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452A - Appartus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 Google Patents
Appartus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0452A KR20120100452A KR1020110019358A KR20110019358A KR20120100452A KR 20120100452 A KR20120100452 A KR 20120100452A KR 1020110019358 A KR1020110019358 A KR 1020110019358A KR 20110019358 A KR20110019358 A KR 20110019358A KR 20120100452 A KR20120100452 A KR 201201004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escape
- housing
- evacuation space
- emergency esc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외부와 차단된 공간을 구비하여, 화재시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출할 수 있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space isolated from the outsi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not only can be evacuated safely in case of fire, but also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that can escap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양한 고층건물에는 소방시설이나 안전시설의 수단으로서 비상탈출용 사다리나 견인용 로우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탈출 수단들은 대부분 건물의 외벽에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In general, apartments and various high-rise buildings are equipped with emergency escape ladders and towing ropes as a means of fire fighting or safety facilities. Most of these emergency escape means are open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us are affected by the outside.
예를 들면, 비상탈출 사다리가 외벽에 설치된 경우에 보호장치가 없기 때문에 탈출자는 큰 두려움을 느끼게 되어 탈출 행동이 빠르지 못하고, 탈출자가 창문으로 치솟는 불길이나 연기에 노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mergency escape ladder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since there is no protection device, the escaper feels great fear and the escape action may not be fast, and the escaper may be exposed to the flame or smoke that rises through the window.
또한,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비상탈출 사다리를 타고 내려오는 도중에 힘이 빠져 사다리로부터 이탈되어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도 유발되었던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lderly or children, the problem of being able to fall off the ladder by falling out of the power during the down the emergency escape ladder was also caused.
그리고, 건물의 외벽에 비상탈출용 사다리가 구비된 경우 건물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emergency escape ladder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re was a problem of damaging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각 층간마다 구획되며, 외부와 구분되는 캡슐 형태가 연이어 연결되어 창문이 근접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됨으로써 탈출자의 무서움이나 두려움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불길과 연기로부터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는 탈출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tioned between each floor, the capsule form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is connected in series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djacent to the window to minimize the fear or fear of the escape, to protect the escape from flames and smoke It is to provide a means of escap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창문 또는 베란다와 근접한 건물의 외벽에 연직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로서, Th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s that ar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djacent to the window or veranda,
하부 또는 상부가 탈출도어를 구비한 격판에 의해 폐쇄되고, 창문이나 베란다와 겹치는 일측 또는 양측 영역에 건물의 창문이나 베란다로부터 진입하기 위한 진입도어가 구비되며, 내부에 대피공간을 형성하고, 건물의 층수에 대응되는 갯수가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되되, 상기 격판에 의해 각 대피공간이 상,하부로 구획되고, 상기 탈출도어에 의해 연통되는 하우징; 및The lower part or the upper part is closed by a diaphragm having an escape door, and an entrance door for entering from the window or the veranda of the building is provided in one or both areas overlapping the window or the veranda, and an evacu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building. A number of floor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engthwise direction, the evacuation space being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by the diaphragm, the housing being communicated by the escape door; And
상기 상부 측의 탈출도어에 근접한 격판의 저면과 상기 하부 측의 격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사다리를 포함하고, It includes a ladder installed inclined between the bottom of the diaphragm adjacent to the escape door of the upper side and the diaphragm of the lower side,
탈출자가 상기 진입도어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대피공간으로 대피한 후 인접한 상기 격판에 구비된 탈출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하부측 또는 상부측 하우징의 대피공간으로 탈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fter the escape by evacuating to the evacuation space of the housing through the entrance door, the escape door provided in the adjacent diaphragm is opened and then escape to the evacuation space of the lower or upper housing by using the ladder. It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상기 탈출도어는, The escape door is,
상기 격판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The diaphragm is installed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하우징은, The housing,
상기 창문이나 베란다로부터 치솟는 불길과 열을 차단하도록 불연재와 단열재로 이루어져 상기 창문이나 베란다와 접한 측면 영역에 구비되는 차단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made of a nonflammable material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block the flames and heat rising from the window or the porch is provided in the side area in contact with the window or the veranda.
상기 하우징은, The housing,
전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 파이프;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pipes disposed at the front;
상기 대피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수직 지지 파이프에 수평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 파이프; 및A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vertical support pipes inside the evacuation space; And
상기 각 수평 파이프 사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대피공간의 외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 지지 파이프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It includes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pi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evacuation space to cover between the horizontal pipe.
상기 사다리는, The ladder,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수직부재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발판을 포함하고, It includes a footrest disposed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disposed parallel to both sides,
탈출자가 잡고 지지하도록 상기 각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난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It further comprises a handrail member installed on each of the vertical members so that the escaper grabs and supports.
상기 사다리는, The ladder,
탈출자가 신속하게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최 상부측의 상기 발판과 최 하부측의 발판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미끄럼 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sliding pipes which are installed by connecting the footrest on the top and the footrest on the top so that the escape person quickly slips down.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조명등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해당 층의 화재발생시 점등되는 경광등이 설치되는 것이다. A lighting lamp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a warning lamp that is turned on when a fire occurs on the floor is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이나 베란다가 접한 건물의 외벽에 외부와 구분되는 대피공간을 구비한 하우징이 연직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됨으로써, 탈출자가 하우징의 내부로 대피한 후 탈출도어를 통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having an evacuation space separated from the outside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in contact with a window or a veranda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escaper escapes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then moves upward or downward through the escape door. You can escape.
또한, 하우징의 전방부를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비상시에 안전한 탈출경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to the curved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escape route in an emergency without harming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shown in FIG.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dder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shown in FIG.
Figure 4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사다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dder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는 창문 또는 베란다와 근접한 건물의 외벽에 연직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대피공간(S)을 형성하면서 탈출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내부에 대피공간(S)을 형성하도록 캡슐 형태로 형성되어 연직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되는 하우징(10)과, 각 하우징(10)의 내부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사다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djacent to the window or veranda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n evacuation space (S) to have an escape means The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하우징(10)은 그 내부에 대피공간(S)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 또는 상부가 탈출도어(12)를 구비한 격판(14)에 의해 폐쇄되고, 건물의 벽면에 밀착되는 내벽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진입도어(16)가 설치된다. The
진입도어(16)는 탈출자가 창문이나 베란다로부터 대피공간(S)으로 진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공간(S)을 열리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진입도어(16)와 진입구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차연용 패킹이 설치됨은 당연하다. The
그리고, 진입도어(1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에 접한 하우징(10)의 내벽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러나, 창문이 일측에만 있는 경우에 진입도어(16)는 창문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됨은 물론이며, 불연재와 단열재를 구비한 방화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진입도어(16)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And, the
한편, 하우징(10)의 전방부를 제외한 양측부에는 건물의 화재시 창문이나 베란다로 치솟는 불길에 타지 않고, 불길에 의한 열기가 대피공간(S)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불연재 및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단판(18)이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both sides except the front portion of the
격판(14)은 하우징(10)의 하부 또는 상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최 상부측에 위치하는 하우징(10)의 상부에도 격판(1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격판(14)은 서로 맞닿게 결합된 각 하우징(10)을 구분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The
탈출도어(12)는 격판(14)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열리도록 구성된다. 이는 탈출도어(12)가 폐쇄된 상태에서 탈출자가 탈출도어(12)를 밟더라도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탈출도어(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출공의 저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작동홈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최 상부측의 하우징(10)에 설치되는 탈출도어(12)와 최 하부측의 하우징(10)에 설치되는 탈출도어(12)에는 비상시를 제외한 평상시에 외부로부터 진입하지 못하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한편, 하우징(10)의 전면은 다수개의 파이프(11A,11B)와 커버부재(11C)에 의해 외부와 구분된다. 즉, 하우징(1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 파이프(11A)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배치된다. 이때, 각 수직 지지 파이프(11A)의 상,하단부는 상,하부측의 격판(14)에 고정된다. 그리고, 대피공간(S)의 내측에서 수직 지지 파이프(11A)에 수평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수평 파이프(11B)가 배치되어 결합된다. 이어서, 각 수평 파이프(11B) 사이를 커버하도록 대피공간(S)의 외측에서 소정의 폭을 갖는 커버부재(11C)가 수평방향으로 수직 지지 파이프(11A)에 결합된다. 이때, 커버부재(11C)의 폭은 각 수평 파이프(11B) 간의 간격와 같거나 작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1C)는 미관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평 파이프(11B)는 탈출자가 손잡이로 활용하여 지지할 수 있고, 수평 파이프(11B)와 커버부재(11C)는 탈출자가 고층에서 고소공포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도록, 탈출자의 시야를 안정되게 한다. 즉, 고층에서 지면이 곧바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surface of the
그리고,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평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구조이면 만족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하우징(10)의 내부, 즉 대피공간(S)에는 필요에 따라 야간에 탈출자의 탈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조명등(40)이 설치된다. 이 조명등(40)은 비상 전원으로부터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태양전지판(쏠라)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지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 점등되도록 하거나, 탈출자가 대피공간(S)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그리고, 하우징(10)에는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광등(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광등(50)은 화재발생시에 조명등(40)과 더불어 점등됨으로써 외부에 화재발생을 알리거나, 비상사태, 예를 들면 강도에 의한 탈출시에 점등되어 해당 층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외부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n, the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다리(20)는 상부측 하우징(10)의 탈출도어(12)에서 하부측 하우징(10)의 격판(14)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부측 탈출도어(12)의 근접위치에 고정되고, 하단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하부측 탈출도어(12)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측 탈출도어(12)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고정된다. 따라서, 각 하우징(10)에 설치된 각각의 사다리(20)는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은 사다리(20)는 탈출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다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수직부재(22)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발판부재(24)을 포함하고, 탈출자가 잡고 지지하도록 각 수직부재(22)에 설치되는 난간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탈출자가 신속하게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최 상부측의 발판부재(24)과 최 하부측의 발판을 연결하여 한 쌍의 미끄럼 파이프(28)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다리(20)는 탈출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다리(20)가 내설된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층수에 대응되는 갯수로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된다. 즉, 각각 대피공간(S)을 구비한 캡슐형태의 각 하우징(10)이 상,하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연결되도록 창문이나 베란다에 근접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실시 예에 따른 건물용 비상탈출장치가 건물의 창문과 근접한 위치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특정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탈출자는 창문이나 베란다로 나온 후, 진입도어(16)를 열고 하우징(10)의 대피공간(S)으로 들어가서 대피한다. In the state where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a wall of a location adjacent to a window of a building, when a fire occurs on a specific floor, the escaper exits a window or a veranda, then opens the
이어서, 대피공간(S)으로 진입한 탈출자는 진입도어(16)를 닫아 연기와 불길이 대피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Subsequently, the escaper entering the evacuation space (S) closes the entrance door (16) to prevent smoke and flames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space (S).
탈출자가 대피공간(S)으로 진입하면, 대피공간(S)에서는 조명등(40)이 점등되고, 전방커버(18)의 외측에 구비된 경광등(50)이 점등되어 외부에 화재사실을 알린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대피공간(S) 내부에 움직임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탈출자의 진입을 감지한 후 경광등(50)과 조명등(40)을 점등시킬 수 있고, 화재경보기와 연동시켜 화재경보기의 작동시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피공간(S)에 비상전화기를 설치하여 탈출자가 외부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When the escaper enters the evacuation space (S), in the evacuation space (S), the
탈출자는 대피공간(S)에서 대기하며 구조를 기다릴 수 있다. 이는 하우징(10)이 외부와 차단된 캡슐형태로 형성되어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이며, 불길과 연기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다. 즉, 하우징(10)의 상,하부가 격판(14)에 의해 파단되고 양측에 차단판(18)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The escaper can wait in the evacuation space (S) and wait for rescue. This is because the
이때, 탈출자는 하우징(10)의 커버부재(11C)와 수평 파이프(11B) 사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통하여 신선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며, 수평 파이프(11B)와 커버부재(11C) 사이를 통하여 외부를 볼 수 있다. 그러나, 탈출자는 수평 파이프(11B)와 커버부재(11C) 사이의 틈을 통해서만 지면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고층에서 느끼는 고소공포증이 최소화될 수 있고,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된다. In this case, the escaper may suck fresh air through the outside air introduced between the
특히, 탈출자는 대피공간(S)으로 대피한 탈출자는 연직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 수평 파이프(11B)를 잡고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안정감을 갖게 된다. In particular, the escaper has a sense of stability by being able to hold and support the horizontal pipe (11B) installed in succes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escaped to the evacuation space (S).
한편, 탈출자가 해당 대피공간(S)에서 탈출하고자 한다면, 탈출도어(12)를 슬라이딩시켜 개방한 후 사다리(20)를 이용하여 하부측 하우징(10)의 대피공간(S)으로 대피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escaper wants to escape from the evacuation space (S), the
이때, 탈출자는 난간부재(26)를 잡고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으며, 좀더 신속하게 내려오기 위해서는, 두 손은 난간부재(26)를 잡고, 두 발을 미끄럼 파이프(28)에 접촉시킨 후 미끄러지면서 아래로 내려올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scaper can safely descend by holding the
이러한 과정을 각 대피공간(S)에서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탈출자는 안전하게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는 것이다.By repeatedly performing this process in each evacuation space (S), the escaper can safely escape to the ground.
이상에서와 같이 캡슐형태의 각 하우징(10)이 창문이나 베란다에 근접한 건물의 외벽에 연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됨으로써 각 층의 창문이나 베란다를 통하여 각 하우징(10)의 대피공간(S)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각 하우징(10)에 설치된 사다리(20)를 통하여 하부측의 대피공간(S)으로 대피할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또는 비상사태, 위급상황시에 노약자가 여성, 어린이 등이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탈출하거나 대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apsule-shap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하우징 11A : 수직 지지 파이프
11B : 수평 파이프 11C : 커버부재
12 : 탈출도어 14 : 격판
16 : 진입도어 17 : 투명창
18 : 차단판 19 : 발판
20 : 사다리 22 : 수직부재
24 : 발판부재 26 : 난간부재
28 : 미끄럼 파이프 40 : 조명등
50 : 경광등 S : 대피공간
10
11B:
12: escape door 14: plate
16: entrance door 17: transparent window
18: blocking plate 19: scaffold
20: ladder 22: vertical member
24: scaffold member 26: handrail member
28: sliding pipe 40: lighting
50: warning light S: evacuation space
Claims (8)
하부 또는 상부가 탈출도어를 구비한 격판에 의해 폐쇄되고, 창문이나 베란다와 겹치는 일측 또는 양측 영역에 건물의 창문이나 베란다로부터 진입하기 위한 진입도어가 구비되며, 내부에 대피공간을 형성하고, 건물의 층수에 대응되는 갯수가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연결되되, 상기 격판에 의해 각 대피공간이 상,하부로 구획되고, 상기 탈출도어에 의해 연통되는 하우징; 및
상기 상부 측의 탈출도어에 근접한 격판의 저면과 상기 하부 측의 격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사다리를 포함하고,
탈출자가 상기 진입도어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대피공간으로 대피한 후 인접한 상기 격판에 구비된 탈출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하부측 또는 상부측 하우징의 대피공간으로 탈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a building that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djacent to a window or a veranda,
The lower part or the upper part is closed by a diaphragm having an escape door, and an entrance door for entering from the window or the veranda of the building is provided in one or both areas overlapping the window or the veranda, and an evacu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building. A number of floor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engthwise direction, the evacuation space being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by the diaphragm, the housing being communicated by the escape door; And
It includes a ladder installed inclined between the bottom of the diaphragm adjacent to the escape door of the upper side and the diaphragm of the lower side,
After the escape by evacuating to the evacuation space of the housing through the entrance door, the escape door provided in the adjacent diaphragm is opened and then escape to the evacuation space of the lower or upper housing by using the ladder. ,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상기 탈출도어는,
상기 격판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escape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문이나 베란다로부터 치솟는 불길과 열을 차단하도록 불연재와 단열재로 이루어져 상기 창문이나 베란다와 접한 측면 영역에 구비되는 차단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rrier plate made of a non-flammable material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block the flames and heat rising from the window or porch provided in the side area in contact with the window or veranda,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 파이프;
상기 대피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수직 지지 파이프에 수평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 파이프; 및
상기 각 수평 파이프 사이를 커버하도록 상기 대피공간의 외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 지지 파이프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pipes disposed at the front;
A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vertical support pipes inside the evacuation space; And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pipe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evacuation space to cover the horizontal pipes.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상기 사다리는,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수직부재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발판을 포함하고,
탈출자가 잡고 지지하도록 상기 각 수직부재에 설치되는 난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adder,
It includes a footrest disposed at equal intervals between the vertical members disposed parallel to both sid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ndrail member installed on each vertical member so as to hold and support the escape,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상기 사다리는,
탈출자가 신속하게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최 상부측의 상기 발판과 최 하부측의 발판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미끄럼 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lad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sliding pipes are installed by connecting the footrest on the top and the footrest on the uppermost side so that escape escapes quickly,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조명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In the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p is installe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해당 층의 화재발생시 점등되는 경광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비상탈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warning light which is turned on when the fire of the floor is installe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9358A KR20120100452A (en) | 2011-03-04 | 2011-03-04 | Appartus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9358A KR20120100452A (en) | 2011-03-04 | 2011-03-04 | Appartus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0452A true KR20120100452A (en) | 2012-09-12 |
Family
ID=4711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9358A KR20120100452A (en) | 2011-03-04 | 2011-03-04 | Appartus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00452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2410B1 (en) * | 2017-10-27 | 2019-02-26 | 이주현 | Escape chute and building escaping method using the same |
KR20200079809A (en) * | 2018-12-26 | 2020-07-06 | 윤현지 | Safety rails for evacuation of buildings with fire-proof doors |
KR102637799B1 (en) * | 2023-01-10 | 2024-02-16 |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 Evacuation system for building including transfer par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11
- 2011-03-04 KR KR1020110019358A patent/KR2012010045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2410B1 (en) * | 2017-10-27 | 2019-02-26 | 이주현 | Escape chute and building escaping method using the same |
KR20200079809A (en) * | 2018-12-26 | 2020-07-06 | 윤현지 | Safety rails for evacuation of buildings with fire-proof doors |
KR102637799B1 (en) * | 2023-01-10 | 2024-02-16 |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 Evacuation system for building including transfer par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7204B1 (en) | Escaping device of the building with a room for a fire escape | |
KR101874040B1 (en) | Door Sealing Structure for Emergency Elevator | |
US20140196383A1 (en) | Building fire escape system and refuge chamber | |
KR101216204B1 (en) | Emergency Escape Apparatus in Multistory Structures | |
KR102167186B1 (en) | Door apparatus capable of emergent escape | |
WO2012033273A1 (en) | Fire evacuation shelter facilities | |
KR101119886B1 (en) |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inter-floor in building | |
KR20120100452A (en) | Appartus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 |
KR101997696B1 (en) | Emergency escape slides equipped with a friction reducing device | |
KR101235308B1 (en) | Guardrail of balcony for evacuating | |
KR102025382B1 (en) | Active evacuation guidance system | |
CN208017947U (en) | Chute type rescues safety ladder for evacuating | |
KR20150102832A (en) | 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 |
CN203201233U (en) | Building with passive self-rescue escape and evacuation system | |
KR101790693B1 (en) | Fire evacuation rooms of buildings where two neighbors can evacuate in case of fire | |
KR101093039B1 (en) | A balcony structure having emergency exit of a building | |
KR101591060B1 (en) | 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 |
KR101914783B1 (en) | Celling fall structure for relief supplies of fire | |
CN215585278U (en) | Fire escape refuge room for multi-storey/high-rise building | |
CN212593638U (en) | Apartment fire safety system | |
JP2005213996A (en) | Escape ladder device | |
KR20130024575A (en) | A fire door | |
KR101297429B1 (en) | Device for Preventing Smoke Diffusion | |
CN103055437A (en) | Building evacuation system | |
CN113332621A (en) | High-rise building escap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