintaining member is preferably install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humidifying member so that the humidifying member is flexibl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장치하우징; 흡입구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토록 제공된 송풍수단; 및 송풍수단 하부에 위치되며,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umidifier with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vice housing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Blowing means provided to suck external air from the inlet; And it is located below the blowing means, preferably comprising a humidifying means having a humidifying fil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습수단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진 수조; 수조에 설치되어, 가습필터가 수조의 내주면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공된 가습필터안착부; 가습필터안착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수조로 물을 공급토록 수조에 연계된 물통; 및 가습필터안착부에 안착되어, 공기를 가습토록 제공된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cation means is a tank having a cylindrical shape of the top open; A humidification filter seat installed in the tank, the humidifying filter seat being provided to be sea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k;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seat, the water tank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o supply water; And a humidifying filter mounted on the humidifying filter seat and provided to humidify the ai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습필터는 일면이 수조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유연하게 휘어져 가습필터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preferably flexibly bent so that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humidification filter seat.
본 발명은 가습필터가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짐으로써, 가습필터의 가습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humidification filter flexes flexibly, so that the humidification area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can be increased.
아울러, 본 발명은 가습필터가 유연하게 원통형 수조의 내주면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수조에 설치되도록 하여, 만곡된 외관을 가진 장치하우징에 설치되는 가습필터의 가습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함으로써, 가습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umidification filter to be flexibly instal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water tank in the tank, to ensure the maximum humidification area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installed in the device housing having a curved appearance, to increase the amount of humidification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의 결합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수단에 대한 결합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에 대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로서, 형상유지부재가 위치된 부분에서의 가습필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ier having a humid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umidifying apparatus having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y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y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and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ication filter at a portion where the shape maintaining member is located.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 및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umidifier having a humidification filter and a humid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100)는 장치하우징(110), 필터수단(120), 가습수단(130) 및 송풍수단(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하우징(110)은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된 부재이다.1 and 2, the
본 명세서에서는 장치하우징(110)의 예로서 하단에 흡입구(112)가 구비되고, 상단에 토출구(116)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장치하우징(110)이 상하로 분리되는 구조라면, 그 내에서 포함되는 부품의 위치 및/또는 종류 등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example of the case of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하우징(110)은 외면이 유선형으로 만곡되며, 원형 횡단면을 가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하우징(110)은 상하로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device housing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rved in the outer surface is streamlined, it has a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장치하우징(110)의 하부부분을 하부장치하우징(111)이라 지칭하고, 장치하우징(110)의 상부부분을 상부장치하우징(115)이라 지칭하기로 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장치하우징(111)의 하면에는 송풍수단(140)의 작동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112)는 하부장치하우징(111)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기구멍으로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그리고, 하부장치하우징(111)의 하면에는 받침대(113)가 구비된다. 여기서, 받침대(113)는 하부장치하우징(111)의 하면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복수 개의 통기구멍으로 용이하게 유입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장치하우징(111)의 하단 내주면에는 필터수단(120)이 안착되는 필터수단장착홈(114)이 형성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장치하우징(115)은 하부장치하우징(111)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부장치하우징(115)의 상면에는 상부장치하우징(115)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토출구(116)가 구비된다. 여기서, 토출구(116)는 필터수단(120)과 가습수단(130)을 경유하여 필터링 및/또는 가습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간이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부장치하우징(115)에는 가습 장치(100)의 미관을 유려하게 하도록, 무드등(117)과 같은 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무드등(117)은 제어유닛(150)에 연결되어, 무드등(117)의 작동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장치하우징(115)의 상단에는 무드등(117)을 보호하기 위한 상부데크(118)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장치하우징(115)에는 송풍수단(140)과 송풍수단(14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150)이 구비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터수단(120)은 상술했던 바와 같이 하부장치하우징(111)에 설치된다. 이때, 필터수단(120)은 송풍수단(140)에 의해 장치하우징(110)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청정토록 흡입구(112)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eans 120 is installed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수단(120)은 필터프레임(121), 공기청정필터(123), 필터프레임(121)을 하부장치하우징(111)에 결합하는 필터수단고정부재(125)를 포함한다.Filter mean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means fixing
여기서, 필터프레임(121)은 내부에 공기청정필터(123)가 고정되도록 고리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기청정필터(123)는 필터프레임(121)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원형 현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청정필터(123)는 일면이 흡입구(112)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다른 일면이 송풍수단(140)을 향하도록 하부장치하우징(111)에 설치된다.Here, the
공기청정필터(123)는 송풍수단(140)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특성 및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여러 층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The
예를 들어, 공기청정필터(123)로는 프리필터, 전처리필터, 헤파 필터 등 여러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공기를 청정토록 제공된 필터 부재라면, 필터의 부가적 기능, 설치 개수, 종류에 대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filters, such as a prefilter, a pretreatment filter, a hepa filter, may be used as the
공기청정필터(123)가 설치된 필터프레임(121)의 상부에는 필터수단고정부재(125)가 위치된다. 이때, 필터수단고정부재(125)는 필터프레임(12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필터수단장착홈(114)에 끼움 결합되어, 하부장치하우징(111)에 고정된다. 한편, 필터수단고정부재(125)의 상단에는 가습수단(130)이 설치된다.
The filter means fix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습수단(130)은 필터수단(120)과 송풍수단(140) 사이에서 하부장치하우징(111)에 설치되어, 필터수단(12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가습시키는 부재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수단(130)은 수조(131), 가습필터안착부(133), 물통(135) 및 가습필터(137)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조(131)는 하부장치하우징(1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횡단면인,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수조(131)의 바닥면에는 고정돌기(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돌기(132)는 물통(135)이 수조(131)에 설치될 때, 물통(135)에 구비된 밸브(미도시)와 결합되어, 밸브를 개방시키는 부재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31)에는 가습필터안착부(133)가 설치된다. 가습필터안착부(133)는 가습필터(137)가 수조(131)의 내주면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가습필터안착부(133)에는 가습필터(137)가 안착되는 가습필터안착개구(133a)와 물통(135)의 물공급부(136)가 안착되는 물유입개구(133b)가 구비된다. 여기서, 물유입개구(133b)는 물통(135)의 물공급부(136)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공급부(136)는 물통(135)에 수용된 물을 수조(131)롤 공급하는 부분으로써, 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물공급부(136)의 밸브는 수조(131)에 형성된 고정돌기(132)와 결합된다. 밸브의 개방상태에서, 물통(135) 내의 물은 수조(133)로 공급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가습필터안착개구(133a)는 가습필터(137)가 수조(131)에 침지되도록 설치될 때, 가습필터(137)를 지지토록 제공된 공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습필터안착개구(133a)는 가습필터(137)가 반원 형상을 이루면서 설치되도록 가습필터안착부(133)의 원주방향을 따라 부채꼴의 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humidification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137)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137)는 가습부재(138)와 형상유지부재(13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습부재(138)는 물이 흡수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름 잡힌 플리츠 형상을 가진다.
가습부재(138)에는 물의 흡수율 및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습부재(138)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소형 개구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소형 개구(138a)들은 가습부재(138)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humidifying
일반적으로, 가습부재(138)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공기를 가습시킬 수 있는 가습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가습량 또한 증가하게 된다. 수조(131)에 설치되는 가습필터(137)의 체적이 일정한 경우에, 가습필터(137)의 표면적은 주름과 주름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증가한다. In general, the wider the surface area of the humidifying
다만, 가습부재(138)의 주름과 주름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수조(131)에 침지되어 가습부재(138)가 물을 흡수할 때, 인접한 주름끼리 상호 간에 붙어버려 가습부재(138)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부재(138)에는 형상유지부재(139)가 고정된다. However, as the spacing between the wrinkles and the wrinkles of the humidifyin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재(139)는 가습부재(138)의 주름과 주름 사이로 삽입 고정되어, 주름 간격을 유지토록 제공된 부재이다. 형상유지부재(139)는 가습필터(137)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구부러졌다가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형상유지부재(139)의 재질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유지부재(139)는 사형(蛇形)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유지부재(139)는 가습부재(138)의 주름 사이로 충전된 실리콘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형상유지부재(139)는 가습부재(138)의 일면에만 설치되어, 가습부재(138)가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137)는 가습필터안착부(133)의 가습필터안착개구(133a)에 삽입되어 수조(131)에 침지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유지부재(139)가 설치된 가습부재(138)의 일면이 물통(135)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형상유지부재(139)가 설치되지 않은 가습부재(138)의 다른 일면이 수조(131)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위치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설치구조로 인해, 장치하우징(110)의 외관이 만곡된 형상을 가진 경우에도 가습필터(137)의 가습면적을 최대한 넓게 함으로써, 가습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송풍수단(140)의 작동시 장치하우징(1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the flow of air flowing inside the
일단, 송풍수단(140)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장치하우징(111)의 하면에 형성된 흡입구(11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장치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수단(140)의 흡입 작동에 의해 상향 유동되면서, 필터수단(120)의 공기청정필터(123)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다. Once the blower means 140 starts to operat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공기청정필터(123)에서 필터링된 청정공기는 수조(131)의 측면을 타고 상향 유동되고, 가습필터(137)의 외측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향유동된다. 이때, 가습필터(137)는 공기의 가습면적을 최대한으로 넓히기 위해 부채꼴의 호 형태로 가습필터안착부(133)의 가습필터안착개구(133a)에 삽입되어 수조(131)에 침지되어 있다.The clean air filtered by the
다음으로, 가습수단(130)을 통과한 가습공기는 송풍수단(140)으로 유입된 후, 토출구(116)를 통해 토출된다.
Next, the 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humidifying means 130 flows into the blowing means 140 and is then discharged through the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not limiting, in all aspect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detailed implementations which may be obtained from those contained within the specifica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to be considered as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 110: 장치하우징
120: 필터수단 130: 가습수단
131: 수조 133: 가습필터안착부
135: 물통 137: 가습필터
138: 가습부재 139: 형상유지부재
140: 송풍수단 150: 제어수단100: humidifier with a humidification filter 110: device housing
120: filter means 130: humidification means
131: water tank 133: humidification filter seat
135: bucket 137: humidification filter
138: humidification member 139: shape holding member
140: blowing means 150: control means
Claims (7)
상기 가습부재의 주름 사이로 삽입 고정되어, 상기 주름 간격을 유지토록 제공된 형상유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필터.
A humidifying member having a pleated pleated shape; And
A shape maintaining member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leats of the humidifying member to maintain the pleat spacing;
Humidification filter comprising a.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사형(蛇形) 단면을 가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pe holding member is a humidifyin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having a dead cross section.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가습부재의 주름 사이로 충전된 후 경화된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pe retaining member is a humidifyin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hardened silicon after filling between the pleats of the humidifying member.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가습부재가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상기 가습부재의 일면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pe holding member is a humidifyin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humidifying member so that the humidifying member is flexibly.
상기 흡입구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토록 제공된 송풍수단; 및
상기 송풍수단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
A device housing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Blowing means provided to suck external air from the suction port; And
A humidifying means positioned below the blowing means and having a humidifying fil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Humidifier with a humidifying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진 수조;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필터가 상기 수조의 내주면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공된 가습필터안착부;
상기 가습필터안착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토록 상기 수조에 연계된 물통; 및
상기 가습필터안착부에 안착되어, 공기를 가습토록 제공된 상기 가습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umidifying means
A tank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 humidification filter seat installed in the water tank, the humidification filter seat being provided to be seat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umidifying filter seat, the water tank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And
The humidifying filter seated on the humidifying filter seat and provided to humidify the air;
Humidifier with a humidification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가습필터는 일면이 상기 수조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유연하게 휘어져 상기 가습필터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humidification filter is a humidifier having a humidification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urface is flexibly flexed so as to contac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tank seated on the humidification filter se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691A KR20120113027A (en) | 2011-04-04 | 2011-04-04 | Humidification filter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691A KR20120113027A (en) | 2011-04-04 | 2011-04-04 | Humidification filter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3027A true KR20120113027A (en) | 2012-10-12 |
Family
ID=4728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0691A Ceased KR20120113027A (en) | 2011-04-04 | 2011-04-04 | Humidification filter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3027A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7253A (en) * | 2013-10-24 | 2015-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
KR20150047254A (en) * | 2013-10-24 | 2015-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
KR20170040162A (en) * | 2014-07-25 | 2017-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
KR20170044544A (en) * | 2015-10-15 | 2017-04-25 |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 Air washer |
KR20170044559A (en) * | 2015-10-15 | 2017-04-25 |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 Air washer |
KR20180070525A (en) * | 2018-06-07 | 2018-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
WO2019182375A1 (en) * | 2018-03-21 | 2019-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cation cleaner |
KR20190110789A (en) * | 2018-03-21 | 2019-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washer |
KR20190110788A (en) * | 2018-03-21 | 2019-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washer |
JP2022023302A (en) * | 2020-07-27 | 2022-02-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Humidification component and humidification device |
KR20220143914A (en) * | 2020-02-20 | 2022-10-25 | 청두 아임본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Upright humidifier with variable diameter evaporator |
-
2011
- 2011-04-04 KR KR1020110030691A patent/KR2012011302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7253A (en) * | 2013-10-24 | 2015-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
KR20150047254A (en) * | 2013-10-24 | 2015-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
KR20170040162A (en) * | 2014-07-25 | 2017-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
KR20170044544A (en) * | 2015-10-15 | 2017-04-25 |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 Air washer |
KR20170044559A (en) * | 2015-10-15 | 2017-04-25 |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 Air washer |
WO2019182375A1 (en) * | 2018-03-21 | 2019-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cation cleaner |
KR20190110789A (en) * | 2018-03-21 | 2019-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washer |
KR20190110788A (en) * | 2018-03-21 | 2019-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washer |
CN111936794A (en) * | 2018-03-21 | 2020-11-13 | Lg电子株式会社 |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
CN111936794B (en) * | 2018-03-21 | 2021-11-16 | Lg电子株式会社 |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
KR20180070525A (en) * | 2018-06-07 | 2018-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
KR20220143914A (en) * | 2020-02-20 | 2022-10-25 | 청두 아임본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Upright humidifier with variable diameter evaporator |
JP2022023302A (en) * | 2020-07-27 | 2022-02-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Humidification component and humidifica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13027A (en) | Humidification filter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 |
CN106958883B (en) |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 |
KR20120076284A (en) | Humidification apparatus | |
EP3163188B1 (en) |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 |
KR102457136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16886B1 (en) | Humidifier | |
KR102560978B1 (en) |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 |
KR102076058B1 (en) | Hybrid Air-condition Apparatus with 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 |
KR20190122357A (en) | Humidifier | |
WO2016002659A1 (en) | Humidifier | |
KR101669644B1 (en) | Humidifier combined an air cleaner | |
KR20120032393A (en) | Humidif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leak | |
JP2011047592A (en) | Air blowing device and air cleaner | |
KR102381724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JP4545773B2 (en) | Vaporizing humidifier | |
JP2011226707A (en) | Air purifying device with humidifying function | |
KR20190051577A (en) | Aircleaner | |
KR20120113028A (en) | Humidification apparatus | |
KR20220039025A (en) |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20120101788A (en) | Humidification apparatus | |
JP6410291B2 (en) |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buildings | |
KR102371630B1 (en) | Air washer | |
KR20220109790A (en) | Natural Vaporizing Humidifier | |
KR200468188Y1 (en) | Humidifying device | |
KR102429292B1 (en) | Air wa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4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