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109732A -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732A
KR20120109732A KR1020110026981A KR20110026981A KR20120109732A KR 20120109732 A KR20120109732 A KR 20120109732A KR 1020110026981 A KR1020110026981 A KR 1020110026981A KR 20110026981 A KR20110026981 A KR 20110026981A KR 20120109732 A KR20120109732 A KR 20120109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metal
metal lay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108B1 (ko
Inventor
조현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10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33/405
    • H01L33/10
    • H01L33/38
    • H01L33/6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소자에 관한 발명으로,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전극은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층과, 상기 제1 금속보다 반사도가 높은 제2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 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간에 금속의 확산을 차단하며, 상기 제1 금속보다 낮은 확산율을 가지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소자 패키지의 전극에 형성된 도금층의 반사도를 유지하여 발광소자 패키지의 전체 광 추출 효율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의 대표적인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빛의 형태로 변환시키는 소자로서, 가정용 가전제품, 리모콘, 전광판, 표시기, 각종 자동화 기기 등에 사용되고, 점차 LED의 사용 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소형화된 LED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에 직접 장착하기 위해서 표면실장소자(Surface Mount Device)형으로 만들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표시소자로 사용되고 있는 LED 램프도 표면실장소자 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실장소자는 기존의 단순한 점등 램프를 대체할 수 있으며, 이것은 다양한 칼라를 내는 점등표시기용, 문자표시기 및 영상표시기 등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LED의 사용 영역이 넓어지면서, 생활에 사용되는 전등, 구조 신호용 전등 등에 요구되는 휘도가 높이지는 바, LED의 발광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는, 발광소자 패키지에 포함된 전극에 형성된 도금층이 다른 금속의 유입이나 산화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반사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층과, 상기 제1 금속보다 반사도가 높은 제2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 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간에 금속의 확산을 차단하며, 상기 제1 금속보다 낮은 확산율을 가지는 차단층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의 반사 특성이 금속의 확산 현상에 의하여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발광소자 패키지의 광 추출 효율에 기여하며 광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한 발광소자 패키지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나타난 발광소자 패키지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단면도.
도 6a는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은 도 6a의 조명장치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한 발광소자 패키지의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나타난 발광소자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캐버티가 형성된 몸체(110), 몸체(110)에 실장된 제1 및 제2 전극(140, 150), 제1 및 제2 전극(140, 150)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소자(120) 및 캐버티에 형성되는 봉지재(130)를 포함할 수 있고, 봉지재(130)는 형광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폴리프탈아미드(PPA: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실리콘(Si), 알루미늄(Al),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액정폴리머(PSG, photo sensitive glass), 폴리아미드9T(PA9T), 신지오택틱폴리스티렌(SPS), 금속 재질, 사파이어(Al2O3), 베릴륨 옥사이드(BeO),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사출 성형, 에칭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몸체(110)의 내측면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발광소자(120)에서 방출되는 광의 반사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몸체(110)에 형성되는 캐버티를 위에서 바라본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일 수 있으며, 특히 모서리가 곡선인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재(130)는 캐버티에 충진될 수 있으며, 형광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재(130)는 투명한 실리콘, 에폭시, 및 기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버티 내에 충진한 후, 이를 자외선 또는 열 경화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광체(미도시)는 발광소자(120)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종류가 선택되어 발광소자 패키지(100)가 다양한 파장의 광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봉지재(130)에 포함되어 있는 형광체(미도시)는 발광소자(120)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청색 발광 형광체, 청록색 발광 형광체, 녹색 발광 형광체, 황녹색 발광 형광체, 황색 발광 형광체, 황적색 발광 형광체, 오렌지색 발광 형광체, 및 적색 발광 형광체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형광체(미도시)는 발광소자(120)에서 방출되는 제1 빛을 가지는 광에 의해 여기 되어 제2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120)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형광체(미도시)가 황색 형광체인 경우, 황색 형광체는 청색 빛에 의해 여기되어 황색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청색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청색 빛 및 청색 빛에 의해 여기 되어 발생한 황색 빛이 혼색됨에 따라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백색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발광소자(120)가 녹색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는 magenta 형광체 또는 청색과 적색의 형광체(미도시)를 혼용하는 경우, 발광소자(120)가 적색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는 Cyan형광체 또는 청색과 녹색 형광체를 혼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형광체(미도시)는 YAG계, TAG계, 황화물계, 실리케이트계, 알루미네이트계, 질화물계, 카바이드계, 니트리도실리케이트계, 붕산염계, 불화물계, 인산염계 등의 공지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몸체(110)에는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50)이 실장될 수 있다.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50)은 발광소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50)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발광소자(12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발광소자(12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에서는 발광소자(120)가 제1 전극(150) 상에 실장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광소자(120)와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50)은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방식, 플립 칩(flip chip) 방식 또는 다이 본딩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는 제1 전극(140)과 제2 전극(150) 모두가 와이어(155)에 의해 광원소자(120)와 본딩된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수직형 발광소자의 경우는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500) 중 어느 하나가 와이어(155)에 의해 광원소자(120)와 본딩될 수 있으며, 플립칩 방식에 의해 와이어(155) 없이 광원소자(120)와 제1 전극(1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50)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알루미늄(Al), 인듐(In), 팔라듐(Pd), 코발트(Co), 실리콘(Si), 게르마늄(Ge), 하프늄(Hf), 루테늄(Ru), 철(Fe)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50)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40)과 제2 전극(1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전극(140)과 제2 전극(150)은 제1 금속층(210)과 제2 금속층(220)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금속층(210)과 제2 금속층(220)의 사이에는 차단층(230)이 개재된다.
제1 금속층(210)은 주로 제2 금속층(220)보다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고, 제2 금속층(220)은 반사도를 높여 광 출력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금속층(210)에 비하여 반사도가 높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전극(140)과 제2 전극(150)의 모든 영역에 제1 금속층(210), 차단층(230), 제2 금속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금속층(220) 및 차단층(230)은 제1 전극(140)과 제2 전극(150)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2b에서 도시한 반사영역(160)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영역은(160)은 제1 전극(140)과 제2 전극(150)이 몸체(110)의 캐버티와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반사영역은(160)은 몸체(110)의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과 수직적으로 일부 중첩될 수도 있다.
발광소자(120)는 제1 전극(140) 상에 실장되며,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발광소자(120)는 한 개 이상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20)는 그 전기 단자들이 모두 상부 면에 형성된 수평형 타입(Horizontal type)이거나, 또는 상, 하부 면에 형성된 수직형 타입(Vertical type), 또는 플립 칩(flip chip)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발광소자(120)의 측면에는 광 추출 구조(미도시)가 형성되어서 발광소자(120)의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됨으로써,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복수개가 기판 상에 어레이되며,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광 경로 상에 광학 부재인 도광판,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 패키지(100), 기판, 광학 부재는 라이트 유닛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발광소자(100) 또는 발광소자 패키지(10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지시 장치, 조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명 시스템은 램프,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전극은 도 1 도 2a 및 도 2b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소자 패키지의 제1 전극(140) 및/또는 제2 전극(150)에 일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반사 영역(160) 부분의 전극에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극은 제1 금속층(210)과 제2 금속층(220), 그리고 제1 금속층(210)과 제2 금속층(220) 사이에 개재된 차단층(230)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50)에는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알루미늄(Al), 인듐(In), 팔라듐(Pd), 코발트(Co), 실리콘(Si), 게르마늄(Ge), 하프늄(Hf), 루테늄(Ru), 철(Fe)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50)에서 제1 금속층(210)의 주요 기능은 발광소자(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므로, 제1 금속층(210)에는 상기의 금속들 중에서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금속층(210)은 구리(Cu), 니켈(Ni) 주석(Sn), 루테늄(Ru), 철(F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제2 금속층(220)은 반사를 위한 도금층에 해당된다. 즉, 제2 금속층(220)의 주요 기능은 발광소자(120)에서 출력된 광 중 일부가 후면으로 출사되는 경우, 후면으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전면으로 다시 출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금속층(220)에는 상기의 금속들 중에서, 전기 전도도보다는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금(Au), 백금(Pt), 알루미늄(Al), 은(A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차단층(230)은 제1 금속층(210)과 제2 금속층(220) 간의 금속의 확산을 방지하는 차단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제1 금속층(210)과 제2 금속층(220)이 차단층(230) 없이 직접 접촉되는 경우, 제1 금속층(210)의 금속이 제2 금속층(220)으로 확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금속의 농도 차이에 의하여 금속 간에 확산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만일 제1 금속층(210)이 제2 금속층(220)보다 확산율이 더 높은 경우, 제2 금속층(220)은 변색되거나 변형되어 그 반사 특성이 저해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금속층(220)이 은(Ag) 도금층이고 제1 금속층(210)이 구리(Cu)인 경우, 구리는 확산이 잘되는 특성을 가지며, 은에 비하여 쉽게 산화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나 습기와 접촉되었을 때 은 도금층인 제2 금속층(220)으로까지 산소를 끌여 들어 은 도금층의 산화를 촉진시킨다. 그런데 은의 특성 상, 산화되거나 구리가 유입되면 그 표면이 변색되고, 반사율이 저하된다. 광을 반사시키는 제2 금속층(220)의 반사율이 떨어지는 것은 발광소자 패키지의 전체적인 휘도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속층(210)과 제2 금속층(220) 사이에 차단층(230)을 형성하면, 제1 금속이 제2 금속층(220)으로 확산되거나, 산소나 습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층(230)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물질간의 확산을 방지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층(230)으로는 제1 금속층(210)에 사용된 제1 금속에 비하여 확산율이 더 적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티타늄(Ti), 텅스텐(W), 크롬(Cr), 팔라듐(Pd), 백금(Pt), 바나듐(V), 철(Fe), 몰리브덴(M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단층(23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차단층(230)은 금속 확산을 차단하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차단층(230)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면 전원 공급을 위한 전극의 유효 두께를 얇게 만드는 결과가 초래되어, 저항이 커지고 이로 인한 손실이 발생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차단층의 두께는 1nm 내지 1000nm,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 기능 및 저항 감소를 위하여 10nm 내지 100nm 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단층(230)은 다층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차단층(230)을 여러 번에 걸쳐 증착 또는 도금함으로써 차단층(230)이 제1층(231)과 제2 층(235)의 여러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231)과 제2 층(235)은 동일한 금속 또는 상이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층(230)의 적층 수나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 등은 차단 기능의 향상, 접착력, 가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차단층(230)과 제1 금속층(210), 그리고 차단층(230)과 제2 금속층(220)은 각각 제1 접착층(241)과 제2 접착층(245)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241)과 제2 접착층(245)은 차단층(230)으로 사용되는 금속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경우, 제1 금속층(210) 및 제2 금속층(220)과 차단층(230)과의 결합력을 높이는 동시에, 전기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극에는 제1 접착층(241)과 제2 접착층(245) 중 하나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접착층(241) 및/또는 제2 접착층(245)으로 인해 제2 금속층(220)으로 확산, 침투 또는 유입되는 제1 금속이나 산소, 습기 등의 차단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a는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b은 도 6a의 조명장치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300)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조명장치(300)의 길이방향(Z)과, 길이방향(Z)과 수직인 수평방향(Y), 그리고 길이방향(Z) 및 수평방향(Y)과 수직인 높이방향(X)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6b은 도 6a의 조명장치(300)를 길이방향(Z)과 높이방향(X)의 면으로 자르고, 수평방향(Y)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면, 조명장치(300)는 몸체(310), 몸체(310)와 체결되는 커버(330) 및 몸체(310)의 양단에 위치하는 마감캡(35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의 하부면에는 발광소자모듈(340)이 체결되며, 몸체(310)는 발광소자모듈(340)에서 발생된 열이 몸체(310)의 상부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전도성 및 열발산 효과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모듈(340)은 PCB 기판(342)과 발광소자(미도시)를 포함하는 발광소자패키지(344)를 포함하며, 발광소자패키지(344)는 PCB 기판(342) 상에 다색, 다열로 실장될 수 있어 어레이를 이룰 수 있고, 동일한 간격으로 실장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이격 거리를 가지고 실장되어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PCB 기판(342)으로는 MCPCB(Metal Core PCB) 또는 FR4 재질의 PCB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커버(330)는 몸체(310)의 하부면을 감싸도록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커버(330)는 내부의 발광소자모듈(340)을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커버(330)는 발광소자패키지(344)에서 발생한 광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외부로 광을 균일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확산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330)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프리즘 패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330)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형광체가 도포될 수도 있다.
한편, 발광소자패키지(344)에서 발생한 광은 커버(33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므로 커버(330)는 광투과율이 우수하여야하며, 발광소자패키지(344)에서 발생한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내열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바, 커버(33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등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캡(350)은 몸체(310)의 양단에 위치하며 전원장치(미도시)를 밀폐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감캡(350)에는 전원핀(352)이 형성되어 있어,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는 기존의 형광등을 제거한 단자에 별도의 장치 없이 곧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에지-라이트 방식으로, 액정표시장치(400)는 액정표시패널(410)과 액정표시패널(410)로 빛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47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410)은 백라이트 유닛(47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410)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412)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414)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 기판(412)은 액정표시패널(4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414)은 구동 필름(417)을 통해 다수의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41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414)은 인쇄회로기판(418)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인쇄회로기판(418)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액정에 인가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414)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다른 기판상에 박막으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470)은 빛을 출력하는 발광소자모듈(420), 발광소자모듈(420)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면광원 형태로 변경시켜 액정표시패널(410)로 제공하는 도광판(430), 도광판(430)으로부터 제공된 빛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수직 입사성을 향상시키는 다수의 필름(450, 466, 464) 및 도광판(430)의 후방으로 방출되는 빛을 도광판(430)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440)로 구성된다.
발광소자모듈(420)은 복수의 발광소자패키지(424)와 복수의 발광소자패키지(424)가 실장되어 어레이를 이룰 수 있도록 PCB기판(3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패키지(424)에 포함되는 발광소자는 도 1에서 상술한바 생략한다.
한편, 백라이트유닛(470)은 도광판(43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액정 표시 패널(410)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필름(466)과, 확산된 빛을 집광하여 수직 입사성을 향상시키는 프리즘필름(45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리즘필름(45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46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만, 도 7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하여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8는 직하 방식으로, 액정표시장치(500)는 액정표시패널(510)과 액정표시패널(510)로 빛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57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510)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백라이트 유닛(570)은 복수의 발광소자모듈(523), 반사시트(524), 발광소자모듈(523)과 반사시트(524)가 수납되는 하부 섀시(530), 발광소자모듈(523)의 상부에 배치되는 확산판(540) 및 다수의 광학필름(56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모듈(523) 복수의 발광소자패키지(522)와 복수의 발광소자패키지(522)가 실장되어 어레이를 이룰 수 있도록 PCB 기판(521)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524)는 발광소자패키지(522)에서 발생한 빛을 액정표시패널(510)이 위치한 방향으로 반사시켜 빛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발광소자모듈(523)에서 발생한 빛은 확산판(540)에 입사하며, 확산판(540)의 상부에는 광학 필름(560)이 배치된다. 광학 필름(560)은 확산 필름(566), 프리즘필름(550) 및 보호필름(5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조명 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은 조명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발광소자 패키지 110 : 몸체
120 : 발광소자 130 : 봉지재
140 : 제1 전극 150 : 제2 전극
210 : 제1 금속층 220 : 제2 금속층
230 : 차단층

Claims (8)

  1. 캐버티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에 구비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제1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보다 반사도가 높은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간에 금속의 확산을 차단하며, 상기 제1 금속보다 낮은 확산율을 가지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티타늄(Ti), 텅스텐(W), 크롬(Cr), 팔라듐(Pd), 백금(Pt), 바나듐(V), 철(Fe), 몰리브덴(Mo) 중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형성된 발광소자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두께는 1nm 이상 1000nm 이하인 발광소자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의 두께는 10nm 이상 100nm 이하인 발광소자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제2 금속층 중 하나 이상과 접착층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발광소자 패키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제1층 및 제2층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의 캐버티와 수직적으로 일부 중첩되는 반사 영역에 형성된 발광소자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반사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금속층으로부터 상기 제2 금속층을 둘러싸는 발광소자 패키지.
KR1020110026981A 2011-03-25 2011-03-25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KR10176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981A KR101764108B1 (ko) 2011-03-25 2011-03-25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981A KR101764108B1 (ko) 2011-03-25 2011-03-25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732A true KR20120109732A (ko) 2012-10-09
KR101764108B1 KR101764108B1 (ko) 2017-08-02

Family

ID=4728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981A KR101764108B1 (ko) 2011-03-25 2011-03-25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1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3159A1 (de) 2012-10-02 2014-04-03 Hyundai Motor Company Struktur eines vorderen Fahrzeugaufba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8549A (ja) * 2002-11-25 2004-08-12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2009135535A (ja) * 2003-02-25 2009-06-18 Kyocera Corp 多数個取り基板、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KR20090032207A (ko) * 2007-09-27 2009-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 소자
JP2010212508A (ja) 2009-03-11 2010-09-24 Sony Corp 発光素子実装用パッケージ、発光装置、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3159A1 (de) 2012-10-02 2014-04-03 Hyundai Motor Company Struktur eines vorderen Fahrzeugaufba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108B1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8686A (ko) 발광소자 모듈
KR20120132931A (ko) 발광소자패키지
KR101694175B1 (ko)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KR20120045539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20056543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86715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24886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76410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KR101920211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2075522B1 (ko) 발광소자패키지
KR101781047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904263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30014718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18752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20120034484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20072737A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731811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72262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83344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843734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778151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20073929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30014899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30039171A (ko) 발광소자 어레이
KR20120006370A (ko) 발광 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