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648A - A pillar concrete form - Google Patents
A pillar concrete fo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0648A KR20120020648A KR1020100084381A KR20100084381A KR20120020648A KR 20120020648 A KR20120020648 A KR 20120020648A KR 1020100084381 A KR1020100084381 A KR 1020100084381A KR 20100084381 A KR20100084381 A KR 20100084381A KR 20120020648 A KR20120020648 A KR 201200206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female
- male
- horizontal reinforcement
- connec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3—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 E04G13/025—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ectional dimensions with stiff clamping means bracing the back-side of the form without penetrating the forming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2—One-piece elements fully recover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12—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with arms engaging the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작하고자 하는 기둥의 크기의 관계없이 하나의 자재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기둥폼을 제작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기둥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pillar form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manufacturing a pillar form of various sizes through a single material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lumn to be manufactured.
일반적으로, 기둥폼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기둥 등을 형성할 때, 콘크리트의 외곽면을 지지하여 평면을 형성하여 주는 콘크리전용 보강체이다. 상기한 기둥폼은 초기에는 나무, 특히, 합판을 사용하여 판재로 이용하고 목재빔 등을 사용하여 지지대로 사용하여서 거푸집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다가 최근에는 금속판재를 사용하고 그 이외의 보강바를 덧대어서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In general, the pillar foam is a concrete reinforcement for forming a plane by suppor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when forming a column, etc. using concrete. Initially, the pillar form is used as a plate by using wood, especially plywood, and as a support using wood beams, etc., but recently used metal plates and pads with other reinforcement bars. There is a trend to use.
종래 기술에 따른 기둥폼은 철판 및 철판의 외부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된다.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 steel plate and a reinforcing fram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ron plat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기둥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illar foa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콘크리트 기둥은 그 기능상 콘크리트 건축물의 크기 등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진다. 따라서, 기둥의 시공시 각 기둥의 크기에 맞는 서로 다른 크기의 기둥폼이 사용된다. 즉, 기둥의 크기에 맞는 단품의 기둥폼을 제작 및 보관하여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비싸지고, 보관을 위한 부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Concrete pillars vary in size depending on the size of concrete structures and the like. Therefore, different pillar sizes a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s.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cost is expensive, and the additional cost for the storage is required because the production and storage of the single-piece pillar form to match the size of the colum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기둥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크기 변화에 대해 용이하게 대처 하도록 하고,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로부터 전가되는 측압에 대해 버팀강성이 증대되도록 하여 기둥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크기 가변형 기둥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so that even if the size of the concrete pillar is changed to easily cope with the size change, when the concrete is installed in the formwork from the concrete when constructing the pillar fro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size column form to prevent the bulge of the column and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by increasing the stiffness against the side pressure to be transferred.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기둥의 형태를 따라 설치되는 거푸집의 둘레부에 각각 설치되고, 외면에 수평 보강재들이 등간격으로 결합되며, 마주하는 부분이 수 연결부 및 암 연결부를 통해 각각 연결결합되는 기둥폼으로서, 상기 수 연결부는 일부분이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기둥폼의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수평 보강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의 일단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암 연결부는 일부분이 상기 수평 보강재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평 보강재 사이에 개재되고, 일면에는 상기 수 연결부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며 양측에 상기 고정돌기를 지지하는 지지벽이 구비된 고정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eriphery of the formwork is installed along the form of the pillar,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is coupled at equal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the facing portion is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Each of the pillar form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the male connecting portion is bent vertically is interposed betwee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to surround the corner of the pillar form, one end of the bent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projection, the female A connecting por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so tha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out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and fixing grooves having one side of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male connecting portion and supporting walls for supporting the fixing protrusion at both sides at equal interval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에 의하면, 콘크리트 기둥의 크기에 따라 거푸집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암 연결부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에 수 연결부의 고정돌기를 선택적으로 삽입고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둥폼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기둥폼의 제작에 따른 비용손실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가 기둥폼에 안정적으로 결속되어 있어,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로부터 전가되는 측압에 대해 버팀강성이 증대됨에 따라 기둥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ize of the formwork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ncrete column by selectively inserting and fixing the fixing projections of the male connection to any one of the fixing grooves of the female connection of the pillars of various sizes Since the foam can be manufactured, not only the cost loss caused by the manufacture of unnecessary pillar foam can be prevented, but also the connecting member is stably bound to the pillar foam, so that the concrete is transferred from the concrete when the pillar is installed by placing concrete inside the formwork. As the stiffness increases against the lateral pressur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illing of the column and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 중 수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 중 암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columnar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variable columnar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le connection of the variable columnar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of the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ariable columnar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ariable columnar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 중 수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 중 암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le connection portion of the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male connection of the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mplementation of the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기둥폼은 기둥의 형태를 따라 설치되는 거푸집의 둘레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버팀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보강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외면에는 수평 보강재(2)들이 더 결합되고, 마주하는 부분이 수 연결부(10) 및 암 연결부(20)를 통해 구조적으로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예컨대, 사각 기둥의 경우 4개가 수 연결부(10) 및 암 연결부(20)를 통해 서로 연쇄적으로 결합되어 사각 기둥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기둥폼(1)의 내측에는 마주하는 기둥폼(1)에 연결설치되는 통상의 면귀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variable pilla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eriphery of the formwork is installed along the form of the pillar, one side is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for having a stiffness when placing concrete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2) may be further coupled, and the facing portion is structurally securely and stably connected through the
상기 수 연결부(10)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도록 제작되고, 일부분이 절곡된 대략 "ㄱ"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폼(1)의 모서리부분을 감싸며 일부분이 상기 기둥폼(1)의 수평 보강재(2) 사이에 개재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평 보강재(2)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그 일단부가 마주하는 기둥폼(1)측으로 향하게 된다.The mal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마주하는 기둥폼(1)측으로 향하는 수 연결부(10)의 일단부에는 암 연결부(20)의 고정홈(2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11)가 더 구비된다.
And, one end of the male connecting
상기 암 연결부(20)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도록 제작되고, 일부분이 상기 기둥폼(1)의 수평 보강재(2) 사이에 개재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평 보강재(2)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마주하는 기둥폼(1)에 결합된 수 연결부(10) 측으로 향하게 된다.The femal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마주하는 기둥폼(1)의 수 연결부(10) 측으로 향하는 암 연결부(20)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21)이 구비되어 있어,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암 연결부(20)의 고정홈(21)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21)에 수 연결부(10)의 고정돌기(11)를 선택적으로 삽입고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둥에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수 연결부(10)의 고정돌기(11)는 암 연결부(20)의 고정홈(21)에 삽입되면 고정홈(21)의 지지벽(22)과 맞물리게 되어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로부터 전가되는 측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증대됨에 따라 거푸집의 조립형상 변형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상기에서 수 연결부(10)의 고정돌기(11) 및 이와 대응되는 암 연결부(20)의 고정홈(21)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는, 상기 고정돌기(11)가 고정홈(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The
또한, 상기 암 연결부(20)의 일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둥폼(1)의 수평 보강재(2)에 개재되는 부분을 향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사선지지부(23)가 더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emale connecting
상기 사선지지부(23)는 수평 보강재(2)에 개재되어 결합됨에 따라 기둥폼(1)을 지지하는 것으로, 암 연결부(20)를 이루는 부분 중 비교적 단면이 두꺼워 콘크리트로부터 전가되는 측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증대되도록 일조한다.The
그리고, 상기 수 연결부(10) 및 암 연결부(20)에는 콘크리트로부터 전가되는 측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체결구가 더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는 공지의 디비닥볼트(30) 및 디비닥너트(32)가 채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er is further coupled to the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 연결부(10) 및 암 연결부(20)에는 내부에 횡방향으로 전후가 개방된 공간부(S1,S2)가 더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부(S1,S2)에는 디비닥볼트(30)를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다음 상기 수 연결부(10)의 공간부(S1) 외측으로 돌출되는 디비닥볼트(30)에 디비닥너트(32)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수 연결부(10) 및 암 연결부(20)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측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ale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수 연결부(10)의 공간부(S1) 입구측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여 상기 디비닥너트(32)가 디비닥볼트(30)에 체결되었을 경우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let side of the space portion S1 of the
추가적으로, 상기 암 연결부(20) 및 디비닥볼트(30)에는 가이드핀(40)을 더 설치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 연결부(10)의 공간부(S1) 상하면에는 상기 공간부(S1)와 연통되는 핀공(12)들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수평 보강재(2)에도 상기 핀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2a)을 형성하여 가이드핀(40)을 상기 장공(2a)과 핀공(12)에 순차적으로 체결함에 따라 상기 수 연결부(10)를 수평 보강재(2)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계속해서, 상기 암 연결부(20)의 공간부(S2) 상하면에도 상기 공간부(S2)와 연통되는 핀공(24)들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수평 보강재(2)에도 상기 핀공(24)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2a)을 형성하여 가이드핀(40)을 상기 장공(2a)과 핀공(24)에 순차적으로 체결함에 따라 상기 암 연결부(10)를 수평 보강재(2)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pace portion S2 of the female connecting
그리고 수 연결부(10)의 공간부(S1)를 통과하여 암 연결부(20)의 공간부(S2)에 위치되는 디비닥볼트(30)의 일단부에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암 연결부(20)의 핀공(24)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결합홀(31)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 보강재(2)의 장공(2a)과 암 연결부(20)의 핀공(24) 및 디비닥볼트(30)의 결합홀(31)에 가이드핀(40)을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상기 디비닥볼트(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And it passes through the space portion (S1) of the male connecting
상기와 같이 고정된 디비닥볼트(30)는 수 연결부(10) 및 암 연결부(20)를 결속하여 상기 기둥폼(1)을 견고히 결속하게 됨에 따라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로부터 전가되는 측압에 대한 버팀강성이 증대되도록 함에 따라 기둥의 배부름현상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1 : 기둥폼 10 : 수 연결부
11 : 고정돌기 12,24 : 핀공
20 : 암 연결부 21 : 고정홈
22 : 지지벽 23 : 사선지지부
30 : 디비닥볼트 31 : 결합홀
32 : 디비닥너트 40 : 가이드핀1: pillar form 10: male connector
11:
20: female connection portion 21: fixing groove
22: support wall 23: oblique support
30: DBD bolts 31: coupling holes
32: divider nut 40: guide pin
Claims (5)
상기 수 연결부(10)는 일부분이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기둥폼의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수평 보강재(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의 일단부에는 고정돌기(11)가 형성되고,
상기 암 연결부(20)는 일부분이 상기 수평 보강재(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수평 보강재(2) 사이에 개재되고, 일면에는 상기 수 연결부(10)의 고정돌기(11)가 삽입되며 양측에 상기 고정돌기(11)를 지지하는 지지벽(22)이 구비된 고정홈(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기둥폼.The pilla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eriphery of the formwork is installed along the form of the pillar,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is coupled at equal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the pillars facing each other through the mal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20 In the form,
The male connection part 10 is interposed betwee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2) so that a portion is bent vertically to surround the corner of the pillar form, a fixing protrusion 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nt portion,
The female connection portion 20 is interposed betwee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2) so that a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2), the fixing projections 11 of the male connection portion 10 is inserted into one side and both sides Variable pillar 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21 is provided with a support wall 22 for supporting the fixing projections 11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상기 수 연결부(10)의 고정돌기(11) 및 이와 대응되는 암 연결부(20)의 고정홈(21)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기둥폼.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protrusions 11 of the mal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fixing grooves 21 of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s 20 corresponding thereto ar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상기 암 연결부(20)에는 일방향을 향해 경사진 사선지지부(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기둥폼.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emale connector 20 is a variable pillar 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pport portion 23 is further provided inclined toward one direction.
상기 수 연결부(10) 및 암 연결부(20)는 내부에 횡방향으로 전후가 개방된 공간부(S1,S2)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S1,S2)에는 체결구를 순차적으로 관통시키되, 상기 수 연결부(10)의 공간부(S1) 입구측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기둥폼.The method of claim 1,
The mal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20 are further formed with spaces (S1, S2) in the front and rear ope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rein, through the fasteners sequentially through the spaces (S1, S2) , The inlet side of the space portion (S1) of the male connection portion 10 is formed to be gradually wider toward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pillar form.
상기 수 연결부(10)의 공간부(S1) 상하면에는 상기 공간부(S1)와 연통되는 핀공(12)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 연결부(10)는 상기 수평 보강재(2)에 형성되는 장공(2a)과 핀공(12)에 체결되는 가이드핀(40)을 통해 수평 보강재(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암 연결부(20)의 공간부(S2) 상하면에는 상기 공간부(S2)와 연통되는 핀공(24)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암 연결부(20)는 상기 수평 보강재(2)의 장공(2a)과 핀공(24)에 체결되는 가이드핀(40)을 통해 수평 보강재(2)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구에는 암 연결부(20)의 핀공(24)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디비닥볼트(30)는 장공(2a)과 핀공(24)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가이드핀(40)을 통해 상기 암 연결부(20)의 공간부(S2)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기둥폼.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Pin holes 12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portion S1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pace portion S1 of the male connection portion 10, and the male connection portion 10 is formed o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2.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2) through the guide pin 40 is fastened to the long hole (2a) and the pin hole 12,
Pin holes 24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portion S2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pace portion S2 of the female connection portion 20, and the female connection portion 20 has a long hole of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2. It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2) through the guide pin 40 is fastened to (2a) and the pin hole 24,
The fastener has a coupling hole 31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hole 24 of the female connection part 20, so that the DBD bolt 30 is sequentially fastened to the long hole 2a and the pin hole 24. Variable pillar form, characterized in that fixed between the space portion (S2) of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20 through the guide pin (4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4381A KR101139014B1 (en) | 2010-08-30 | 2010-08-30 | A pillar concrete fo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4381A KR101139014B1 (en) | 2010-08-30 | 2010-08-30 | A pillar concrete for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0648A true KR20120020648A (en) | 2012-03-08 |
KR101139014B1 KR101139014B1 (en) | 2012-04-26 |
Family
ID=4612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4381A KR101139014B1 (en) | 2010-08-30 | 2010-08-30 | A pillar concrete fo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901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15250A (en) * | 2014-06-13 | 2014-09-03 | 富于安(福建)环保模板有限公司 | Concrete formwork fastening connecting piece, clamping frame and reinforcing support |
CN115434451A (en) * | 2022-10-19 | 2022-12-06 | 华北理工大学 | Fabricated concrete connec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8128298A (en) * | 2024-04-30 | 2024-06-04 | 河南正川建设工程有限公司 | Building construction supporting device and using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1334B1 (en) | 2015-08-24 | 2016-07-20 | 서보산업 주식회사 | Assembly round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this same |
US12031340B1 (en) * | 2022-01-03 | 2024-07-09 | Peri Formwork Systems, Inc. | Support waler and method of striking formwork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45Y1 (en) | 2000-05-10 | 2000-10-16 | 서용건설주식회사 | Form work device of concrete structure |
JP2003147958A (en) | 2001-11-14 | 2003-05-21 | Sogo Keiei Kenkyusho:Kk | Connection structure of concrete framework at external angles |
KR100663730B1 (en) | 2005-05-27 | 2007-01-02 | 유대식 | Fixing device for pillar Euroform |
KR200401079Y1 (en) | 2005-08-31 | 2005-11-25 |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 A concrete form supporter |
-
2010
- 2010-08-30 KR KR1020100084381A patent/KR10113901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15250A (en) * | 2014-06-13 | 2014-09-03 | 富于安(福建)环保模板有限公司 | Concrete formwork fastening connecting piece, clamping frame and reinforcing support |
CN115434451A (en) * | 2022-10-19 | 2022-12-06 | 华北理工大学 | Fabricated concrete connec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8128298A (en) * | 2024-04-30 | 2024-06-04 | 河南正川建设工程有限公司 | Building construction supporting device and us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9014B1 (en) | 2012-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3439B1 (en) | A clamp for the euro-form, and a support system of a beam form using the same | |
KR101139014B1 (en) | A pillar concrete form | |
KR101301076B1 (en) |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front wall panel and precast back wall panel | |
KR101194682B1 (en) | Clamp for coupling of panels and concrete form using the same | |
KR101702958B1 (en) | Mold for pillar | |
KR101731382B1 (en) | Apparatus for molding block | |
KR20080006425U (en) | Mould apparatus concret pannel | |
KR20140020582A (en) | Concrete mold assembly | |
KR101891322B1 (en) | Assembly type concrete mold | |
KR102082481B1 (en) | Continuous construction type pc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17137637A (en) | A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xisting concrete structure | |
JP6764594B2 (en) | Formwork fixture, formwork fixing device, formwork, formwork fixing method and joint construction method | |
KR200462050Y1 (en) | Form panel | |
KR20150039954A (en) | Form panel equipped with distance maintenance implement for concrete | |
KR101641334B1 (en) | Assembly round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this same | |
KR101588875B1 (en) | Fluid storage tank having repeatedly bended panels integrated with concret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same | |
KR20140020583A (en) | Concrete mold assembly | |
KR101310843B1 (en) | Reinforcement panel and form assembly thereof | |
KR100685440B1 (en) | Support for concrete form | |
KR101803487B1 (en) | Reinforcement for Connecting formwork | |
KR102086030B1 (en) | A panel of concrete form and concrete form assembly using it | |
KR101870436B1 (en) | Gang form prefabricated by aluminium pannel | |
KR100638846B1 (en) | A pillar concrete form | |
KR102004130B1 (en) | Supporting unit of girder panel | |
KR20110006970U (en) | Mould comprising wood plate and steel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