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989U - Prefabricated cabinet and box structure with hinged door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cabinet and box structure with hinged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0989U KR20120000989U KR2020100008083U KR20100008083U KR20120000989U KR 20120000989 U KR20120000989 U KR 20120000989U KR 2020100008083 U KR2020100008083 U KR 2020100008083U KR 20100008083 U KR20100008083 U KR 20100008083U KR 20120000989 U KR20120000989 U KR 2012000098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box structure
- corner
- plate
- 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33—Cor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조립식 수납장 및 여닫이 문을 구비한 박스 구조물이 개시된다.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기본 플레이트에 의해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각 코너에 대응되는 연결 위치에서 상기 기본 플레이트를 착탈 가능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박스 구조물을 포함하는 조립식 수납장은, 하나 이상의 박스 구조물이 높은 자유도로 가지고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가지되, 완성품의 각 코너, 모서리, 평면 부분 등과 같은 연결 위치에 따라 적합한 구조와 형상의 연결구를 이용함으로써 바닥, 코너, 모서리 등에서 돌출 부분을 제거하여 하중이 안정된 지지 구조 및 일체감을 주는 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 box structure having a prefabricated cabinet and a swing door is disclosed. It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in by a base plate constituting at least one of a rear surface, a left side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nd uses a connector that can detach the base plate at a connec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Prefabricated cabinet including a box structure formed by combining, one or more box structures are combined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to have a shape desired by the user, and the appropri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osition, such as each corner, corner, flat portion, etc. of the finished product By using the connector having a shap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beautiful structure giving a stable support structure and a sense of unity by removing the protruding portion from the bottom, corner, corner, and the like.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수납장 및 여닫이 문을 구비한 박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structure having a prefabricated cabinet and a swing door.
가정이나 회사에서는 칸막이로 된 선반, 수납장, 진열대 등과 같은 가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구들은 통상적으로 목재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Many homes and businesses use furniture such as partitioned shelves, cabinets, shelves, etc., and these furnitures are typically manufactured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or plastic.
하지만, 일정한 형태로 미리 만들어진 형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가구가 설치 가능한 공간 위치가 제한되며, 제작된 가구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운반 및 이동에 따른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However, since the furniture is supplied in a pre-made form in a predetermined form, the location of the space where the furniture can be installed is limited, and when the volume of the manufactured furniture is large, problems due to transportation and movement have occurred.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박스 구조물이 높은 자유도로 가지고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가지되, 완성품의 각 코너, 모서리, 평면 부분 등과 같은 연결 위치에 따라 적합한 구조와 형상의 연결구를 이용함으로써 바닥, 코너, 모서리 등에서 돌출 부분을 제거하여 하중이 안정된 지지 구조 및 일체감을 주는 미관을 제공하는 조립식 수납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more box structure is combined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to have a shape desired by the user, by using a connector of the appropriate structure and shap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osition, such as each corner, corner, flat portion, etc. of the finished product,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cabinet that removes the protruding portion from the corner and provides a stable support structure and aesthetics that give a sense of unity.
또한, 본 고안은 연결구에 구비된 보조 고정부를 통해 보조 플레이트를 추가적으로 조립하여 내부 공간이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조립식 수납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cabinet that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by additionally assembling the auxiliary plate through the auxiliary fixing portion provided in the connector.
또한, 본 고안은 삽입 고정 작업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어 다른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누구라도 단시간에 원하는 구조의 완성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조립식 수납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cabinet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by inserting and fixing operations and does not require any special tools and anyone can produce a finished product of a desired structure in a short time.
또한, 본 고안은 일 가장자리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동작이 가능한 도어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여닫이 문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경우에 따라 내부 공간이 개방 혹은 폐쇄되도록 하여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면서도 편리하게 내부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수납장 및 여닫이 문을 구비한 박스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winging door structure by using a door plate capable of rotating operation with one rotation axis as the axis of rotation to open or close the inner space as needed to protect the stored items while conveniently It is to provide a box structure having a prefabricated cabinet and a swinging door to make the space available.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기본 플레이트에 의해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각 코너에 대응되는 연결 위치에서 상기 기본 플레이트를 착탈 가능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박스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기본 플레이트는 금속 선재로 구성되며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대응되는 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몸체 프레임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몸체 프레임의 4변 중 코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넓고 평평한 기둥 모양으로 상면과 하면 사이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베이스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상면에서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며 상방향으로 제1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오픈된 수직 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기본 고정부와, 상기 상면에서 상기 복수의 기본 고정부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오픈된 보조 슬릿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 고정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박스 구조물 중 이웃하는 두 박스 구조물은 서로 만나는 면 및 코너에 대응되는 기본 플레이트와 연결구를 서로 공유하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in by a basic plate constituting one or more of the rear, left, right, upper and lower surfaces,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t the connec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It includes a box structure formed by coupling the base plate using a removable connector, the base plate is composed of a metal wire and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the edge portion of the body frame And a plate member fixed to the body frame while surrounding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corners of the four sides of the connector, the connector having a base having one or more base slits formed on a sid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 wide flat column shape, and First angle upwards at an angle of 90 degrees from the top surface A plurality of basic fixing parts protrudingly formed to have a vertical slit open in the upper direction and an outer direction therein, and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in the upper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asic fixing parts on the upper surface; It includes one or more auxiliary fixing parts formed to protrude to have a secondary slit opened upward and outwardly therein, the neighboring two box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the box structure is a basic corresponding to the face and corners meeting each other Provided is a prefabricated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and the connector are shared and coupled to each other.
하나의 상기 박스 구조물에만 속하는 연결 위치에 적용되는 연결구는 상기 베이스 슬릿 1개와 상기 수직 슬릿 2개가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코너 연결구일 수 있다.The connector applied to a connection position belonging to only one of the box structures may be a corner connector in which one base slit and two vertical slits form an angle of 90 degrees to each other.
두 개의 상기 박스 구조물에만 속하는 연결 위치에 적용되는 연결구는 상기 베이스 슬릿 2개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슬릿 3개가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이방 연결구일 수 있다.The connector applied to the connection position belonging to only the two box structures may be an anisotropic connector in which the two base slits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nd the three vertical slits are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each other.
세 개 이상의 상기 박스 구조물에 속하는 연결 위치에 적용되는 연결구는 상기 베이스 슬릿 4개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슬릿 4개가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사방 연결구일 수 있다.A connector applied to a connection position belonging to three or more of the box structures may be a four-way connector in which the four base slits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nd the four vertical slits are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each other.
상기 박스 구조물은 상기 보조 슬릿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박스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대각선 방향으로 구획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x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t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auxiliary slit and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box structure in a diagonal direction.
상기 박스 구조물은 전면에 대응되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한 회전 동작이 가능한 도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며 회전 동작 중에 상기 연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각 코너부가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일 가장자리의 양측이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연결구의 슬릿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도어 프레임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몸체 프레임의 4변 중 코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일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타 가장자리의 중앙에 근접한 위치에 몸체가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x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door plat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and capable of rotating about a rotation shaft. Here, the door plate is made of a metal wire and has a shape in which each corner portion is bent inward direction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or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nd both sides of one edge protrudes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connector A door frame functioning as a fixed rotating shaft, a plate member fixedly coupled to the body frame while the edge portion surrounds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corners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frame, and the other facing the edge functioning as the rotating shaft. It may include a handle in which the body is coupled by bolt nut coupling in a position proximate to the center of the edge.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후면, 좌우측면, 상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기본 플레이트와, 전면에 대응되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한 회전 동작이 가능한 도어 플레이트와, 각 코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 면에 대응되는 기본 플레이트 및 도어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여닫이 문을 구비한 박스 구조물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base plate corresponding to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door plat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and the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rotating shaft, and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There is provided a box structure having a swinging door comprising a connector for firmly coupling a base plate and a door plate corresponding to each face at a position thereof.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며 회전 동작 중에 상기 연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각 코너부가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일 가장자리의 양측이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연결구의 슬릿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도어 프레임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몸체 프레임의 4변 중 코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일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타 가장자리의 중앙에 근접한 위치에 몸체가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plate is made of a metal wire and has a shape in which each corner portion is bent inwar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or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nd both sides of one edge protrude and extend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connector. A door frame which functions as a rotating shaft, a plate member fixedly coupled to the body frame while the edge portion surround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frame except for the corner portion, and the other edge facing the one edge functioning as the rotating shaft. It may include a handle in which the body is coupled by bolt nut coupling in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상기 기본 플레이트는 금속 선재로 구성되며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대응되는 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몸체 프레임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몸체 프레임의 4변 중 코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넓고 평평한 기둥 모양으로 상면과 하면 사이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베이스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상면에서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며 상방향으로 제1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오픈된 수직 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기본 고정부와, 상기 상면에서 상기 복수의 기본 고정부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오픈된 보조 슬릿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late is composed of a metal wire and the body frame having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edge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body frame while surrounding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corner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frame It includes a plate, wherein the connector, a base having one or more base slits formed on the sid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 wide flat columnar shape, and protrudes to have a first height in an upward direction at an angle of 90 degrees from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basic fixing parts formed therein and having vertical slits open in upper and outer directions therein,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have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asic fixing parts; At least one formed secondary auxiliary slit formed therein and opened upward and outward It may include an auxiliary fixing.
상기 보조 슬릿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박스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대각선 방향으로 구획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t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auxiliary slit and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box structure in a diagonal direc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박스 구조물이 높은 자유도로 가지고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가지되, 완성품의 각 코너, 모서리, 평면 부분 등과 같은 연결 위치에 따라 적합한 구조와 형상의 연결구를 이용함으로써 바닥, 코너, 모서리 등에서 돌출 부분을 제거하여 하중이 안정된 지지 구조 및 일체감을 주는 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box structures are combined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to have a shape desired by a user, and use a connector having a suitable structure and shape according to a connection position such as each corner, corner, flat portion, etc. of the finished product. By removing the protruding portion from the bottom, corners, corners, etc.,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table support structure and aesthetics to give a sense of unity.
또한, 연결구에 구비된 보조 고정부를 통해 보조 플레이트를 추가적으로 조립하여 내부 공간이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further assembling the auxiliary plate through the auxiliary fixing portion provided in the connector so that the internal space can be partitioned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또한, 삽입 고정 작업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어 다른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누구라도 단시간에 원하는 구조의 완성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assembled by inserting and fixing, so that no special tool is required, and anyone can produce a finished product having a desired structure in a short time.
또한, 일 가장자리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동작이 가능한 도어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여닫이 문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경우에 따라 내부 공간이 개방 혹은 폐쇄되도록 하여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면서도 편리하게 내부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door plate that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 axis of the edge to have a swinging door structure to open or close the inner space as needed to protect the stored items while using the inner space conveniently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장의 입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구조물의 입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플레이트의 입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의 입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방 연결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방 연결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플레이트가 조립된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도면.
도 10a 내지 10d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와 연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수납장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box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rner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x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nisotropic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four-way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door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storage cabinet assembled door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d ar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prefabricated storage cabinet assembled using a plate and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수납장의 입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구조물의 입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플레이트의 입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연결구의 입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방 연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방 연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box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rner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x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anisotropic connector according to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four-way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립식 수납장(1), 박스 구조물(10), 연결구(12a, 12b, 12c, 12d, 12e, 12f, 12g, 12h), 기본 플레이트(14a, 14b, 14c, 14d, 14e), 몸체 프레임(20), 판재(24), 코너부(22), 코너 연결구(30), 이방 연결구(40), 사방 연결구(50), 베이스(31, 41, 51), 베이스 슬릿(33, 43a, 43b, 53a, 53b, 53c), 기본 고정부(34a, 34b, 44a, 44b, 44c, 54a, 54b, 54c), 보조 고정부(36, 46a, 46b, 56a, 56b, 56c)가 도시되어 있다. 1 to 7, prefabricated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납장(1)은 내부 공간에 다양한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복수의 박스 구조물(10)이 높은 자유도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장 기본적인 수납장 형태인 박스 구조물(10)이 田자 구조로 결합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The
우선 조립식 수납장(1)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하나의 박스 구조물(1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고안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박스 구조물(10)이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가로, 세로, 높이 중 하나 이상의 길이가 다른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First,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spect to a
도 2를 참조하면, 박스 구조물(10)은 정육면체의 각 면을 구성하며 내부에 수납 공간(16)을 형성하는 기본 플레이트(14a, 14b, 14c, 14d, 14e(도 5 참조))와, 박스 구조물(10)의 각 코너(즉, 꼭지점)에 위치하여 기본 플레이트들(14)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연결구(12a, 12b, 12c, 12d, 12e, 12f, 12g, 12h(도 5 참조))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도 3을 참조하면, 기본 플레이트(14)는 정사각형의 몸체 프레임(20)과, 가장자리부가 몸체 프레임(20)의 4변을 감싸면서 몸체 프레임(20)에 고정 결합되는 판재(2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몸체 프레임(20)은 기본 플레이트(14)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기본 플레이트(14)가 정사각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몸체 프레임(20)의 코너부(22)를 제외한 각 가장자리의 나머지 부분은 판재(24)에 의해 감싸져 있으며, 코너부(22)는 노출되어 있어 추후 설명할 연결구에 형성된 슬릿 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 프레임(2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금속 선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선재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판재(24)는 기본 플레이트(14)의 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각 가장자리부가 대응되는 몸체 프레임(20)의 각 변을 감싸면서 기본 플레이트(14)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되어 중앙부가 소정 크기의 외압에 의해서도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판재(24)는 부직포천, 합성피혁, 플라스틱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내부 공간에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재질의 판재(24)로 구성된 기본 플레이트(14)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연결구는 최종 완성된 조립식 수납장(1)에서의 연결 위치에 따라 코너 연결구(30), 이방 연결구(40), 사방 연결구(50)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결구가 기본적으로 원형 혹은 원형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형상의 밑면을 가지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타원형 혹은 타원형의 일부분, 다각형 혹은 다각형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형상의 밑면을 기본적으로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nnector may be one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코너 연결구(30)는 1/4원형 기둥 형상의 베이스(31), 2개의 기본 고정부(34a, 34b), 1개의 보조 고정부(3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베이스(31)는 1/4원형의 밑면을 가지는 넓고 평평한 기둥 모양으로, 원호에 대응되는 측면(32) 부분에 베이스 슬릿(33)이 형성되어 있다. The
베이스(31)의 상면에는 1/4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2개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제1 높이(h1)를 가지는 2개의 기본 고정부(34a, 34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기본 고정부(34a, 34b)에는 상방향 및 원호방향(즉, 외측방향)으로 오픈된 수직 슬릿(35a, 35b)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여기서, 베이스 슬릿(33) 및 수직 슬릿(35a, 35b) 중 하나 이상에는 그 내면에 서로 마주보는 돌기쌍(38)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슬릿 내에 삽입되는 기본 플레이트(14)의 코너부(22), 후술할 도어 플레이트(60)의 회전 샤프트(63) 등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of the base slits 33 and the
코너 연결구(30)의 베이스 슬릿(33) 및 2개의 수직 슬릿(35a, 35b)은 상호간에 90도 각도를 이루고 있어 정육면체의 꼭지점 부분에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코너 연결구(30)는 해당 연결 위치가 하나의 박스 구조물(10)에 속하는 경우에만 이용가능하며, 둘 이상의 박스 구조물(10)에 속하는 연결 위치의 경우에는 후술할 이방 연결구(40) 혹은 사방 연결구(5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slit 33 and the two
또한, 베이스(31)의 상면에는 기본 고정부(34a, 34b) 사이에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h2)를 가지는 보조 고정부(3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기본 고정부(34a, 34b)와 보조 고정부(36)가 이루는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보조 고정부(36) 역시 상방향 및 원호방향(즉, 외측방향)으로 오픈되어 후술할 보조 플레이트의 코너부가 삽입 고정 가능한 보조 슬릿(37)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보조 슬릿(37) 역시 그 내면에 서로 마주보는 돌기쌍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보조 슬릿(37) 내에 삽입되는 보조 플레이트의 코너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lits 37 may also have one or more protrusion pairs facing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corner portions of the auxiliary plates inserted into the
도 5를 참조하면, 기본 플레이트(14a~14e)와 코너 연결구(12a~12h)를 이용하여 하나의 박스 구조물(10) 조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one
전면을 제외한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에 각각 대응되는 기본 플레이트(14a~14e)가 배치되고, 각 코너 부분에 대하여 코너 연결구(12a~12h)에 형성된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3개의 슬릿 내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정육면체 모양의 박스 구조물(10)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
우선 하면에 해당하는 기본 플레이트(14b)의 네 코너부가 하부에 위치할 코너 연결구(12c, 12d, 12g, 12h)의 슬릿 중 하나에 삽입 고정되도록 코너 연결구(12c, 12d. 12g. 12h)를 설치한다. 또한, 상면에 해당하는 기본 플레이트(14a)의 네 코너부가 상부에 위치할 코너 연결구(12a, 12b, 12e, 12f)의 슬릿 중 하나에 삽입 고정되도록 코너 연결구(12a, 12b, 12e, 12f)를 설치한다.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 후면 및 좌우측면에 해당하는 기본 플레이트(14e, 14c, 14d)의 하부 코너부를 하면에 해당하는 기본 플레이트(14b)의 네 코너부에 설치된 코너 연결구(12c, 12d, 12g, 12h)의 타 슬릿 내에 삽입 고정시키고, 수직 방향으로 후면 및 좌우측면에 해당하는 기본 플레이트(14e, 14c, 14d)의 상부 코너부를 상면에 해당하는 기본 플레이트(14a)의 네 코너부에 설치된 코너 연결구(12a, 12b, 12e, 12f)의 타 슬릿 내에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전면이 오픈된 구조의 박스 구조물(10)이 형성될 수 있다. First, the
이러한 조립 순서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ssembly order is just one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본 고안에서 둘 이상의 박스 구조물을 결합하여 조립식 수납장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코어 연결구(30) 이외에 후술할 이방 연결구(40) 및/또는 사방 연결구(50)를 더 이용할 수 있음을 전술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o or more box structures are combined to make a prefabricated cabinet, the above-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이방 연결구(40)는 반원형 기둥 형상의 베이스(41), 3개의 기본 고정부(44a, 44b, 44c), 2개의 보조 고정부(46a, 46b)를 포함하며, 도 4에 도시된 코너 연결구(30) 2개가 하나의 기본 고정부를 공유하면서 좌우 대칭이 되도록 결합된 형상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6, the
이방 연결구(40)의 베이스(41)는 반원형의 밑면을 가지는 넓고 평평한 기둥 모양으로, 원호에 대응되는 측면(42) 부분에 베이스 슬릿(43a, 43b)이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베이스 슬릿(43a, 43b)은 밑면에 평행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The
베이스(42)의 상면에는 반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90도만큼 이격된 3개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제1 높이(h1)를 가지는 3개의 기본 고정부(44a, 44b, 44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기본 고정부(44a, 44b, 44c)에는 상방향 및 원호방향으로 오픈된 수직 슬릿(45a, 45b, 45c)이 형성되어 있다. Three
2개의 수직 슬릿(45a, 45c) 역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도록 결합되며 두 개의 박스 구조물(10)에 속하는 연결 위치(도 1의 B 참조)에서 이러한 이방 연결구(40)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wo
또한, 베이스(41)의 상면에는 기본 고정부들(44a, 44b, 44c) 사이에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h2)를 가지는 보조 고정부(46a, 46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기본 고정부(44a, 44b, 44c)와 보조 고정부(46a, 46b)가 이루는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보조 고정부(46a, 46b) 역시 상방향 및 원호방향으로 오픈되어 후술할 보조 플레이트의 코너부가 삽입 고정 가능한 보조 슬릿(47a, 47b)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방 연결구(50)는 원형 기둥 형상의 베이스(51), 4개의 기본 고정부(54a, 54b, 54c, 54d), 4개의 보조 고정부(56a, 56b, 56c, 56d)를 포함하며, 도 4에 도시된 코너 연결구(30) 4개가 이웃하는 코너 연결구끼리 기본 고정부를 공유하면서 4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결합된 형상을 가진다. 7, the four-
사방 연결구(50)의 베이스(51)는 원형의 밑면을 가지는 넓고 평평한 기둥 모양으로, 원호에 대응되는 측면(52) 부분에 베이스 슬릿(53a, 53b, 53c, 하나는 미도시)이 4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베이스 슬릿(53a, 53b, 53c, 하나는 미도시)은 밑면에 평행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The
베이스(51)의 상면에는 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90도만큼 이격된 4개의 반지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제1 높이(h1)를 가지는 4개의 기본 고정부(54a, 54b, 54c, 54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기본 고정부(54a, 54b, 54c, 54d)에는 상방향 및 원호방향으로 오픈된 수직 슬릿(57a, 57b, 57c, 57d)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따라서, 서로 이웃하도록 결합되는 세 개 이상의 박스 구조물(10)에 속하는 연결 위치(도 1의 A 참조)에서 이러한 사방 연결구(50)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us, this four-
또한, 베이스(51)의 상면에는 기본 고정부(54a, 54b, 54c, 54d)들 사이에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h2)를 가지는 보조 고정부(56a, 56b, 56c, 56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기본 고정부(54a, 54b, 54c, 54d)와 이웃하는 보조 고정부(56a, 56b, 56c, 56d)가 이루는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보조 고정부(56a, 56b, 56c, 56d) 역시 상방향 및 원호방향으로 오픈되어 후술할 보조 플레이트의 코너부가 삽입 고정 가능한 보조 슬릿(57a, 57b, 57c, 57d)이 형성되어 있다. Also,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전술한 코너 연결구(30), 이방 연결구(40), 사방 연결구(50)는 일정한 강도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코너 연결구(30), 이방 연결구(40), 사방 연결구(50)에는 기본 고정부(34, 44, 54) 이외에 보조 고정부(36, 46, 56)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고정부(36, 46, 56)는 기본 플레이트(14)로 이루어진 박스 구조물(10)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보조 플레이트가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조 플레이트에 의해 박스 구조물(10)의 내부 공간이 둘 이상으로 구획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basic fixing parts 34, 44, and 54, the
보조 플레이트는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기본 플레이트(14)와 유사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상기에서는 보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한 쌍은 박스 구조물(10)의 전면 및 후면에 대응되는 정사각형의 대각선 길이에 상응하며, 가장자리 다른 쌍은 좌측면 및 우측면의 가장자리 길이에 대응된다. The auxiliary plate basically has a shape and structure similar to the
정육면체의 각 면 중 하나 이상의 면(도 2에서는 전면)에 대응되는 기본 플레이트(14)가 조립되지 않음으로써 박스 구조물(10)은 오픈된 구조를 가져 내부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여닫이 문 구조의 도어 플레이트(60)를 조립함으로써 박스 구조물(10)이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내부 공간을 보호할 수 있는 수납 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ssembling the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플레이트가 조립된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door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cabinet with a door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플레이트(60)는 도어 프레임(61), 판재(64), 손잡이(6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도어 프레임(61)은 도어 플레이트(60)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소정 두께를 가지는 금속 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선재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도어 프레임(61)은 정방형 형상을 가지면서 각 코너부(62)가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있어 추후 내부 공간의 개폐를 위한 도어 플레이트(60)의 회전 동작 중에 연결구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The
또한, 도어 프레임(61) 중 일 가장자리는 양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연결구에 형성된 슬릿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63)로서, 회전축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가장자리(63)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 플레이트(60)가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 동작에 따라 박스 구조물(1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도 9의 화살표 참조). In addition, one edge of the
판재(64)는 기본 플레이트(14)의 판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진다. The
손잡이(65)는 도어 플레이트(60)가 여닫이 문으로서 기능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로서, 회전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일 가장자리(63)와 마주보는 타 가장자리의 중앙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The
손잡이(65)는 그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형상의 몸체를 가지는 너트와, 이에 결합되는 볼트로 이루어져, 판재(64) 상에 소정의 결합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볼트 너트 결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The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와 연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수납장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0A to 10D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prefabricated storage cabinet assembled using a plate and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를 참조하면, 크게 5개의 박스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이 오픈된 기본 구조의 박스 구조물(좌상단에 위치), 도어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여닫이 문 구조를 가지는 박스 구조물(하단에 위치), 높이가 작은 2개의 여닫이 문 구조를 가지는 박스 구조물(우상단에 위치)이 전(田)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조립식 수납장을 구성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0A, a box structure (located at the upper left) of a basic structure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a box structure (located at the bottom) having a swing door structure having a door plate, and having a height A box structure (located at the upper right) having two small swing door structures is combined in a magnetic shape to form a prefabricated storage cabinet.
도 10b를 참조하면, 박스 구조물이 상방향으로 일(一)자로 결합되어 높이가 높은 조립식 수납장을 구성하고 있다. 바닥 공간이 작은 경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10B, the box structure is coupled upward in one letter to form a prefabricated cabinet. It can be used when the floor space is small.
그리고 도 10c와 도 10d를 참조하면, L자 혹은 역L자 형상으로 다수의 박스 구조물을 결합하여 조립식 수납장을 구성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0d의 수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수치가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10C and 10D, an example of configuring a prefabricated cabinet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ox structures in an L shape or an inverted L shape is illustrated. Herein, the numerical values in FIG. 10D are exemplary, and various numerical values may be applied thereto.
이외에도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자유롭게 박스 구조물을 배치하여 다양한 형상의 조립식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freely arrange the box structure as desired, and thus, may form a prefabricated cabinet of various shapes.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1: 조립식 수납장 10: 박스 구조물
12a, 12b, 12c, 12d, 12e, 12f, 12g, 12g: 연결구
14a, 14b, 14c, 14d, 14e, 14: 기본 플레이트
20: 몸체 프레임 22: 코너부
24: 판재 30: 코너 연결구
40: 이방 연결구 50: 사방 연결구
31, 41, 51: 베이스 32, 42, 52: 측면
33, 43a, 43b, 53a, 53b, 53c: 베이스 슬릿
34a, 34b, 44a, 44b, 44c, 54a, 54b, 54c, 54d: 기본 고정부
36, 46a, 46b, 56a, 56b, 56c: 보조 고정부
60: 도어 플레이트 61: 도어 프레임
62: 코너부 63: 회전 샤프트
64: 판재 65: 손잡이1: prefabricated cabinet 10: box structure
12a, 12b, 12c, 12d, 12e, 12f, 12g, 12g: end connection
14a, 14b, 14c, 14d, 14e, 14: base plate
20: body frame 22: corner
24: Plate 30: Corner connector
40: anisotropic connector 50: everywhere connector
31, 41, 51:
33, 43a, 43b, 53a, 53b, 53c: base slit
34a, 34b, 44a, 44b, 44c, 54a, 54b, 54c, 54d: basic fixture
36, 46a, 46b, 56a, 56b, 56c: auxiliary fixing part
60: door plate 61: door frame
62: corner portion 63: rotating shaft
64: plate 65: handle
Claims (11)
상기 기본 플레이트는 금속 선재로 구성되며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대응되는 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몸체 프레임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몸체 프레임의 4변 중 코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넓고 평평한 기둥 모양으로 상면과 하면 사이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베이스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상면에서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며 상방향으로 제1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오픈된 수직 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기본 고정부와, 상기 상면에서 상기 복수의 기본 고정부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오픈된 보조 슬릿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 고정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박스 구조물 중 이웃하는 두 박스 구조물은 서로 만나는 면 및 코너에 대응되는 기본 플레이트와 연결구를 서로 공유하며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It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in by a base plate constituting at least one of a rear surface, a left side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nd uses a connector that can detach the base plate at a connec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Including a box structure made by combining,
The base plate is composed of a metal wire and the body frame having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edge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body frame while surrounding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corner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frame I include the board which becomes
The connector has a base having one or more base slits formed on a side surf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 wide flat column shape, and protruding to have a first height in an upward direction at an angle of 90 degrees from the upper surface and upwards therein. And a plurality of basic fixing parts having a vertical slit open in an outer direction, and protruding to have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in an upward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asic fixing parts on the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auxiliary fixing part formed with an auxiliary slit open outwardly,
Prefabricated cabin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neighboring box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the box structure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share the base plate and the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side and the corner meeting each other.
하나의 상기 박스 구조물에만 속하는 연결 위치에 적용되는 연결구는 상기 베이스 슬릿 1개와 상기 수직 슬릿 2개가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코너 연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osition belonging to only one of the box structure is a prefabricated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base slit and the two vertical slits are corner connectors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each other.
두 개의 상기 박스 구조물에만 속하는 연결 위치에 적용되는 연결구는 상기 베이스 슬릿 2개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슬릿 3개가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이방 연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applied to the connection position belonging to only the two box structure is a prefabricated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base slits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the three vertical slits are anisotropic connectors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each other.
세 개 이상의 상기 박스 구조물에 속하는 연결 위치에 적용되는 연결구는 상기 베이스 슬릿 4개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 슬릿 4개가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는 사방 연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applied to the connection position belonging to three or more of the box structure is a prefabricated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base slits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the four vertical slits are four-sided connector making an angle of 90 degrees to each other.
상기 박스 구조물은 상기 보조 슬릿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박스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대각선 방향으로 구획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1,
The box structure is prefabricated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plat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auxiliary slit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box structure in a diagonal direction.
상기 박스 구조물은 전면에 대응되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한 회전 동작이 가능한 도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1,
The box structure is a prefabricated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oor plat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and the rotation operation around the rotating shaft.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며 회전 동작 중에 상기 연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각 코너부가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일 가장자리의 양측이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연결구의 슬릿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도어 프레임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몸체 프레임의 4변 중 코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일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타 가장자리의 중앙에 근접한 위치에 몸체가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6,
The door plate is made of a metal wire and has a shape in which each corner portion is bent inwar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or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nd both sides of one edge protrude and extend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connector. A door frame which functions as a rotating shaft, a plate member fixedly coupled to the body frame while the edge portion surround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frame except for the corner portion, and the other edge facing the one edge functioning as the rotating shaft. Prefabricated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that is coupled to the body by the bolt nut in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A basic plat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corresponding to a rear surface, left and right si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door plat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and capable of rotating around a rotating shaft, and corresponding to each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Box structure having a swinging door comprising a connector for firmly coupling the base plate and the door plate.
상기 도어 플레이트는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며 회전 동작 중에 상기 연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각 코너부가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일 가장자리의 양측이 돌출 연장되어 상기 연결구의 슬릿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도어 프레임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몸체 프레임의 4변 중 코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회전 샤프트로서 기능하는 일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타 가장자리의 중앙에 근접한 위치에 몸체가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문을 구비한 박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door plate is made of a metal wire and has a shape in which each corner portion is bent inwar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or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nd both sides of one edge protrude and extend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connector. A door frame which functions as a rotating shaft, a plate member fixedly coupled to the body frame while the edge portion surround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frame except for the corner portion, and the other edge facing the one edge functioning as the rotating shaft. Box structure having a sw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that is coupled to the body by a bolt nut in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상기 기본 플레이트는 금속 선재로 구성되며 상기 직육면체 형상의 대응되는 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몸체 프레임과, 가장자리부가 상기 몸체 프레임의 4변 중 코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넓고 평평한 기둥 모양으로 상면과 하면 사이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베이스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상면에서 서로 90도 각도를 이루며 상방향으로 제1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오픈된 수직 슬릿이 형성된 복수의 기본 고정부와, 상기 상면에서 상기 복수의 기본 고정부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상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오픈된 보조 슬릿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문을 구비한 박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8,
The base plate is composed of a metal wire and the body frame having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edge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body frame while surrounding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corner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frame I include the board which becomes
The connector has a base having one or more base slits formed on a side surf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 wide flat column shape, and protruding to have a first height in an upward direction at an angle of 90 degrees from the upper surface and upwards therein. And a plurality of basic fixing parts having a vertical slit open in an outer direction, and protruding to have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in an upward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asic fixing parts on the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auxiliary fixing part having an auxiliary slit open outwardly.
상기 보조 슬릿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박스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대각선 방향으로 구획하는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문을 구비한 박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0,
The box structure having a sliding door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plat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auxiliary slit and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box structure in a diagon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8083U KR20120000989U (en) | 2010-08-02 | 2010-08-02 | Prefabricated cabinet and box structure with hinged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8083U KR20120000989U (en) | 2010-08-02 | 2010-08-02 | Prefabricated cabinet and box structure with hinged d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989U true KR20120000989U (en) | 2012-02-10 |
Family
ID=4584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8083U Ceased KR20120000989U (en) | 2010-08-02 | 2010-08-02 | Prefabricated cabinet and box structure with hinged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0989U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774Y1 (en) * | 2012-11-23 | 2014-05-22 | 안광남 | The Storage Box having a connecting clip |
KR20160115056A (en) * | 2015-03-25 | 2016-10-06 | 주식회사 선진엔텍 | Removable case for charging fishing and freezing the same |
KR200486564Y1 (en) | 2017-12-11 | 2018-06-05 | 김소희 | Feeding cushion of backflow preventing |
CN108800739A (en) * | 2018-07-19 | 2018-11-13 |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 A kind of connection structure, box shell and the refrigerator-freezer of refrigerator-freezer box shell |
US20220257008A1 (en) * | 2021-02-12 | 2022-08-18 | Frank Wei | Configurable Storage and Display Frame |
CN115474780A (en) * | 2021-05-31 | 2022-12-16 | 浙江中享惠购智能科技有限公司 | A locker with multi-directional connection |
-
2010
- 2010-08-02 KR KR2020100008083U patent/KR20120000989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774Y1 (en) * | 2012-11-23 | 2014-05-22 | 안광남 | The Storage Box having a connecting clip |
KR20160115056A (en) * | 2015-03-25 | 2016-10-06 | 주식회사 선진엔텍 | Removable case for charging fishing and freezing the same |
KR200486564Y1 (en) | 2017-12-11 | 2018-06-05 | 김소희 | Feeding cushion of backflow preventing |
CN108800739A (en) * | 2018-07-19 | 2018-11-13 |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 A kind of connection structure, box shell and the refrigerator-freezer of refrigerator-freezer box shell |
US20220257008A1 (en) * | 2021-02-12 | 2022-08-18 | Frank Wei | Configurable Storage and Display Frame |
US11452372B2 (en) * | 2021-02-12 | 2022-09-27 | Frank Wei | Configurable storage and display frame |
CN115474780A (en) * | 2021-05-31 | 2022-12-16 | 浙江中享惠购智能科技有限公司 | A locker with multi-directional conne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00989U (en) | Prefabricated cabinet and box structure with hinged door | |
RU2572768C2 (en) | Structural element, connecting element, end element, and tool for use in such system-erector | |
US9615663B2 (en) | Modular tool-less furniture | |
CA2738553C (en) | Wood and resin deck box | |
US8333444B1 (en) | Furniture kit | |
US20130336718A1 (en) | Pillar for assembly type furniture | |
KR101343850B1 (en) | Prefabricated cabinet | |
WO2006035742A1 (en) | Combination housing furniture | |
KR101306720B1 (en) | Assembly Type Cabinet | |
KR200467771Y1 (en) | Storage shelf capable of mounting door at fastening member | |
KR20080073184A (en) | Prefabricated furniture using storage module and storage module | |
KR20030021331A (en) | Multipurpose modular furniture for receiving an article | |
KR20120008239U (en) | Marine prefabricated cabinet | |
KR20210057407A (en) | Prefabricated furniture | |
KR101371039B1 (en) | Assembly module for furniture | |
KR102513043B1 (en) | Assembly Type System Furniture Frame | |
KR101327563B1 (en) | Multifunctional furniture | |
JP3566714B1 (en) | Modular furniture | |
KR20090010039U (en) |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is assembled by connecting panel and panel vertically and horizontally | |
KR101393691B1 (en) | Iron furniture | |
KR20150074536A (en) | A modular furniture | |
KR101006951B1 (en) | Prefabricated Table | |
KR20180109196A (en) | a prefabricated container apparatus | |
KR200257658Y1 (en) | Multipurpose modular furniture for receiving an article | |
KR20220029270A (en) | Assembled furniture for easy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80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425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