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021762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762A
KR20120021762A KR1020100078923A KR20100078923A KR20120021762A KR 20120021762 A KR20120021762 A KR 20120021762A KR 1020100078923 A KR1020100078923 A KR 1020100078923A KR 20100078923 A KR20100078923 A KR 20100078923A KR 20120021762 A KR20120021762 A KR 20120021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lens
cameras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612B1 (ko
Inventor
김길선
김학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612B1/ko
Priority to US13/194,763 priority patent/US8941721B2/en
Publication of KR2012002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1Viewing or previe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렌즈가 구비된 제1 카메라,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 및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촬영가능한 2D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 입체 영상의 생성을 위한 3D 촬영 모드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여러 개의 이미지를 화상처리 과정을 통해 결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경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에서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3D 촬영 모드가 제공되는 경우, 3D 촬영 모드에서는 두 개의 카메라에서 동시에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카메라에서 모두 촬영 가능한 영역에서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3D 입체 이미지의 해상도는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2D 이미지의 해상도에 비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 2D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카메라에 보다 높은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가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인 2D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3D 입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렌즈가 구비된 제1 카메라, 상기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렌즈와 제1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제1 카메라, 상기 제1 화소수 보다 높은 제2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제1 렌즈가 구비된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제1 렌즈와 제1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화소수 보다 높은 제2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렌즈가 구비된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렌즈 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한 프리뷰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한 3D 줌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와이드 줌 선택시,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한 프리뷰 이미지를 이용한 줌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입체 이미지 생성을 위한 두 대의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한 카메라에만 고화소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거나, 광각의 렌즈를 사용하여, 기본적으로 촬영가능한 2D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광각의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줌 기능과 함께 와이드 줌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와이드 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와이드 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는 전면에 배치되는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는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한 3D 촬영 모드에서 3D 입체 이미지의 생성을 위해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2D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간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를 통해 생성가능한 3D 입체 이미지의 크기나 화소 등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 중 어느 하나를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간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후면에 배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에 사이에는 플래쉬(125)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플래쉬(125)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본체의 후면에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카메라(121b, 121c)를 각각 제1 카메라(121b)와 제2 카메라(121c)라고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면, 제1 카메라(121b)와 제2 카메라(121c)가 각각 촬영한 이미지가 생기는데, 제어부(180)는 이 두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Stereoscopic 3D image)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3D 입체 이미지는 모니터나 스크린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3D 입체 이미지는,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이미지를 보고, 그 이미지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면, 이를 융합하여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대략 65㎜ 떨어져 있는 사람의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가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양안 시차는 모든 3차원 표시 장치가 기본적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제어부(180)에서 생성한 3D 입체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3D 입체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용 인화지와 장비를 이용하면 3D 사진을 인화할 수도 있다. 정지 영상의 촬영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3D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3D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에는, 안경을 사용하는 스테레오스코픽 (Stereoscopic)방식, 무안경 방식인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oscopic) 방식, 및 홀로그래픽(Holographic)을 사용하는 프로젝션 방식 등이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은 가정용 TV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는 주로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의 촬영 범위가 겹쳐지는 영역(300)에서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실제 생성되는 3D 입체 이미지의 해상도(315)는 제1 카메라(121b)로 촬영할 수 있는 해상도(310)나 제2 카메라(121c)로 촬영할 수 있는 해상도(313)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카메라(121b)로 촬영할 수 있는 해상도(310)나 제2 카메라(121c)로 촬영할 수 있는 해상도(313)와 같은 크기의 해상도를 갖는 3D 입체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에 더 높은 화소수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 중 어느 하나에만 더 높은 화소수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고, 광각 렌즈를 사용하여 2D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의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5는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 중에서 제2 카메라(121c)에만 더 높은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와 광각 렌즈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제1 카메라(121b)는 3M 화소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고, 제2 카메라(121c)는 5M 화소의 이미지 센서와 광각 렌즈를 사용한 경우이다.
이 경우, 제1 카메라(121b)로 촬영할 수 있는 해상도(320)나 제2 카메라(121c)로 촬영할 수 있는 해상도(323)가 겹쳐지는 영역에서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3D 입체 이미지의 해상도(325)는 제1 카메라(121b)로 촬영가능한 2D 이미지의 해상도(320)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에 모두 화소수가 높은 이미지 센서와 광각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를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시켜, 렌즈의 초점 거리, 컬러, 감도 등 촬영 설정을 다르게 설정한 2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다.
도 6은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 중에서 제2 카메라(121c)에만 광각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가 동일한 화소수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고, 제2 카메라(121c)에만 광학적 특성을 변경한 경우에도 2D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3D 입체 이미지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121b)로 촬영할 수 있는 해상도(330)나 제2 카메라(121c)로 촬영할 수 있는 해상도(333)가 겹쳐지는 영역에서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3D 입체 이미지의 해상도(335)는 제1 카메라(121b)로 촬영가능한 2D 이미지의 해상도(320)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동일한 화소수의 이미지 센서를 갖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 광각 렌즈를 사용하는 제2 카메라(121c)에서 촬영한 이미지에서 3D 입체 이미지의 생성을 위해 사용가능한 영역은 제1 카메라(121b)와 촬영한 이미지에 비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카메라(121c)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업 스케일링하여 제1 카메라(121b)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같은 크기로 조절한 후,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약간의 화질 열화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를 모두 같은 해상도를 갖고, 제2 카메라(121c)에만 광각 렌즈를 사용하여 기본적으로 촬영가능한 2D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광각 렌즈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와이드 줌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은 동일한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를 갖는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가능한 2D 이미지(400)에 비해 3D 입체 이미지(410)의 해상도는 떨어지게 된다.
도 8은 제2 카메라(121c)에 고화소의 이미지 센서와 광각 렌즈를 사용한 경우 생성가능한 3D 입체 이미지(420)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3D 입체 이미지(420)의 해상도는 제1 카메라(121b)를 사용하여 촬영가능한 2D 이미지의 해상도와 거의 같게 된다.
도 9는 제2 카메라(121c)로 촬영 가능한 이미지(440)와 3D 입체 이미지(450)를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카메라(121c)에 제1 카메라(121b) 보다 고화소의 이미지 센서와 광학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제1 카메라(121a)로 촬영가능한 2D 이미지와 해상도가 갖은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 중 어느 하나에 광각 렌즈를 이용하는 경우, 기본적인 2D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줌 기능 외에 와이드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와이드 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카메라 메뉴에서 3차원 입체영상의 생성을 위한 3D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S500),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결합하여 3D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505).
3D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본 줌 기능이 선택된 경우(S510),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줌 기능을 제공한다(S515). 즉, 기본적인 줌 기능의 선택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된 3D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D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와이드 줌 기능이 선택되면(S520), 제어부(180)는 광각 렌즈를 사용한 제2 카메라(121c)를 통해 이용하여 줌 기능을 제공한다(S525). 즉, 와이드 줌 기능의 선택에 따라, 광각 렌즈를 이용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된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넓은 범위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기타 촬영이 선택이나 촬영 모드의 전환 등과 같은 다른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는(S530),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535).
이와 같은 과정은 3D 촬영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540).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기본적인 2D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각 렌즈를 이용하여 와이드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와이드 줌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은 3D 촬영 모드에서 프리뷰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촬영 모드로 진입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디폴트 크기로 3D 프리뷰 이미지 화면(600)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디폴트 크기의 3D 프리뷰 이미지 화면(600)에서, 기본적인 줌인 기능이 선택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줌인된 3D 프리뷰 이미지 화면(6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폴트 크기의 3D 프리뷰 이미지 화면(600)에서, 와이드 줌 아웃 기능이 선택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2D로 줌아웃된 프리뷰 이미지 화면(620)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를 사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만, 3D 프리뷰 이미지로 줌인 되거나 줌아웃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3D 생성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광각 렌즈를 사용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와이드 줌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와이드 줌 기능은, 3D 촬영 기능이나 기타 기능과 함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카메라(121b, 121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카메라만을 동작시켜 2D 이미지를 촬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제1 렌즈가 구비된 제1 카메라;
    상기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구비된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카메라에 구비된 제2 이미지는 센서는 동일한 화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구비된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카메라에 구비된 제2 이미지는 센서는 서로 다른 화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본체의 동일한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촬영한 이미지에서 공통된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 렌즈와 제1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제1 카메라;
    상기 제1 화소수 보다 높은 제2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는 본체의 동일한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 렌즈가 구비된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구비된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카메라에 구비된 제2 이미지는 센서는 동일한 화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구비된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카메라에 구비된 제2 이미지는 센서는 서로 다른 화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3D 입체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2D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5. 제1 렌즈와 제1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가 구비된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화소수 보다 높은 제2 화소수를 갖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각각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6. 제1 렌즈가 구비된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렌즈보다 광각의 제2 렌즈가 구비된 제2 카메라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한 프리뷰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한 3D 줌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와이드 줌 선택시,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한 프리뷰 이미지를 이용한 줌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구비된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카메라에 구비된 제2 이미지는 센서는 동일한 화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구비된 제1 이미지 센서와 상기 제2 카메라에 구비된 제2 이미지는 센서는 서로 다른 화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2D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KR1020100078923A 2010-08-16 2010-08-1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923A KR101735612B1 (ko) 2010-08-16 2010-08-1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3/194,763 US8941721B2 (en) 2010-08-16 2011-07-29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923A KR101735612B1 (ko) 2010-08-16 2010-08-1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762A true KR20120021762A (ko) 2012-03-09
KR101735612B1 KR101735612B1 (ko) 2017-05-15

Family

ID=4556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923A KR101735612B1 (ko) 2010-08-16 2010-08-16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41721B2 (ko)
KR (1) KR10173561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7167A (zh) * 2012-03-22 2013-09-25 株式会社东芝 信息处理终端装置
CN103391355A (zh) * 2012-05-11 2013-11-13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可于任何使用角度下进行立体影像撷取的可携式电子装置
KR20160072687A (ko) 2014-12-15 2016-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70011321A (ko) * 2015-07-2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51975A1 (ko) * 2015-09-22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49543B2 (en) 2015-07-21 2017-08-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s taken by two cameras
KR20180045338A (ko) * 2016-10-25 2018-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WO2018124692A1 (ko) * 2016-12-26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WO2017171412A3 (ko) * 2016-03-30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465B1 (ko) * 2010-07-23 2016-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20627A (ko) * 2010-08-30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 포맷을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9111484B2 (en) * 2012-05-03 2015-08-18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Electronic device for scene evaluation and image projection onto non-planar screens
KR101892233B1 (ko) * 2012-08-03 201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황인식을 이용한 알람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9148651B2 (en) * 2012-10-05 2015-09-29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US9137517B2 (en) * 2012-10-05 2015-09-15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US20140210950A1 (en) * 2013-01-31 2014-07-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view metrology
US20140240469A1 (en) * 2013-02-28 2014-08-2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Multiview Image Capture and Depth Sensing
US20150035952A1 (en) * 2013-08-05 2015-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9565416B1 (en) 2013-09-30 2017-02-07 Google Inc. Depth-assisted focus in multi-camera systems
US9544574B2 (en) * 2013-12-06 2017-01-10 Google Inc. Selecting camera pairs for stereoscopic imaging
WO2016004115A1 (en) 2014-07-01 2016-01-07 Apple Inc. Mobile camera system
US9467666B1 (en) 2014-09-29 2016-10-11 Apple Inc. Miniature camera super resolution for plural image sensor arrangements
CN107211118B (zh) * 2014-12-31 2020-02-0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立体成像
JP6147829B2 (ja) * 2015-10-28 2017-06-1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録画制御方法
KR102446442B1 (ko) * 2015-11-24 2022-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TWM545271U (zh) 2017-02-09 2017-07-11 Largan Digital Co Ltd 雙鏡頭驅動裝置與電子裝置
TWM541586U (zh) 2017-02-10 2017-05-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雙鏡頭驅動裝置及電子裝置
CN107622510A (zh) * 2017-08-25 2018-0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2019121857A (ja) * 2017-12-28 201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7043255B2 (ja) 2017-12-28 2022-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3890984B (zh) * 2020-07-03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拍照方法、图像处理方法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1883A (ja) * 1984-10-25 1986-05-20 Canon Inc 輻輳角整合装置
US5603687A (en) * 1992-10-28 1997-02-18 Oktas General Partnership Asymmetric stereo-optic endoscope
JP2000102040A (ja) * 1998-09-28 2000-04-07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ステレオカメラ
JP2002203254A (ja) * 2000-08-30 2002-07-19 Usc Corp 曲面像変換方法及びこの曲面像変換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TWI223780B (en) * 2001-01-24 2004-11-11 Vrex Inc Method for zooming a stereoscopic image, article of manufacture comprising a computer usable medium, computer related product for use with a graphics display device, and program storage device readable by a machine and tangibly embodying a program of iK
US8085293B2 (en) * 2001-03-14 2011-12-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lf adjusting stereo camera system
DE10116056B4 (de) * 2001-03-30 2005-09-08 Karl Storz Gmbh & Co. Kg Endoskopische Visualisierungsvorrichtung mit unterschiedlichen Bildsystemen
US20030112508A1 (en) * 2001-08-17 2003-06-19 Byoungyi Yo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pace magnification for stereoscopic images
US7170677B1 (en) * 2002-01-25 2007-01-30 Everest Vit Stereo-measurement borescope with 3-D viewing
JP4234605B2 (ja) * 2002-02-12 2009-03-04 ギブン イメージング リミテッド 画像ストリーム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022980B2 (en) * 2002-02-12 2011-09-20 Given Imaging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stream
US7193626B2 (en) * 2002-03-08 2007-03-20 Topcon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 image
US7233352B2 (en) * 2002-06-20 2007-06-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non-uniformity correction in a digital camera
KR100600750B1 (ko) * 2004-07-27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US7860301B2 (en) * 2005-02-11 2010-12-28 Macdonald Dettwiler And Associates Inc. 3D imaging system
JP4463792B2 (ja) * 2006-09-29 2010-05-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
US20080252719A1 (en) * 2007-04-13 200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file based on media standards
US9253416B2 (en) * 2008-06-19 2016-02-02 Motorola Solutions, Inc. Modulation of background substitution based on camera attitude and motion
EP2209091B1 (en) * 2009-01-16 2012-08-08 Honda Research Institute Europe GmbH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motion detection based on multiple 3D warping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system
KR100910175B1 (ko) * 2009-04-06 2009-07-30 (주)에이직뱅크 입체영상 생성용 이미지센서
US8509519B2 (en) * 2009-07-29 2013-08-13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Adjusting perspective and disparity in stereoscopic image pairs
EP2296071A1 (en) * 2009-08-18 2011-03-16 Deere & Company Modular and scalable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
US20110046784A1 (en) * 2009-08-18 2011-02-24 Noel Wayne Anderson Asymmetric stereo vision system
KR20110020082A (ko) * 2009-08-21 2011-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448B1 (ko) * 2012-03-22 2014-09-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정보 처리 단말 장치
US8965451B2 (en) 2012-03-22 2015-02-24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CN103327167A (zh) * 2012-03-22 2013-09-25 株式会社东芝 信息处理终端装置
CN103391355A (zh) * 2012-05-11 2013-11-13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可于任何使用角度下进行立体影像撷取的可携式电子装置
KR20160072687A (ko) 2014-12-15 2016-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091429B2 (en) 2015-07-21 2018-10-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s taken by two cameras
US9749543B2 (en) 2015-07-21 2017-08-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s taken by two cameras
USRE49245E1 (en) 2015-07-21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s taken by two cameras
KR20170011321A (ko) * 2015-07-2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51975A1 (ko) * 2015-09-22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91833B2 (en) 2015-09-22 2019-05-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image captur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171412A3 (ko) * 2016-03-30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80045338A (ko) * 2016-10-25 2018-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WO2018124692A1 (ko) * 2016-12-26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11025817B2 (en) 2016-12-26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612B1 (ko) 2017-05-15
US8941721B2 (en) 2015-01-27
US20120038747A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6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789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90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0869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4839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048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902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19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4040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5692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6429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80037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95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180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809946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11004861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3차원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9417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0209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514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161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7375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533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4839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3005730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3009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