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003693A -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693A
KR20120003693A KR1020100064438A KR20100064438A KR20120003693A KR 20120003693 A KR20120003693 A KR 20120003693A KR 1020100064438 A KR1020100064438 A KR 1020100064438A KR 20100064438 A KR20100064438 A KR 20100064438A KR 20120003693 A KR20120003693 A KR 2012000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green tea
carnitine
red gr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258B1 (ko
Inventor
김나양
이원경
박상기
박형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0006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2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과 적포도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체중 감소, 혈중 지질 농도 감소, 체지방 감소 및 혈중 렙틴 농도 감소 등의 뛰어난 항비만 효능뿐만 아니라 간 지질 침착 감소 효능이 있어 지방간 개선에도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비만, 간지질 및 간손상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비만과 지방간을 동시에 예방,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Description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red grape extracts, green tea extracts, soybean extracts, and L-carnitine}
본 발명은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과 적포도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중 감소, 혈중 지질 농도 감소, 체지방 감소 및 혈중 렙틴 농도 감소 등의 뛰어난 항비만 효능뿐만 아니라 간 지질 침착 감소 효능이 있어 비만 관련 질환 개선에도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다.
비만은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와 신체활동으로 소비한 에너지 간의 불균형에 의하여 과잉의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비만 상태가 오랜 시간에 걸쳐 지속되면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된다. 최근 과다한 열량 섭취와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서구 선진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은 과잉의 에너지 공급이 지방세포 크기와 수의 증가를 유발하여 체내 지방으로 축적되는 것이 주된 발생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유전적 요인, 서구화된 식생활에 의한 환경적 요인, 심리적 요인, 에너지 대사 이상 등 다양한 원인이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다각적인 측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만치료용 약물은 크게 지방흡수 억제, 지방 분해 및 열 발생 촉진, 식욕 및 포만감의 조절, 단백질 대사 저해 그리고 음식물의 섭취와 관련된 정서 조절 기전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는 oristat을 원료로 하여 지방흡수를 억제하는 제니칼(Xenical)과 sibutramine을 주원료로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식욕을 억제시키는 리덕틸(Reductil)이 있다. 그러나 제니칼의 경우 지방변, 복부통증, 구토, 가려움증, 간 손상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으며, 리덕틸의 경우는 두통, 식욕부진, 불면, 변비 등의 부작용뿐만 아니라 심각한 심혈관계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이유로 최근 사용 기준이 강화되는 등의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러한 비만치료제를 통한 약물요법 이외에도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음식물의 섭취를 제한하는 식이요법,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운동요법이 있으며, 정신요법, 행동요법, 외과요법 등도 실시되고 있다.
바람직한 비만의 치료 방법으로는 운동을 통한 에너지 소비 촉진과 부작용이 적은 비만치료용 약제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비만치료용 약제의 경우, 상기의 제니칼과 리덕틸의 예처럼 심각한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안전성에 대한 명확한 신뢰가 뒷받침되지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체에 대해서 항비만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면서도 100 % 안전성이 보장되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생체내의 지방 연소/분해 기전과 에너지 대사 증진 기전을 통한 비만치료용 물질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인체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를 바탕으로 한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녹차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과 적포도 추출물 및 L-카르니틴(L-carnit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체중 감소, 혈중 지질 농도 감소, 체지방 감소 및 혈중 렙틴 농도 감소 등의 뛰어난 항비만 효능뿐만 아니라 간 지질 침착 감소 효능이 있어 다양한 비만 관련 질환 개선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차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과 적포도 추출물 및 L-카르니틴(L-carnit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과 적포도 추출물 및 L-카르니틴(L-carnit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포도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및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에 항비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적포도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및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에 항비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다양한 조합으로 혼합하여 투여한 결과, 상기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모두 혼합한 조성물(실시예 1, 처리군 1) 및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실시예 2, 처리군 2)과 적포도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실시예 3, 처리군 3)에서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실험예 1), 혈중 지질 농도 감소 효과(실험예 2), 간조직 및 체지방 감소 효과(실험예 3), 혈장 내 글루코스 농도 감소 효과, 간 지질 개선 효과, 및 렙틴 분비 억제 효과(실험예 4)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네가지 물질을 모두 혼합한 조성물에서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적포도 추출물(비교예 5, 처리군 8), 녹차 추출물(비교예 6, 처리군 9), 대두 추출물(비교예 7, 처리군 10), 및 L-카르니틴(비교예 8, 처리군 11) 각각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단독 조성물, 적포도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조성물(비교예 2, 처리군 5), 적포도 추출물과 대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조성물(비교예 3, 처리군 6), 및 적포도 추출물과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복합 조성물(비교예 4, 처리군 7), 및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과 대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비교예 1, 처리군 4)은 항비만 효과가 미미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상기 단독 조성물 또는 두 가지 물질을 혼합한 복합 조성물은 물론이고 여타의 세가지 물질의 복합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에 비해,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또는/및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이 현저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알아내었으며, 본원발명의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또는/및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의 복합 조성물은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또는/및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 간에 강력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여 적은 농도로 포함되어도 현저히 상승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항비만 조성물'은 체중 감소, 혈중 지질 농도 감소, 간조직 및 체지방 감소, 혈장 내 글루코스 농도 감소, 간 지질 개선, 및 렙틴 분비 억제 중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말하며,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이용하여 비만 관련 질환, 즉 비만 및 비만으로부터 파생되는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도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껍질, 씨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가능하다.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포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적포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당 분야에서 공지되 바와 같은 냉침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냉각 추출 등 다양한 추출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열풍 건조, 동결 건조, 진공 건조 등 다양한 건조법에 따라 건조할 수 있다. 또는 상업적으로 제조된 상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포도 추출물은 적포도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포도 추출물에는 0.2 내지 5 중량% 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다. 상기 '레스베라트롤'은 포도껍질, 포도씨, 땅콩 등에 함유된 폴리페놀계(polyphenol) 물질이다. 식물이 곰팡이나 해충 같은 환경에 직면했을 때 방어체계의 일종으로 만들어지는 항생제인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으로, 항암,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항노화, 수명연장 등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세포 내 SIRT1, PGC-1α의 활성화를 통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성을 증가시켜 대사 활성을 유도한다고 보고되었다(Seung-Hoi Koo et al. Cell. 2006).
본 발명에서, '녹차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잎, 줄기 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가능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녹차 잎을 사용하였다.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녹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녹차 추출물은 녹차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녹차를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할 수 있다. 당 분야에서 공지되 바와 같은 냉침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냉각 추출 등 다양한 추출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열풍 건조, 동결 건조, 진공 건조 등 다양한 건조법에 따라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수를 사용하여 녹차 잎으로부터 녹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아울러, 녹차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제조된 상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녹차'에는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 galate),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등 카테킨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카테킨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카테킨을 함유한 녹차는 동맥경화, 암, 신경계 질환의 예방과 함께 항산화 작용, 항염 작용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카테킨 중 EGCG 성분은 1형 당뇨병 발병을 예방하고 혈중의 중성지방과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을 낮추어 고지혈증과 동맥경화 등 성인병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대두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배아 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가능하다.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대두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수를 사용하여 열수 추출을 통해 대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당 분야에서 공지되 바와 같은 냉침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냉각 추출 등 다양한 추출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열풍 건조, 동결 건조, 진공 건조 등 다양한 건조법에 따라 건조할 수 있다. 또는 상업적으로 제조된 상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대두 추출물은 이소플라본(Isoflav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대두 추출물에는 0.2 내지 10 중량%의 이소플라본을 포함한다. 상기 '이소플라본'은 대두에 많이 함유된 콩단백질의 일종으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체내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그 작용을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우울증, 골다공증 등 여성호르몬이 부족하여 나타날 수 있는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킨다고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복합 조성물은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과 같은 천연 추출물을 기초로 하는바 안전하고 독성,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의 복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비만 관련 질환이 발생될 수 있는 소, 개 등의 동물에게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카르니틴은 천연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당 분야의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 합성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카르니틴은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이며, 지방산이 분해되어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지방산이 미토콘드리아로 전달되는데 작용하는 효소이다. 카르니틴의 두가지 이성질체 중 하나인 L-카르니틴은 비타민 Bt로 불리운다. 보고된 바에 따르면, L-카르니틴은 다양한 세포 내에서 에너지 생성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내 β-oxidation 과정에 중요하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Yano H. et al. Mol Cell Biochem, 2010), 지방산 산화를 조절하는 CPT-1효소의 기질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또는/및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은 서로 시너지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한 다양한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도 추출물(a), 녹차 추출물(b), 및 L-카르니틴(c)은 a : b : c = 1~2 : 1~1.2 : 1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고, 총 중량에 대하여 포도 추출물은 0.2 내지 80 중량%, 녹차 추출물은 0.2 내지 60 중량%, L-카르니틴은 0.2 내지 50 중량%씩 함유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0.2 중량%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권장 최소 사용량 미만의 양으로 항비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각각 80 중량%, 60 중량%, 50 중량% 초과로 함유된 경우에는 사용 함량과 정비례하여 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포도 추출물(a), 대두 추출물(b1), 및 L-카르니틴(c)은 a : b1 : c = 1~4 : 1 : 1~3 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고,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포도 추출물은 0.2 내지 80 중량%, 대두 추출물은 0.2 내지 80 중량%, L-카르니틴은 0.2 내지 50 중량%씩 함유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0.2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권장 최소 사용량 미만의 양으로 항비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각각 80 중량%, 80 중량%, 50 중량% 초과로 함유된 경우에는 사용 함량과 정비례하여 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포도 추출물(a), 녹차 추출물(b), 대두 추출물(b1), 및 L-카르니틴(c)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a : b : b1 : c = 1~4 : 1~1.2 : 1 : 1~3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고,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상기 포도 추출물은 0.2 내지 40 중량%, 녹차 추출물은 0.2 내지 30 중량%, 대두 추출물은 0.2 내지 30 중량%, 및 L-카르니틴은 0.2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0.2 중량%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권장 최소 사용량 미만의 양으로 항비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각각 40 중량%, 30 중량%, 30 중량%, 40 중량% 초과로 함유된 경우에는 사용 함량과 정비례하여 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조성물 내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1:1:1의 비율로 함유하였는바,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중량 33%씩 함유되도록 제조하였다(실시예 2). 또한, 조성물 내 적포도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1:1:1의 비율로 함유하였는바,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중량 33%씩 함유되도록 제조하였다(실시예 3). 또한, 조성물 내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은 1:1:1:1의 비율로 함유하였는바,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중량 25%씩 함유되도록 제조하였다(실시예 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또는/및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은 서로 시너지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한 다양한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은 총 중량에 대하여 0.6 내지 10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은 총 중량에 대하여 0.8 내지 10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예 1에서는 총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함량으로 포함하였고,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는 총 중량에 대하여 99.9 중량% 함량으로 포함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은 체중 감소, 혈중 지질 농도 감소, 간조직 및 체지방 감소, 혈장 내 글루코스 농도 감소, 간 지질 개선, 및 렙틴 분비 억제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므로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투여하여 비만 또는 지방간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비만 관련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비만 관련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복합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 등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즈, 메틸 셀루로오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 미정질 셀룰로오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플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이산화규소 등의 광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제제화 방법, 환자의 상태 및 체중, 환자의 성별, 연령,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배설 속도, 반응 감응성 등과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유효량은 당업자에게 인식되어 있듯이 처리의 경로, 부형제의 사용 및 다른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체중 1㎏ 당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을 투여할 수 있으며, 이를 1일 1회 내지 수회,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3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나, 이러한 투여량 및 횟수는 어떠한 면에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 정맥내, 진피내, 및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기능성 식품일 수 있는바, 상기 '기능성 식품'은 식품의 생체 조절 기능을 강조한 식품으로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목적에 작용 및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이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성분은 생체 방어와 신체 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 및 회복에 관계하는 신체 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하게 되며, 식품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 감미료 또는 기능성 원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상기 음료에는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야채 음료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 정제, 과립, 분말, 캡슐, 액상의 용액, 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예 4 및 5에서는 캡슐, 실시예 6 및 7에서는 타정, 및 실시예 8 및 9에서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4 및 5는 항비만 효과를 갖는 식이섭취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통상의 경질캡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예로서, 본 발명의 제형 및 원료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6 및 7은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식이섭취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통상의 타정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예로서, 본 발명의 제형 및 원료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8 및 9는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식이섭취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통상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예로서, 본 발명의 제형 및 원료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여러 가지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가 있으며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나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무수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제조를 위한 과육 등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은 비만 또는 지방간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포도 추출물, 이소플라본,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대두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포도 추출물, 이소플라본,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레스베라트롤' 및 '이소플라본'은 천연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레스베라트롤은 포도 추출물에서 이소플라본은 대두에서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는 당 분야의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 합성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양태로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양태로 상기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비만, 간지질 및 간손상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비만, 비만에 의해 유발되는 대사성 질환 및 지방간을 동시에 예방,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에 의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8주간 복합물을 투여한 후 체중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대상으로 8주간 복합물을 투여한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지질 농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의 체지방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대상으로 복합물을 8주간 투여한 후 적출한 간, 부고환 지방, 피하지방, 내장지방의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 조성물에 의한 혈중 생화학 지표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8주간 복합물을 투여한 후 혈중에서 간손상의 지표인 GOT, GPT, 글루코즈 및 렙틴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혼합물의 제조
1-1. 녹차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녹차엽 1 ㎏과 정제수 23 ~ 30 ㎏을 추출기에 투입한 후, 약 60 내지 70 ?의 온도에서 약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후, 여과 장치를 통하여 녹차엽과 그 부유물을 제거한 후 분무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녹차 추출물 약 250 g을 얻었다.
1-2. 적포도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적포도 껍질 1 kg과 70% 에탄올 30 kg을 추출기에 투입한 후, 약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여과 장치를 통하여 적포도 껍질과 그 부유물을 제거한 후 분무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적포도 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적포도 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을 0.2 내지 5 중량%로 함유하였다.
1-3. 대두 추출물의 제조
대두 배아 1 kg에 정제수 5 ~ 10 kg을 첨가하여 8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 장치를 통하여 잔사를 제거하였으며, 동결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대두 추출물을 얻었다. 본 대두 추출물은 0.2 내지 10 중량 %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였다.
1-4. 혼합물의 제조
L-카르니틴은 Lonza(Basel, Switzland)사의 L-carnipure crystalline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함량비(단위: 중량%)로 환산하여 적포도 추출물 25 중량%를, 상기 1-1에서 제조된 녹차 추출물 25 중량%, 대두 추출물 25 중량%, L-카르니틴 25 중량%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 실시예 3], [ 비교예 1] ~ [ 비교예 8]
하기 표 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함량만 변화시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적포도 추출물
(중량%)
녹차 추출물
(중량%)
대두 추출물
(중량%)
L-카르니틴
(중량%)
실시예 1 25 25 25 25
실시예 2 33.3 33.3 0 33.3
실시예 3 33.3 0 33.3 33.3
비교예 1 33.3 33.3 33.3 0
비교예 2 50 50 0 0
비교예 3 50 0 50 0
비교예 4 50 0 0 50
비교예 5 100 0 0 0
비교예 6 0 100 0 0
비교예 7 0 0 100 0
비교예 8 0 0 0 100
[ 실험예 1] 마우스를 이용한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 카르니틴 복합물의 체중 감소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동물모델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컷 C57BL/6 마우스 100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7주령의 C57BL/6 마우스에 고지방식이를 3주간 자율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각군에 7마리씩 균등한 체중으로 분배되도록 무작위법으로 배분하였다. 각군은 정상사료를 공급한 대조군 1,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대조군 2, 고지방사료와 함께 상기 표 1의 비율로 제조한 실시예 1~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8의 혼합물을 600 mg/day/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한 처리군(1, 2, 3, 4, 5, 6, 7, 8, 9, 10, 11)을 포함하여 총 13군으로 나누었다. 처리군(1, 2, 3, 4, 5, 6, 7, 8, 9, 10, 11)의 경우, 혼합물을 생쥐용 존대(feeding needle)를 이용하여 각 군의 체중 평균에 따라 투여량을 계산하여 경구투여 하였다. 대조군 2의 경우 순수한 물만을 경구투여하여 매체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경구투여는 주 6일에 걸쳐 총 8주간, 매일 동일한 시간대에 실시하였다.
동물이 섭취한 사료는 순화 및 검역기간 동안에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 (Harlan, 공급자; 주식회사 폴라스인터내셔날)를 사용하였으며, 투여 및 관찰기간 중에는 전체 칼로리의 60%를 지방이 차지하도록 제작된 고지방사료(60% Kcal, Research Diets, 공급자: 중앙실험동물)를 사용하였다.
모든 동물에 대하여 투여 개시시 및 시험기간 중 투여 직전 주 2회에 걸쳐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8주간의 투여 종료 후 체중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분류 체중증가율(%) 표준 편차 IR (%)
대조군 1 정상사료 113.2 ± 5.8
대조군 2 고지방사료 148.4 ± 9.1
처리군 1 실시예 1 115.8 ± 9.6 22.0 ***
처리군 2 실시예 2 117.5 ± 12.7 20.8 ***
처리군 3 실시예 3 125.2 ± 11.8 15.6 **
처리군 4 비교예 1 134.5 ± 15.2 9.4
처리군 5 비교예 2 131.9 ± 12.5 11.1
처리군 6 비교예 3 133.5 ± 7.6 10.0
처리군 7 비교예 4 132.4 ± 6.6 10.8 *
처리군 8 비교예 5 144.5 ± 8.3 2.6
처리군 9 비교예 6 140.4 ± 11.3 5.4
처리군 10 비교예 7 140.5 ± 10.4 5.3
처리군 11 비교예 8 138.3 ± 8.9 6.8 *
① Significant (t-TEST): * p<0.05, ** p<0.01, *** p<0.001 vs 대조군2
② IR(%): Inhibition rate, 100- [(처리군/대조군2)*100]
실험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사료 대조군 2의 체중은 정상사료 대조군 1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여 식이에 의한 비만이 효과적으로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투여 시작 전, 고지방 사료로 3주간 비만을 유도한 후 각 군에 7마리씩 균등한 체중으로 분배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실험 시작 전 각군별 체중의 차이는 없었다. 8주간의 투여를 통해 공통적으로 체중 감소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혼합물에 따라 체중증가율 및 Inhibition rate에 차이는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 네 가지 물질을 모두 혼합한 처리군 1(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에서 대조군 대비 약 22.0 %의 유의한 체중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p<0.001). 네 가지 물질 중 세 가지를 혼합한 처리군 2(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L-카르니틴)와 처리군 3(적포도 추출물 +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의 경우, 각각 대조군 대비 약 20.8 %, 15.6 % 의 유의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p<0.05).
그러나 네 가지 물질 중 세 가지 물질을 혼합한 조합 중 처리군 4(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대두 추출물)와 두 물질을 혼합한 처리군 5, 6, 7의 경우,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투여한 처리군 8, 9, 10, 11에 비해서는 상승된 효능을 나타냈으나, 처리군 7을 제외하고 유의한 수치는 아니었으며 경향성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일 물질만 투여한 처리군 8, 9, 10, 11의 경우 유의한 체중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의 네 가지 성분을 모두 혼합하였을 경우, 성분 간의 상승효과가 나타나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증가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적포도 추출물, L-카르니틴에 녹차 추출물 또는 대두 추출물을 혼합한 세 가지 성분의 복합물의 경우에도 상승된 비만 억제 효능이 나타났으며, 대두 추출물을 혼합한 처리군 3에 비해 녹차 추출물을 혼합한 처리군 2에서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반면, 처리군 4의 조합에서는 상승된 항비만 효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적포도 추출물이 녹차 추출물(또는/및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과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였을 때, 특이적인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려주었다.
단독 물질로서 효능이 미미한 농도 범위의 네 가지 물질을 다양한 조합으로 혼합하여 투여한 결과, 네 가지 물질(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을 모두 혼합한 복합물에서 가장 우수한 체중 감소 효능을 보였으며, 이는 각각 물질의 시너지 작용으로 인한 상승 효과였다. 또한 세 가지 물질을 혼합한 복합물 중에서 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또는,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의 조합에서 우수한 체중 감소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 역시 각각의 물질들이 복합적으로 투여되었을 때 시너지 작용을 통해 상승된 효능이 발휘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실험예 2]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 카르니틴 복합물에 의한 혈중 지질 농도 감소
상기 실험예 1의 마우스를 대상으로 투여 시작 전의 혈액과 8주간의 투여가 끝난 후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헤파린 처리하여 원심분리로 혈장(plasma)을 얻어냈으며, 측정키트(영동제약)를 사용하여 혈중 중성지방 (triglyceride, 이하 TG), 총 콜레스테롤(cholesyterol, 이하 TC),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이하, LDL-c) 수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으며, 투여 시작 전의 혈액에서 측정한 각 지질 지표의 수치를 100으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분류 TG TC LDL-c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대조군 1 정상사료 56.3 ±11 106 ±27.8 9 ±2.1
대조군 2 고지방사료 69 ±8.5 175 ±11.7 11.7 ±3.7
처리군 1 실시예 1 22.4 ** ±9.2 117.5 ** ±20.4 5.7 * ±3.0
처리군 2 실시예 2 34.5 * ±6.9 134.5 ±8.2 7.5 * ±2.9
처리군 3 실시예 3 45.7 * ±4.1 133.4 ±23.8 6.9 * ±2.4
처리군 4 비교예 1 57.5 ± 3.5 168.5 ± 15.4 10.5 ± 1.1
처리군 5 비교예 2 55.8 ±14.1 159.8 ±18.5 12.5 ±3.2
처리군 6 비교예 3 62.4 ±12.4 186.4 ±20.7 10.2 ±2.2
처리군 7 비교예 4 69.2 ±12.3 179.8 ±13.8 11.6 ±1.2
처리군 8 비교예 5 63.5 ±5.7 168.9 ±10.4 12.8 ±1.8
처리군 9 비교예 6 65.3 ±2.3 183 ±26.7 13.6 ±2.6
처리군 10 비교예 7 59.8 ±6.7 179.5 ±30.8 11.2 ±4.8
처리군 11 비교예 8 69.7 ±10.6 185.7 ±17.9 11.4 ±3.8
① Significant (t-TEST): * p<0.05, ** p<0.01, *** p<0.001 vs 대조군2
② IR(%): Inhibition rate, 100- [(처리군/대조군2)*100]
실험 결과, 네 가지 물질을 모두 혼합한 처리군 1(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에서 대조군 2에 비해 혈중 TG, TC, LDL-c 수치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p<0.05). 구체적으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대조군 2에 비교하여 TG 수치는 67.5 %, TC 수치는 32.8 %, LDL-c 수치는 51.3 % 의 혈중 지질 감소 효능(Inhibition Rate)이 나타났으며, 이로써 우수한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 가지 물질을 혼합한 복합물 중 처리군 2 (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L-카르니틴)와 처리군 3(적포도 추출물 +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의 경우 혈중 TG와 LDL-c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혈중 TC는 감소하는 경향성만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녹차 추출물을 혼합한 처리군 2(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L-카르니틴)에서 혈중 TG 수치가 대조군 2에 대비하여 50 % 가량 감소하였으며, 대두 추출물을 혼합한 처리군 3 (적포도 추출물 +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에서는 혈중 LDL-c 수치가 41% 가량 감소되는 효능(Inhibition Rate)을 나타내었다.
처리군 4(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대두 추출물)와 두 가지 물질을 혼합한 처리군 5(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처리군 6(적포도 추출물 + 대두 추출물), 처리군 7(적포도 추출물 + L-카르니틴)과 단독 물질만을 투여한 처리군 8(적포도 추출물), 처리군 9(녹차 추출물), 처리군 10(대두 추출물), 처리군 11(L-카르니틴)의 경우, 유의한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의 실험 결과를 통해, 단독 물질로는 효능을 보이지 않거나 미미한 효과를 보이는 네 개의 물질(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L-카르니틴)을 저농도로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시너지 효과로 인한 상승 효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네 가지 물질을 모두 혼합한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혈중 지질 개선 효능을 보였으며, 적포도 추출물이 녹차 추출물(또는, 대두 추출물), L-카르니틴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을 경우에도 혈중 TG, LDL-c 개선에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 실험예 3]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 카르니틴 복합물에 의한 체지방 감소
8주간의 투여 종료 후, 상기 실험예 1의 마우스를 부검하여 간 조직과 부고환 지방(epididymal adipose tissue), 피하 지방(subcutaneous adipose tissue), 내장 지방(mesentric adipose tissue), 신주위 지방(perirenal adipose tissue)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적출한 조직은 생리식염수로 씻은 후 수분을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각 처리군의 평균을 계산하여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분류 간(g) 부고환 지방(g) 피하
지방(g)
내장
지방(g)
대조군 1 정상사료 1071.1±160.9 478.5±208.5 438.3±164.9 132.2±78.6
대조군 2 고지방사료 1643.6±330.6 2688.2±379.5 3512.4±848.4 1151±147.1
처리군 1 실시예 1 1045.8±123.4
***
1856.2±152.6
**
2556.2±568.4
*
985.1±51.5
*
처리군 2 실시예 2 1063.5±186.5
**
2213.5±295.3
*
2956.5±315.6 951.2±126.5
*
처리군 3 실시예 3 1246.5±200.7
*
1956.7±165.9
**
2965.4±485.9 1015.1±46.5
*
처리군 4 비교예 1 1486±180.7 2456.9±201.1 3365.7±102.4 1190.6±75.4
처리군 5 비교예 2 1356.4±300.4 2568.2±300.4 3265.6±235.1 1265.4±95.1
처리군 6 비교예 3 1548.9±358.1 2246.4±264.0 3025.5±265.7 1156.5±115.3
처리군 7 비교예 4 1514.6±112.5 2653.2±325.4 3459.2±112.1 1200.4±132.2
처리군 8 비교예 5 1653.7±52.6 2689.5±296.6 3326.4±346.2 1321.1±95.1
처리군 9 비교예 6 1698.2±135.4 2756.4±125.5 3259.8±118.5 1256.2±86.2
처리군 10 비교예 7 1594.5±267.5 2698.4±295.3 3568.9±124.6 1145.8±153.2
처리군 11 비교예 8 1602.5±382.2 2956.8±185.3 3425.1±132.4 1065.9±56.1
① Significant (t-TEST): * p<0.05, ** p<0.01, *** p<0.001 vs 대조군2
② IR(%): Inhibition rate, 100- [(처리군/대조군2)*100]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 가지 물질을 모두 함유하는 처리군 1(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에서 대조군 2에 비교하여 간 조직, 부고환 지방, 피하 지방과 내장 지방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구체적으로 간 조직 무게는 대조군 2에 비교하여 36.4 %의 지방 축적 억제율(Inhibition rate)을 보였으며, 부고환 지방은 30.9 %, 피하 지방은 27.2 %, 내장 지방은 14.4 %의 우수한 체지방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세 가지 물질을 혼합한 복합물 중 처리군 2(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L-카르니틴)와 처리군 3(적포도 추출물 +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의 경우, 간 조직, 부고환 지방과 내장 지방의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처리군 2는 간 조직과 내장 지방 감소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대두 추출물을 함유한 처리군 3은 부고환 지방 축적 억제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세 가지 물질을 혼합한 복합물 중 처리군 4(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대두 추출물)와 두 가지 물질을 혼합한 처리군 5(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처리군 6(적포도 추출물 + 대두 추출물), 처리군 7(적포도 추출물 + L-카르니틴)과 단독 물질만을 투여한 처리군 8(적포도 추출물), 처리군 9(녹차 추출물), 처리군 10(대두 추출물), 처리군 11(L-카르니틴)에서는 유의한 무게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결과, 상기 실험예 1, 2의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단일로써는 효능이 미미한 농도 범위의 네 가지 물질을 혼합하였을 때 상승된 효능이 나타남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적포도 추출물과 L-카르니틴에 녹차 추출물 또는 대두 추출물 중 한가지를 혼합한 세 가지 물질의 복합물이 간 조직 및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 카르니틴 복합물 처리에 의한 혈액 생화학적 변화 측정
상기 실험예 1의 모든 마우스에 대하여 투여 종료 시점에 안와채혈법으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헤파린 처리 후 원심분리하여 혈장(plasma)를 얻어냈으며, 생화학 자동분석장치(AU400, Olympus, Japan)를 이용하여 혈액 내 글루코즈와 간 손상의 지표인 GOT(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PT(Alanine aminotransferase; ALT)를 측정하였다. 또한, 지방세포의 비만 유전자에 의해 생성되는 호르몬으로 음식의 섭취를 억제시키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Leptin의 혈장 내 수치는 Enzyme Liked Immunosolvent assay(ELISA) 원리를 이용한 키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내 글루코즈 농도를 분석한 결과,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대조군 2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네 가지 물질을 모두 혼합한 처리군 1(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대두 추출물 + L-카르니틴)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혈장 내 GOT, GPT 수치에서는 네 가지 물질을 혼합한 복합물(처리군 1)과 세 가지 물질을 혼합한 복합물 중 처리군 2, 3에서 유의적인 감소 현상이 관찰되었다. 특히, 처리군 2(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L-카르니틴)에서 GPT 수치가 약 45 % 억제되는 뛰어난 효과를 확인하였다(p<0.05).
혈장 내 Leptin 수치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고지방 사료 섭취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p<0.05), 처리군 2(적포도 추출물 + 녹차 추출물 + L-카르니틴)를 투여한 군에서 렙틴의 분비가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0.05). 구체적으로 처리군 2에서 약 33.7 % 가량 렙틴의 분비가 억제되었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냈다.
[ 실시예 4]~[ 실시예 5] 캅셀제 제조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실시예 4) 또는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실시예 5)을 주성분으로 하고, 경질 캡슐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인 이산화규소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여 표 5에 나타낸 조합 및 함량으로 경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배합비(중량%) 함량(㎎) 배합비(중량%) 함량(㎎)
적포도 추출물 32.0 160.0 24.5 122.5
녹차 추출물 33.0 165.0 24.5 122.5
L-카르니틴 33.0 165.0 24.5 122.5
대두 추출물 - - 24.5 122.5
이산화규소 1.0 5.0 1.0 5.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5.0 1.0 5.0
합계 100 500 100 500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 또는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의 혼합물과 부형제를 균일하게 교반하여 과립화 하였다. 이를 경질 캡슐기에 주입하여 통상의 경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실시예 7] 정제 제조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실시예 6) 또는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실시예 7)을 주성분으로 하고, 정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인 유당 분말, 결정 셀룰로오스, 마스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HPMC)를 사용하여 표 6에 나타낸 조합 및 함량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6 실시예 7
배합비(중량%) 함량(㎎) 배합비(중량%) 함량(㎎)
적포도 추출물 20.0 100.0 15.0 75.0
녹차 추출물 20.0 100.0 15.0 75.0
L-카르니틴 20.0 100.0 15.0 75.0
대두 추출물 - - 15.0 75.0
유당 분말 18.0 90.0 18.0 90.0
결정 셀룰로오즈 20.0 100.0 20.0 100.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5.0 1.0 5.0
HPMC 1.0 5.0 1.0 5.0
합계 100 500 100 500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 또는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의 혼합물과 부형제를 균일하게 교반하여 과립화 하였다. 이를 타정기에 주입하여 통장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8]~ [ 실시예 9] 음료 제조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실시예 8) 또는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실시예 9)을 주성분으로 하고, 음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탄수화물이나 식품 보조 첨가제인 결정 과당, 무수 구연산, 비타민 C 및 정제수를 사용하여 표 7에 나타낸 조합 및 함량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8 실시예 9
배합비(중량%) 배합비(중량%)
적포도 추출물 1.4 1.05
녹차 추출물 1.4 1.05
L-카르니틴 1.4 1.05
대두 추출물 - 1.05
결정 과당 10.0 10.0
무수 구연산 0.4 0.4
비타민 C 0.1 0.1
정제수 85.3 85.3
합계 100.0 100.0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L-카르니틴 또는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의 혼합물과 부형제를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정제수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혼합물을 고온 살균처리하여 병이나 캔에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23)

  1. 녹차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과 적포도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포도 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추출물은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은 녹차 잎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정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포도 추출물은 적포도 껍질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포도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추출물은 대두 배아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정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L-카르니틴을 1~2 : 1~1.2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포도 추출물: 대두 추출물: L-카르니틴을 1~4 : 1 : 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L-카르니틴을 1~4 : 1~1.2 : 1 : 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포도 추출물은 0.2 내지 80 중량%, 녹차 추출물은 0.2 내지 60 중량%, 및 L-카르니틴은 0.2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포도 추출물은 0.2 내지 80 중량%, 대두 추출물은 0.2 내지 80 중량%, 및 L-카르니틴은 0.2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포도 추출물은 0.2 내지 40 중량%, 녹차 추출물은 0.2 내지 30 중량%, 대두 추출물은 0.2 내지 30 중량%, 및 L-카르니틴은 0.2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 또는 대두 추출물과 적포도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은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0.6 내지 100 중량% 함량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은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0.8 내지 100 중량% 함량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및 주사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 투여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의 항비만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과립, 분말, 캡슐,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00064438A 2010-07-05 2010-07-05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40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38A KR101640258B1 (ko) 2010-07-05 2010-07-05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438A KR101640258B1 (ko) 2010-07-05 2010-07-05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93A true KR20120003693A (ko) 2012-01-11
KR101640258B1 KR101640258B1 (ko) 2016-07-15

Family

ID=4561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438A KR101640258B1 (ko) 2010-07-05 2010-07-05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2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5466A (zh) * 2014-09-04 2014-12-24 上海焦点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降血脂的中药组合物
KR20150093522A (ko) * 2014-02-07 2015-08-18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새고막을 이용한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CN105381282A (zh) * 2015-11-30 2016-03-09 雅安市友谊茶叶有限公司 一种保健藏茶
WO2017082479A1 (ko) * 2015-11-09 2017-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80039167A (ko) * 2015-08-28 2018-04-17 칼리웨이 바이오파마슈티칼스 코., 엘티디. 국부 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약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200044307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아토큐앤에이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및 셀룰라이트 감소용 조성물
KR20210130588A (ko) 2020-04-22 2021-11-01 한국식품연구원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20098059A (ko) * 2020-12-30 2022-07-11 주식회사 홀리스틱바이오 시링가레시놀(Syringaresinol)과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112A (ko) * 2002-10-23 2004-04-30 (주)바이오뉴트리젠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KR20080038870A (ko) * 2006-10-31 2008-05-07 (주)아모레퍼시픽 비만 및 당뇨병 개선용 경구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112A (ko) * 2002-10-23 2004-04-30 (주)바이오뉴트리젠 폴리페놀계 물질,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 또는 이들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및 항비만용 커피 조성물
KR20080038870A (ko) * 2006-10-31 2008-05-07 (주)아모레퍼시픽 비만 및 당뇨병 개선용 경구용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522A (ko) * 2014-02-07 2015-08-18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새고막을 이용한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CN104225466A (zh) * 2014-09-04 2014-12-24 上海焦点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降血脂的中药组合物
KR20180039167A (ko) * 2015-08-28 2018-04-17 칼리웨이 바이오파마슈티칼스 코., 엘티디. 국부 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제약 조성물 및 그의 용도
WO2017082479A1 (ko) * 2015-11-09 2017-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5381282A (zh) * 2015-11-30 2016-03-09 雅安市友谊茶叶有限公司 一种保健藏茶
KR20200044307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아토큐앤에이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및 셀룰라이트 감소용 조성물
KR20210130588A (ko) 2020-04-22 2021-11-01 한국식품연구원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20098059A (ko) * 2020-12-30 2022-07-11 주식회사 홀리스틱바이오 시링가레시놀(Syringaresinol)과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258B1 (ko)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40258B1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1369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766274B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EP289149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 OF CRATAEGI FRUCTUS and CITRI PERICARPIU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JP2001064172A (ja) Apc遺伝子の変異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治療剤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8070570A (ja) クロモジ抽出物
KR20110105627A (ko)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161893B1 (ko) 잣나무 부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95299B1 (ko)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2715515B1 (ko)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또는 알코올 뇌 손상 보호용 조성물
KR20150124108A (ko)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1293032B1 (ko) 다시마 및 부티르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40026737A (ko) 발효울금 분말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2213A (ko)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78150B1 (ko)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건강보조식품
KR101491492B1 (ko) 항염증 활성 증진을 위한 팔삭 과피의 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