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079266A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266A
KR20120079266A KR1020110000469A KR20110000469A KR20120079266A KR 20120079266 A KR20120079266 A KR 20120079266A KR 1020110000469 A KR1020110000469 A KR 1020110000469A KR 20110000469 A KR20110000469 A KR 20110000469A KR 20120079266 A KR20120079266 A KR 20120079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home
displayed
or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852B1 (ko
Inventor
심민식
박현정
김수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852B1/ko
Priority to TW100124101A priority patent/TWI529575B/zh
Priority to US13/184,268 priority patent/US20120174026A1/en
Priority to CN201110244088.8A priority patent/CN102591558B/zh
Priority to EP11183131.9A priority patent/EP2472378B1/en
Publication of KR2012007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8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 중에서 소망의 홈스크린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본인의 취향에 따라 소망의 객체(object)(예를 들면, 각종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파일 아이콘, 메뉴 아이콘, 위젯 등)을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 중 소망의 홈스크린에 배치시키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 중에서 소망의 홈스크린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꾸준히 연구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본인의 취향에 따라 소망의 객체(object)(예를 들면, 각종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파일 아이콘, 메뉴 아이콘, 위젯 등)을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 중 소망의 홈스크린에 배치시키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 중에서 소망의 홈스크린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을 위해 제 1 순서 및 제 2 순서가 정해지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을 위해 제 1 순서 및 제 2 순서가 정해지는 단계,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본인의 취향에 따라 소망의 객체(object)(예를 들면, 각종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파일 아이콘, 메뉴 아이콘, 위젯 등)을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 중 소망의 홈스크린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 중에서 소망의 홈스크린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홈스크린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이하의 실시예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기에,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이하 상기 터치스크린(151)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면부호 400으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서 대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홈스크린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홈스크린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대기 화면을 위해 둘 이상의 홈스크린들이 사전 준비되고, 상기 홈스크린들 중 하나가 상기 대기 화면으로서 또는 상기 대기 화면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개의 홈스크린들, 즉 A 내지 D 홈스크린들이 사전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새로운 홈스크린이 생성되고 기존의 홈스크린이 삭제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4개의 홈스크린들은 둘 이상의 순서들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4개의 홈스크린들은 각각 생성된 시간에 따라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4개의 홈스크린들은 각각 포함하는 객체들의 갯수에 따라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4개의 홈스크린들은 각각 대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누적 시간에 따라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즉, 상기 4개의 홈스크린들은 서로 다른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의 순서들이 정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4개의 홈스크린들은 제 1 순서 및 제 2 순서가 정해지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도 3의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순서는 A 홈스크린 -> B 홈스크린 -> C 홈스크린 -> D 홈스크린 순서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제 1 순서는 D 홈스크린 다음에 A 홈스크린이 다시 나열되는 순환 순서일 수 있다.
도 3의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순서는 A 홈스크린 -> D 홈스크린 -> B 홈스크린 -> C 홈스크린 순서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제 2 순서도 C 홈스크린 다음에 A 홈스크린이 다시 나열되는 순환 순서일 수 있다.
제 1 순서 및 제 2 순서를 정하는 기준은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 없다.
그리고, 도 3의 (3-1) 및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홈스크린는 A1 객체, A2 객체, A3 객체를 포함하고, B 홈스크린는 B1 객체, B2 객체를 포함하고, C 홈스크린는 C1 객체, C2 객체, C3 객체를 포함하고, D 홈스크린는 D1 객체, D2 객체, D3 객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도 3에서는 각 홈스크린 내에 홈스크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인디케이터 즉, "A", "B", "C", "D"가 텍스트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홈스크린 내에 상기 식별 인디케이터가 숫자, 기호, 또는 그래픽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각 홈스크린 내에 상기 식별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단말기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 또는 제 2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에 대해 제 1 순서 및 제 2 순서가 정해져 있을 수 있다[S41].
도 5의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대기 상태에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사전 설정된 제 1 터치 액션이 행해질 수 있다[S42]. 상기 터치 액션은, 단순터치, 롱터치, 더블터치, 터치 드래그, 플릭킹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제 1 터치 액션이 이들 중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 없다. 도 5에서는 제 1 터치 액션이 우에서 좌로의 수평 방향의 터치 드래그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그러면, 제 1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5의 (5-2) 및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B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3].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우에서 좌로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A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그 대신에 제 1 순서에 따라 상기 B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터치 액션이 좌에서 우로의 수평 방향의 터치 드래그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순서의 역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D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좌에서 우로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A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그 대신에 제 1 순서의 역순에 따라 상기 D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의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B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 1 터치 액션(즉, 우에서 좌로의 수평 방향의 터치 드래그)이 한번 더 행해질 수 있다[S42].
그러면, 제 1 터치 액션에 다시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5의 (5-4) 및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B 홈스크린이 상기 C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3].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우에서 좌로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B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그 대신에 제 1 순서에 따라 상기 C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 1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마다 상기 홈스크린들이 하나씩 제 1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도 6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대기 상태에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 1 터치 액션으로서 우에서 좌로의 수평 방향의 터치 드래그가 행해질 수 있다[S43].
그러면, 제 1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부(180)는, 도 6의 (6-2) 및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B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B 홈스크린으로 전환된 이후에도, 상기 제어부(180)는 계속, 도 6의 (6-3) 및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B 홈스크린이 상기 C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1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우에서 좌로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제 1 순서에 따라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43].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터치 액션이 좌에서 우로의 수평 방향의 터치 드래그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좌에서 우로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제 1 순서의 역순에 따라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연속 디스플레이 중지를 위한 중지 터치 액션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 없고, 도 6의 (6-5)에서 이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의 단순 터치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중지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6의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터치 액션 이후 상기 중지 터치 액션까지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홈스크린들의 연속 디스플레이가 중지된 이후,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의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홈스크린이 정지되어 계속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중지 터치 액션 시점에 예를 들어 상기 B 홈스크린의 일부 및 상기 C 홈스크린의 일부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B홈스크린 및 상기 C 홈스크린 중에서 상기 중지 터치 액션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더많이 디스플레이되는 홈스크린이 정지되어 계속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터치 액션 이후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제 1 속도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터치 액션(우에서 좌로의 터치드래그)이 한번더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한번 더 행해진 제 1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까지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제 1 순서대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속도로 제 1 순서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 1 터치 액션으로서 좌에서 우로의 터치 드래그가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좌에서 우로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제 1 순서의 역순에 따라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사전 설정된 제 2 터치 액션이 행해질 수 있다[S42]. 상기 터치 액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터치, 롱터치, 더블터치, 터치 드래그, 플릭킹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제 2 터치 액션이 이들 중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 없다. 도 7에서는 제 2 터치 액션이 하에서 상으로의 수직 방향의 터치 드래그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그러면, 제 2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7의 (7-2) 및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D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4].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하에서 상으로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A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그 대신에 제 2 순서에 따라 상기 D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터치 액션이 상에서 하로의 수직 방향의 터치 드래그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 2 순서의 역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C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에서 하로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A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그 대신에 제 2 순서의 역순에 따라 상기 C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의 (7-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D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 2 터치 액션(즉, 하에서 상으로의 수직 방향의 터치 드래그)이 한번 더 행해질 수 있다[S42].
그러면, 제 2 터치 액션에 다시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7의 (7-4) 및 (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D 홈스크린이 상기 B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4]. 즉,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하에서 상으로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D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그 대신에 제 2 순서에 따라 상기 B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제 1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마다 상기 홈스크린들이 하나씩 제 2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도 8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8의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 2 터치 액션으로서 하에서 상으로의 수직 방향의 터치 드래그가 행해질 수 있다[S42].
그러면, 제 2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부(180)는, 도 8의 (8-2) 및 (8-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D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D 홈스크린으로 전환된 이후에도, 상기 제어부(180)는 계속, 도 8의 (8-3) 및 (8-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D 홈스크린이 상기 B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2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하에서 상으로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제 2 순서에 따라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44].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터치 액션이 상에서 하로의 수직 방향의 터치 드래그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에서 하로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제 2 순서의 역순에 따라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 없고, 도 8의 (8-5)에서 이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의 단순 터치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중지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8의 (8-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제 2 터치 액션 이후 상기 중지 터치 액션까지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홈스크린들의 연속 디스플레이가 중지된 이후,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의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홈스크린이 정지되어 계속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중지 터치 액션 시점에 예를 들어 상기 D 홈스크린의 일부 및 상기 B 홈스크린의 일부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D 홈스크린 및 상기 B 홈스크린 중에서 상기 중지 터치 액션 시점에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더많이 디스플레이되는 홈스크린이 정지되어 계속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터치 액션 이후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제 1 속도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터치 액션(하에서 상으로의 터치드래그)이 한번더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한번 더 행해진 제 2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까지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제 2 순서대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속도로 제 2 순서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 2 터치 액션으로서 상에서 하로의 터치 드래그가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에서 하로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제 2 순서의 역순에 따라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을 제 1 순서 또는 제 2 순서대로 차례로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 중에서 소망의 홈스크린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의 리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리스트를 통해 소망의 홈스크린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9의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사전 설정된 제 3 터치 액션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액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터치, 롱터치, 더블터치, 터치 드래그, 플릭킹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제 3 터치 액션이 이들 중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 없다. 도 9에서는 제 3 터치 액션이 시계 방향의 원형 터치 드래그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그러면, 제 3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9의 (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리스트된 홈스크린 리스트(4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에는 상기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리스트될 수 있다.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홈스크린, 즉 A 홈스크린이 다른 홈스크린들과는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서 예컨대 D 홈스크린이 터치되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D 홈스크린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도 9의 (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 3 터치 액션이 한번 더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한번 더 행해진 제 3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9의 (9-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리스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비교적 적은 갯수의 4개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상기 4개의 홈스크린들이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에서 동시에 리스트되기에 무난하다. 그러나,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에서 동시에 리스트되기 어려울 만큼 많을 수가 있다. 이 경우에 대해 도 10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0의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 2 터치 액션으로서 하에서 상으로의 수직 방향의 터치 드래그가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2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10의 (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속도로 상기 터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계속 스크롤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홈스크린(410)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속도로 스크롤되는 있는 도중에,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 2 터치 액션으로서 하에서 상으로의 수직 방향의 터치 드래그가 한번 더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한번 더 행해진 제 2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10의 (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속도로 상기 터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계속 스크롤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에서 상기 리스트된 홈스크린들이 스크롤되는 것은 전술한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까지 계속 될 수 있다.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에서 상기 리스트된 홈스크린들이 스크롤되는 것은, 도 6 또는 도 8과 관련되어 설명된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복수개의 홈스크린들이 연속적으로 제 1 순서 또는 제 2 순서에 따라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또는 도 8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연속적으로 제 1 순서 또는 제 2 순서에 따라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관련되어 설명된 터치 액션이, 도 10에서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410)에서 상기 리스트된 홈스크린들이 스크롤되는 것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이 존재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 모두가 제 1 홈스크린에 속하게 되어, 제 1 홈스크린이 제 2 홈스크린으로 전환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 모두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사라지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이 존재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들 모두가 제 1 홈스크린에 속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1 홈스크린이 제 2 홈스크린으로 전환될 때, 제 1 홈스크린에 속하지 않는 객체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1을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1의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이 두 영역, 즉 제 1 영역(401) 및 제 2 영역(402)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영역(401) 및 제 2 영역(402)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시각적으로 명확히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제 1 영역(401) 및 제 2 영역(402)는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가상적으로 구분되어 시각적으로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영역(401)에는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401)에서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동시에, 제 2 영역(402)에는 상기 복수의 홈스크린들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S5 객체, S6 객체, S7객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복수의 홈스크린들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객체를 독립 객체라고 칭하겠다. 상기 독립 객체는 단말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즐겨찾기 객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독립 객체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백그라운드로 멀티태스킹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메뉴의 객체일 수 있다.
상기 독립 객체는 터치되어 선택될 때 상기 복수의 홈스크린들에 속하는 객체들 중 하나와 동일한 메뉴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독립 객체는 터치되어 선택될 때 상기 복수의 홈스크린들에 속하는 객체들 중 하나의 복사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독립 객체는 터치되어 선택될 때 상기 복수의 홈스크린들에 속하는 객체들 중 어떤 것과도 동일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제 1 영역(401) 상에 제 1 터치 액션으로서 우에서 좌로의 수평 방향의 터치 드래그가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제 1 영역(401)의 제 1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11의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에서 제 1 순서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B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 홈스크린이 상기 B 홈스크린으로 전환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독립 객체들(즉, S5 객체, S6 객체, S7객체)이 여전히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제 2 영역(401) 상에 제 1 터치 액션으로서 좌에서 우로의 수평 방향의 터치 드래그가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제 2 영역(402)의 제 1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도 11의 (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에서 상기 독립 객체들이 제 1 터치 액션의 방향 및 길이에 대응되도록 스크롤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독립 객체들이 스크롤됨에 따라 새로운 독립객체들((S2 객체, S3 객체, S4객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독립객체들이 스크롤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B 홈스크린이 여전히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 1 영역에서 제 1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전환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영역에서 제 2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전환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하,도 12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2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2의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제 1 영역(401)에는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영역(402)에는 독립 객체들(S5 객체, S6 객체, S7 객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401)에서 제 1 터치 액션으로서 우에서 좌로의 수평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도 12의 (12-2) 및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401)의 제 1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영역에서 제 1 순서대로 제 1 속도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제 2 영역(402)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독립 객체들(즉, S5 객체, S6 객체, S7객체)이 여전히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영역에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 2 영역(402)에서 제 1 터치 액션으로서 좌에서 우로의 수평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가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도 12의 (12-3) 및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402)의 제 1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영역(401)에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면서 이와 동시에 제 2 영역(402)에서 상기 독립 객체들이 계속 제 1 속도로 좌에서 우로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크롤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영역(401)에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독립 객체들이 제 2 영역(402)에서 연속적으로 스크롤되는 도중에,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401)에서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이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도 12의 (12-4) 및 (1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401)의 상기 중지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독립 객체들이 제 2 영역(402)에서 연속적으로 스크롤되는 것을 유지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영역(401)에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영역(401)에서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중지되고 상기 독립 객체들이 제 2 영역(402)에서 연속적으로 스크롤되는 도중에, 상기 터치스크린의 제 2 영역(402)에서 상기 중지 터치 액션이 행해질 수 있다.
그러면, 도 12의 (1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402)의 상기 중지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독립 객체들이 제 2 영역(402)에서 연속적으로 스크롤되는 것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제 1 영역에서 제 1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제 1 영역에서 제 2 터치 액션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설명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속도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터치 액션 및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들이 제 2 속도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터치 액션도, 도 12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위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3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3의 (1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제 1 영역(401)에는 상기 A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영역(402)에는 독립 객체들(S5 객체, S6 객체, S7 객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2 영역(402)에서 상기 독립 객체들이 스크롤되지 않고 있다.
이 때, 상기 터치스크린(400)의 제 2 영역(402)의 빈 공간에 제 4 터치 액션이 행해질 수 있다. 도 13의 (13-1)에서는 제 4 터치 액션이 단순 터치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도 13의 (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제 1 영역(401)이 사라지고 제 2 영역(402)이 확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확장된 제 2 영역(402)에 상기 독립 객체들이 더 많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제 2 영역(402)만이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제 2 영역(402)의 빈 공간에 제 4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제어부(180)는, 도 13의 (1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제 1 영역(401)이 복원되어 제 2 영역(402)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더욱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5의 (1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상기 A 홈스크린(4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141].
이 때, 상기 A 홈스크린(400) 내의 소망 객체(예를 들면, A3 객체)가 롱터치될 수 있다[S142].
상기 소망 객체에 대한 롱터치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180)는, 도 15의 (15-2) 및 (1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순서에 따라 상기 A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상기 B 홈스크린이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3]. 상기 A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상기 B 홈스크린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소망 객체가 여전히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같은 자리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상기 B 홈스크린이 나타남에도 불구하여 상기 소망 객체가 여전히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유지되는 것은, 상기 소망 객체가 상기 상기 A 홈스크린에서 상기 B 홈스크린으로 이동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S143].
상기 터치스크린(400)에서 상기 B홈스크린으로 이동된 상기 소망 객체에 대한 상기 롱터치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S144].
상기 소망 객체에 대한 롱터치가 계속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180)는, 도 15의 (15-4) 및 (1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순서에 따라 상기 B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상기 C 홈스크린이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5]. 상기 B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상기 C 홈스크린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소망 객체가 여전히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서 같은 자리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B 홈스크린이 사라지고 상기 C 홈스크린이 나타남에도 불구하여 상기 소망 객체가 여전히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유지되는 것은, 상기 소망 객체가 상기 상기 B 홈스크린에서 상기 C 홈스크린으로 이동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S145].
결과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400) 상에 소망 홈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상기 소망 객체를 롱터치함으로써, 상기 소망 객체를 상기 소망 홈스크린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5)

  1. 터치스크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을 위해 제 1 순서 및 제 2 순서가 정해지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터치액션 또는 제 2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제 3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까지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계속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계속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제 2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계속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계속 제 1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제 1 터치 액션이 한번 더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계속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터치액션 또는 제 2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마다,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4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들의 홈스크린들이 리스트된 홈스크린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스크린 리스트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 또는 제 2 순서대로 정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4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리스트가 계속 제 1 속도로 스크롤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가 계속 제 1 속도로 스크롤되는 도중에 제 4 터치 액션이 한번 더 행해질 때, 상기 리스트가 계속 제 1 속도보다 따른 제 2 속도로 스크롤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사전 설정되고,
    제 1 영역에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제 2 영역에 사전 설정된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영역에서 제 1 터치액션 또는 제 2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제 1 영역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계속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제 2 영역에서 제 1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 제 2 영역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객체들이 제 1 속도로 스크롤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2 영역에서 제 1 터치 액션이 한번 더 행해질 때, 제 2 영역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객체들이 제 1 속도보다 빠른 제 2 속도로 스크롤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2 영역의 빈공간에서 제 5 터치 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제 1 영역이 사라지면서 제 2 영역이 확장되고, 상기 확장된 제 2 영역에 상기 사전 설정된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5.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을 위해 제 1 순서 및 제 2 순서가 정해지는 단계;
    터치스크린 상에 제 1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1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터치액션이 행해질 때, 상기 복수 개의 홈스크린들이 제 2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10000469A 2011-01-04 2011-01-04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81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469A KR101781852B1 (ko) 2011-01-04 2011-01-04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100124101A TWI529575B (zh) 2011-01-04 2011-07-07 行動終端機及其控制方法
US13/184,268 US20120174026A1 (en) 2011-01-04 2011-07-15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110244088.8A CN102591558B (zh) 2011-01-04 2011-08-22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11183131.9A EP2472378B1 (en) 2011-01-04 2011-09-28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469A KR101781852B1 (ko) 2011-01-04 2011-01-04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266A true KR20120079266A (ko) 2012-07-12
KR101781852B1 KR101781852B1 (ko) 2017-09-26

Family

ID=4476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4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1852B1 (ko) 2011-01-04 2011-01-04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74026A1 (ko)
EP (1) EP2472378B1 (ko)
KR (1) KR101781852B1 (ko)
CN (1) CN102591558B (ko)
TW (1) TWI52957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0079B2 (en) 2012-06-28 2014-12-0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thod of adjusting an UI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50009119A (ko) * 2013-07-15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00075800A (ko) * 2020-06-17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브 박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20938A9 (en) * 2009-03-17 2016-11-03 Litera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Detection and Presentation of Pre-Set Configurations for Multiple Monitor Layout Display
KR20130046482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5373313A (zh) * 2012-07-18 2016-03-0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用户界面的图标管理方法及触控设备
KR102028724B1 (ko) 2012-09-20 201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TWI476714B (zh) * 2012-11-14 2015-03-11 Sage Information Systems Cort Ltd 以行動終端為基礎的服務整合系統及其整合方法
US20140164907A1 (en) * 2012-12-12 2014-06-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2064965B1 (ko) * 2013-01-04 2020-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더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2207443B1 (ko) 2013-07-2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TWI502474B (zh) * 2013-11-28 2015-10-01 Acer Inc 使用者介面的操作方法與電子裝置
CN104331235A (zh) * 2014-01-10 2015-02-04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切换应用界面的方法及其装置
KR102377785B1 (ko) 2014-02-10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5980954B (zh) * 2014-02-10 2019-12-1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KR102119843B1 (ko) 2014-02-10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31956B1 (ko) 2014-02-10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JP6035318B2 (ja) * 2014-12-22 2016-1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4796773B (zh) * 2015-03-20 2017-11-10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多设备输入事件的传输以及处理方法
CN104850323A (zh) * 2015-05-05 2015-08-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模式切换方法及装置
US11054988B2 (en) * 2017-06-30 2021-07-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0915240B2 (en) * 2018-05-21 2021-02-09 Alight Creative, Inc. Method of selection and manipulation of graphical objects
CN110750196A (zh) * 2018-07-23 2020-02-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循环滑屏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495002A (zh) * 2021-06-01 2022-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1472C2 (sv) * 1999-03-16 2003-11-04 Ericsson Telefon Ab L M Portabel kommunikationsapparat med dynamisk meny
CN1177453C (zh) * 2001-07-19 2004-11-24 朱占新 可旋显示屏移动电话
US20030046693A1 (en) * 2001-08-29 2003-03-06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within an interactive television user interface
DE10144634A1 (de) * 2001-09-11 2003-04-10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Bediensystem
EP1483653B1 (en) * 2002-03-08 2006-05-31 Revelations in Design, LP Electric device control apparatus
US7681149B2 (en) * 2003-05-21 2010-03-16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display for set-top box device
US20070132789A1 (en) * 2005-12-08 2007-06-14 Bas Ording List scrolling in response to moving contact over list of index symbols
US9395905B2 (en) * 2006-04-05 2016-07-19 Synaptics Incorporated Graphical scroll wheel
US8736557B2 (en) * 2006-09-11 2014-05-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WO2008045464A2 (en) * 2006-10-10 2008-04-17 Wms Gaming Inc. Multi-player, multi-touch table for use in wagering game systems
KR101450584B1 (ko) * 2007-02-22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US11126321B2 (en) *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US20100275150A1 (en) * 2007-10-02 2010-10-28 Access Co., Ltd. Terminal device, link selection method, and display program
KR100977385B1 (ko) * 2008-04-10 2010-08-20 주식회사 팬택 위젯형 대기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대기화면 제어 방법
CN101295223A (zh) * 2008-06-06 2008-10-29 马晶 实现快捷操作的系统及其操作方法、通讯终端及使用方法
CN101339489A (zh) * 2008-08-14 2009-01-07 炬才微电子(深圳)有限公司 人机交互方法、装置和系统
KR2010002768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701040B2 (en) * 2008-09-29 2014-04-15 Microsoft Corporation Panoramic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510738B1 (ko) * 2008-10-20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대기화면 구성 방법 및 장치
EP2237140B1 (en) * 2009-03-31 2018-1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13838B1 (ko) * 2009-05-19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124438A (ko) * 2009-05-19 2010-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1765236B (zh) * 2009-12-23 2014-04-0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界面切换方法及移动终端
KR101726790B1 (ko) * 2010-07-16 2017-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22050B1 (ko) * 2012-11-12 2019-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럴랙스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0079B2 (en) 2012-06-28 2014-12-09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thod of adjusting an UI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US9703470B2 (en) 2012-06-28 2017-07-11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thod of adjusting an UI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US11262908B2 (en) 2012-06-28 2022-03-01 Arability Ip Llc Method of adjusting an UI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50009119A (ko) * 2013-07-15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00075800A (ko) * 2020-06-17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브 박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2378A3 (en) 2014-09-24
US20120174026A1 (en) 2012-07-05
TWI529575B (zh) 2016-04-11
CN102591558A (zh) 2012-07-18
KR101781852B1 (ko) 2017-09-26
CN102591558B (zh) 2016-03-30
EP2472378B1 (en) 2018-04-11
TW201229848A (en) 2012-07-16
EP2472378A2 (en)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85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996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155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표시방법
KR10187374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2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89981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17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167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458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009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517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436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942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6442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807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22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1005139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5268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2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642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856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6934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833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006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