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108187A -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187A
KR20120108187A KR1020110025800A KR20110025800A KR20120108187A KR 20120108187 A KR20120108187 A KR 20120108187A KR 1020110025800 A KR1020110025800 A KR 1020110025800A KR 20110025800 A KR20110025800 A KR 20110025800A KR 20120108187 A KR20120108187 A KR 20120108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device
platform
wireless interne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11002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8187A/ko
Publication of KR2012010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는 서비스관리부; 상기 단말장치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메시지생성부; 및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된 웹브라우저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통신사의 단말정보 및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해당 플랫폼 환경을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통신사에 구애 받지 않는 범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SERVICE SERVER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PLATFORM AND THE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단말장치의 운영을 위해 탑재된 모바일 플랫폼 기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응답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안내멘트와 단말장치에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통신사와의 연동 없이 단말장치 즉, 콜센터에 접속한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의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사를 통하여 고객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통신사 망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통화 연결 시에 무선인터넷을 통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해당 지역(국가)에 있는 모든 통신사와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모든 관련 시스템과 연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진행을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 중 일부의 통신사가 원하지 않을 경우 제한적인 서비스를 진행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통신사 협력 서비스는 그나마 국지적으로 가능할 수 있는 모델이며, 해외로 확대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모델이다.
또한, 일부 스마트폰(예, 아이폰)의 경우 통신사들이 보편적으로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스마트폰의 자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인프라를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통신사와의 협력 모델로서는 이와 같은 스마트폰 대상으로 범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며, 상기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 조회 결과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미등록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된 웹브라우저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통신사와의 연동 없이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파악하고 단말장치의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에 대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전달하고, 다운로드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를 통해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동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며,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통신사와의 연동 없이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파악하고 단말장치의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에 대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서비스서버가 제공되며: 이 서버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조회하는 서비스관리부; 상기 단말장치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메시지생성부; 및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메시지생성부에 요청하여 서비스 등록페이지의 접속주소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웹브라우저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로드주소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서비스 등록을 위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서비스 서버간에 설정되는 접속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관리부는,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자체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상기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거나, 다수의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를 공유하는 외부 통합서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서비스 등록페이지에 접속하여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된 다운로드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를 통해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동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서비스에이전트부; 및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서비스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에이전트부는,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등록페이지의 접속주소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달받아 상기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서비스 등록페이지에 접속하며, 이 때 상기 서비스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전달하여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조회하는 서비스관리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는 구동메시지생성단계;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구동메시지제공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접속주소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관리단계는, 상기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 조회 결과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미등록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메시지생성부에 요청하여 서비스 등록페이지의 접속주소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웹브라우저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관리단계는,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자체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상기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거나, 다수의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를 공유하는 외부 통합서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관리단계는, 음성응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선택 음성 안내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며, 상기 서비스 선택 음성 안내는, 상기 서비스 선택 음성 안내는, 음성 안내 서비스 또는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택일하도록 하며,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의 안내 시, 상기 플랫폼 기반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의 음성호 발신 시, 음성응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등록 조회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 정보를 조회하며, 조회 결과를 음성응답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음성응답서버가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의 안내 여부 및 순서와 명칭을 결정하여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다운로드주소를 수신하는 다운로드주소수신단계; 상기 다운로드주소 수신에 따라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를 통해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동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다운로드단계;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는 접속주소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서비스접속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운로드주소수신단계는,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 시, 서비스 등록페이지의 접속주소를 전달받은 상기 단말장치가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후 플랫폼 및/또는 단말정보를 전달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플랫폼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 수신을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음성응답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안내멘트와 단말장치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에 대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통신사에 구애 받지 않는 범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단말장치 별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제공하고, 다운로드주소를 전달받아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며, 이를 구동하여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말장치(100); 단말장치(100)에 서비스 선택을 위한 음성 안내멘트를 제공하여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음성응답서버(200,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주소와 무선 인터넷 안내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 주소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300),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이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서버(400), 및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한 플랫폼 예컨대, 아이폰OS(iOS), 안드로이드(Android), 및 윈도우모바일(Window Mobile) 등을 탑재하여 해당 플랫폼을 기반으로 음성통화 중에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지칭한다. 아울러, 상기 플랫폼서버(400)는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의 종류에 대응하여 자체적으로 메시징 기능,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안드로이드의 경우 C2DM, 아이폰의 경우 APNS, 윈도우모바일의 경우 MPN이 해당될 수 있으며, 나아가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환경은 안드로이드의 경우 안드로이드 마켓, 아이폰의 경우 앱스토어(App Store), 윈도우모바일의 경우 마켓플레이스(Market Place)가 해당된다.
상기 단말장치(10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주소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에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하여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에서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서버(300)에 무선인터넷 안내서비스 등록 조회 요청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미등록 상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서비스 등록페이지의 주소(URL)를 수신하게 되고,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주소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웹브라우저는 단말장치(100)의 운영시스템(OS)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 정보 예컨대, 플랫폼 종류, 플랫폼 버전 정보, 제조사 및 단말모델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정보를 접속된 서버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는 상기 플랫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서버(300)에서 생성된 다운로드주소는 단말장치(100)와 서비스서버(300) 간에 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나아가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기능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다운로드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동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다운로드주소에 포함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 즉,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다운로드 환경을 통해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가 완료될 경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비스서버(300)에 다운로드 완료를 통보하고,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음성응답서버(200)는 단말장치(100)에 서비스 선택을 위한 음성 안내멘트를 제공하고 서비스 등록 조회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응답서버(200)는 단말장치(100)의 음성 호 접속에 따라,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가 선택될 경우, 음성응답서버(20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서버(300)에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를 요청한다. 나아가, 음성응답서버(200)는 서비스서버(300)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미등록 상태가 통보될 경우, 단말장치(100)에 서비스 등록 절차에 대한 안내멘트를 제공한다. 또한, 음성응답서버(200)는 단말장치(100)의 음성 호 접속과 함께 서비스서버(300)에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를 요청하여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라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의 제공여부 및 안내순서와 명칭을 결정하여 달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확인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의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미등록 상태를 전달한다. 아울러, 서비스서버(300)는 서비스 등록페이지 접속주소(URL)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접속주소를 통해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한 단말장치(100)의 웹브라우저로부터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 정보 예컨대, 플랫폼 종류, 플랫폼 버전 정보, 제조사 및 단말모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의 플랫폼 기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단말장치(100)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300)에서 생성된 다운로드주소는 단말장치(100)와 서비스서버(300) 간에 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나아가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전달하거나, 상기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기능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아울러,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에 다운로드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다운로드 완료를 통보하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서비스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사실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 즉, 컨텐츠제공서버(500)에 대한 접속주소를 제공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다운로드주소를 수신하여,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를 통해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동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서비스에이전트부(110) 및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서비스접속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다운로드주소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에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하여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에서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선택함으로써, 상기 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를 요청하게 된다. 나아가, 서비스 미등록 상태가 확인되면,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서비스서버(300) 내의 서비스 등록페이지의 주소(URL)를 수신하게 되고,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주소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웹브라우저는 단말장치(100)의 운영시스템(OS)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 정보 예컨대, 플랫폼 종류, 플랫폼 버전 정보, 제조사 및 단말모델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정보를 접속된 서버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상기 플랫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다운로드주소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서버(300)에서 생성된 다운로드주소는 단말장치(100)와 서비스서버(300) 간에 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나아가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기능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아울러,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상기 수신된 다운로드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동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상기 수신된 다운로드주소에 포함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 즉,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다운로드 환경을 통해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상기 서비스접속부(120)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접속부(120)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가 완료될 경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비스서버(300)에 다운로드 완료를 통보하고,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접속부(120)는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및/또는 단말모델 정보를 조회하고,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단말장치(100)의 플랫폼 기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단말장치(100)에 전달하는 서비스관리부(310),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서비스관리부(31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등록페이지의 접속주소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전달하는 메시지생성부(320), 및 상기 단말장치(100)에 다운로드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접속제어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서비스관리부(310)는, 콜센터 내부적으로 수집한 단말정보를 토대로 자체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내부 서비스서버의 일부 일수도 있으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콜센터에서 수집한 단말정보를 통합하여 모든 콜센터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의 통합 서비스서버의 일부 일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확인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의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 요청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미등록 상태를 전달한다. 아울러, 서비스관리부(310)는 메시지생성부(320)에 요청하여 서비스 등록페이지에 대한 접속주소(URL)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제공된 접속주소를 통해 접속된 단말장치(100)의 웹브라우저로부터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 정보 예컨대, 플랫폼 종류, 플랫폼 버전 정보, 제조사 및 단말모델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플랫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서비스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의 플랫폼 기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관리부(310)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서비스 등록을 위하여 단말장치(100) 사이에 설정된 접속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관리부(310)는 메시지생성부(320)에 요청하여 상기 생성된 다운로드주소를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제공하거나,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 즉,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경로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달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다운로드주소를 플랫폼서버(400)의 메시징 경로를 통해 전송할 경우, 메시지생성부(320)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메시지 규격에 따라 다운로드주소를 생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접속제어부(330)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제어부(330)는 단말장치(100)에 다운로드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다운로드 완료를 통보하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서비스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사실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 즉, 컨텐츠제공서버(500)에 대한 접속주소를 제공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서비스 등록 상태에서 내장된 플랫폼 기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말장치(100); 단말장치(100)에 서비스 선택을 위한 음성 안내멘트를 제공하여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음성응답서버(200,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서비스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을 요청하는 서비스서버(300),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이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서버(400), 및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한 플랫폼 예컨대, 아이폰OS(iOS), 안드로이드(Android), 및 윈도우모바일(Window Mobile) 등을 탑재하여 해당 플랫폼을 기반으로 음성통화 중에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지칭한다.
상기 단말장치(10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등록 상태에서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에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하여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에서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 등록 조회 요청을 하게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상태가 확인되며, 단말장치(100)는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서버(300)에서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 즉,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경로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상기 구동메시지 수신에 따라 내장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비스서버(300)에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요청하고,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이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음성응답서버(200)는 단말장치(100)에 서비스 선택을 위한 음성 안내멘트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응답서버(200)는 단말장치(100)의 음성 호 접속에 따라,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 이어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상기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가 선택될 경우, 음성응답서버(20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서버(300)에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를 요청한다. 나아가, 서비스서버(300)로부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상태를 통보 받은 음성응답서버(200)는 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고, 단말장치(100)에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멘트를 제공한다.
또한, 음성응답서버(200)는 단말장치(100)의 음성 호 접속과 함께 서비스서버(300)에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를 요청하여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라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의 제공여부 및 안내순서와 명칭을 결정하여 달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의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 시,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전달한다.
또한,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300)는 음성응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맵핑된 플랫폼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플랫폼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서비스서버 주소, 발/착신자 번호 등을 해당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메시지 형태로 생성한다. 아울러,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 즉, 상기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기능을 통해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
아울러,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접속한 단말장치(100)에 대해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 즉, 컨텐츠제공서버(500)에 대한 접속주소를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구동메시지를 수신하는 서비스에이전트부(110) 및 내장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서비스접속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등록 상태에서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에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하여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에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을 서비스서버(3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서비스서버(300)에서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 즉,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경로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접속부(120)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접속부(120)는 상기 구동메시지 수신에 따라 내장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비스서버(300)에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요청하고,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이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접속부(120)는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텐츠가 웹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접속주소는 웹 URL이며, 상기 서비스접속부(120)는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컨텐츠에 접속하게 된다. 만약, 상기 컨텐츠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접속주소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이고, 상기 서비스접속부(1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컨텐츠에 접속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는 서비스관리부(310),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플랫폼 기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는 메시지생성부(320), 및 상기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접속제어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서비스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의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 시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전달한다.
상기 메시지생성부(320)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시지생성부(320)는 단말장치(100)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메시지생성부(32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맵핑된 플랫폼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플랫폼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서비스서버 주소, 발/착신자 번호 등을 해당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메시지 형태로 생성한다. 아울러, 메시지생성부(320)는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 즉, 상기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경로를 통해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
상기 접속제어부(330)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제어부(330)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접속한 단말장치(100)에 대해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 즉, 컨텐츠제공서버(500)에 대한 접속주소를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음성응답장치의 서비스 안내멘트와 단말장치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에 대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통신사에 구애 받지 않는 범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에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한다(S110).
이에 따라, 음성응답서버(20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S120).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에서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선택에 따라 음성응답서버(200)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 등록여부 조회를 요청하게 된다(S130-S140).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미등록 상태를 전달한다(S150).
이어서, 음성응답서버(200)는 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고 단말장치(100)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안내멘트를 제공한다(S160-S170).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서비스 등록페이지에 대한 접속주소(URL)를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S180-S190).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서비스 등록페이지에 대한 접속주소(URL)을 수신하게 되고, 이용자는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의 서비스 이용 안내멘트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주소에 접속하기 위하여 구동되는 웹브라우저는 단말장치(100)의 운영시스템(OS)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 정보 예컨대, 플랫폼 종류, 플랫폼 버전 정보, 제조사 및 단말모델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정보를 서비스서버(300)에 전달하게 된다(S200).
그런 다음,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의 웹브라우저로부터 획득된 플랫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서버(300)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다운로드주소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S210).
다음으로,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다운로드주소에 포함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 즉,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다운로드 경로를 통해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가 완료될 경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비스서버(300)에 다운로드 완료를 통보한다(S220-S240)
그리고 나서,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에 다운로드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다운로드 완료를 통보하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서비스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사실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 즉, 컨텐츠제공서버(500)에 대한 접속주소를 제공한다(S250).
이후,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S260).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에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하여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S310-S320).
그리고 나서,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에서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선택에 따라 상기 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 등록 조회를 요청하게 된다(S330).
이에 따라,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서비스서버(300)내의 서비스 등록페이지에 대한 접속주소(URL)을 수신하게 되고,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웹브라우저는 단말장치(100)의 운영시스템(OS)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 정보 예컨대, 플랫폼 종류, 플랫폼 버전 정보, 제조사 및 단말모델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정보를 접속된 서버에 전달한다(S340-S360).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상기 플랫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한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다운로드주소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운로드주소는 상기 단말장치(100)와 서비스서버(300) 간에 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되며,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기능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S370).
아울러,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상기 수신된 다운로드주소에 포함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 즉,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다운로드 경로를 통해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S380-S390).
나아가, 서비스접속부(120)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가 완료될 경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비스서버(300)에 다운로드 완료를 통보하고,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게 된다(S400-S420).
이후, 서비스접속부(120)는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S430).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의 무선인터넷 안내서비스 요청에 따라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미등록 상태를 전달한다(S510-S520).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서비스 등록 요청을 받은 서비스관리부(310)는 메시지생성부(320)에 요청하여 서비스 등록페이지에 대한 접속주소(URL)를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S530-S540).
또한, 서비스관리부(310)는 상기 제공된 접속주소를 통해 접속된 단말장치(100)의 웹브라우저로부터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 정보 예컨대, 플랫폼 종류, 플랫폼 버전 정보, 제조사 및 단말모델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플랫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S550).
이어서, 서비스관리부(310)는 는 플랫폼 기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단말장치(1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다운로드주소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되나, 서비스관리부(310)가 메시지생성부(320)에 요청하여 다운로드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통신사가 운영하는 단문메시지센터(SMSC)를 통해 제공하거나,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 즉,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기능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달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다운로드주소를 플랫폼서버(400)의 메시징 경로를 통해 전송할 경우, 메시지생성부(320)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메시지 규격에 따라 다운로드주소를 생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560-S570).
이후, 접속제어부(330)는 단말장치(100)에 다운로드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다운로드 완료를 통보하는 상기 단말장치(100)에 대해 서비스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사실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 즉, 컨텐츠제공서버(500)에 대한 접속주소를 제공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한다(S580-S590).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장치(10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등록 상태에서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에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한다(S610).
그런 다음, 음성응답서버(20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S620).
다음으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에서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선택에 따라 음성응답서버(200)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를 요청하게 된다(S630-S640).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전달한다(S650).
이어서, 음성응답서버(200)는 서비스서버(300)에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고 단말장치(100)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안내멘트를 제공한다(S660-S670).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서버(30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맵핑된 플랫폼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플랫폼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서비스서버 주소, 발/착신자 번호 등을 해당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메시지 형태로 생성한다. 아울러, 서비스서버(300)는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 즉, 상기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경로를 통해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S680-S690).
이후, 단말장치(100)는 상기 구동메시지 수신에 따라 내장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비스서버(300)에 접속하여 컨텐츠 접속주소를 요청하고,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S700-S720).
한편, 예외사항 처리를 위하여 서비스서버(300)가 구동메시지를 전송한 이후, 일정시간이 되어도 단말장치(100)로부터 접속주소 요청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오류 발생을 음성응답서버(200)에 전달하여, 이를 안내멘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상기 구동메시지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S730-S740).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등록 상태에서 상기 음성응답서버(200)에 음성 호 연결을 시도하여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ex, 1번은 음성 안내 서비스, 2번은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S810-S820).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서비스 선택 음성멘트에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을 서비스서버(300)에 전달하게 된다(S830).
이에 따라,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에이전트부(110)는 서비스서버(300)에서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 즉,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기능을 통해 수신하게 된다(S840).
나아가, 서비스접속부(120)는 상기 구동메시지 수신에 따라 내장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서비스서버(300)에 접속주소를 요청하고, 서비스서버(300)로부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게 된다(S850-S870).
이후, 서비스접속부(120)는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토대로 컨텐츠제공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S880).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비스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의 무선인터넷 안내서비스 요청에 따라 음성응답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등록 여부 조회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서비스 등록 상태를 전달한다(S910-S920).
그런 다음, 서비스관리부(310)는 음성응답서버(200)를 통해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한다(S930-S940).
이를 기반으로, 메시지생성부(320)는 단말장치(100)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메시지생성부(320)는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에 맵핑된 플랫폼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플랫폼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서비스서버 주소, 발/착신자 번호 등을 해당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메시지 형태로 생성한다(S950).
아울러, 메시지생성부(320)는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 즉, 상기 플랫폼서버(400)에서 제공하는 메시징 경로를 통해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100)에 제공한다(S960).
이후, 접속제어부(330)는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접속한 단말장치(100)에 대해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 즉, 컨텐츠제공서버(500)에 대한 접속주소를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한다(S970-S98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음성응답장치의 서비스 안내멘트와 단말장치에 탑재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단말장치에 대한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통신사에 구애 받지 않는 범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단말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기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모든 국지적인 통신사의 연동 없이도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당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서비스에이전트부 120: 서비스접속부
200: 음성응답서버
300: 서비스서버
310: 서비스관리부 320: 메시지생성부
330: 접속제어부
400: 플랫폼서버
500: 컨텐츠제공서버

Claims (8)

  1.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는 서비스관리부;
    상기 단말장치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메시지생성부; 및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접속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관리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된 웹브라우저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관리부는,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자체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상기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거나, 다수의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를 공유하는 외부 통합서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
  3.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탑재된 플랫폼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를 통해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동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서비스에이전트부; 및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서비스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에이전트부는,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 시, 내장된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상기 플랫폼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정보의 전송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수신을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는 서비스관리단계;
    상기 단말장치의 플랫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메시지를 생성하는 구동메시지생성단계;
    상기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구동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구동메시지제공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 내장된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제공하는 접속주소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관리단계는,
    상기 플랫폼 정보 조회 결과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서비스 미등록 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단말장치에 탑재된 웹브라우저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관리단계는,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자체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상기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거나, 다수의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단말장치 별 플랫폼 정보를 공유하는 외부 통합서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서버의 동작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관리단계는,
    음성응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선택 음성 안내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 정보를 조회하며,
    상기 서비스 선택 음성 안내는,
    음성 안내 서비스 또는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택일하도록 하며,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의 안내 시, 상기 플랫폼 기반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를 이용가능한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7.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에 따라 내장된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다운로드주소를 수신하는 다운로드주소수신단계;
    상기 다운로드주소 수신에 따라 단말장치의 운용을 위해 탑재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경로를 통해 상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동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다운로드단계;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접속주소를 수신하는 접속주소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접속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는 서비스접속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로드주소수신단계는,
    서비스 미등록 상태에서 상기 무선인터넷 안내 서비스 요청 시, 상기 웹브라우저의 구동을 통해 플랫폼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플랫폼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어플리케이션 수신을 위한 다운로드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10025800A 2011-03-23 2011-03-23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108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00A KR20120108187A (ko) 2011-03-23 2011-03-23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00A KR20120108187A (ko) 2011-03-23 2011-03-23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87A true KR20120108187A (ko) 2012-10-05

Family

ID=4727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800A KR20120108187A (ko) 2011-03-23 2011-03-23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81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0853B2 (en) Configuring captive portals with a cloud service
US93011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ersonal network for providing a CPNS service
US7912445B2 (en) Virtual service providers
US77735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ssages associated with a voice over IP terminal
EP20849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push service, and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36022B1 (ko) 서비스 제어 장치 연동을 통한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6338229B2 (ja) D2d通信発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RU2010116186A (ru) Аппаратура и способы для сетев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беспроводных устройств открытого рынка
US9713176B2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1630276B1 (ko)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2123362A (zh) 一种移动设备自动获取手机号码的方法
WO2018130225A1 (zh) 无线回传链路辅助建立方法及装置、无线回传链路建立方法及装置
US11019222B2 (en) System, method, and process for handling wireless service and wireless device transaction and information requests
JP5610654B2 (ja) 端末管理パッケージを提供する装置及び前記端末管理パッケージを受信する方法
KR102135499B1 (ko) 메시지를 이용한 보이는 에이알에스 제공 방법
KR101621093B1 (ko)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5036871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1169062B1 (ko)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108187A (ko) 플랫폼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0929000B1 (ko) 펌웨어 관리 방법, 펌웨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펌웨어 관리가 가능한 단말 및 펌웨어 관리 서비스를제공하는 서버
CN104205789A (zh) 通信系统
KR101676432B1 (ko) 무선 와이파이 환경에서 사물인터넷 보드와 응용 서버의 탐색 및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275387A1 (en) Communication gateway
RU265624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шлюза
KR20090083612A (ko)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어플리케이션 관리가 가능한 단말 및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