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274A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6274A KR20110136274A KR1020100056153A KR20100056153A KR20110136274A KR 20110136274 A KR20110136274 A KR 20110136274A KR 1020100056153 A KR1020100056153 A KR 1020100056153A KR 20100056153 A KR20100056153 A KR 20100056153A KR 20110136274 A KR20110136274 A KR 201101362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organic compound
- photochromic
- infrared absorption
- metal salt
- mixed solu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1/00—Compounds of tungst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30—Three-dimensional structures
- C01P2002/34—Three-dimensional structures perovskite-type (ABO3)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4—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UV- or VIS- data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4—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TEM, STEM, STM or AF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 용매에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을 첨가하여 폴리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금속염 용해단계와 상기 금속염 용해단계에서 형성된 폴리올 혼합용액에 응집방지제를 첨가하여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응집방지제 용해단계와 상기 응집방지제 용해단계에서 형성된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물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물 혼합단계와 상기 물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물 혼합용액을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시켜 무기화합물을 제조하는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와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에서 제조된 결과물에서 무기화합물을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단계와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무기화합물을 열처리하여 결정화된 무기화합물을 형성하는 결정화단계를 포함하여, 태양광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변색되고 변색 후에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균일한 특성을 가지며 유기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 용매에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을 첨가하여 폴리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금속염 용해단계와 상기 금속염 용해단계에서 형성된 폴리올 혼합용액에 응집방지제를 첨가하여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응집방지제 용해단계와 상기 응집방지제 용해단계에서 형성된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물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물 혼합단계와 상기 물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물 혼합용액을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시켜 무기화합물을 제조하는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와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에서 제조된 결과물에서 무기화합물을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단계와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무기화합물을 열처리하여 결정화된 무기화합물을 형성하는 결정화단계를 포함하여, 태양광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변색되고 변색 후에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균일한 특성을 가지며 유기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화학에서 변색성 또는 크로미즘은 화합물의 가역변화를 유발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변색성의 물질에 외부 자극을 가하면 화합물의 전자밀도가 변화되어 색이 변화하게 된다. 변색 요인이 되는 외부 자극은 열, 빛, pH, 압력, 용매 등으로 다양하다.
광변색 물질의 경우 자외선 등의 조사에 의해 화합물의 결합상태가 변화하게 되어 흡수 스펙트럼이 다른 이성질체가 생성되면서 물질의 색이 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광변색 물질은 자외선을 조사하면 색이 변화하여 대다수의 자외선과 일정의 가시광선을 차단하게 되고, 더 이상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으면 변색 전의 상태로 회복하여 다시 가시광선을 투과하게 된다. 이러한 광변색의 특징을 가지는 광변색 물질을 광학장치, 광스위치, 디스플레이, 스마트 윈도우, 광변색 필름 등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광변색 물질의 경우 변색특성을 이외의 특징을 가지는 것이 거의 없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변색 후에 효과적으로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지 못하였다. 종래의 광변색 물질은 효과적으로 근적외선을 차단시키지 못하므로 온도상승의 문제가 있어 여러 가지의 광학제품의 사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변색되고, 변색 후에는 근적외선을 차단하여 빛과 열의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한 광변색 물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변색되고, 변색 후에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는 무기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상기 A는 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B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x, y는 0< x ≤1, 0< y ≤1의 범위를 가지는 무기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의 크기가 10~50nm로 균일한 무기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합성하여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균일한 특성을 가지며, 유기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무기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일정온도로 열처리하여 광변색 특성과 변색 후 근적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무기화합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해지는 태양광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빛과 열의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폴리올 용매에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을 첨가하여 폴리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금속염 용해단계와; 상기 금속염 용해단계에서 형성된 폴리올 혼합용액에 응집방지제를 첨가하여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응집방지제 용해단계와; 상기 응집방지제 용해단계에서 형성된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물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물 혼합단계와; 상기 물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물 혼합용액을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시켜 무기화합물을 제조하는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와;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에서 제조된 결과물에서 무기화합물을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단계와;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무기화합물을 열처리하여 결정화된 무기화합물을 형성하는 결정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된 무기화합물은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상기 A는 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B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x, y는 0< x ≤1, 0< y ≤1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용매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전이금속, 희토류 금속 및 란탄계 금속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염이고, 상기 전이금속염은 텅스텐, 몰리브덴 및 바나듐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은 각각 상기 폴리올 용매 1ℓ에 대하여 0.01 내지 0.1mol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집방지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및 아세트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집방지제는 상기 폴리올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은 상기 응집방지제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는 가열온도가 80 내지 120℃가 되게 마이크로파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20 내지 40분간 가열하여 무기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는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에서 제조된 결과물을 감압필터를 통해 용매를 분리하고, 용매가 걸러진 결과물을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세척용매에 녹인 후 감압필터로 불순물 제거하고 건조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매는 아세톤,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2 내지 36시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단계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하에서 0~1000℃ 온도로 열처리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단계는 질소 기체 분위기하에서 100~300℃ 온도로 열처리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은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상기 A는 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B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x, y는 0< x ≤1, 0< y ≤1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광학장치, 광 스위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변색되고, 변색 후에는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는 무기화합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상기 A는 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B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x, y는 0< x ≤1, 0< y ≤1의 범위를 가지는 무기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의 크기가 10~50nm로 균일한 무기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합성하여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균일한 특성을 가지며, 유기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일정온도로 열처리하여 광변색 특성과 변색 후 근적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해지는 태양광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빛과 열의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의 XRD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의 FE-SEM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을 측정용 용기용매에 15%로 분산한 분산용액의 TEM 사진.
도 5는 도 4의 분산용액을 0.33%로 희석하고 자외선조사 후 UV/Vis/IR 스펙트럼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이 분산된 분산용액을 PET 필름에 2㎛의 두께로 코팅한 후 자외선 조사 전·후 색상을 비교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의 XRD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의 FE-SEM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을 측정용 용기용매에 15%로 분산한 분산용액의 TEM 사진.
도 5는 도 4의 분산용액을 0.33%로 희석하고 자외선조사 후 UV/Vis/IR 스펙트럼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이 분산된 분산용액을 PET 필름에 2㎛의 두께로 코팅한 후 자외선 조사 전·후 색상을 비교한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폴리올 용매에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을 첨가하여 폴리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금속염 용해단계(S1)와, 상기 금속염 용해단계(S1)에서 형성된 폴리올 혼합용액에 응집방지제를 첨가하여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응집방지제 용해단계(S2)와, 상기 응집방지제 용해단계(S2)에서 형성된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물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물 혼합단계(S3)와, 상기 물 혼합단계(S3)에서 형성된 물 혼합용액을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시켜 무기화합물을 제조하는 무기화합물 합성단계(S4)와,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S4)에서 제조된 결과물에서 무기화합물을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단계(S5)와,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S5)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무기화합물을 열처리하여 결정화된 무기화합물을 형성하는 결정화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과정을 통해 얻어진 무기화합물은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상기 A는 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B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x, y는 0< x ≤1, 0< y ≤1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염 용해단계(S1)는 폴리올 용매에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을 첨가하고 초음파를 분사시켜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을 폴리올 용매에 녹여서 폴리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폴리올 용매는 수산기(OH)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유기용매로,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EG)), 디에틸글리콜(Diethylene glycol(DEG)),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TEG))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Tetraethylene glycol(TTEG))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기화합물에 A를 제공하며, 황산염, 탄산염, 질산염 등의 형태로,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전이금속, 희토류 금속, 란탄계 금속 등의 모든 금속의 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염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기화합물에 B를 제공하며, 황산염, 탄산염, 질산염 등의 형태로, 모든 전이금속의 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염은 근 적외선 영역에서 고유의 광화학적 특성이 쉽게 변화하는 텅스텐, 몰리브덴, 바나듐의 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과 상기 전이금속염은 각각 상기 폴리올 용매 1ℓ에 대하여 0.01 내지 0.1mol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mol 미만의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이 사용되는 적은 양의 결과물이 생성되고, 경우에는 0.1mol을 초과하는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반응하지 않는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응집방지제 용해단계(S2)는 상기 금속염 용해단계(S1)에서 형성된 폴리올 혼합용액에 응집방지제를 첨가하고 초음파를 분사시켜, 응집방지제를 폴리올 혼합용액에 녹여서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무기화합물의 제조공정 중 폴리올 용매가 단독으로 존재할 시에 핵의 생성 및 입자의 생성과 함께 표면에너지를 줄이기 위한 응집이 진행되게 되므로,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응집방지제가 사용된다.
상기 응집방지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PVP)),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PVA)),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PAA)) 및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응집방지제는 폴리올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집방지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무기화합물 입자의 성장을 제어할 수 없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차후 제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물 혼합단계(S3)는 상기 응집방지제 혼합단계(S2)에서 형성된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물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응집방지제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착화합물은 첨가된 물에 의해 강제 수화되어 수화물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물은 응집방지제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이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완전한 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산화물 형태가 아닌 금속의 형태가 혼재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 산화물의 수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S4)는 상기 물 혼합단계(S3)에서 형성된 물 혼합용액을 마이크로파로 가열하여 무기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물 혼합용액에서는 마이크로파의 열 에너지에 의해 탈수반응이 일어나 무기화합물이 합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온도가 80 내지 120℃가 되게 마이크로파의 주파수를 조절하고 20 내지 40분간 교반 및 가열하여 무기화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마이크로파 의한 가열은 재래식 장치를 이용한 가열법에 비하여 승온 온도가 빠르고, 전도열 및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아닌 파에 의해 선택적 가열이 이루어져, 용액 전체의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여 종래의 무기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비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균일한 특성의 무기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기용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으로 무기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분자의 구속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액상의 물질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가열하면, 액상 분자의 쌍극자가 마이크로파의 주파수에 따라 극성이 바뀌면서 빠른 속도로 회전 또는 병진운동을 하여 분자 상호 간에 마찰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가열방식을 유전가열방식이라 한다. 따라서 유전율이 크거나 작은 것이 혼재된 혼합물에서 마이크로파는 유전율이 큰 곳인 액상의 물질로 선택적으로 침투하여 혼합물 내부까지 빠른 시간 내에 가열할 수 있으므로, 합성시간과 에너지 비용 절감은 물론 선택적 가열특성으로 인해 유기용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균일한 특성을 가지는 무기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S5)는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S4)에서 제조된 결과물에서 무기화합물을 제외한 용매와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로,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에서 제조된 결과물을 감압필터를 통해 용매를 분리하고, 용매가 걸러진 결과물을 초음파 장치를 이용해 세척용매에 녹인 후 감압필터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차례 거친 후, 불순물이 제거된 무기화합물을 50 내지 70℃의 건조기에서 12 내지 36시간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척용매로는 아세톤,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정화단계(S6)는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S5)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무기화합물을 열처리하여 결정화된 무기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로,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0~1000℃ 온도로 열처리하여 행하여 진다. 상기 결정화단계(S6)는 질소분위기 하에서 100~300℃ 온도로 열처리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S5)에서 얻어진 AxMyO3형태의 무기화합물은 상기 결정화단계(S6)를 거쳐 결정의 구조 및 결정화도가 변경되어 자외선 혹은 태양광 조사에 따라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상기 A는 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B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x, y는 0< x ≤1, 0< y ≤1의 범위를 가지는 무기화합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는 무기화합물은 자외선 혹은 태양광 조사에 따라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입자의 크기는 10~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무기화합물이 분산된 분산용액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PET 필름에 2㎛의 두께로 코팅한 후 자외선 조사 전·후 색상을 비교한 사진인데, 도 6을 참조하면, 자외선 조사 후 색상이 현저하게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는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품에 대한 것이다. 상기 무기화합물은 태양광 혹은 자외선 조사에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예컨대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윈도우용 필름 등에 사용되면, 유리창에 가해지는 일사량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빛과 열의 자동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즉 태양광의 일사량이 많은 경우 상기 무기화합물의 광변색이 일어나 가시광선의 투과량을 저하시켜 빛의 유입을 줄이고, 동시에 열을 발생시키는 근적외선을 흡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근적외선을 차단하여 실내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화합물은 광학장치, 광 스위치, 디스플레이, 가스센서 등의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폴리올 용매 에틸렌글리콜(EG) 1ℓ에 염화텅스텐 0.05mol을 혼합한 후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염화텅스텐을 완전히 녹인다. 염화텅스텐이 용해된 혼합용액에 0.025mol의 탄산세슘을 혼합한 후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탄산세슘을 완전히 녹인다.
2) 염화텅스텐과 탄산세슘이 용해된 폴리올 혼합용액에 응집방지제 PVP를 40g을 투입하여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완전히 녹인다.
3) 응집방지제가 혼합된 용액에 30g의 물을 첨가한다.
4) 물이 첨가된 용액을 마이크로웨이브 장치(3Kw 급 실험실용, 한국고주파응용기기)를 출력 800W, 주파수 4㎓로 하여 100℃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 및 가열한다.
5) 상기 교반 및 가열한 후에 얻어진 결과물을 감압필터로 일차적으로 용매를 제거하고, 용매가 걸러진 결과물을 1:1로 혼합된 에탄올과 아세톤 혼합용매에 가하고 초음파장치를 이용하여 미반응물 및 불순물을 완전히 녹여낸다. 30분가량 초음파처리 후 추가로 상기 혼합용매에 3번 수세 후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60℃의 건조기에 24시간 건조한다.
6) 건조 후에 얻어진 결과물을 200℃의 질소분위기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최종결과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염화텅스텐 대신에 염화몰리브덴이 사용되고, 탄산세슘 대신에 수산화나트륨이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무기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염화텅스텐과 탄산세슘을 각각 0.2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무기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질소분위기 대신에 대기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무기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200℃ 대신에 400℃에서 열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무기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 6)의 열처리하는 과정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무기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제조된 무기화합물의 확인
-시험 목적: 본 발명에 따른 무기화합물을 확인하고 입자크기를 측정
-시험 방법: XRD 분석은 제조된 무기화합물을 Phillips사의 X'Pert-MPD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입자 크기 관찰은 제조된 무기화합물을 Hitachi S-2400 FE-SEM을 사용하여 촬영하고 제조된 무기화합물을 15%로 분산한 분산용액을 FEI Titan 80-300 TEM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결과 확인: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의 XRD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의 FE-SEM 사진이고,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을 측정용 용기용매에 15%로 분산한 분산용액의 TEM 사진인데,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무기화합물은 Cs0 .287W0 .96O3 의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무기화합물은 20~30㎚ 입자크기의 무기화합물이 균일하게 합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광변색 특성의 확인
-시험 목적: 본 발명에 따른 무기화합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변색 특성을 확인
-시험 방법: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변색 특성의 확인은 제조된 무기화합물을 측정용 유기용매인 에틸셀로소브에 15%로 분산한 후 상기 분산용액을 에틸셀로소브에 0.33%로 희석하고 300㎚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 후 JASON 650 UV/Vis/IR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확인: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무기화합물에 대한 UV/Vis/IR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인데,
도 5를 참조하면, 자외선 조사 전에는 가시광선(550nm)과 근적외선(950nm)을 각각 97.29%와 99.32%를 투과시키나, 300nm 파장의 자외선 조사 2분 후에는 가시광선(550nm)과 근적외선(950nm)을 각각 76.42%와 16.16%를 투과시켜, 자외선 조사 전에 비하여 가시광선은 투과율이 21%감소하고, 근적외선은 투과율이 83%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본 발명의 무기화합물이 변색되어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 후 암실에서 방치한 결과 서서히 가시광선과 자외선 투과율이 원래대로 돌아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더 이상 자외선의 조사가 없는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본 발명의 무기화합물이 원래의 색상으로 돌아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무기화합물에 자외선 조사 후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의 확인
-시험 목적: 본 발명에 따른 무기화합물의 제조과정에 따른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을 비교
-시험 방법: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무기화합물을 각각 측정용 유기용매인 에틸셀로소브에 15%로 분산한 후 상기 분산용액을 에틸셀로소브에 0.33%로 희석하고 300㎚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 2분 후 가시광선(550nm)와 근적외선의 투과율을 측정
-결과 확인: 시험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비교예 |
가시광선(550nm) 차단율 | 33% | 30% | 30% | 15% | 25% | 10% |
근적외선(950nm) 차단율 | 90% | 64% | 61% | 30% | 62% | 10%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와 3은 용해되는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의 종류와 양의 차이로 인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이 약간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와 5는 결정화시키기 위한 열처리의 분위기와 온도의 차이로 인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비교예는 결정화시키기 위한 열처리과정을 거치지 않았는데 이로 인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특성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불활성 기체분위기하에서 일정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결정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높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차단율 가지는 무기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 폴리올 용매에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을 첨가하여 폴리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금속염 용해단계와;
상기 금속염 용해단계에서 형성된 폴리올 혼합용액에 응집방지제를 첨가하여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응집방지제 용해단계와;
상기 응집방지제 용해단계에서 형성된 응집방지제 혼합용액에 물을 첨가하여 물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물 혼합단계와;
상기 물 혼합단계에서 형성된 물 혼합용액을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시켜 무기화합물을 제조하는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와;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에서 제조된 결과물에서 무기화합물을 제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단계와;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무기화합물을 열처리하여 결정화된 무기화합물을 형성하는 결정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된 무기화합물은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상기 A는 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B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x, y는 0< x ≤1, 0< y ≤1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용매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알카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전이금속, 희토류 금속 및 란탄계 금속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염이고,
상기 전이금속염은 텅스텐, 몰리브덴 및 바나듐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과 전이금속염은 각각 상기 폴리올 용매 1ℓ에 대하여 0.01 내지 0.1mol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방지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및 아세트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방지제는
상기 폴리올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상기 응집방지제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는
가열온도가 80 내지 120℃가 되게 마이크로파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20 내지 40분간 가열하여 무기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제거단계는
상기 무기화합물 합성단계에서 제조된 결과물을 감압필터를 통해 용매를 분리하고, 용매가 걸러진 결과물을 초음파 장치를 이용하여 세척용매에 녹인 후 감압필터로 불순물 제거하고 건조하는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매는 아세톤,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건조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2 내지 36시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단계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하에서 0~1000℃ 온도로 열처리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단계는
질소 기체 분위기하에서 100~300℃ 온도로 열처리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AxMyO3형태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며, 상기 A는 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B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x, y는 0< x ≤1, 0< y ≤1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
- 제 14 항의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품.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광학장치, 광 스위치,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6153A KR20110136274A (ko) | 2010-06-14 | 2010-06-14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PCT/KR2011/003356 WO2011159023A2 (ko) | 2010-06-14 | 2011-05-04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6153A KR20110136274A (ko) | 2010-06-14 | 2010-06-14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5365A Division KR101177317B1 (ko) | 2012-05-24 | 2012-05-24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6274A true KR20110136274A (ko) | 2011-12-21 |
Family
ID=4534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6153A KR20110136274A (ko) | 2010-06-14 | 2010-06-14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36274A (ko) |
WO (1) | WO2011159023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4948A (ko) * | 2019-01-31 | 2020-08-10 | 한국화학연구원 | 녹색 무기 형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1153692A1 (ja) * | 2020-01-31 | 2021-08-05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電磁波吸収粒子、電磁波吸収粒子分散液、電磁波吸収粒子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6216B2 (ja) * | 1992-03-09 | 1994-09-28 | 工業技術院長 | タングステンブロンズ及びその複合体の製造方法 |
JP2535790B2 (ja) * | 1994-09-08 | 1996-09-18 | 工業技術院長 | タングステンブロンズおよびその被覆複合体の製造方法 |
WO2009059900A2 (en) * | 2007-11-05 | 2009-05-14 | Basf Se | Tungsten oxides used to increase the heat-input amount of near infrared radiation |
KR101019498B1 (ko) * | 2008-09-11 | 2011-03-07 |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 텅스텐브론즈 화합물을 함유한 열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 |
-
2010
- 2010-06-14 KR KR1020100056153A patent/KR20110136274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
- 2011-05-04 WO PCT/KR2011/003356 patent/WO2011159023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4948A (ko) * | 2019-01-31 | 2020-08-10 | 한국화학연구원 | 녹색 무기 형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1153692A1 (ja) * | 2020-01-31 | 2021-08-05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電磁波吸収粒子、電磁波吸収粒子分散液、電磁波吸収粒子の製造方法 |
CN115003631A (zh) * | 2020-01-31 | 2022-09-02 | 住友金属矿山株式会社 | 电磁波吸收粒子、电磁波吸收粒子分散液、电磁波吸收粒子的制造方法 |
CN115003631B (zh) * | 2020-01-31 | 2024-06-14 | 住友金属矿山株式会社 | 电磁波吸收粒子、电磁波吸收粒子分散液、电磁波吸收粒子的制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159023A3 (ko) | 2012-04-19 |
WO2011159023A4 (ko) | 2012-06-14 |
WO2011159023A2 (ko) | 2011-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valcante et al. | Photoluminescent behavior of BaWO4 powders processed in microwave-hydrothermal | |
KR101741134B1 (ko)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차단 특성을 가지는 무기화합물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상기 무기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무기화합물 복합체 분산용액과 코팅액 및 필름 | |
KR101945546B1 (ko) | Ito 막 및 이 ito 막의 제조에 사용되는 ito 분말, ito 분말의 제조 방법 및 ito 막의 제조 방법 | |
KR101182194B1 (ko) | 적외선 흡수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
CN111498906A (zh) | 透明遮热材料、透明遮热微粒子分散体及其制法及用途 | |
Grzyb et al. | Comparative studies of structure, spectroscopic properties and intensity parameters of tetragonal rare earth vanadate nanophosphors doped with Eu (III) | |
KR101750473B1 (ko) | 무소성 고결정성 이산화바나듐의 제조방법 | |
Tang et al. | Ion exchanged YVO4: Eu3+ nanocrystals and their strong luminescence enhanced by energy transfer of thenoyltrifluoroacetone ligands | |
KR101177317B1 (ko)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의 제조방법 | |
KR20110136274A (ko)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흡수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무기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
JP7323828B2 (ja) | 透明遮熱微粒子、微粒子分散体、その製法及び用途 | |
KR101768311B1 (ko) | 열변색 특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도핑된 열변색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열변색 필름 제조방법 | |
CN109778317A (zh) | 一种四元非心硫化物的晶体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atyayan et al. | Facile molten salt synthesis,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optical studies of ASiO 3: Eu 2+, Er 3+(A= Ca, Ba, Sr) perovskites | |
Zhai et al. | Synthesis and luminescent properties of NaLa (MoO 4) 2: Eu 3+, Tb 3+ phosphors by microwave-assisted sol–gel method | |
Singh et al. | Effect of annealing on the structural, optical and emissive properties of SrWO4: Ln3+ (Dy3+, Eu3+ and Sm3+) nanoparticles | |
US7625503B2 (en) | Rare-earth doped fluorides and process for preparing | |
KR102145018B1 (ko) | 암모늄 텅스텐 브론즈의 제조방법 | |
KR20180013687A (ko) | 광변색 특성과 근적외선 차단 특성을 가지는 무기화합물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상기 무기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무기화합물 복합체 분산용액과 코팅액 및 필름 | |
JP6146715B2 (ja) | オゾンを利用する酸化亜鉛粒子の製造方法 | |
Yang et al. | An auto-combustion synthesis and luminescence properties of polyhedral YVO4: Ln3+ (Ln= Eu, Sm, Yb/Er, Yb/Tm) microcrystals | |
KR101533565B1 (ko) | 종횡비 조절이 가능한 고수율의 판상형 Ag 미세입자의 합성 방법 | |
CN106929019B (zh) | 一种多频谱响应发光材料的制备方法 | |
Silva et al. | Judd–Ofelt analysis of Nd3+ ions in poly (styrene sulfonate) films | |
KR102267153B1 (ko) | 무정형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