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770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5770A KR20120055770A KR1020100116860A KR20100116860A KR20120055770A KR 20120055770 A KR20120055770 A KR 20120055770A KR 1020100116860 A KR1020100116860 A KR 1020100116860A KR 20100116860 A KR20100116860 A KR 20100116860A KR 20120055770 A KR20120055770 A KR 201200557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battery cell
- barrier
- battery
- battery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상기 배터리 셀의 외측에 배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단차지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고정하는 구조를 개선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이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은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시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배터리 셀은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 구성되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포함하며, 이들 극판들과 전해액과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셀의 내부에는 전기 화학적 반응의 부반응으로 기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체는 배터리 셀의 외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을 복수개 탑재하여 구성된 배터리 모듈의 형태에 영향을 주어, 상기 배터리 셀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데 방해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셀의 두께 증가와 무관하게 배터리 셀을 고정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의 부재의 감소시킨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상기 배터리 셀의 외측에 배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단차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배리어는 중심부가 주변부보다 낮은 단차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배터리 셀과 접하는 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제2 돌출부에 비하여 낮은 단차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배리어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주변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배리어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2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배리어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5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의 높이는 제2 돌출부의 높이에 비하여 7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출부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탄성체가 아닌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 또는 반구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의 배터리 셀과 접하는 면은 상기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배터리 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 브라켓 및 배터리 셀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의 두께 증가에 대한 변형을 유연하게 대응하여 배터리 셀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의 부재를 감소시킴으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3b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3b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및 배터리 셀의 사시도.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100)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150); 상기 배터리 셀 (10)의 외측에 배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130, 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리어 (150)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151, 152)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151, 152)는 단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셀 (10)은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지 케이스와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14)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 케이스에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이들 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된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 (14)의 양끝단에는 양극판과 연결되는 양극 단자 (11), 음극판과 연결되는 음극 단자 (12)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에너지를 발생하고, 이때 발생한 에너지는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또한, 캡 플레이트 (14)의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의 사이에는 벤트 (13)가 구비되어 있다. 벤트 (13)는 배터리 셀 (10) 내부에서 기체의 압력이 소정 이상일 경우에,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여, 배터리 셀 (10)이 내압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터리 모듈 (100)은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 사이에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은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셀 (10)의 넓은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배터리 셀 (10)의 캡 플레이트 (14)의 중심에 구비된 벤트 (13)는 대략 일직선상으로 정렬된다. 이웃한 두 배터리 셀 (10)의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는 버스바 (bus-bar) (1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15)는 상기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구비되어 있고, 너트 (16)에 의하여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셀 (10)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 각형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전지 또는 원통형 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전지를 적용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 (100)은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와,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 (130, 140)는 브라켓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 (130, 140)의 일단은 제1 엔드 플레이트 (110)에 체결되고, 상기 브라켓 (130, 140)의 타단은 제2 엔드 플레이트 (12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와 상기 브라켓 (130, 140)은 볼트-너트 등의 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130, 140)은 제1 및 제2 브라켓 (130)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브라켓 (130)은 배터리 셀 (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 브라켓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브라켓 (140)은 베터리 셀 (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텀 브라켓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 사이에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이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 (130)과 바텀 브라켓 (140)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배터리 셀 (10)은 고정되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유동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 (130, 140)을 각각 사이드 브라켓 (130)과 바텀 브라켓 (140)이라 하였으나, 이는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를 연결하면 족하므로, 구비되는 위치 및 형상 등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는 각각 최외각의 배터리 셀 (10)과 면접촉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을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 사이드 브라켓 (130) 및 바텀 브라켓 (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은 양극 단자 (11) 및 음극 단자 (12)가 서로 교대로 정렬되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 (10)의 연결 구조 및 개수는 배터리 모듈 (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배리어 (150) 및 배터리 셀 (1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사이에는 배리어 (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150)는 두께가 얇은 판상의 형태로 중심부가 주변부보단 낮은 단차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150)의 제1 및 제2 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돌출부 (151,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 (151, 152)는 상기 배리어 (150)가 배터리 셀 (10)가 접하는 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리어 (150)의 배터리 셀 (10)과 접하는 면은 상기 배터리 셀 (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리어 (150)는 이웃하는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어, 배터리 셀 (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간은 배터리 셀 (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누적되지 않도록, 열을 방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 (1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매체의 통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 (150)는 이웃하는 배터리 셀 (10)을 이격시킴과 동시에,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리어 (150)는 배터리 셀 (10)과 함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 및 사이드 브라켓 (130)과 바텀 브라켓 (14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리어 (150)는 상기 공간 내에서 유동하지 않고, 배터리 셀 (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리어 (150)의 제1 및 제2 면은 상기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리어 (150)에 구비될 수 있는 돌출부 (151, 152)는 제1 및 제2 돌출부 (151, 15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 (151)는 제2 돌출부 (152)에 비하여 낮은 단차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돌출부 (151)는 배리어 (150)의 중심부 (A-영역)에 구비되고, 제2 돌출부 (152)는 제1 돌출부 (151)의 주변부 (B-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A-영역과 B-영역의 경계는 대략 제1 돌출부 (151)와 제2 돌출부 (152)의 사이의 중간쯤을 기준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배리어 (150)에서 제1 돌출부 (151)의 높이 (S)는 제2 돌출부 (152)의 높이 (T)보다 낮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 (10)이 열화(劣化)되어 두께가 증가하기 전에는, 상기 배터리 셀 (10)은 대략 두께가 일정하게 제작되므로, 제2 돌출부 (152)만 배터리 셀 (10)과 접하고, 제1 돌출부 (151)는 상기 배터리 셀 (1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것이다. 이와 같이, 최초 제1 돌출부 (151)와 배터리 셀 (10) 사이의 공간은, 상기 배터리 셀 (10)의 두께 증가분을 상쇄하여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로의 스웰링 포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100)은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 사이에 배리어 (150)가 개재된다. 상기 배리어 (150)에는 이웃하는 배터리 (10)의 넓은 면과 접하는 면에 높이가 상이한 돌출부 (151, 152)를 구비한다.
배터리 셀 (10)은 충방전의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열화되어 기체가 발생할 수 있다. 배터리 셀 (10) 내부에 발생하는 기체는 배터리 셀 (10)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때 배터리 셀 (10)의 중심부가 두께 증가분이 가장 크다. 이와 같이, 두께가 증가된 배터리 셀 (10)은 상기 배터리 셀 (10)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를 외부로 밀어내는 힘을 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스웰링 포스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100)에 구비되는 배리어 (150)는 A-영역과 B-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A-영역은 배터리 셀 (10)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A-영역에 구비되는 제1 돌출부 (151)의 높이 (S)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시킴으로써, 배터리 셀 (10)의 두께 증가에 따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에 가해지는 스웰링 포스를 경감시킴고, 이에 따라서, 배터리 모듈 (100)의 형태가 비틀어지거나, 심한 경우에는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영역에 구비되는 제2 돌출부 (152)의 높이 (T)를 상대적으로 높도록 구비시킴으로써, 배터리 셀 (10)의 상대적으로 두께 증가분이 적은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배터리 셀 (10)이 쉽게 유동하지 않으므로, 배터리 모듈 (100)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리어 (100)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 (151, 152)를 A-영역 및 B-영역으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A-영역 및 B-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 (151, 152)의 높이 (S, T) 차이는 배터리 셀 (10)의 특성, 냉각 매체의 유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151)가 차지하는 면적인 A-영역은 상기 배리어 (15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출부 (151)가 차지하는 면적이 20% 미만인 경우에는, 배터리 셀 (10)의 두께 증가에 따른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어려워서,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에 가해지는 스웰링 포스에 의하여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110, 120)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 (151)가 차지하는 면적이 50% 초과인 경우에는, 배터리 셀 (10)을 고정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 (100)의 내부에서 배터리 셀 (10)이 쉽게 유동하여 전기적인 연결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 (152)가 차지하는 면적인 B-영역은 상기 배리어 (15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5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돌출부 (152)의 면적이 50% 미만인 경우에는, 배터리 셀 (10)의 측면부를 고정하는 힘이 충분하지 않아, 배터리 셀 (10)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 (152)가 차지하는 면적이 80% 초과인 경우에는, 배터리 셀 (10)의 두께 증가를 상쇄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 (151)의 높이 (S)는 제2 돌출부 (152)의 높이 (T)에 비하여 7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돌출부 (151)의 높이 (S)가 제2 돌출부 (152)의 높이 (T)에 비하여 7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배리어 (150) 내에서 단차가 심해지고, 제1 돌출부 (151)는 배터리 셀 (10)과 미접촉 영역이 발생하여 배터리 셀 (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쉽지 않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 (151)의 높이 (S)가 제2 돌출부 (152)의 높이 (T)에 비하여 95%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돌출부 (151)와 제2 돌출부 (152) 사이의 단차가 충분하지 않아서, 배터리 셀 (10)의 두께 증가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어렵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구성 요소 및 작용이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250) 및 배터리 셀 (1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리어 (250)는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배리어 (252)의 배터리 셀 (10)과 접하는 면에는 제1 돌출부 (251)와 제2 돌출부 (252)가 단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 (251)와 제2 돌출부 (252)는 상이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돌출부 (251)는 탄성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부 (252)는 탄성체가 아닌,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돌출부 (251)는 충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열화되는 배터리 셀 (10)의 두께 증가분이 상대적으로 큰 중심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돌출부 (252)에 비하여 낮은 단차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 (251)를 탄성을 갖는 탄성체로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 (10)의 두께 증가분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 (10)의 배리어 (250)를 제작하는 공정에서, 상기 단차의 정도에 따른 불량률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출부 (252)는 탄성체가 아니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돌출부 (252)는 배리어 (250)의 주변부에 구비되어, 배터리 셀 (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돌출부 (252)가 탄성체로 제작될 경우에는, 상기 탄성체가 갖는 탄성에 의하여 배터리 셀 (10)이 유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350) 및 배터리 셀 (1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리어 (350)는 배터리 셀 (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터리 셀 (10)의 넓은 면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리어 (350)는 단차지도록 구비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 (351, 352)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 (351, 352)의 형상은, 예컨대 반구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리어 (350)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 (351, 352)는 상기 배리어 (35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상기 배리어 (35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돌출부 (351, 352)의 형태는 본 실시예와 같이 반구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 (351, 352)는 상기 제1 돌출부 (351)가 더 낮은 단차로 구비되면 족하므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터리 셀 11: 양극 단자
12: 음극 단자 13: 벤트
14: 캡 플레이트 15: 버스바
16: 너트 100: 배터리 모듈
110: 제1 엔드 플레이트 120: 제2 엔드 플레이트
130: 사이드 브라켓 140: 바텀 브라켓
150, 250, 350: 배리어 151, 251, 351: 제1 돌출부
152, 252, 352: 제2 돌출부
12: 음극 단자 13: 벤트
14: 캡 플레이트 15: 버스바
16: 너트 100: 배터리 모듈
110: 제1 엔드 플레이트 120: 제2 엔드 플레이트
130: 사이드 브라켓 140: 바텀 브라켓
150, 250, 350: 배리어 151, 251, 351: 제1 돌출부
152, 252, 352: 제2 돌출부
Claims (13)
- 일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 개재되는 배리어;
상기 배터리 셀의 외측에 배치된 한쌍의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단차지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이한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중심부가 주변부보다 낮은 단차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리어와 배터리 셀과 접하는 면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제2 돌출부에 비하여 낮은 단차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배리어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주변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배리어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20% 내지 50%인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배리어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50% 내지 80%인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높이는 제2 돌출부의 높이에 비하여 70% 내지 95%인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탄성체가 아닌 것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 또는 반구형의 형태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배터리 셀과 접하는 면은 상기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배터리 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 브라켓 및 배터리 셀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텀 브라켓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6860A KR101219237B1 (ko) | 2010-11-23 | 2010-11-23 | 배터리 모듈 |
US13/067,406 US9761849B2 (en) | 2010-11-23 | 2011-05-31 | Battery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6860A KR101219237B1 (ko) | 2010-11-23 | 2010-11-23 | 배터리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5770A true KR20120055770A (ko) | 2012-06-01 |
KR101219237B1 KR101219237B1 (ko) | 2013-01-07 |
Family
ID=4606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6860A KR101219237B1 (ko) | 2010-11-23 | 2010-11-23 | 배터리 모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761849B2 (ko) |
KR (1) | KR10121923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0629A (ko) * | 2015-10-05 | 2017-04-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20170122149A (ko) | 2016-04-26 | 2017-11-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셀 고정 장치 |
KR20190046636A (ko) * | 2017-10-26 | 2019-05-07 | 도요타 지도샤(주) | 조전지 |
US11121428B2 (en) | 2017-04-06 | 2021-09-14 | Lg Chem, Ltd. | End plate,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93365B2 (ja) * | 2009-09-11 | 2014-01-22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池モジュール |
KR101492019B1 (ko) | 2012-08-17 | 2015-02-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벤팅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JP6201301B2 (ja) * | 2012-11-19 | 2017-09-27 | 株式会社Gsユアサ | 電池モジュール及び中間部材 |
JP6211757B2 (ja) * | 2012-11-29 | 2017-10-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電装置 |
JP6172037B2 (ja) * | 2014-04-23 | 2017-08-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電装置 |
JP6357439B2 (ja) * | 2015-03-31 | 2018-07-11 | 太陽誘電株式会社 | 蓄電モジュール |
US10276846B2 (en) | 2015-10-02 | 2019-04-30 | Bosch Battery Systems, Llc | Elastic bladder and battery cell assemblies including same |
US10355304B2 (en) | 2015-10-02 | 2019-07-16 | Robert Bosch Battery Systems GmbH | Elastic plates and battery cell assemblies including same |
FR3048129B1 (fr) | 2016-02-18 | 2020-04-17 | Saft | Systeme de compensation du gonflement d'elements electrochimiques |
JP7037720B2 (ja) * | 2017-11-21 | 2022-03-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組電池と、組電池に用いられる単電池の製造方法 |
DE102019211359A1 (de) * | 2018-11-30 | 2020-06-04 | Robert Bosch Gmbh | Batteriezellenhalter sowie Batteriesystem |
EP3967116A1 (en) * | 2019-05-10 | 2022-03-16 | Volvo Truck Corporation | A system for arranging ecus in a chassis of a vehicle |
KR102464824B1 (ko) * | 2019-06-25 | 2022-11-0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JPWO2020262081A1 (ko) * | 2019-06-28 | 2020-12-30 | ||
JPWO2021039549A1 (ko) * | 2019-08-30 | 2021-03-04 | ||
JP7302470B2 (ja) * | 2019-12-27 | 2023-07-04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用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装置 |
KR20220057097A (ko) * | 2020-10-29 | 2022-05-0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70714B2 (ja) * | 2002-09-20 | 2008-10-2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組電池 |
KR100648697B1 (ko) | 2005-03-11 | 2006-11-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모듈 |
KR100684766B1 (ko) * | 2005-07-29 | 2007-02-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모듈 |
KR100709261B1 (ko) | 2005-11-15 | 2007-04-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모듈 |
KR100805152B1 (ko) * | 2006-04-10 | 2008-02-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
KR101201813B1 (ko) * | 2006-10-17 | 2012-11-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
JP5122898B2 (ja) * | 2007-09-26 | 2013-01-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電モジュール |
-
2010
- 2010-11-23 KR KR1020100116860A patent/KR1012192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5-31 US US13/067,406 patent/US9761849B2/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0629A (ko) * | 2015-10-05 | 2017-04-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20170122149A (ko) | 2016-04-26 | 2017-11-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셀 고정 장치 |
US11121428B2 (en) | 2017-04-06 | 2021-09-14 | Lg Chem, Ltd. | End plate,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
KR20190046636A (ko) * | 2017-10-26 | 2019-05-07 | 도요타 지도샤(주) | 조전지 |
US10826135B2 (en) | 2017-10-26 | 2020-11-03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Battery pa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761849B2 (en) | 2017-09-12 |
KR101219237B1 (ko) | 2013-01-07 |
US20120129038A1 (en) | 2012-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9237B1 (ko) | 배터리 모듈 | |
US8999557B2 (en) | Battery pack with elastic frame | |
US11139529B2 (en) | Cylindrical battery cell assembly with improved space utilization and safety,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 |
EP2381506B1 (en) | Battery module | |
KR100949333B1 (ko) | 전지 모듈 | |
EP2325923B1 (en) | Battery pack with improved stability | |
KR102507879B1 (ko) | 이차 전지 모듈 | |
KR101223568B1 (ko) |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 |
US9083029B2 (en) | Battery pack | |
KR101219226B1 (ko) | 배터리 팩 | |
US9166260B2 (en) | Battery module | |
US20140295235A1 (en) | Battery module | |
US20130316202A1 (en) | Battery cell holder of improved connecting reliability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
KR20110037866A (ko) | 이차전지 | |
US20140356664A1 (en) | Battery module | |
US20120121950A1 (en) | Battery module | |
KR20120095142A (ko) | 배터리 모듈 | |
US20130224542A1 (en) | Top cove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 |
US20180323412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 |
JP5929731B2 (ja) | 蓄電装置及び接続部材 | |
KR101201813B1 (ko) | 전지 모듈 | |
KR100684861B1 (ko) | 이차 전지 모듈 | |
KR20150025207A (ko) |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0684807B1 (ko) | 이차 전지 모듈 | |
KR20240012297A (ko) |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