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074597A -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597A
KR20120074597A KR1020100136481A KR20100136481A KR20120074597A KR 20120074597 A KR20120074597 A KR 20120074597A KR 1020100136481 A KR1020100136481 A KR 1020100136481A KR 20100136481 A KR20100136481 A KR 20100136481A KR 20120074597 A KR20120074597 A KR 2012007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molding
forming
rod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602B1 (ko
Inventor
강은식
전승택
전춘식
김수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아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아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아기연
Priority to KR102010013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6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31B50/062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from the underside of a magaz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7Feeding sheets or blanks by air pressure or suction

Landscapes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흡착부에 흡착된 카톤의 측면을 눌러서 카톤의 전면 및 배면이 양측면과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세우며 카톤의 성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세워진 측면을 지지하는 성형부로 이루어진 카톤성형부; 카톤성형부의 일측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에 흡착된 카톤이 카톤이송부로 이송되는 동안 카톤의 배면을 흡착하여서 납작한 상태의 카톤이 펼쳐지도록 1차로 성형하는 카톤보조성형부; 카톤의 양측면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 측면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카톤 전면과 측면이 90°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카톤역성형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가 결합되며 카톤성형부를 승강시키는 카톤성형부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성형부에 의해 카톤의 전면 및 배면이 양측면과 정확하게 90°유지하도록 펼쳐지므로 이어지는 후속 공정들에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고, 이에 따라 포장 작업이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톤역성형부에 의해 양측면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도 전면과 측면을 90°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톤의 접힘 방향에 관계없이 카톤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성형시킬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Carton forming unit blister packaging}
본 발명은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카톤의 평면 및 저면이 양측면과 정확히 90°를 이루도록 성형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리스터(blister) 포장이란, 평평한 합성수지 필름으로부터 일정한 모양의 용기를 성형하여 그 안에 피(被) 포장물을 충진하고 덮개를 씌워 접착, 봉합한 후 일정 칫수로 타발, 절단하여 하나의 포장단위체를 만들어 내는 포장기법을 말한다.
이러한 블리스터 포장은 처음에는 제약회사의 정제나 캡슐을 1개의 팩으로 포장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는데, 오늘날에는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대표적으로 쵸코렛, 캔디, 껌 등을 포장하는 제과업계, 립스틱, 빗, 비누 등의 화장품 회사, 밧데리나 칫솔, 면도기 등의 각종 생활용품, 전구나 휴즈 등의 전자 및 자동차 부품, 그리고 선전형 소형 샘플 제작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리스터 포장은 다른 포장방식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선호된다.
투명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포장방식에 비하여 제품의 식별이 용이하고, 필름을 성형하여 제품으로 포장함으로써 제품의 형상과 같은 모양으로 포장할 수 있고 성형 툴(tool)에 의하여 자유자재로 포장 모양을 바꿀 수 있으며, 경질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연질 또는 종이를 사용한 방식에 비하여 제품 보호성이 뛰어나고, 사용 시에는, 간단하게 덮개 제거만으로 제품이 개봉되어 누구나 손쉽게 사용, 휴대할 수 있으며, 공장자동화 실현으로 인건비 절감효과, 원자재 사용 최소화를 달성한다.
이러한 블리스터 포장을 위한 포장기는 성형부, 제품 충전부, 접착부, 펀칭부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일반 공정에 의하여 제품을 포장하고 있다.
먼저, 성형부에서 필름 성형이 있게 된다. 필름 성형은 가열하여 압공(壓空) 또는 진공에 의하여 성형 툴의 요철부에 밀착시켜 성형한 후 냉각하여 다음 공정으로 진행시키며, 성형 모듈의 재질은 가공성, 열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이 주로 사용된다.
필름이 성형되면 제품 충전장치로부터 제품이 공급되어서 필름의 성형공간에 제품이 투입된다.
필름에 제품이 투입되면 접착부를 통해 필름의 상부면에 덮개재를 부착시킨다. 덮개재(lidding material)는 롤 상태로 권취된 것과 카드 보드와 같이 카드 매거진에 적재된 재료를 1장씩 공급하는 것이 있고, 접착 및 봉합은 온도, 압력, 접착 상하판의 평행도가 중요하며 온도는 150-300℃, 압력은 7-10㎏/㎠가 일반적이 다.
필름에 덮개재가 부착되면 펀칭부로 필름을 펀칭하여서 필름을 포장단위로 커팅한다. 이 펀칭단계는 제품이 충전된 필름을 1개의 포장단위로 커팅하는 단계로써, 일반적으로는 프레스, 펀칭 방식을 이용하며 1개 또는 다수의 금형 형식을 취한다.
블리스터 포장에 의해 제품이 수납된 필름이 완성되면 제품을 설명서와 함께 카톤에 투입하고 투입된 카톤을 닫아서 배출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카톤 포장공정은, 블리스터 제품을 적재한 후 카토너에 공급해 주는 제품 공급부와, 공급되는 필름을 후속 공정으로 하나씩 이송시키는 제품-블리스터 이송부와, 설명서가 적재되고 적재된 설명서를 하나씩 클램핑하여 설명서를 투입부로 이송하는 공급하는 설명서공급장치와, 다수의 카톤이 적재되고 적재된 카톤을 하나씩 펼치면서 카톤을 공급하는 카톤성형부와, 카톤이 이송부를 따라 이송하면 카톤 내부에 제품 및 설명서를 밀어 넣고 카톤의 입구를 닫는 카톤 인서트부와, 제품 및 설명서가 투입된 카톤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카톤 포장공정 중 가장 중요한 공정은 납작하게 적재된 상태의 카톤을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도록 펼치는 카톤 성형공정이다. 카톤성형부에서 납작하게 적재된 카톤이 제대로 펼쳐지지 않을 경우, 제품인서트부에서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제품인서트부에서는 직육면체로 성형된 카톤의 일측 개구를 닫는 작업과, 열린 상태의 타측의 개구를 벌리는 작업과, 카톤의 타측 개구에 필름 및 설명서를 투입하는 작업과, 카톤의 타측 개구를 닫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카톤성형부에서 납작한 형태의 카톤이 제대로 펼쳐지지 못하면 즉, 카톤의 평면 및 저면이 양측면과 90°를 이루지 못하도록 덜 펼쳐진 경우, 이어지는 후속 공정들에서 에러가 발생될 우려가 매우 높으며, 이러한 에러는 포장 작업을 지연시키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톤의 평면 및 저면이 양측면과 정확히 90°를 이루도록 성형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측면이 시계방향으로 접힌 상태의 카톤 뿐 아니라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카톤도 전면과 측면을 90°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제품이 포장된 필름을 설명지와 함께 카톤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해 납작한 형태로 카톤메거진에 적재된 카톤을 하나씩 펼치면서 카톤이송부로 공급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에 있어서, 카톤메거진 및 카톤이송부 사이의 프레임에 설치되어서 카톤메거진에 적재된 납작한 형태의 카톤을 흡착하는 흡착부와, 카톤메거진과 카톤이송부 사이에 설치되고 흡착부에 연결되어서 흡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흡착부 및 회전부에 연결되고 회전부가 회전될 시 흡착부를 카톤메거진, 카톤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흡착부에 설치되어서 흡착부와 함께 이동되고 흡착부에 흡착된 카톤의 측면을 눌러서 카톤의 전면 및 배면이 양측면과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세우며 카톤의 성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세워진 측면을 지지하는 성형부로 이루어진 카톤성형부; 카톤성형부의 일측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에 흡착된 카톤이 카톤이송부로 이송되는 동안 카톤의 배면을 흡착하여서 납작한 상태의 카톤이 펼쳐지도록 1차로 성형하는 카톤보조성형부; 카톤이송부 일측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를 통해 카톤이송부로 안착된 카톤 중 카톤의 양측면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 측면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카톤 전면과 측면이 90°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카톤역성형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가 결합되며 카톤성형부를 승강시키는 카톤성형부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다른 특징은, 흡착부는, 카톤성형부의 이송부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회전되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서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결합블록과, 결합블록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흡입축들과, 진공흡입축들의 단부에 연결되고 결합블록 및 진공흡입축들이 진공이 형성되면 카톤의 전면을 흡착하는 진공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회전부는, 카톤성형부승강부의 전방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휠과, 일단이 회전휠에 결합되어서 회전휠을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와, 서보모터와 구동축에 연결되어서 서보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축에 전달하는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이송부는, 구동축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의 양측에 각각 치합되어 있는 한쌍의 제1전동기어들과, 제1전동기어들에 각각 연결되어서 제1전동기어들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전동축들과, 전동축들에 연결되어서 전동축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제2전동기어들과, 제2전동기어들에 연결되어서 제2전동기어들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아암회전축들과, 회전휠의 전방에 고정되어서 회전휠과 함께 회전되고 아암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로드휠들과, 로드휠의 전방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아암회전축에 결합되어서 아암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동아암들과, 일단이 회동아암들의 타단에 결합되어서 회동아암과 함께 회전되고 타단에 흡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축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성형부는, 일단이 흡착부의 결합블록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고 진공흡입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는 실린더로드를 갖는 포밍실린더와,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진시 카톤의 일측면을 세워서 카톤의 전면 및 배면이 양측면과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포밍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포밍브라켓은, 실린더로드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양단에 각각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진공흡입축들에 대향되는 포밍부로 이루어지며, 포밍부의 단부에는 카톤의 측면에 점차적으로 접촉되면서 카톤의 측면을 세우도록 경사진 형태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성형부는, 카톤이 카톤보조성형부를 지나면서 성형될 때에 포밍실린더가 작동되어서 포밍브라켓이 카톤의 측면을 가압하여 90°로 세우고 성형된 카톤이 카톤이송부로 이송되는 동안 카톤의 측면을 지지하여서 성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카톤보조성형부는,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블록결합브라켓과, 블록결합브라켓에 결합되어 있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서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진공블록들과, 진공펌프 및 진공블록들에 연결되어서 진공블록 내부를 진공시키는 흡입호스들과, 진공블록들에 설치되고 결합블록들에 진공이 형성되면 카톤의 배면을 흡착하는 진공컵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카톤역성형부는, 이송부에 안착된 카톤의 측면을 성형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카톤의 양측면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 측면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카톤 전면과 측면이 90°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포밍로드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포밍로드에 연결되어서 포밍로드를 카톤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키는 로드수평구동부와, 포밍로드 및 로드수평구동부에 설치되어서 포밍로드의 전후, 좌우,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와, 구동원과 로드수평구동부에 연결되어서 로드수평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로드수평구동부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서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는 이동블록과,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에 편심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편심축과, 일단이 편심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블록에 연결되어서 회전판의 회전시 편심축과 함께 연동되면서 이동블록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작동로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위치조절부는, 하단이 이동블록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이동블록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포밍로드가 연결되어서 포밍로드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을 안내하는 상하안내브라켓과, 일단이 상하안내브라켓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포밍로드가 연결되어서 포밍로드의 위치가 좌우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을 안내하는 수평연결바와, 수평연결바에 좌우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포밍로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전후이동블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동력전달부는, 회전판의 중심에 결합되어서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전동축과, 일단이 구동원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전동축에 연결되어서 구동원의 동력을 전동축에 전달하는 구동축과, 구동축 및 전동축의 대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서 구동축의 동력을 전동축에 전달하는 한쌍의 베벨기어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카톤성형부승강부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양측에 가이드가 구비되는 설치프레임과, 전방에 카톤성형부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이 가이드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는 베이스판과, 양단이 설치프레임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판이 결합되어서 베이스판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들과, 베이스판에 결합되어서 베이스판과 함께 승강되는 승강너트와, 하단이 승강너트에 체결되어 있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시 승강너트 및 베이스판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스크류와, 승강스크류의 상단에 연결되어서 승강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구동축 및 승강스크류에 연결되어서 구동축의 회전동력을 승강스크류에 전달하는 전동기어군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흡착부에 설치되어 있는 포밍실린더와,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진시 카톤의 일측면을 세워서 카톤의 전면 및 배면이 양측면과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포밍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성형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카톤이 카톤보조성형부를 지나면서 펼쳐질 때에 포밍실린더가 작동되어서 포밍브라켓이 카톤의 측면을 가압하여 90°로 세우고, 성형된 카톤이 카톤이송부로 이송되는 동안 카톤의 측면을 지지하여서 카톤의 전면 및 배면이 양측면과 90°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므로 카톤이 다시 접히지 않도록 한다. 그러므로 성형부에 의해 카톤의 전면 및 배면이 양측면과 정확하게 90°유지하도록 펼쳐지므로 이어지는 후속 공정들에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고, 이에 따라 포장 작업이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이송부에 안착된 카톤의 측면을 성형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카톤의 양측면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 측면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카톤 전면과 측면이 90°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포밍로드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포밍로드에 연결되어서 포밍로드를 카톤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키는 로드수평구동부와, 포밍로드 및 로드수평구동부에 설치되어서 포밍로드의 전후, 좌우,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와, 구동원과 로드수평구동부에 연결되어서 로드수평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 카톤역성형부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양측면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이 카톤이송부로 이송되면 포밍로드가 전진되어서 카톤의 측면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세울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카톤의 양측면이 시계방향으로 접힌 상태의 일반적인 카톤 뿐 아니라,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도 전면과 측면을 90°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톤의 접힘 방향에 관계없이 카톤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성형시킬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카톤성형부가 카톤성형부승강부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을 회전시키면 승강스크류가 회전되면서 승강너트 및 베이스판이 설치프레임의 가이드를 따라 승강된다. 그러므로 카톤의 크기에 맞게 카톤성형부를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카톤을 성형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카톤을 성형한 후 제품 및 설명서를 성형된 카톤 내부에 투입하고 카톤을 밀봉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카톤성형부 및 카톤성형부승강부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카톤성형부를 발췌한 개략적 전방부 사시도
도 5는 카톤성형부를 발췌한 개략적 후방부 사시도
도 6은 카톤성형부의 흡착부, 회전부, 이송부, 성형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j는 카톤을 카톤메거진으로부터 흡착하고 흡착된 카톤을 카톤보조성형부가 1차 성형하며 성형부가 2차 성형한 후 카톤이송부에 안착시키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정면도들
도 8은 카톤역성형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카톤성형부승강부를 보인 개략적 배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카톤을 성형한 후 제품 및 설명서를 성형된 카톤 내부에 투입하고 카톤을 밀봉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카톤성형부 및 카톤성형부승강부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카톤성형부를 발췌한 개략적 전방부 사시도이고, 도 5는 카톤성형부를 발췌한 개략적 후방부 사시도이며, 도 6은 카톤성형부의 흡착부, 회전부, 이송부, 성형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j는 카톤을 카톤메거진으로부터 흡착하고 흡착된 카톤을 카톤보조성형부가 1차 성형하며 성형부가 2차 성형한 후 카톤이송부에 안착시키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정면도들이고, 도 8은 카톤역성형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9는 카톤성형부승강부를 보인 개략적 배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제품이 포장된 필름을 설명지와 함께 카톤(1)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해 납작한 형태로 카톤메거진(6)에 적재된 카톤(1)을 하나씩 펼치면서 카톤이송부(7)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톤성형부(10), 카톤보조성형부(60), 카톤역성형부(70), 카톤성형부승강부(90)로 이루어진다.
카톤성형부(10)는, 흡착부(20), 회전부(30), 이송부(40), 성형부(50)로 이루어진다.
흡착부(20)는, 카톤메거진(6) 및 카톤이송부(7) 사이의 프레임(5)에 설치되어서 카톤메거진(6)에 적재된 납작한 형태의 카톤(1)을 흡착한다.
이러한 흡착부(20)는, 카톤성형부(10)의 이송부(40)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회전되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서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결합블록(21)과, 결합블록(21)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흡입축(22)들과, 진공흡입축(22)들의 단부에 연결되고 결합블록(21) 및 진공흡입축(22)들이 진공이 형성되면 카톤(1)의 전면을 흡착하는 진공컵(23)으로 이루어진다.
회전부(30)는, 카톤메거진(6)과 카톤이송부(7) 사이에 설치되고 흡착부(20)에 연결되어서 흡착부(2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부(30)는, 카톤성형부승강부(90)의 전방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휠(31)과, 일단이 회전휠(31)에 결합되어서 회전휠(31)을 회전시키는 구동축(32)과, 구동축(32)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구동축(32)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33)와, 서보모터(33)와 구동축(32)에 연결되어서 서보모터(33)의 회전력을 구동축(32)에 전달하는 타입밍벨트(34)로 이루어진다.
이송부(40)는, 흡착부(20) 및 회전부(30)에 연결되고 회전부(30)가 회전될 시 흡착부(20)를 카톤메거진(6), 카톤이송부(7)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부(40)는, 구동축(3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기어(41)와, 구동기어(41)의 양측에 각각 치합되어 있는 한쌍의 제1전동기어(42)들과, 제1전동기어(42)들에 각각 연결되어서 제1전동기어(42)들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전동축(43)들이 구비된다.
전동축(43)들에는 전동축(43)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제2전동기어(44)들이 연결되어 있고, 제2전동기어(44)들에는 제2전동기어(44)들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아암회전축(45)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휠(31)의 전방에는 회전휠(31)과 함께 회전되고 아암회전축(45)의 회전을 지지하는 로드휠(46)들이 고정되어 있다.
로드휠(46)의 전방에는 일단이 아암회전축(45)에 결합되어서 아암회전축(45)과 함께 회전되는 회동아암(47)들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회동아암(47)들의 타단에는 지지축(48)의 일단이 일단이 결합되어서 회동아암(47)과 함께 회전되고, 지지축(48)의 타단에는 흡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성형부(50)는, 흡착부(20)에 설치되어서 흡착부(20)와 함께 이동되고 흡착부(20)에 흡착된 카톤(1)의 측면(4)을 눌러서 카톤(1)의 전면(2) 및 배면(3)이 양측면(4)과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세우며 카톤(1)의 성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세워진 측면(4)을 지지한다.
이러한 성형부(50)는, 일단이 흡착부(20)의 결합블록(2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브라켓(51)과, 고정브라켓(51)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고 진공흡입축(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는 실린더로드(53)를 갖는 포밍실린더(52)와, 실린더로드(53)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실린더로드(53)의 전진시 카톤(1)의 일측면(4)을 세워서 카톤(1)의 전면(2) 및 배면(3)이 양측면(4)과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포밍브라켓(54)으로 이루어진다.
성형부(50)의 포밍브라켓(54)은, 실린더로드(53)에 결합되는 고정부(55)와, 고정부(55)의 양단에 각각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진공흡입축(22)들에 대향되는 포밍부(56)로 이루어지며, 포밍부(56)의 단부에는 카톤(1)의 측면에 점차적으로 접촉되면서 카톤(1)의 측면을 세우도록 경사진 형태의 가압면(5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성형부(50)는, 카톤(1)이 카톤보조성형부(60)를 지나면서 성형될 때에 포밍실린더(52)가 작동되어서 포밍브라켓(54)이 카톤(1)의 측면(4)을 가압하여 90°로 세우고 성형된 카톤(1)이 카톤이송부(7)로 이송되는 동안 카톤(1)의 측면(4)을 지지하여서 성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카톤보조성형부(60)는, 카톤성형부(10) 일측의 프레임(5)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10)에 흡착된 카톤(1)이 카톤이송부(7)로 이송되는 동안 카톤(1)의 배면(3)을 흡착하여서 납작한 상태의 카톤(1)이 펼쳐지도록 1차로 성형한다.
이러한 카톤보조성형부(60)는, 프레임(5)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블록결합브라켓(61)과, 블록결합브라켓(61)에 결합되어 있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서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진공블록(62)들과, 진공펌프 및 진공블록(62)들에 연결되어서 진공블록(62) 내부를 진공시키는 흡입호스(64)들과, 진공블록(62)들에 설치되고 결합블록(21)들에 진공이 형성되면 카톤(1)의 배면(3)을 흡착하는 진공컵(63)들로 이루어진다.
카톤역성형부(70)는, 카톤이송부(7) 일측의 프레임(5)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10)를 통해 카톤이송부(7)로 안착된 카톤(1) 중 카톤(1)의 양측면(4)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1) 측면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카톤(1) 전면과 측면이 90°를 유지하도록 성형한다.
이러한 카톤역성형부(70)는, 포밍로드(71), 로드수평구동부(72), 위치조절부(78), 동력전달부(82)로 이루어진다.
포밍로드(71)는, 이송부(40)에 안착된 카톤(1)의 측면(4)을 성형하도록 프레임(5)에 설치되고 카톤(1)의 양측면(4)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1) 측면(4)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카톤(1) 전면과 측면이 90°를 유지하도록 성형한다.
로드수평구동부(72)는, 프레임(5)의 상부에 설치되고 포밍로드(71)에 연결되어서 포밍로드(71)를 카톤(1)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킨다.
이러한 로드수평구동부(72)는, 프레임(5)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77)과, 가이드레일(77)에 결합되어서 가이드레일(77)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는 이동블록(76)과, 동력전달부(82)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73)과, 회전판(73)에 편심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편심축(74)과, 일단이 편심축(74)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블록(76)에 연결되어서 회전판(73)의 회전시 편심축(74)과 함께 연동되면서 이동블록(76)이 가이드레일(77)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작동로드(75)로 이루어진다.
위치조절부(78)는, 포밍로드(71) 및 로드수평구동부(72)에 설치되어서 포밍로드(71)의 전후, 좌우, 상하 높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위치조절부(78)는, 하단이 이동블록(76)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이동블록(76)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포밍로드(71)가 연결되어서 포밍로드(71)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을 안내하는 상하안내브라켓(79)과, 일단이 상하안내브라켓(79)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포밍로드(71)가 연결되어서 포밍로드(71)의 위치가 좌우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을 안내하는 수평연결바(80)와, 수평연결바(80)에 좌우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포밍로드(7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전후이동블록(8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하안내브라켓(79), 수평연결바(80), 포밍로드(71)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어서, 포밍로드(71)가 수직, 수평,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시 수평연결바(80), 전후이동블록(81), 포밍로드(71)가 이 슬롯을 따라 이동되면서 조절된다.
동력전달부(82)는, 구동원과 로드수평구동부(72)에 연결되어서 로드수평구동부(72)에 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82)는, 회전판(73)의 중심에 결합되어서 회전판(73)을 회전시키는 전동축(83)과, 일단이 구동원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전동축(83)에 연결되어서 구동원의 동력을 전동축(83)에 전달하는 구동축(84)과, 구동축(84) 및 전동축(83)의 대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서 구동축(84)의 동력을 전동축(83)에 전달하는 한쌍의 베벨기어(85)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원은 카톤성형부(10)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일 수도 있고, 카톤 성형장치의 전 공정 및 후속 공정의 구동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카톤성형부승강부(90)는, 프레임(5)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10)가 결합되며 카톤성형부(10)를 승강시킨다.
이러한 카톤성형부승강부(90)는, 프레임(5)에 설치되어 있고 양측에 가이드(92)가 구비되는 설치프레임(91)과, 전방에 카톤성형부(10)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이 가이드(92)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는 베이스판(93)과, 양단이 설치프레임(9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판(93)이 결합되어서 베이스판(93)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94)들이 구비된다. 베이스판(93)에는 베이스판(93)과 함께 승강되는 승강너트(95)가 결합되어 있고, 이 승강너트(95)에는 승강스크류(96)의 하단이 체결되어 있으며 이 승강스크류(96)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시 승강너트(95) 및 베이스판(93)을 승강시킨다.
승강스크류(96)의 상단에는 승강스크류(96)를 회전시키는 구동축(97)이 연결되어 있고, 구동축(97) 및 승강스크류(96)에는 구동축(97)의 회전동력을 승강스크류(96)에 전달하는 전동기어군(98)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전동기어군(98)은 두 쌍의 베벨기어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서보모터(33)가 구동되면 타입밍벨트(34)가 회전되면서 구동축(32)이 회전된다. 구동축(32)이 회전되면 회전부(30)의 회전휠(31)이 회전되면서 회전휠(31)에 설치된 흡착부(20), 이송부(40), 성형부(50)가 회전휠(31)과 함께 회전된다.
한편, 구동축(32)의 회전시 제1전동기어(42)들, 전동축(43)들, 제2전동기어(44)들, 아암회전축(45)들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동아암(47)들이 아암회전축(45)들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흡착부(20) 및 성형부(50)가 회동아암(47)을 따라 회전된다.
따라서 흡착부(20)는 서보모터(33)의 구동시 구동축(32)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아암회전축(45)을 따라 다시 회전되면서 카톤메거진(6)에서 카톤(1)을 흡착하고 흡착된 카톤을 카톤보조성형부(60)의 진공컵(63)에 밀착시킨 후 카톤이송부(7)에 안착시키게 된다.
카톤성형부(10)의 회전부(30) 및 이송부(40)가 구동되어서 흡착부(20)의 진공컵(23)이 카톤메거진(6)의 카톤(1) 전면에 밀착되면 진공컵(23) 내부에 내부가 진공처리되며 이에 따라 카톤(1)의 전면(2)이 진공컵(23)에 흡착된다.
흡착부(20)에 흡착된 카톤(1)은 카톤보조성형부(60)로 이송되며 카톤보조성형부(60)의 진공컵(63)에 밀착된다. 이때 카톤보조성형부(60)의 진공컵(63)은 순간적으로 진공처리되며 이에 따라 카톤(1)의 배면(3)이 진공컵(63)에 흡착된다.
카톤(1)의 전면(2)은 흡착부(20)의 진공컵(23)에 흡착되고 카톤(1)의 배면(3)은 카톤보조성형부(60)의 진공컵(63)에 흡착된 상태에서 흡착부(20)가 카톤보조성형부(60)에서 멀어지면 납작한 상태의 카톤(1)이 펼쳐지게 되며, 이때 카톤보조성형부(60)의 진공은 해제된다.
납잡한 형태의 카톤(1)이 펼쳐지면서 성형되면 성형부의 포밍실린더(52)가 작동되고 포밍브라켓(54)의 가압면(57)이 카톤(1)의 측면(4)을 가압하면서 세운다. 따라서 카톤(1)은 전면(2) 및 배면(3)이 측면(4)과 90°를 이루게 된다.
카톤(1)이 성형된 후 카톤이송부(7) 측으로 이송되면 흡착부(20)의 진공컵(23)에 진공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성형된 카톤(1)이 카톤이송부(7)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흡착부(20)에 설치되어 있는 포밍실린더(52)와, 실린더로드(53)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실린더로드(53)의 전진시 카톤(1)의 일측면을 세워서 카톤(1)의 전면(2) 및 배면(3)이 양측면(4)과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포밍브라켓(54)으로 이루어진 성형부(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카톤(1)이 카톤보조성형부(60)를 지나면서 펼쳐질 때에 포밍실린더(52)가 작동되어서 포밍브라켓(54)이 카톤(1)의 측면(4)을 가압하여 90°로 세우고, 성형된 카톤(1)이 카톤이송부(7)로 이송되는 동안 카톤(1)의 측면(4)을 지지하여서 카톤(1)의 전면(2) 및 배면(3)이 양측면(4)과 90°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므로 카톤(1)이 다시 접히지 않도록 한다.
그러므로 성형부(50)에 의해 카톤(1)의 전면(2) 및 배면(3)이 양측면(4)과 정확하게 90°유지하도록 펼쳐지므로 이어지는 후속 공정들에서 에러가 발생되지 않고, 이에 따라 포장 작업이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이송부(40)에 안착된 카톤(1)의 측면(4)을 성형하도록 프레임(5)에 설치되고 카톤(1)의 양측면(4)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1) 측면(4)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카톤(1) 전면(2)과 측면(4)이 90°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포밍로드(71)와, 프레임(5)의 상부에 설치되고 포밍로드(71)에 연결되어서 포밍로드(71)를 카톤이송부(7)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키는 로드수평구동부(72)와, 포밍로드(71) 및 로드수평구동부(72)에 설치되어서 포밍로드(71)의 전후, 좌우,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78)와, 구동원과 로드수평구동부(72)에 연결되어서 로드수평구동부(72)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2)로 이루어진 카톤역성형부(7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양측면(4)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1)이 카톤이송부(7)로 이송되면 포밍로드(71)가 전진되어서 카톤(1)의 측면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세울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카톤(1)의 양측면(4)이 시계방향으로 접힌 상태의 일반적인 카톤(1) 뿐 아니라,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1)도 전면(2)과 측면(4)을 90°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톤(1)의 접힘 방향에 관계없이 카톤(1)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성형시킬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향상된다.
셋째, 본 발명의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는 카톤성형부(10)가 카톤성형부승강부(90)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97)을 회전시키면 승강스크류(96)가 회전되면서 승강너트(95) 및 베이스판(93)이 설치프레임(91)의 가이드(92)를 따라 승강된다.
그러므로 카톤(1)의 크기에 맞게 카톤성형부(10)를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카톤(1)을 성형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향상된다.
1 : 카톤 1 : 저면
3 : 배면 4 : 측면
5 : 프레임 6 : 카톤메거진
7 : 카톤이송부 10 : 카톤성형부
20 : 흡착부 21 : 결합블록
22 : 진공흡입축 23,63 : 진공컵
30 : 회전부 31 : 회전휠
32,84,97 : 구동축 33 : 서보모터
34 : 타이밍벨트 40 : 이송부
41 : 구동기어 42 : 제1전동기어
43,83 : 전동축 44 : 제2전동기어
45 : 아암회전축 46 : 로드휠
47 : 회동아암 48 : 지지축
50 : 성형부 51 : 고정브라켓
52 : 포밍실린더 53 : 실린더로드
54 : 포밍브라켓 55 : 고정부
56 : 포밍부 57 : 가압면
60 : 카톤보조성형부 61 : 블록결합브라켓
62 : 진공블록 64 : 흡입호스
70 : 카톤역성형부 71 : 포밍로드
72 : 로드수평구동부 73 : 회전판
74 : 편심축 75 : 작동로드
76 : 이동블록 77 : 가이드레일
78 : 위치조절부 79 : 상하안내브라켓
80 : 수평연결바 81 : 전후이동블록
82 : 동력전달부 85 : 베벨기어
90 : 카톤성형부승강부 91 : 설치프레임
92 : 가이드 93 : 베이스판
94 : 가이드봉 95 : 승강너트
96 : 승강스크류 98 : 전동기어군

Claims (13)

  1. 제품이 포장된 필름을 설명지와 함께 카톤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해 납작한 형태로 카톤메거진에 적재된 카톤을 하나씩 펼치면서 카톤이송부로 공급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에 있어서,
    카톤메거진(6) 및 카톤이송부(7) 사이의 프레임(5)에 설치되어서 카톤메거진(6)에 적재된 납작한 형태의 카톤(1)을 흡착하는 흡착부(20)와, 카톤메거진(6)과 카톤이송부(7) 사이에 설치되고 흡착부(20)에 연결되어서 흡착부(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0)와, 흡착부(20) 및 회전부(30)에 연결되고 회전부(30)가 회전될 시 흡착부(20)를 카톤메거진(6), 카톤이송부(7)로 이송시키는 이송부(40)와, 흡착부(20)에 설치되어서 흡착부(20)와 함께 이동되고 흡착부(20)에 흡착된 카톤(1)의 측면(4)을 눌러서 카톤(1)의 전면(2) 및 배면(3)이 양측면(4)과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세우며 카톤(1)의 성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세워진 측면(4)을 지지하는 성형부(50)로 이루어진 카톤성형부(10);
    카톤성형부(10) 일측의 프레임(5)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10)에 흡착된 카톤(1)이 카톤이송부(7)로 이송되는 동안 카톤(1)의 배면(3)을 흡착하여서 납작한 상태의 카톤(1)이 펼쳐지도록 1차로 성형하는 카톤보조성형부(60);
    카톤이송부(7) 일측의 프레임(5)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10)를 통해 카톤이송부(7)로 안착된 카톤(1) 중 카톤(1)의 양측면(4)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1) 측면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카톤(1) 전면과 측면이 90°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카톤역성형부(70);
    프레임(5)에 설치되고 카톤성형부(10)가 결합되며 카톤성형부(10)를 승강시키는 카톤성형부승강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착부(20)는,
    카톤성형부(10)의 이송부(40)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회전되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서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결합블록(21)과,
    결합블록(21)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흡입축(22)들과,
    진공흡입축(22)들의 단부에 연결되고 결합블록(21) 및 진공흡입축(22)들이 진공이 형성되면 카톤(1)의 전면을 흡착하는 진공컵(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부(30)는,
    카톤성형부승강부(90)의 전방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휠(31)과,
    일단이 회전휠(31)에 결합되어서 회전휠(31)을 회전시키는 구동축(32)과,
    구동축(32)의 타단에 연결되어서 구동축(32)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33)와,
    서보모터(33)와 구동축(32)에 연결되어서 서보모터(33)의 회전력을 구동축(32)에 전달하는 타입밍벨트(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이송부(40)는,
    구동축(3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기어(41)와,
    구동기어(41)의 양측에 각각 치합되어 있는 한쌍의 제1전동기어(42)들과,
    제1전동기어(42)들에 각각 연결되어서 제1전동기어(42)들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전동축(43)들과,
    전동축(43)들에 연결되어서 전동축(43)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제2전동기어(44)들과,
    제2전동기어(44)들에 연결되어서 제2전동기어(44)들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아암회전축(45)들과,
    회전휠(31)의 전방에 고정되어서 회전휠(31)과 함께 회전되고 아암회전축(45)의 회전을 지지하는 로드휠(46)들과,
    로드휠(46)의 전방에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아암회전축(45)에 결합되어서 아암회전축(45)과 함께 회전되는 회동아암(47)들과,
    일단이 회동아암(47)들의 타단에 결합되어서 회동아암(47)과 함께 회전되고 타단에 흡착부(20)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축(48)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성형부(50)는,
    일단이 흡착부(20)의 결합블록(2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브라켓(51)과,
    고정브라켓(51)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고 진공흡입축(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는 실린더로드(53)를 갖는 포밍실린더(52)와,
    실린더로드(53)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실린더로드(53)의 전진시 카톤(1)의 일측면(4)을 세워서 카톤(1)의 전면(2) 및 배면(3)이 양측면(4)과 9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포밍브라켓(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포밍브라켓(54)은,
    실린더로드(53)에 결합되는 고정부(55)와, 고정부(55)의 양단에 각각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진공흡입축(22)들에 대향되는 포밍부(56)로 이루어지며,
    포밍부(56)의 단부에는 카톤(1)의 측면에 점차적으로 접촉되면서 카톤(1)의 측면을 세우도록 경사진 형태의 가압면(5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성형부(50)는,
    카톤(1)이 카톤보조성형부(60)를 지나면서 성형될 때에 포밍실린더(52)가 작동되어서 포밍브라켓(54)이 카톤(1)의 측면(4)을 가압하여 90°로 세우고 성형된 카톤(1)이 카톤이송부(7)로 이송되는 동안 카톤(1)의 측면(4)을 지지하여서 성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톤보조성형부(60)는,
    프레임(5)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블록결합브라켓(61)과,
    블록결합브라켓(61)에 결합되어 있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서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진공블록(62)들과,
    진공펌프 및 진공블록(62)들에 연결되어서 진공블록(62) 내부를 진공시키는 흡입호스(64)들과,
    진공블록(62)들에 설치되고 결합블록(21)들에 진공이 형성되면 카톤(1)의 배면(3)을 흡착하는 진공컵(63)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톤역성형부(70)는,
    이송부(40)에 안착된 카톤(1)의 측면(4)을 성형하도록 프레임(5)에 설치되고 카톤(1)의 양측면(4)이 반시계방향으로 접힌 역방향의 카톤(1) 측면(4)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카톤(1) 전면과 측면이 90°를 유지하도록 성형하는 포밍로드(71)와,
    프레임(5)의 상부에 설치되고 포밍로드(71)에 연결되어서 포밍로드(71)를 카톤(1)이송부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키는 로드수평구동부(72)와,
    포밍로드(71) 및 로드수평구동부(72)에 설치되어서 포밍로드(71)의 전후, 좌우,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78)와,
    구동원과 로드수평구동부(72)에 연결되어서 로드수평구동부(72)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로드수평구동부(72)는,
    프레임(5)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77)과,
    가이드레일(77)에 결합되어서 가이드레일(77)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는 이동블록(76)과,
    동력전달부(82)에 연결되어서 이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73)과,
    회전판(73)에 편심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편심축(74)과,
    일단이 편심축(74)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블록(76)에 연결되어서 회전판(73)의 회전시 편심축(74)과 함께 연동되면서 이동블록(76)이 가이드레일(77)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작동로드(7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위치조절부(78)는,
    하단이 이동블록(76)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이동블록(76)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포밍로드(71)가 연결되어서 포밍로드(71)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을 안내하는 상하안내브라켓(79)과,
    일단이 상하안내브라켓(79)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포밍로드(71)가 연결되어서 포밍로드(71)의 위치가 좌우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을 안내하는 수평연결바(80)와,
    수평연결바(80)에 좌우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포밍로드(7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전후이동블록(8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동력전달부(82)는,
    회전판(73)의 중심에 결합되어서 회전판(73)을 회전시키는 전동축(83)과,
    일단이 구동원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전동축(83)에 연결되어서 구동원의 동력을 전동축(83)에 전달하는 구동축(84)과,
    구동축(84) 및 전동축(83)의 대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서 구동축(84)의 동력을 전동축(83)에 전달하는 한쌍의 베벨기어(85)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톤성형부승강부(90)는,
    프레임(5)에 설치되어 있고 양측에 가이드(92)가 구비되는 설치프레임(91)과,
    전방에 카톤성형부(10)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이 가이드(92)에 결합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는 베이스판(93)과,
    양단이 설치프레임(9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판(93)이 결합되어서 베이스판(93)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94)들과,
    베이스판(93)에 결합되어서 베이스판(93)과 함께 승강되는 승강너트(95)와,
    하단이 승강너트(95)에 체결되어 있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시 승강너트(95) 및 베이스판(93)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스크류(96)와,
    승강스크류(96)의 상단에 연결되어서 승강스크류(96)를 회전시키는 구동축(97)과,
    구동축(97) 및 승강스크류(96)에 연결되어서 구동축(97)의 회전동력을 승강스크류(96)에 전달하는 전동기어군(9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KR1020100136481A 2010-12-28 2010-12-28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Active KR10124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481A KR101245602B1 (ko) 2010-12-28 2010-12-28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481A KR101245602B1 (ko) 2010-12-28 2010-12-28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597A true KR20120074597A (ko) 2012-07-06
KR101245602B1 KR101245602B1 (ko) 2013-03-20

Family

ID=4670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481A Active KR101245602B1 (ko) 2010-12-28 2010-12-28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60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652B1 (ko) * 2012-10-22 2014-03-06 (주)진성 테크템 개별포장시스템에 있어서 설명서 자동공급장치
KR101629238B1 (ko) 2015-11-11 2016-06-10 주식회사 흥아기연 블리스터 포장기의 정제 투입 감지 장치
KR20170121748A (ko) 2016-04-25 2017-11-03 주식회사 흥아기연 블리스터 포장용 버텀 비전시스템
CN114654393A (zh) * 2022-03-07 2022-06-24 常州荣玖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拼装圆形膜片式夹紧气缸的快速工装装置
EP4190547A1 (en) * 2021-12-03 2023-06-07 Massimiliano Francesco La Scala Handle applicator for applying handles to lying packages
CN116424635A (zh) * 2023-06-15 2023-07-14 苏州市东山三联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高速纸箱包装机
CN117140918A (zh) * 2023-09-19 2023-12-01 南通博旭科技有限公司 一种伺服高速机
CN119116445A (zh) * 2024-11-11 2024-12-13 瑞金市恒泰工艺礼品有限公司 一种礼品盒用智能加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493B1 (ko) 2015-01-13 2016-12-14 주식회사 흥아기연 카토너용 카톤 세움장치
KR102005092B1 (ko) 2018-04-10 2019-10-01 (주)제이에스아이 범용성 있으면서 안전하게 사용되게 하는 포장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5089B1 (de) * 1981-05-18 1984-12-05 Carl, Heinz, Ing.grad. Verdrängungskörper
JPS5844137A (ja) * 1981-09-10 1983-03-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免震支持装置
DE3941867A1 (de) * 1989-12-19 1991-06-20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ueberfuehren flacher gegenstaende, insbesondere faltschachtel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652B1 (ko) * 2012-10-22 2014-03-06 (주)진성 테크템 개별포장시스템에 있어서 설명서 자동공급장치
KR101629238B1 (ko) 2015-11-11 2016-06-10 주식회사 흥아기연 블리스터 포장기의 정제 투입 감지 장치
KR20170121748A (ko) 2016-04-25 2017-11-03 주식회사 흥아기연 블리스터 포장용 버텀 비전시스템
EP4190547A1 (en) * 2021-12-03 2023-06-07 Massimiliano Francesco La Scala Handle applicator for applying handles to lying packages
CN114654393A (zh) * 2022-03-07 2022-06-24 常州荣玖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拼装圆形膜片式夹紧气缸的快速工装装置
CN114654393B (zh) * 2022-03-07 2023-08-18 常州荣玖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拼装圆形膜片式夹紧气缸的快速工装装置
CN116424635A (zh) * 2023-06-15 2023-07-14 苏州市东山三联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高速纸箱包装机
CN116424635B (zh) * 2023-06-15 2023-08-25 苏州市东山三联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高速纸箱包装机
CN117140918A (zh) * 2023-09-19 2023-12-01 南通博旭科技有限公司 一种伺服高速机
CN117140918B (zh) * 2023-09-19 2024-04-26 南通博旭科技有限公司 一种伺服高速机
CN119116445A (zh) * 2024-11-11 2024-12-13 瑞金市恒泰工艺礼品有限公司 一种礼品盒用智能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602B1 (ko)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602B1 (ko) 블리스터 포장용 카톤 성형장치
JP3545795B2 (ja) 包装機械
CN101525055B (zh) 装盒包装机
US89613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carton from a carton blank
CN104176304B (zh) 一种顶入式高速自动装箱机
CN102642637B (zh) 包装机输送带取袋装置的工作方法和结构
CN206358466U (zh) 一种自动装箱机
CN110654635A (zh) 快递自动打包机和快递自动打包方法
KR101100266B1 (ko) 블리스터 라인업장치를 위한 개별 리젝트장치
CN112678266B (zh) 一种卧式纸箱装箱装置
CN111498176A (zh) 一种防水包装材料自动化包装方法
CN110902027A (zh) 自动包装机
CN113895711B (zh) 食品包装机
CN215514431U (zh) 一种多关节机器人装封一体化装箱机
JPH0472123A (ja) 弾性のある不定形品の包装方法および包装装置
CN118004529A (zh) 具有限位调节功能的塑料包装袋封口机及其使用方法
CN219728747U (zh) 一种自动装袋封口机
EP0112605B1 (en) Packaging
CN113895698B (zh) 软袋抽真空密封系统
CN207328962U (zh) 自动开箱封箱机
CN113247345B (zh) 一种食品机械食品灌装生产用自动装箱装置
CN214357020U (zh) 侧推开装封一体机
CN212290630U (zh) 一种高速多袋同步真空整形包装机
CN113815949A (zh) 一种用于包装设备上的新型烟包柔性转向系统
CN112918791A (zh) 侧推开装封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