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10138458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458A
KR20110138458A KR1020100058350A KR20100058350A KR20110138458A KR 20110138458 A KR20110138458 A KR 20110138458A KR 1020100058350 A KR1020100058350 A KR 1020100058350A KR 20100058350 A KR20100058350 A KR 20100058350A KR 20110138458 A KR20110138458 A KR 20110138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social network
network service
transmi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204B1 (ko
Inventor
최연화
이정준
이태곤
전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204B1/ko
Priority to US13/044,426 priority patent/US20110314110A1/en
Priority to EP20110003164 priority patent/EP2398260A1/en
Publication of KR2011013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터치스크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에 대한 제 1식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account)에 대한 제 2식별정보 및 송신 데이터를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식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제 2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측 단말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서버에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 1,2식별정보에 대응된 수신측 단말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서버로 송신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 1,2식별정보에 대응된 수신측 단말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서버로 송신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 1,2식별정보에 대응된 수신측 단말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서버로 송신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에 대한 제 1식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account)에 대한 제 2식별정보 및 송신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식별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서버에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이동 통신 모듈과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및 데이터를 송신할 복수의 식별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획득하면, 상기 복수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수신측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송신함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복수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이동 통신 모듈과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부; 및 데이터를 송신할 복수의 어드레스(address)를 획득하면,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인 문자메시지 송신 어드레스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문자메시지 송신 어드레스에 대응된 상대방에게 송신함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어드레스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어드레스에 대응된 웹사이트에 업데이트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에 대한 제 1식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에 대한 제 2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송신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2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소셜네트워크의 서버에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제 1,2식별정보에 대응된 수신측 단말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서버로 송신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도면이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도 5 식별정보에 따라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계정을 설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상대방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메시지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업로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업로드할지 여부를 사용자별로 설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부(15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물리적으로 표시패널들이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가 힌지나 슬라이드로 체결된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에서, 제 1디스플레이부(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어느 한 바디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바디의 내부면이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와 분리된 디스플레이부로써, 이동 단말기 바디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2c와 같이 표시패널 내에서 논리적으로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들(100), 다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 270),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및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80)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PSTN, 29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백하울 라인들(backhaul lines)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들(270)에 연결된다. 상기 백하울 라인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E1/T1, ATM, IP, PPP,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들(275)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기지국(270)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들(secto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 또는 상기 기지국(270)으로부터 특정한 방사방향으로 조정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섹터는 다이버시티수신(diversity reception)용 안테나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270)은 다수개의 주파수 할당들(frequency assignments)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할당들은 특정 스펙트럼(예를들어, 1.25MHz, 5Mhz)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인터섹션(intersection)은 CDMA 채널로 칭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27)은 또한 기지국 트랜스시버 서브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으로 칭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제어기(275)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270)을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은 또한 "셀 사이트"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어진 기지국(270)의 개별적인 섹터들이 셀 사이트들로 일컬어질 수 있다.
지상파 DMB 송신기(295)는 상기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이동단말기들(100)에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방송수신모듈(111)은 일반적으로 상기 DMB 송신기(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방송 및 멀티캐스트 시그널링(broadcast and multicast signaling)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여러가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3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300)은 몇몇 또는 모든 이동단말기들(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두개의 위성들이 도시되었으나, 위치정보는 그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위성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타입의 위치추적기술(예를 들어, GPS 기술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위치추적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몇몇 또는 모든 상기 GPS 위성들(300)은 별도로 또는 부가적으로 위성 DMB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중에, 상기 기지국들(270)은 여러개의 이동단말기들(100)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들(reverselink signals)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들(100)은 통화 중이거나, 메시지를 보내고 있거나, 그리고 다른 통신을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상기 기지국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된 데이타는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275)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75)는 콜 리소스 할당(call resource allocation)을 제공하며, 그리고 기지국들(270) 사이의 소프트 통화채널전환(soft handoffs)의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을 포함하는 이동관리기능(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는 또한 상기 수신된 데이타를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s, 280)로 전송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는 상기 퍼블릭스위치텔레폰네트워크(PSTN, 29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추가적인 루팅 서비스들(routing services)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상기 퍼블릭스위칭텔레폰네트워크(29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280)와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모바일 스위칭 센터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275)은 차례로 상기 기지국들(270)을 제어하여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상기 이동단말기들(1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고, 도 6은 도 5 식별정보에 따라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또한,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경로를 통하여 메시지(SM)를 송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메시지(SM)를 1회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상대방에게 메시지(SM)를 송신함과 동시에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에 메시지(SM)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메뉴에서 선택하도록 하거나, 아이콘의 형태로 통합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SM)를 송신할 상대방에 대한 식별정보(II)를 입력받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식별정보(II)는 특정한 상대방을 다른 상대방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식별정보(II)는 숫자의 조합, 문자의 조합, 기호의 조합 또는 숫자, 문자, 기호 중 복수 개의 조합일 수 있다. 특정한 상대방을 다른 상대방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식별정보(II)를 어드레스(address)로 볼 수도 있다. 식별정보(II)는 속성에 따라서 제 1식별정보(II1)와 제 2식별정보(II2)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식별정보(II1)는 전화번호일 수 있으며, 제 2식별정보(II2)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account)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제 2식별정보(II2)는 특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아이디일 수 있으며, 메모리(도 1의 160)에는 아이디에 대한 비밀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도 1의 180)는 제 2식별정보(II2)가 입력되면, 그에 매칭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 등을 메모리(도 1의 16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 1식별정보(II1)에 기초하여 메시지(SM)가 송신되는 경우라면, 메시지(SM)는 이동 통신 모듈(도 1의 112)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즉, SMS 또는 MMS 형태의 메시지(SM)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특정한 상대방에게 송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특정한 상대방에게 송신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식별정보(II1)는 특정 상대방에게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일 수 있다.
제 2식별정보(II2)에 기초하여 메시지(SM)가 송신되는 경우라면, 메시지(SM)는 무선 인터넷 모듈(도 1의 113)을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즉, 메시지(SM)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00)로 송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메시지(SM)를 수신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1000)는, 해당하는 제 2식별정보(II2)를 업로드할 수 있다.
제 1,2식별정보(II1, II2)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즉, 메시지(SM)를 송신하고 싶은 대상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통합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제 1,2식별정보(II1, II2)를 입력하면 그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로 메시지(SM)가 송신됨으로 인하여, 이용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식별정보(II1)에 기초하여 메시지(SM)를 송신하기 위하여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에 제 2식별정보(II2)에 기초하여 메시지(SM)를 송신하기 위하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송신할 메시지(SM)를 입력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입력된 메시지(SM)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1000)에 업로드될 수 있다. 메시지(SM)는 문자로만 작성되거나, 이미지로만 작성되거나, 문자와 이미지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식별정보(II)에 따라서 메시지(SM)룰 송신하는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식별정보(II)는 복수개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도 1의 180)는 입력된 식별정보(II)의 속성에 따라서 그에 대응되는 수단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정보(II)에 따라서 메시지(SM)를 송신하는 단계(S40)는 식별정보(II)의 속성을 판단하는 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정보(II)의 속성은, 입력된 식별정보(II)가 어떠한 방법을 통하여 송신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정보(II)의 속성은 입력된 식별정보(II)가 전화번호인지 특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아이디인지 여부일 수 있다.
식별정보(II)의 속성이 제 1식별정보(II1)이라면, 제어부(도 1의 180)는 제 1식별정보(II1)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단계(S42)를 진행할 수 있다.
제 1식별정보(II1)를 입력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전화번호가 아닌 저장된 대표명칭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101234567 과 같은 숫자의 조합이 아닌 'kim'이라는 명칭으로 입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칭으로 입력한 경우라면, 제어부(도 1의 180)는 메모리(도 1의 160)에서 입력된 명칭에 매칭된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식별정보(II1)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획득하면, 이동 통신 모듈(도 1의 112)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메시지(SM)를 송신하는 단계(S43)가 진행될 수 있다.
식별정보(II)의 속성이 제 2식별정보(II2)인 경우라면, 제 2식별정보(II2)에 대응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S44)가 진행될 수 있다.
제 2식별정보(II2)는 특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주소에 대한 대표명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 하나인 페이스북(facebook)의 경우라면, 페이스북에 로그인할 수 있는 이메일 계정 대신에 ‘kim_facebook'이라는 명칭을 제 2식별정보(II2)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도 1의 180)는, 대표 명칭인 제 2식별정보(II2)가 입력되면 메모리(도 1의 160)로부터 그에 매칭된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과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면, 무선 인터넷 모듈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서버(1000)로 메시지(SM)를 송신하는 단계(S45)가 진행될 수 있다.
입력된 모든 식별정보(II)에 대하여 메시지(SM) 송신이 완료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6)가 진행될 수 있다.
식별정보(II)는 복수 개 입력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식별정보(II1)와 제 2식별정보(II2) 각각도 복수 개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도 1의 180)는 모든 식별정보(II)에 대하여 메시지(SM)를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식별정보(II)에 대하여 메시지(SM)를 송신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단말기(500)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1000)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식별정보(II) 및 메시지(SM)를 입력받으면(S100), 식별정보(II)를 속성별로 분류(S110)할 수 있다.
속성별 분류에 따라서 다른 단말기(500)로 송신할 메시지(SM)는 중계 서버를 통해 송신(S120)할 수 있다. 또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1000)로 송신해야 하는 경우에는, 식별정보(II)에 대응된 계정정보를 소셜네트워크 서버(1000)로 송신하여 로그인을 요청(S130)할 수 있다. 소셜네트워크 서버(1000)로부터 로그인이 승인(S140)되면, 해당하는 메시지(SM)를 업로드(S150)할 수 있다. S120 단계와 S150 단계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도 1의 180),다른 단말기(500) 및 서버(1000)의 상태에 의하여 지연이 발생할 수는 있지만, 제어부(도 1의 180)는 여건이 허락하는 한도에서 최소한의 시간차를 두고 S120 단계와 S150 단계가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문자메시지 송신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의 업로드를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송신과 업로드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9는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계정을 설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는 터치스크린(151)를 통해 계정을 설정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식별정보(II2)에 대응된 계정의 설정은, 해당하는 계정에 대한 대표명칭(N), 계정의 어드레스(A), 비밀번호(P) 및 부가설명(D)을 입력하는 과정일 수 있다. 계정이 설정되면, 계정의 어드레스(A) 및 비밀번호(P)를 매번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상대적으로 기억하기 쉬운 대표명칭(N)을 입력하여 원하는 상대방에게 메시지(SM)를 송신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하는 계정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의 하나인 twiiter인 경우에, 계정정보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 자신의 것일 수 있다. twiiter는 follower 개념을 도입하여 자신의 twitter 계정에 업로드한 글을 그 계정의 follower들에게 배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 정보를 미리 입력해놓는 것으로서, 특정 메시지(SM)를 특정한 상대방에게 이동 통신 모듈(112)을 사용하여 송신함과 동시에 자신의 follower들과 공유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상대방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는 입력된 메시지(SM)를 송신할 대상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가상키(VK, Virtual Key)를 사용하여 송신할 메시지(SM)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작성한 메시지(SM)를 송신할 상대방에 대한 제 1식별정보(II1)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도 10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gianna jun에게 'Rain is coming now'라는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하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제 1가상키(VK1)를 터치할 수 있다. 제 1가상키(VK1)에 대한 터치는, 제 1가상키(VK1)에 부여된 원래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터치 동작과는 다른 터치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가상키(VK1)를 길게 터치하는 동작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가상키(VK1)를 길게 터치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터치스크린(151)에 메시지(SM)를 송신할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제 1팝업창(P1)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팝업창(P1)에는 제 1, 2, 3버튼(B1, B2, B3)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2, 3버튼(B1, B2, B3)은 특정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응되는 버튼(B1, B2) 또는 등록된 모든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버튼(B3)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메시지(SM)를 송신할 특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witter에 대응된 제 2버튼(B2)을 선택하면, 제 2식별정보(II2)가 입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한 상대방에 대한 제 1식별정보(II1)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제 2식별정보(II2)가 입력되었으므로, 제어부(도 1의 180)는 메시지(SM)를 2가지 경로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모듈(도 1의 112)을 이용하여 제 1식별정보(II1)에 대응된 사용자에게 메시지(SM)를 송신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이용하여 제 2식별정보(II2)에 대응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 메시지(SM)를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도 5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메시지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업로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는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메시지 중에서 특정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에는 상대방과 주고받은 메시지들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상대방과 주고받은 메시지들은, 수신한 메시와 송신한 메시지가 시간순서 및 송수신에 따라 정렬되는 쓰레드 뷰(thread view) 또는 대화형 뷰(conversation view)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메시지(CV)와 수신 메시지(CV) 이후에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작성한 송신 메시지(ASB)가 시간 순서에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수신 메시지(CV)는 터치스크린(151)의 좌측을 기준으로 정렬되고, 송신 메시지(ASB)는 터치스크린(151)의 우측을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다.
송신 메시지 입력창(SB)은 송신 메시지(ASB)가 배치된 쓰레드 뷰 형태와 일관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51)의 우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며, 툴팁(tooltip) 형태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송신 메시지 입력창(SB)이 송신 메시지(ASB)와 같이 쓰레드 뷰 형태로 표시됨으로 인하여, 직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입력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특정한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신 메시지(CV)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겠지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는 송수신 메시지 중 어느 것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대방과 주고받은 메시지 중 일부를 선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겠지만, 소셜네트워크서비로 업로드할 수 있는 콘텐츠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신 메시지(CV)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제 2팝업창(P2)이 표시될 수 있다. 제 2팝업창(P2)을 통하여 사용자는 선택한 수신 메시지(CV)와 관련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 2팝업창(P2)에는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제 4, 5, 6버튼(B4, B5, B6)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2팝업창(P2)에 마련된 버튼(B) 중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제 6버튼(B6)이 있을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6버튼(B6)을 터치함으로써 선택한 수신 메시지(CV)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송신할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전에 선택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업로드할 대상을 선택하면, 미리 특정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상대방과의 사이에서 생성한 콘텐츠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미리 설정하여 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Odri 라는 이름을 가진 상대방과 메시지를 주고받는 경우에, 그 내용을 등록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업로드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상대방을 선택하면, 그 상대방의 이름에는 아이콘(SB)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설정을 해제하면 표시되었던 아이콘(SB)의 표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선택여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터치스크린
180 : 제어부

Claims (17)

  1. 터치스크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에 대한 제 1식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account)에 대한 제 2식별정보 및 송신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식별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서버에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의 서버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서 상기 제 1식별정보에 대응된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제 2식별정보에 대응된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계정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른 단말기와 송수신한 복수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송수신한 복수의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상기 송신 데이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터치스크린;
    이동 통신 모듈과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및
    데이터를 송신할 복수의 식별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획득하면, 상기 복수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수신측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송신함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복수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서 상기 제 1식별정보에 대응된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제 2식별정보에 대응된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계정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다른 단말기와 송수신한 복수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송수신한 복수의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상기 송신 데이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터치스크린;
    이동 통신 모듈과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부; 및
    데이터를 송신할 복수의 어드레스(address)를 획득하면,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인 문자메시지 송신 어드레스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문자메시지 송신 어드레스에 대응된 상대방에게 송신함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어드레스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어드레스에 대응된 웹사이트에 업데이트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 및 업데이트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에서 상기 제 1식별정보에 대응된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제 2식별정보에 대응된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계정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적어도 하나의 수신측 단말기에 대한 제 1식별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서버에 대한 제 2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송신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2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소셜네트워크의 서버에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소셜네트워크의 서버에 상기 송신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메모리에서 상기 제 1식별정보에 대응된 전화번호정보와, 상기 제 2식별정보에 대응된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계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00058350A 2010-06-21 2010-06-2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350A KR101657204B1 (ko) 2010-06-21 2010-06-2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044,426 US20110314110A1 (en) 2010-06-21 2011-03-0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0110003164 EP2398260A1 (en) 2010-06-21 2011-04-14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350A KR101657204B1 (ko) 2010-06-21 2010-06-2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458A true KR20110138458A (ko) 2011-12-28
KR101657204B1 KR101657204B1 (ko) 2016-09-30

Family

ID=4448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350A KR101657204B1 (ko) 2010-06-21 2010-06-2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314110A1 (ko)
EP (1) EP2398260A1 (ko)
KR (1) KR101657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2943B (zh) * 2016-08-18 2020-11-17 太仓市昊博技术服务有限公司 移动终端的解锁方法及解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261A (ko) * 2000-07-03 2002-01-12 손기영 인터넷 상에서 전자계정을 이용하는 결제 시스템 및 결제방법
WO2007149526A2 (en) * 2006-06-20 2007-12-27 Seven Networks, Inc. Group management and messaging
KR20100045312A (ko) * 2008-10-23 2010-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회적 관계정보 및 장소적 관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메신저 시스템 및 소셜 네트워크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0437A1 (en) * 2006-08-10 2008-02-14 Mayank Agarwal Mobile Social Networking Platform
US20090158190A1 (en) * 2007-12-13 2009-06-18 Yuvee, Inc. Computing apparatus including a personal web and application assistant
KR20090085470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261A (ko) * 2000-07-03 2002-01-12 손기영 인터넷 상에서 전자계정을 이용하는 결제 시스템 및 결제방법
WO2007149526A2 (en) * 2006-06-20 2007-12-27 Seven Networks, Inc. Group management and messaging
KR20100045312A (ko) * 2008-10-23 2010-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회적 관계정보 및 장소적 관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메신저 시스템 및 소셜 네트워크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8260A1 (en) 2011-12-21
US20110314110A1 (en) 2011-12-22
KR101657204B1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6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66526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6645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101336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261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738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4720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53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50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77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50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880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101872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1475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72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98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39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08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435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뉴 표시 방법
KR201200061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6054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보안 방법
KR1020584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947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201051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418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