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084741A -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 부직포 및 그 제조법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 부직포 및 그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741A
KR20120084741A KR1020127010136A KR20127010136A KR20120084741A KR 20120084741 A KR20120084741 A KR 20120084741A KR 1020127010136 A KR1020127010136 A KR 1020127010136A KR 20127010136 A KR20127010136 A KR 20127010136A KR 20120084741 A KR20120084741 A KR 20120084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nonwoven fabric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hydroxyl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우치다
야스마사 아카츠카
카즈노리 이시카와
시게루 모테키
Original Assignee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74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9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8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8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26Microfiber is synthetic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및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의 양자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수득된 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나노파이버, 그 나노파이버의 적층물에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수득되는 부직포,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한 그 나노파이버의 제조법 및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수득되는 나노파이버의 퇴적물을 가열 처리하는 것만으로 부직포를 얻을 수 있고, 수득된 부직포는 열경화에 의해 나노파이버 상호간이 결합하고 있어, 기계강도, 내열ㆍ내약품성이 뛰어나고, 고강도라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 부직포 및 그 제조법{FIBERS CONSISTING OF THERMOSETT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SAME}
본 발명은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파이버용 열경화성 조성물, 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나노파이버, 그 나노파이버의 퇴적물을 가열 경화시킨 부직포,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필터재나 쿠션재에 사용되는 부직포에는 여러 종류의 유기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우주ㆍ항공기 등의 엔진용 필터, 산업 연소로 등의 집진 설비용 백필터 등을 구성하는 부직포,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전극 등의 전자부품용 세퍼레이터에 사용되는 부직포나, 철강, 요업, 비철금속분야의 제조공정에서 쿠션재로 사용되는 부직포에는 내열성, 내약품성 및 기계강도를 필요로 하고 있고, 유리섬유,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무기계 부직포나,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나 불소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부직포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무기계 부직포는 섬유 상호간이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부직포의 제조 시, 사용시 및 폐기 처리시 등에 발생하는 무기섬유의 분진이 인체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경원시 되고 있다. 또 탄성율이 높기 때문에 쿠션재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 불순물 이온을 함유하기 때문에 전자부품용도로의 사용은 곤란하였다. 또, 유기계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내열성이 불충분하거나, 섬유화가 곤란하거나, 섬유간의 결합이 없기 때문에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이 불충분하거나, 기계강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내열성,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 및 기계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섬유간을 결합시키는 플리스 결합법으로서, 저융점의 섬유를 열로 용융시켜 섬유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서멀본드법(특허문헌 1)이나, 접착제를 함침 또는 그 표면에 스프레이한 부직포의 섬유 상호간을 열접착시키는 케미컬본드법(특허문헌 2) 등이 고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부직포는 저융점 화합물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하에서 변형 또는 용융하고, 내열성이 불충분하였다. 또, 특허문헌 2의 부직포에 있어서는 섬유의 결합에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기용제에서 특정 성분이나 수지가 용해되고, 내약품성이나 기계강도가 불충분하였다.
또,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특허문헌 3에 접착제 조성물로서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H09-17694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21784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29710호
본 발명은 열경화성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나노파이버 및 그 나노파이버로부터 수득되는 내열성, 내약품성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서 그것 자체가 열경화성을 가지는 나노파이버를 제작하고, 그 나노파이버 상호간을 열경화에 의해 결합시켜서 수득되는 부직포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1)?(16)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것이다.
(1)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파이버.
(2) 상기 (1)에서,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가, 하기 식(A)의 반복구조를 가지는 랜덤 공중합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인 열경화성 파이버: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2가의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n은 평균 치환기수로서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x, y, z는 평균 중합도로서 x는 1?10, y는 0?20, z는 1?50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3) 상기 (1) 또는 (2)에서, 10?1000nm의 섬유경을 가지는 나노파이버인 열경화성 파이버.
(4) 상기 (3)에서, 일렉트로스피닝법으로 제조된 열경화성 파이버.
(5) 상기 (3)에 기재된 열경화성 파이버의 퇴적물을 열경화한 부직포.
(6) 상기 (5)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내열성 백필터.
(7) 상기 (5)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이차전지 세퍼레이터.
(8) 상기 (5)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이차전지전극.
(9) 상기 (5)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단열재료.
(10) 상기 (5)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여과직물.
(11) 상기 (5)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흡음재료.
(12)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넣은 일렉트로스피닝용 용기의 방사구와 컬렉터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ㅇ여방사구로부터 방사액을 방출하여, 상기 (3)에 기재된 나노파이버를 컬렉터 상에 집적하는 열경화성 파이버의 제조방법.
(13)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해 상기 (3)에 기재된 나노파이버의 퇴적물을 얻고, 그것을 열경화 하는 나노파이버 상호간이 고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14)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파이버 제조를 위한 용도.
(15)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6) 상기 (15)에서,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가, 하기 식(A)의 반복구조를 가지는 랜덤 공중합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인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2가의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n은 평균 치환기수로서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x, y, z는 평균 중합도로서 x는 1?10, y는 0?20, z는 1?50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용매에 용해하고, 방사하는 것에 의해 파이버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는 일렉트로스피닝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퇴적물에 가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부직포로 할 수 있다. 특히, 일렉트로스피닝법으로 나노파이버를 제조할 때, 나노파이버의 퇴적물로서 수득할 수 있고, 수득된 퇴적물을 가열 처리하는 것만으로 부직포로 할 수 있다. 그 부직포는 나노파이버 상호간이 접촉부분에서 직접결합 경화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부직포보다도 내약품성과 기계강도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그 부직포는 내열성 백필터, 이차전지 세퍼레이터, 단열재료 및, 각종 필터, 흡음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수득된 나노파이버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수득된 나노파이버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 있어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수득된 나노파이버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 있어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수득된 나노파이버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5에 있어서 수득된 부직포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한다.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그 분자구조 중에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아미드 수지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그 수지로서는 하기 식(1) 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R2는 2가의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n은 평균 치환기수로서 1?4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1)의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R2-기로서는 하기 식(2) 의 방향족 잔기 중 적어도 1종을 나타내고, 폴리아미드 중에 복수 존재하는 세그먼트에 있어서, R4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3은 수소원자 또는 O, S, P, F, Si를 포함할 수 있는 탄소수 0?6의 치환기를, R4는 직접결합 또는 O, N, S, P, F, Si를 포함할 수 있는 탄소수 0?6로 구성되는 결합을 나타내고, a, b 및 c는 평균 치환기수로서 a는 0?4의 정수를,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4의 정수를, c는 0?6의 정수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하기 식(3)의 방향족 잔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R3, R4 및 b은 식(2)에 있어서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식(2) 또는 식(3)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R3으로서는 수소원자; 수산기;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의 C1?C6쇄상 알킬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C4?C6사이클릭알킬기 등; 을 들 수 있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통상,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2) 또는 식(3)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R4로서는 직접결합, -O-, -SO2-, -NH-, -(CH2)1?6- 등을 들 수 있고, -O- 또는 -CH2-가 더 바람직하다. 또, 2개의 방향환상의 결합손의 결합위치는 4,4'가 바람직하다. 즉 폴리아미드의 합성에 사용되는 디아민 성분으로서는 4,4'에 아미노기를 가지는 디아민디페닐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3)의 더 바람직한 기로서는 R3이 수소원자(b가 0인 경우), R4가 -O- 또는 -CH2-이고, 2개의 방향환의 결합위치가 4,4'인 경우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는, 모든 세그먼트가 상기 식(1)의 구조일 수도 있고, 다른 구조의 세그먼트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통상, 후자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그 폴리아미드 수지로서는 상기 식(A)의 반복구조를 가지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모든 세그먼트가 상기 식(A)일 때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식(A)에 있어서의 -R1-의 2가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식(2)의 방향족 잔기의 어느 1종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R1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지만, 통상은 같다. -R1-로서는 하기 식(4)의 방향족 잔기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R3 및 a는 식(2)에 있어서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식(4)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R3로서는 상기 식(3)에 있어서 것과 동일하고, 수소원자가 더 바람직하다. 식(4)에 있어서의 2개의 결합손의 위치는 어느 쪽일 수도 있고, 한쪽의 결합손의 위치를 1번 위치로 하여, 다른 쪽의 결합손의 위치가 방향환(벤젠환)의 3번 위치(메타위치)일 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는 통상 페놀성 수산기 함유 방향족 디카복시산, 및 경우에 따라 다른 디카복시산(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방향족 디아민을 축합제를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수득된다.
축합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페놀성 수산기 함유 방향족 디카복시산의 구체예로서는 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 디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 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하이드록시프탈산, 디하이드록시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 5-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 4-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 2-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 4,6-디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 2-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2,5-디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4-하이드록시프탈산이 바람직하고, 5-하이드록시 이소프탈산이 더 바람직하다.
축합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방향족 디아민으로서는 페닐렌디아민, 디아미노톨루엔, 디아미노크실렌, 디아미노메시틸렌, 디아미노듀렌(diaminodurene), 디아미노아조벤젠, 다아미노나프탈렌 등의 디아미노벤젠 화합물 또는 다아미노나프탈렌 화합물; 디아미노비페닐, 디아미노디메톡시비페닐 등의 디아미노비페닐 화합물;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디아미노디메틸디페닐에테르 등의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화합물; 메틸렌디아닐린, 메틸렌비스(메틸아닐린), 메틸렌비스(디메틸아닐린), 메틸렌비스(메톡시아닐린), 메틸렌비스(디메톡시아닐린), 메틸렌비스(에틸아닐린), 메틸렌비스(디에틸아닐린), 메틸렌비스(에톡시아닐린), 메틸렌비스(디에톡시아닐린), 이소프로필리덴디아닐린,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아닐린 등의 디아미노디페닐메탄 화합물; 디아미노벤조페논, 디아미노디메틸 벤조페논 등의 디아미노벤조페논 화합물; 디아미노안트라퀴논, 디아미노디페닐티오에테르, 디아미노디메틸디페닐티오에테르, 디아미노디페닐설폰, 디아미노디페닐설폭시드, 디아미노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화합물 또는 디아미노디페닐메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또는 메틸렌디아닐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페놀성 수산기 함유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병용할 수 있는 다른 방향족 디카복시산의 구체예로서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비페닐디카복시산, 옥시디벤조산, 티오디벤조산, 디티오디벤조산, 카보닐디벤조산, 설포닐디벤조산, 나프탈렌디카복시산, 메틸렌디벤조산, 이소프로필리덴디벤조산이나,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벤조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비페닐디카복시산, 옥시디벤조산, 나프탈렌디카복시산이 바람직하고, 이소프탈산이 더 바람직하다. 이들 다른 방향족 디카복시산을 사용하는 경우, 디카복시산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99몰%이하, 경우에 따라서, 95몰%이하, 40몰%이상, 바람직하게는 60몰%이상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축합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인산에스테르와 3급 아민을 들 수 있다. 축합반응은 통상 이것들의 축합제의 존재하, 필요에 따라 불활성용매 중에서, 추가로 아인산에스테르와 3급 아민을 첨가하고, 방향족 디아민 성분과 디카복시산 성분을 반응시킨다.
아인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아인산트리페닐, 아인산디페닐, 아인산트리-o-톨릴, 아인산디-o-톨릴, 아인산트리-m-톨릴, 아인산트리-p-톨릴, 아인산디-p-톨릴, 아인산디-p-클로로페닐, 아인산트리-p-클로로페닐, 아인산디-p-클로로페닐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 혼합할 수도 있지만, 아인산트리페닐이 바람직하다. 그 사용량은 사용하는 디아민 화합물 1.0몰에 대해서, 통상 1.0?3.0몰, 바람직하게는 1.5?2.5몰이다.
아인산에스테르와 함께 사용하는 3급 아민으로서는 피리딘, 2-피콜린, 3-피콜린, 4-피콜린, 2,4-루티딘 등의 피리딘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사용하는 디아민 1.0몰에 대해서, 통상 1.0?4.0몰, 바람직하게는 2.0?3.0몰이다.
상기 반응은 불활성용매 중에서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불활성용매란 아인산에스테르와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또한 상기 디아민과 상기 디카복시산을 양호하게 용해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이외에, 반응 생성물인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양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매로서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카프로락탐, N,N-디메틸이미다졸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메틸 요소, 피리딘과 같은 비프로톤성 극성용매, 톨루엔, 헥산, 헵탄 등의 무극성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글라임, 디옥산이나, 트리옥산 등, 또는 이것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3급 아민을 겸해서 피리딘 단독, 또는 피리딘과 N-메틸-2-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것들 용매의 사용량은 사용하는 디아민 0.1몰에 대해서, 통상 0?500㎖, 바람직하게는 50?300㎖이다.
중합도가 큰 폴리아미드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아인산에스테르, 3급 아민과, 불활성용매 이외에, 염화리튬, 염화칼슘 등의 무기염류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첨가량은 사용하는 디아민 화합물 1.0몰에 대해서, 통상 0.1?2.0몰, 바람직하게는 0.2?1.0몰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제조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3급 아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로 이루어지는 용액 중에 필요에 따라 무기염류를 첨가한다. 그 후에 추가로, 거기에 페놀성 수산기 함유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통상, 다른 디카복시산을 첨가하고, 추가로 전체 디카복시산 성분 1몰에 대해서 0.5?2몰의 방향족 디아민을 첨가하고, 이어서,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가열 교반하면서, 거기에, 아인산에스테르를 적하하고, 반응시킨다. 반응온도는 통상 30?180℃, 바람직하게는 80?130℃이다. 반응시간은 통상 30분간?24시간, 바람직하게는 1?10시간이다.
반응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물이나 메탄올 등의 빈용매 중에 던져서 중합체를 분리한 후, 재침전법 등에 의해 정제를 실시해서 부생성물이나 무기염류 등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1,000,000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대수 점도값(30℃에 있어서의 0.5g/dl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에서 측정)은 0.1?4.0dl/g의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는, 이 대수점도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판단한다. 대수점도가 너무 작으면, 파이버의 형성성이 나쁜 동시에, 폴리아미드 수지로서의 성질출현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반대로 고유점도가 너무 크면, 분자량이 너무 높아져 용제 용해성이 나빠지며, 또한 방사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폴리아미드 수지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간편한 방법으로서는 디아민 성분 혹은 디카복시산 성분의 어느 한쪽을 과잉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의 수산기 당량은 사용목적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바꿀 수 있지만, 내약품성 등을 고려하면, 5,000?50,000 정도가 바람직하고, 10,000?50,000 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로서는 그 구조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스(에폭시사이클로헥실)카복실레이트 등의 지환식 에폭시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실릴렌 골격 함유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 골격 함유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또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메틸 비페놀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기 식(5)의 비페닐 골격 함유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m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0.1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들 에폭시 수지는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고, 구체적인 상품명으로서는 NC-3000, NC-3000-H(모두, 니혼카야쿠주식회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성분은 b)성분의 경화제로서 작용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제로서 a)성분 이외의 다른 경화제를 병용할 수 있다.
병용할 수 있는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디아미노디페닐설폰, 이소포론디아민, 디시안디아미드, 리놀렌산의 2량체와 에틸렌디아민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무수 프탈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무수 말레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메틸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무수 메틸나딕산, 헥사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메틸헥사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페놀노볼락, 트리페닐메탄 및 이것들의 변성물, 이미다졸, BF3-아민 착체, 구아니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성분이 전체 경화제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통상 20질량%?100질량%, 바람직하게는 30질량%?98질량%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50?97% 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성분을 포함하는 경화제의 사용량은 b)성분의 에폭시기 1당량에 대해서 전체 경화제 중의 작용기의 총량이 0.7당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7?1.2당량이 더 바람직하다. 에폭시기 1당량에 대해서, 경화제의 작용기 총량이 0.7당량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화가 불완전하게 되어 양호한 경화물성이 수득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1.2당량을 넘는 경우, 경화는 문제 없지만 경화제 중의 작용기가 많이 잔존하게 되어, 친수성이 높아지게 되기 때문에 수득되는 부직포의 흡수율이 증가하거나, 내약품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는 경화촉진제를 함유시켜도 지장이 없다. 사용될 수 있는 경화촉진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 2-(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센-7 등의 제3급 아민류,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포스핀류, 옥틸산 주석 등의 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촉진제는 에폭시 수지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5.0질량부가 필요에 따라 사용된다.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는 경화성 및 나노파이버 사이의 결합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라면, 여러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은, 구리, 아연 등의 금속 나노입자, 산화티타늄, 티탄산바륨, 질화보론, 다이아 등의 무기 나노입자, 폴리이미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포리벤조옥사졸 등의 수지, 염료, 흐림 방지제, 퇴색 방지제, 헐레이션 방지제, 형광 증백제, 계면활성제, 레벨링제, 가소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정전방지제, 탈수제, 반응 지연제, 광안정제, 광촉매, 방곰팡이제, 항균제, 자성체나, 열분해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서 수득되는 본 발명의 파이버의 섬유경은 10?1000n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섬유경을 가지는 파이버를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나노파이버라고 한다. 더 바람직한 섬유경은 50?1000nm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00nm 정도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섬유경이란 예를 들면 전자현미경사진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나노파이버의 직경을 나타낸다. 또 섬유경과 파이버길의 애스펙트비는 클 수록 바람직하고, 통상 20이상, 바람직하게는 25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이상이다. 애스펙트비가 너무 작은(즉 입자에 가깝게 되는) 경우에는, 파이버 상호간이 경화 접착해서 수득되는 부직포의 기계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나노파이버의 애스펙트비는 통상 20?500, 0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00?500, 000 정도이다.
본 발명의 파이버는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한 용액(방사액이라고도 한다)을 사용하고,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일렉트로스피닝법은 구체적으로는, 방사구를 가지는 일렉트로스피닝용 용기에 방사액을 넣고, 섬유를 방출하는 방사구(헤드라고도 한다)와 방출된 섬유를 포집하는 컬렉터 사이에 큰 전위차를 부여해서 강전계장을 형성한 분위기 중에, 방사구로부터 하전한 방사액을 방출해서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집합체를 상기 컬렉터 상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열경화성 파이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용액을 넣은 일렉트로스피닝용 용기의 방사구와 컬렉터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고, 방사구로부터 방사액을 방출하고, 10?1000nm의 섬유경을 가지는 나노파이버를 컬렉터 상에 집적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컬렉터 상에 집적시키는 경우, 컬렉터 상에 직접 집적시키는 경우, 또한 컬렉터 상에 기판 등을 설치하고, 그 위에 집적시키는 경우의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일렉트로스피닝법을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예를 들면 내경 0.3?0.5㎜의 금속바늘(선단을 수직하게 자른 것)(방추구)을 구비한 시린지(일렉트로스피닝용 용기)에 수지 조성물 용액을 충전하고, 바늘 끝에서 200㎜정도 간격을 둔 금속판(컬렉터) 상에 기판을 깔고, 바늘 끝과 금속판 사이에 10?20kV의 전압을 걸면, 수 시간 안에 나노파이버가 기판상에 퇴적한다. 기판은 강전계장의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를 기판으로부터 벗겨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박 등의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가 접착하지 않는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액의 점도는 1cps?50,000cps가 바람직하고, 100cps?20,000 정도가 더 바람직하다. 방사액의 점도와 방사구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섬유경을 가지는 나노파이버를 얻을 수 있다.
방사액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카프로락탐, N,N-디메틸이미다졸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테트라메틸 요소, 피리딘과 같은 비프로톤성 극성용매; 톨루엔, 크실렌, 헥산, 사이클로헥산, 헵탄 등의 무극성 용매; 기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펜타논, 사이클로헥사논,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카프로락톤, 부티로락톤, 발레로락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라임, 트리글라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모노아세테이트, 디옥산이나, 트리옥산 등의 용매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도, 또한, 혼합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용해성 및 휘발성 등의 점에서,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등이 바람직하고, 휘발성 등으로부터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가 가장 바람직하다.
방사액 중의 고형분 농도는 방사액 전체에 대해서, 통상 15?40질량%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해 수득된 나노파이버의 퇴적물을 기판으로부터 박리하고, 상압하, 가압하, 또는 연신하여, 150?250℃에서 10분간?2시간, 바람직하게는 200℃정도에서 30분간?1시간 정도 가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수득된다. 가열에 의한 경화반응에 의해 나노파이버 상호간의 접촉 부분이 견고하게 결합하여, 내열성,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고강도의 부직포가 수득된다.
부직포의 두께는 퇴적시키는 량, 또는, 적당한 두께의 나노파이버 퇴적물을 포개는 것에 의해 적당하게 조정 할 수 있다. 통상, 30nm?1㎜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통상, 100nm?300㎛ 정도이다.
이렇게 해서 수득되는 본 발명의 부직포는 그 가지는 특성으로부터, 예를 들면 내열성 백필터, 이차전지 세퍼레이터, 이차전지전극, 단열재료, 여과직물 및 흡음재료등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열성 백필터의 경우, 일반 쓰레기 소각로ㆍ산업 폐기물 소각로용의 백필터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차전지 세퍼레이터의 경우, 리튬이온 이차전지용의 세퍼레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차전지전극의 경우, 열경화 전의 열경화성 나노파이버의 퇴적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차전지전극 형성용 바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사액에 분말 전극재료를 분산 혼합하고, 그것을 일렉트로스피닝하고, 퇴적물을 열경화 하는 것에 의해 수득된 도전성 부직포를 이차전지전극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단열재료의 경우, 내열 벽돌의 백업재, 연소가스 실링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여과직물의 경우, 부직포의 두께 등을 적당하게 조정하고, 부직포의 구멍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마이크로 필터용 여과직물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여과직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액 혹은 가스 등의 유체 중의 고형분을 분리할 수 있다.
또, 흡음재료의 경우, 벽면 차음보강, 내벽 흡음층 등의 흡음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온도계, 냉각관 및 교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질소가스 퍼지를 실시하고, 5-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 1.8g, 이소프탈산 81.3g, 3,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102g, 염화리튬 3.4g, N-메틸피롤리돈 344g, 피리딘 115.7g을 첨가하고, 교반 용해시킨 후, 아인산트리페닐 251g을 첨가해서 90℃에서 8시간 반응시켰다. 그 결과, 하기 식(6)의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Figure pct00008
이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메탄올 500g에 투입해서 석출한 수지를 여과 분리하고, 메탄올 500g으로 세정한 후, 추가로 메탄올 환류해서 정제하였다.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한 후 여과하고, 여과물을 건조시켜서 수지분말을 얻었다. 수득량은 160g, 수율 96%이었다.
또, 상기 식(6) 중의 e, f 및 g는 상기 식(A)에 있어서의 x, y, 및 z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각각의 세그먼트의 평균의 반복 수(평균 중합도)이다. 상기에서 수득된 수지에 있어서는, 원료의 주입량으로부터 산출한 e/(e+f)의 값은 0.022이고,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산출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80,000이었다.
이 수지분말 0.100g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0.0㎖에 용해시키고, 오스왈드 점도계를 사용해서 30℃에서 측정한 대수점도는 0.60dl/g이었다. 에폭시기에 대한 활성수소 당량은 계산값으로 3300g/eq(수산기 당량은 17,000g/eq)이었다. 또, 에폭시기에 대한 활성수소 당량은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수소원자의 당량 수이다.
실시예 1?4
합성예 1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로서 상기 식(5)의 에폭시 수지 NC-3000(니혼카야쿠주식회사 제품, 에폭시 당량 275g/eq, 연화점 58℃, 식(5)에 있어서의 세그먼트의 평균의 반복 수 m은 약 2 .5), 경화제로서 GPH-65(니혼카야쿠주식회사 제품, 수산기 당량 170g/eq, 연화점 65℃), 경화촉진제로서 2-메틸이미다졸(2MZ), 및 용매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를 표 1에 나타내는 질량부로 배합하고, 본 발명의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용액(방사액)을 조제하였다. 수득된 수지 조성물을 내경 0.35㎜의 금속바늘을 세팅한 시린지에 충전하고, 바늘 끝에서 200㎜ 바로 아래에 100㎟의 SUS판(컬렉터) 상에 알루미늄박 기판을 설치하였다. 그 후에 금속바늘과 SUS판 사이에 표 1에 나타내는 전압을 인가하고,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해 25㎛ 이상의 파이버 길이를 가지는 본 발명의 나노파이버를 얻었다. 수득된 나노파이버의 섬유경을 표 1에, 전자현미경사진을 도 1?4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9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나노파이버의 퇴적물을 200℃에서 1시간 가열처리하고, 본 발명의 부직포를 얻었다. 수득된 부직포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30분간 담그고, 불용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비교예 1
합성예 1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 수지만을 DMF에 용해시켜 21질량%의 용액으로 조제하고, 내경 0.35mm의 금속바늘을 세팅한 시린지에 용액을 충전하고, 바늘 끝에서 200㎜ 바로 아래에 100㎟의 SUS판상에 알루미늄박 기판을 두고, 금속바늘과 SUS판 사이에 13kV의 전압을 인가하고,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해 섬유경 150nm의 폴리아미드 수지 나노파이버 퇴적물을 얻었다. 본 나노파이버 퇴적물을 200℃에서 1시간 가열처리하고, 수득된 부직포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30분간 담그었더니, 용해되어 버렸다.
실시예 6
실시예 1?4에서 수득된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나노파이버의 퇴적물을 각각 세로×가로 20㎝로 절단하고, 각각 그 2장을 1㎜폭으로 겹치도록 포개고, 열판 프레스를 사용해 200℃에서 1시간 가열처리하고, 각각의 2장이 1㎜폭으로 접착된 각각 1장의 본 발명의 부직포 샘플을 얻었다. 수득된 부직포 샘플의 접착 부분의 접착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양단으로부터 파단될 때까지 잡아 당기고, 파단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어느 샘플에 있어서도, 접착부에서의 박리는 없고, 접착부 이외의 부분이 파단되였다. 그 파단 강도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10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수득되는 부직포에 있어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섬유 상호간이 딱딱하게 고착하고 있어, 매우 튼튼한 부직포가 수득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수득된 폴리아미드 수지 나노파이버 퇴적물을,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수득된 부직포의 접착강도를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려고 하였지만, 2 장의 부직포가 접착되지 않고, 측정기에 걸기 전에, 2장의 부직포가 분리되어 버리어, 접착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또 상기에서 수득된 2장의 부직포도 나노파이버 상호간이 고착하고 있지 않고, 취급 중에 뿔뿔이 흩어졌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는 그 퇴적물을 열경화하는 것에 의해 부직포로 할 수 있고, 그 부직포는 파이버 상호간이 접촉 부분에서 직접결합 경화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부직포보다도 내약품성과 기계강도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나노파이버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그 부직포는 상기의 특성을 가지는 때문에, 내열성 백필터, 이차전지 세퍼레이터, 단열재료 및, 각종 필터, 흡음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파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가 하기 식(A)의 반복구조를 가지는 랜덤 공중합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인 열경화성 파이버: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2가의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n은 평균 치환기수로서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x, y, z는 평균 중합도로서 x는 1?10, y는 0?20, z는 1?50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0?1000nm의 섬유경을 가지는 나노파이버인 열경화성 파이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일렉트로스피닝법으로 제조된 열경화성 파이버.
  5. 제 3 항에 기재된 열경화성 파이버의 퇴적물을 열경화한 부직포.
  6. 제 5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내열성 백필터.
  7. 제 5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이차전지 세퍼레이터.
  8. 제 5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이차전지전극.
  9. 제 5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단열재료.
  10. 제 5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여과직물.
  11. 제 5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사용한 흡음재료.
  12.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넣은 일렉트로스피닝용 용기의 방사구와 컬렉터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방사구로부터 방사액을 방출하여, 제 3 항에 기재된 나노파이버를 컬렉터 상에 집적하는 열경화성 파이버의 제조방법.
  13.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해 제 3 항에 기재된 나노파이버의 퇴적물을 얻고, 그것을 열경화하는 나노파이버 상호간이 고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14.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파이버 제조를 위한 용도.
  15.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와, b) 1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a) 페놀성 수산기 함유 폴리아미드 수지가 하기 식(A)의 반복구조를 가지는 랜덤 공중합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인 파이버용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2가의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n은 평균 치환기수로서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x, y, z는 평균 중합도로서 x는 1?10, y는 0?20, z는 1?50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KR1020127010136A 2009-10-29 2010-10-22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 부직포 및 그 제조법 Ceased KR201200847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9243 2009-10-29
JPJP-P-2009-249243 2009-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741A true KR20120084741A (ko) 2012-07-30

Family

ID=4392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136A Ceased KR20120084741A (ko) 2009-10-29 2010-10-22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 부직포 및 그 제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78332A1 (ko)
JP (1) JP5587903B2 (ko)
KR (1) KR20120084741A (ko)
CN (1) CN102597115A (ko)
TW (1) TWI507577B (ko)
WO (1) WO20110521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02A (ko) * 2015-03-10 2019-08-07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단열 패널, 코어재, 냉장고, 진공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냉장고의 리사이클 방법
KR20200015723A (ko) * 2017-06-08 2020-02-12 어센드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오퍼레이션즈 엘엘씨 폴리아미드 나노섬유 부직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03158C (en) * 2010-06-29 2020-02-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inting ink having enhanced gloss and lower viscosity
US8824945B2 (en) * 2011-02-09 2014-09-02 Xerox Corporation Metallic nanoparticle reinforced polyimide for fuser belt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JP5832943B2 (ja) * 2012-03-23 2015-1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組成物、導電性部材、導電性部材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および太陽電池
CN102922858A (zh) * 2012-06-15 2013-02-13 佛山市南海必得福无纺布有限公司 静电纺丝纳米复合无纺布的复合方法
WO2014066310A1 (en) * 2012-10-23 2014-05-01 Cornell University Ceramic nanofiber separators
DE102013000714A1 (de) * 2013-01-17 2014-07-17 Johnson Controls Gmbh Herstellung von Polyamidfaserverbundwerkstoffen mit Mikrowellenstrahlung
CN103114385B (zh) * 2013-02-18 2015-06-03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表面生长银纳米片的聚酰胺纤维构成的无纺布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6226572B2 (ja) * 2013-06-05 2017-11-08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HK1223067A1 (zh) * 2013-07-05 2017-07-21 北面服饰公司 纖維和長絲的力紡絲
JP6362067B2 (ja) * 2014-01-31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ポリマーナノファイバ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66660A (ja) *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東芝 真空断熱パネルのコア材、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冷蔵庫
JP6517551B2 (ja) * 2015-03-17 2019-05-22 株式会社東芝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真空断熱パネル、コア材、冷蔵庫
JP2016173150A (ja) * 2015-03-17 2016-09-29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冷蔵庫のリサイクル方法
CN107323014A (zh) * 2015-03-17 2017-11-07 株式会社东芝 结构体及芯材
JP6195018B2 (ja) * 2015-03-27 2017-09-13 東レ株式会社 ジアミン化合物に由来する構造を有する耐熱性樹脂または耐熱性樹脂前駆体
WO2016162417A1 (en) * 2015-04-08 2016-10-13 Stojadinovic Jelena Woven or nonwoven web
JP6579784B2 (ja) * 2015-04-13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579791B2 (ja) * 2015-05-01 2019-09-25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ポリエーテルスルホン系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WO2016190826A1 (en) * 2015-05-22 2016-12-01 Sabanci Üniversitesi Stable electrospinning composition for stable nano-/submicrostructure produc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5696110A (zh) * 2016-02-26 2016-06-22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导电纳米纤维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10540952B2 (en) 2016-03-30 2020-01-21 Maryam Mohammadi Gojani Sound absorbing structure including nanofibers
CN109069964B (zh) 2016-04-06 2022-07-15 唐纳森公司 由室温交联制备的细纤维
JP6656060B2 (ja) * 2016-04-12 2020-03-04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40421A (ja) * 2016-09-07 2018-03-15 株式会社東芝 真空断熱パネルのコア材、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冷蔵庫
US11376534B2 (en) 2017-06-08 2022-07-05 Ascend Performance Materials Operations Llc Polyamide nanofiber nonwovens for filters
CN108179498B (zh) * 2017-11-10 2023-08-25 江苏华富储能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聚合物膜及其制备方法
US12034180B1 (en) * 2018-01-09 2024-07-09 Oceanit Laboratories, Inc. Multi layered nanostructured materials for ionic and electronic transport in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devices
CN108498868B (zh) * 2018-04-03 2020-09-15 北京大学口腔医学院 具有细胞外基质电学拓扑特征的带电复合膜及其制备方法
CN112384650A (zh) * 2018-07-09 2021-02-19 国立研究开发法人物质·材料研究机构 无纺布、无纺布的制造方法和静电纺丝用组合物
JP2019143809A (ja) * 2019-04-18 2019-08-29 株式会社東芝 真空断熱パネル、コア材、冷蔵庫
WO2022097547A1 (ja) * 2020-11-04 2022-05-12 東レ株式会社 樹脂組成物、不織布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蓄電素子用セパレーター、二次電池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ー
CN113611436A (zh) * 2021-07-26 2021-11-05 樊军歌 一种广谱防护核辐射的功能模块
CN117624841B (zh) * 2023-12-13 2024-10-29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银川供电公司 一种玄武岩绝缘复合材料及其在操作杆中的应用
CN118852738B (zh) * 2024-09-25 2024-11-26 西华大学 一种高导热尼龙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4273A (ja) * 1986-02-21 1986-08-28 高柳 素夫 表面改質パラ配向的全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その製造法
US4845162A (en) * 1987-06-01 1989-07-04 Allied-Signal Inc. Curable phenolic and polyamide blends
JP2909878B2 (ja) * 1995-02-10 1999-06-23 株式会社巴川製紙所 耐熱性樹脂組成物
JP3384922B2 (ja) * 1995-12-27 2003-03-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被膜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被膜成形物
JP2001031784A (ja) * 1999-07-19 2001-02-06 Nippon Kayaku Co Ltd プリプレグ及び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1233945A (ja) * 2000-02-24 2001-08-28 Nippon Kayaku Co Ltd 無電解メッキ可能な高耐熱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ビルドアップ用絶縁材料並びにビルドアップ基板
US7270693B2 (en) * 2000-09-05 2007-09-18 Donaldson Company, Inc. Polymer, polymer microfiber, polymer nanofiber and applications including filter structures
US6743273B2 (en) * 2000-09-05 2004-06-01 Donaldson Company, Inc. Polymer, polymer microfiber, polymer nanofiber and applications including filter structures
JP2007500275A (ja) * 2003-02-27 2007-01-11 ファウクス、スティーブン、ダブリュー. 芳香族アミド高分子化合物及びその合成方法
JPWO2005066235A1 (ja) * 2004-01-06 2007-12-20 三井化学ポリウレタン株式会社 熱硬化性ポリアミド発泡体およびその用途、ならびに熱硬化性ポリアミドの製造方法
KR101312369B1 (ko) * 2005-10-31 2013-09-27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고무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그경화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02A (ko) * 2015-03-10 2019-08-07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단열 패널, 코어재, 냉장고, 진공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냉장고의 리사이클 방법
KR20200015723A (ko) * 2017-06-08 2020-02-12 어센드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오퍼레이션즈 엘엘씨 폴리아미드 나노섬유 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7903B2 (ja) 2014-09-10
TW201124570A (en) 2011-07-16
WO2011052175A1 (ja) 2011-05-05
US20120178332A1 (en) 2012-07-12
TWI507577B (zh) 2015-11-11
CN102597115A (zh) 2012-07-18
JPWO2011052175A1 (ja)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4741A (ko) 열경화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파이버, 부직포 및 그 제조법
TWI512090B (zh) 液晶熱固性寡聚物或聚合物和熱固性組成物及含有其之板
US9873767B2 (en) Polyimide resin
EP3272786B1 (en) Polyimide resin
CN103289633B (zh) 聚酰亚胺类胶粘剂组合物、固化物、胶粘片、层压体和挠性印刷基板
US9480154B2 (en) Polyamide resin, epoxy resin compositions, and cured articles thereof
TWI485200B (zh) 樹脂溶液的保存方法與預浸體及積層板的製造方法
TWI602842B (zh) Organophosphorus imide - containing organosilicone epoxy resi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7189333B2 (ja) 熱可塑性樹脂プリプレグ、その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複合材料
KR101474986B1 (ko)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제조용 적층물
KR20020066189A (ko) 내열성 조성물
CN101490067A (zh) 含磷苯并嗪化合物、其制造方法、固化性树脂组合物、固化物及层合板
KR101520202B1 (ko) 수지 조성물, 이것을 포함하는 보호막, 드라이 필름, 회로 기판 및 다층 회로 기판
CN104284916A (zh) 环氧基-胺加成物、树脂组合物、上胶剂、涂布有上胶剂的碳纤维及纤维强化复合材料
US10370325B2 (en) Cyanate ester compound, 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und, and hardened product thereof
CN108047718A (zh) 马来酰亚胺树脂组合物、预浸料、层压板和印刷电路板
US7608336B2 (en) Flame-retardant epoxy resin composition and cur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US9555604B2 (en) Resin composition and bonded composite
WO2017170375A1 (ja) シアン酸エステル化合物、そ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硬化物、プリプレグ、封止用材料、繊維強化複合材料、接着剤、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KR20220104687A (ko) 수지 조성물, 수지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00096169A1 (en) Polyamide Resin as Well as Epoxy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WO2017168732A1 (ja)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樹脂シート及び積層板
KR101258891B1 (ko) 양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제조법 및 양면 플렉시블프린트 기판
JPWO2011125665A1 (ja) ベンゾオキサジン環を有する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成形体及び硬化体
JP2008138191A (ja) ポリアミド樹脂ワニス、その硬化物、および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