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231A - Ca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a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6231A KR20110126231A KR1020100045785A KR20100045785A KR20110126231A KR 20110126231 A KR20110126231 A KR 20110126231A KR 1020100045785 A KR1020100045785 A KR 1020100045785A KR 20100045785 A KR20100045785 A KR 20100045785A KR 20110126231 A KR20110126231 A KR 201101262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liding door
- air passage
- air conditioning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92—Damper doors moved by translation, e.g. curtain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가 평면 형태로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와 이와 마주하는 케이스벽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에 복수개의 배플을 형성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구조에 따라 상기 간격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상기 간격 조절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냉,온풍의 믹싱(Mixing)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온도차를 줄여 에어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 및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를 구비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도어(121)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샤프트(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후면부에는, 상기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케이스벽부(115)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후면부와의 사이 간격(S)을 조절하는 배플(122a)이 형성되어, 상기 간격(S)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상기 배플(122a)의 높이(H)로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plurality of baffles in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body is formed in a flat form and the case wall portion facing it,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by minimizing the gap or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by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gap to improve the mixing (cooling) of cold and hot ai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s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It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an reduce the air conditioner performanc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is built therein, and the cold air passage (P1) and the hot air passage (P2)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bypasses the heater core (102).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sliding door 121 is provided to be slidable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passage (P1) and the hot air passage (P2) and the air conditioning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gear shaft 126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and gear coupled to the sliding door 121, the cold air passage on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121 A baffle 122a for adjusting a distance S between the case wall part 115 formed to partition P1 and the warm air passage P2 and the rear part of the sliding door 121 is formed, and the gap S is formed. The amount of air bypassed through the height (H) of the baffle (122a) Characterized in that one to adju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가 평면 형태로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와 이와 마주하는 케이스벽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에 복수개의 배플을 형성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구조에 따라 상기 간격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상기 간격 조절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냉,온풍의 믹싱(Mixing)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온도차를 줄여 에어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plurality of baffles in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and the case wall portion facing the body formed in a flat shape,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by minimizing the gap or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by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gap to improve the mixing (cooling) of cold and hot ai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s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It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an reduce the air conditioner performance.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한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a heating system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냉방시스템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Receiver Dryer),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증발기 표면을 거치는 송풍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송풍공기가 냉풍로 바뀌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된다.In the cooling system, the blower air is cooled by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circulating back to the compressor through the condenser, the receiver dry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by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the blower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surface by the blower. It is configured to cool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being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또한, 난방시스템은 냉각수를 히터코어로 유입하여 송풍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eating system is configured to heat the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coolant into the heater core and exchanging heat with the blowing air.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Such a vehicle air conditioner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types.
그 한 가지로,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각각 별도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결합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의 공조장치를 들 수 있는데, 이 공조장치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커지게 되어 차량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짐은 물론 생산성 저하 등 각종 문제점을 안고 있다.One example is a three piec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 blower unit,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unit are configured as separate units, and the size of the air conditioner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utiliza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s lowered, and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reduced productivity.
따라서,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차량 공조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증발기 유니트와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on type)의 공조장치 또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의 공조장치의 적용이 증가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t is required to miniaturiz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 response to this demand, a semi-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or an integrated unit of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unit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he application of the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unit in which a blower unit,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unit are integrated is increasing.
도 1 에는 종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송풍기 유니트의 도시는 생략하였다.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conventional semi-center type, the illustration of the blower unit is omitted.
도 1 에 도시된 차량용 공조장치(1)는 출구에 각각 모드도어(11a)(12a)(13a)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1), 페이스 벤트(12) 및 플로어 벤트(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10a)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그리고 증발기(2)를 거친 냉풍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20)로는 플렛형(Flat Type), 돔형(Dome Type), 슬라이딩형(Sliding Type) 등이 있으며, 도 1에는 슬라이딩형 온도조절도어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Here, the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단부에 가이드핀(21b)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기어부(21a)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21)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양측벽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도어(21)의 기어부(21a)와 기어결합되도록 기어부(22a)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21)를 작동시키는 기어샤프트(22)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풍과 온풍의 믹싱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풍통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따라서,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풍으로 바뀐 뒤, 냉풍통로(P1)를 통해 믹싱 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여, 소정의 공조모드(벤트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스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Therefore, when the maximum cooling mode is operated,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송풍공기는 온풍통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풍으로 바뀐 뒤, 믹싱 챔버(MC)쪽으로 유동하여,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In addition, when the maximum heating mode is activated, the blowing air is 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flowing inside the
그리고, 믹싱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중앙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냉풍통로(P1) 및 상기 온풍통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쳐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는 냉풍과 히터코어(3)를 거친 온풍이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믹싱되면서,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When the mixing mode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1, th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구조에 관계없이 상기 냉풍통로(P1)를 통과한 냉풍과 상기 온풍통로(P2)를 통과한 온풍이 항상 상기 믹싱 챔버(MC)의 짧은 구간에서만 믹싱이 되기 때문에 믹싱성이 저하되고, 이로인해 냉,온풍이 원활하게 믹싱되지 못하게 되어 에어컨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가 평면 형태로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와 이와 마주하는 케이스벽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에 복수개의 배플을 형성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구조에 따라 상기 간격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상기 간격 조절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냉,온풍의 믹싱(Mixing)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온도차를 줄여 에어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form a plurality of baffl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liding do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formed of the main body in a flat form and the case wall portion facing it,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case by minimizing the gap or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bypassed by adjusting the gap, to improve the mixing (cooling) of cold and hot air, and to adjus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It is to provide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an reduce the air conditioner performan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 및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온풍통로를 구비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냉풍통로와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에는, 상기 냉풍통로와 온풍통로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케이스벽부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배플이 형성되어, 상기 간격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상기 배플의 높이로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ir conditioner case having a built-i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and a cold air passage bypassing the heater core and a hot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and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liding door is installed to be slidable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passage and the hot air passage, and a gear shaft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gear-coupled with the sliding door, In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a baffle is formed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the case wall portion formed to partition the cold air passage and the warm air passag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and the amount of air bypassed through the gap is the height of the baffl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adjusted to.
본 발명은, 본체가 평면 형태로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와 이와 마주하는 케이스벽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에 복수개의 배플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간격을 차단해야 냉,온풍 믹싱성이 향상되는 공조케이스의 구조에서는 상기 배플을 통해 상기 간격을 최소화하여 냉,온풍의 믹싱성을 향상하고, 또한 상기 간격을 통해 공기가 바이패스되게 하면서 믹싱 구간을 넓혀야 냉,온풍 믹싱성이 향상되는 공조케이스의 구조에서는 상기 배플을 통해 상기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냉,온풍의 믹싱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온도차를 줄여 에어컨 성능이 향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baffles on the rear surface of the sliding do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and the case wall facing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planar shape, the gap must be blocked cold, hot air mixing In the structure of the air-conditioning case to be improved, the gap is minimized through the baffle to improve the mixing properties of the cold and hot air, and the air and the air is bypassed through the gap to increase the mixing section. In the structure of the case, the gap is appropriately adjusted through the baffle to improve the mixing of cold and hot air, and to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reby improving the air conditioner performance.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각 배플 끝단을 연결한 선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곡선이 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배플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벽부와의 간섭도 방지된다.In addition, by setting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baffles such that a line connecting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baffles becomes a curv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sliding door, the gap may be kept constant regardless of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sliding door. And interference with the case wall portion is also prevented.
그리고, 상기 간격 조절을 위한 배플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본체 후면부에 형성함으로써, 최적의 냉,온풍 믹성성 향상을 위해 상기 간격 조절이 필요할 경우 슬라이딩 도어만 교체하면 되므로 공조케이스를 공용화 할 수 있다.And, by forming the baffle for adjusting the spacing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sliding door, the air conditioning case can be shared since only the sliding door needs to be replaced when the spacing adjustmen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timum cold and hot air characteristics.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믹싱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와 기어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oling mod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ating mod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ixing mod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ding door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door and a gear shaft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믹싱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와 기어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후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oling mod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ating mod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mixing mod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ding door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door and a gear shaft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rear part of the sliding door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내부에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가 일정간격을 두고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도록 냉풍통로(P1) 및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도록 온풍통로(P2)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증발기(101)를 거쳐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는 냉풍과 히터코어(102)를 거친 온풍의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에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하게 된다.An air blower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쪽에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 및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각 벤트들은 모드 도어(130)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된다.In addition, the outlet side of the
상기 히터코어(10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P2) 상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01)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P1) 상류측인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쪽에 인접하여 설치된다.The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내부에 상기 모드도어(130), 온도조절도어(120) 등을 설치하기 위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를 구획하도록 온도조절도어(120)의 후방측(하류측)에 케이스벽부(11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ar side (downstream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도어(121)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전방측(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121)를 작동시키는 기어샤프트(126)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기어부(123)와, 상기 기어부(123)의 외측면에 공조케이스(110)의 양측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조케이스(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124)과, 상기 본체(122) 및 기어부(123)의 일측면 둘레에 이중사출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110)의 내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실링성을 향상하는 러버부재(125)로 이루어진다.The sliding
상기 기어부(123)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핀(124)은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양단부측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본체(122)는 평면 형태이지만, 상기 본체(12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기어부(123)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 기어샤프트(126)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기어부(123)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기어부(127)가 형성되어 상호 기어결합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기어샤프트(126)가 회전하면, 상기 기어샤프트(126)와 기어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도어(121)가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풍와 온풍의 믹싱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후면부에는, 상기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를 구획하는 케이스벽부(115)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후면부와의 사이 간격(S)을 조절하는 배플(122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side of the sliding
상기 배플(122a)의 높이(H)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간격(S)을 통해 냉풍통로(P1)를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온통통로(P2)측으로 바이패스되거나 또는 상기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냉풍통로(P1)측으로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물론 상기 간격(S)을 차단하여 공기의 바이패스를 방지할 수도 있다.When the height (H) of the baffle (122a) is adjusted, some of the air flowing in the cold air passage (P1) through the gap (S) is bypassed to the all through passage (P2) side or the hot air passage (P2) Some of the air flowing through can adjust the amount of air that is bypassed to the cold air passage (P1) side, of course, it can also prevent the bypass of the air by blocking the interval (S).
즉,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구조에 따라 상기 간격(S)을 차단해야 냉,온풍 믹싱성이 향상되는 경우, 다시말해서, 상기 간격(S)을 통해 바이패스 되는 공기를 막아야 냉,온풍 믹싱성이 향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플(122a)의 높이(H) 조절을 통해 상기 간격(S)을 최소화하여 공기의 바이패스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냉,온풍 믹싱성이 향상되고 이로인해 공조케이스(1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gap S is to be blocked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구조에 따라 상기 간격(S)을 통해 냉풍통로(P1) 또는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상대통로측으로 일정량 바이패스되도록 해서 믹싱 구간을 넓게해야 냉,온풍 믹싱성이 향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플(122a)의 높이(H) 조절을 통해 상기 간격(S)을 최적의 간격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냉,온풍 믹싱성이 향상되고 이로인해 공조케이스(1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이러한, 상기 배플(122a)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배플(122a) 높이(H)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호 상이하게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배플(122a)은 상기 본체(122) 후면부에 수직으로 돌출된 평판형태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배플(122a)은 상기 케이스벽부(115)측(히터코어측) 방향으로 일정량 돌출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배플(122a)은 상기 본체(122)의 후면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는데, 즉, 상기 기어샤프트(126)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배플(122a) 높이(H)는, 복수개의 배플(122a) 끝단을 연결한 선(L)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곡선이 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heights H of the plurality of
즉,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각 배플(122a) 끝단을 연결한 선(L)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곡선이 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배플(122a) 높이(H)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작동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121)의 작동시 상기 케이스벽부(115)와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상기 본체(122)가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도어(121)가 상기 케이스벽부(115)와 중첩되게 위치하는 믹싱모드시(도4,도5), 상기 본체(122)의 후면부와 케이스벽부(115) 사이의 간격(S)이 최대가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liding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믹싱모드시, 상기 본체(122)의 후면부 중앙과 상기 케이스벽부(115) 사이의 간격(S)이 최대가 된다.In more detail, in the mixing mode, the distance S between the center of the rear part of the
따라서, 상기 평면 본체(122)의 후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배플(122a) 중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중앙부에 형성된 배플(122a)의 높이(H)가 가장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H of the baffle 122a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본체(122)를 평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평면 본체(122)의 후면부에 복수개의 배플(122a)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믹싱성 향상을 위해 상기 본체(122)와 케이스벽부(115) 사이의 간격(S)을 최소화 해야하는 공조케이스(110) 구조 뿐만 아니라, 믹싱성 향상을 위해 상기 본체(122)와 케이스벽부(115) 사이의 간격(S)을 최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공조케이스(110) 구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믹싱성 향상으로 인해 에어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As such,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간격(S) 조절을 위한 배플(122a)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본체(122) 후면부에 형성함으로써, 최적의 냉,온풍 믹성성 향상을 위해 상기 간격(S) 조절이 필요할 경우 슬라이딩 도어(121)만 교체하면 되므로 공조케이스(110)를 공용화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baffle (122a) for adjusting the spacing (S) on the rear surface of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최대냉방모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냉풍통로(P1)를 개방하고 온풍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2 shows a maximum cooling mode in which the sliding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증발기(101)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풍으로 바뀐 뒤, 냉풍통로(P1)를 통해 믹싱 챔버(MC)쪽으로 유동하여, 소정의 공조모드(벤트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스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Therefore,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도 3은, 최대난방모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냉풍통로(P1)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3, the maximum heating mode, the sliding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통과한 후, 온풍통로(P2)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거치면서 히터코어(10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풍으로 바뀐 뒤, 믹싱 챔버(MC)쪽으로 유동하여,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Therefore,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heat exchange with the coolant flow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도 4는, 믹싱모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상기 케이스벽부(115)와 중첩되는 중앙위치로 이동하여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를 모두 개방하게 된다.4 illustrates a mixing mode in which the sliding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이후 슬라이딩 도어(121)에 의해 일부 공기를 냉풍통로(P1)를 통해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하고, 일부 공기는 온풍통로(P2)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온풍으로 바뀐 뒤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상기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한 냉풍과 온풍은 서로 믹싱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되어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The cold and warm air flowing toward the mixing chamber MC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a vent that is ope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ir conditioning mode to maintain a proper temperature.
이때, 상기 평면 본체(122)에 형성된 배플(122a)을 통해 상기 케이스벽부(115)와의 간격(S)을 최소화하게 되면, 믹싱성 향상을 위해 상기 본체(122)와 케이스벽부(115) 사이의 간격(S)을 최소화 해야하는 공조케이스(110) 구조에서 믹싱성을 향상하게 되고,At this time, if the distance (S) with the
상기 평면 본체(122)에 형성된 배플(122a)을 통해 상기 케이스벽부(115)와의 간격(S)을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면, 믹싱성 향상을 위해 상기 본체(122)와 케이스벽부(115) 사이의 간격(S)을 통해 공기가 바이패스 되게 하여 믹싱구간을 넓혀야 하는 공조케이스(110) 구조에서 믹싱성을 향상하게 된다.
When the spacing S with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평면 본체(122) 후면부에 상기 간격(S)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배플(122a)을 형성한 구성을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쓰리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 공조장치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mi-centered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
113: 페이스 벤트 114: 플로어 벤트
115: 케이스벽부 116: 가이드홈
120: 온도조절도어 121: 슬라이딩 도어
122: 본체 122a: 배플
123,127: 기어부 124: 가이드핀
125: 러버부재 126: 기어샤프트
130: 모드도어100: air conditioner 101: evaporator
102: heater core 110: air conditioning case
111: inlet 112: defrost vent
113: face vent 114: floor vent
115: case wall 116: guide groove
120: temperature control door 121: sliding door
122:
123,127: gear portion 124: guide pin
125: rubber member 126: gear shaft
130: mod door
Claims (6)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도어(121)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샤프트(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후면부에는, 상기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케이스벽부(115)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후면부와의 사이 간격(S)을 조절하는 배플(122a)이 형성되어,
상기 간격(S)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공기량을 상기 배플(122a)의 높이(H)로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An air conditioner case includes an evaporator 101 and a heater core 102 therein, and a cold air passage P1 bypassing the heater core 102 and a warm air passage P2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110,
Sliding door 121 is installed to be slidable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passage (P1) and the warm air passage (P2),
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 gear shaft 126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gear shaft is coupled to the sliding door 121,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121, to adjust the distance (S) between the case wall portion 115 formed to partition the cold air passage (P1) and the hot air passage (P2)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door 121. The baffle 122a is formed,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bypassed through the gap (S) to the height (H) of the baffle (122a).
상기 배플(122a)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배플(122a) 높이(H)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호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baffles 122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121,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he height (H) of the plurality of baffles (122a) is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121).
상기 복수개의 배플(122a) 높이(H)는, 복수개의 배플(122a) 끝단을 연결한 선(L)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곡선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heights H of the plurality of baffles 122a are formed such that a line L connecting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baffles 122a has a curv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sliding door 121. Device.
상기 복수개의 배플(122a) 중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중앙부에 형성된 배플(122a)의 높이(H)가 가장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2,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H) of the baffles (122a)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121 of the plurality of baffles (122a) is formed the largest.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평면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후면부에 상기 배플(122a)을 구비한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기어샤프트(126)와 기어결합되는 기어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liding door 121 is formed in a flat shape an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22 having the baffles 122a at the rear side thereof, and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22, respectively, and the gear shaft 126 is engaged with the gear.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ar portion 123.
상기 배플(122a)은, 상기 본체(122)를 가로질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ffle (122a),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cross the body (12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5785A KR101220967B1 (en) | 2010-05-17 | 2010-05-17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5785A KR101220967B1 (en) | 2010-05-17 | 2010-05-17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6231A true KR20110126231A (en) | 2011-11-23 |
KR101220967B1 KR101220967B1 (en) | 2013-01-10 |
Family
ID=4539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5785A KR101220967B1 (en) | 2010-05-17 | 2010-05-17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096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716B1 (en) * | 2012-06-26 | 2015-01-2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WO2021038154A1 (en) * | 2019-08-28 | 2021-03-04 | Valeo Systemes Thermiques |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84911B2 (en) | 1999-08-23 | 2008-04-30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
JP2004114913A (en) * | 2002-09-27 | 2004-04-15 | Calsonic Kansei Corp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101151980B1 (en) * | 2005-05-09 | 2012-06-01 | 한라공조주식회사 | Door of Temperature Control for Air Conditioner |
-
2010
- 2010-05-17 KR KR1020100045785A patent/KR10122096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716B1 (en) * | 2012-06-26 | 2015-01-2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WO2021038154A1 (en) * | 2019-08-28 | 2021-03-04 | Valeo Systemes Thermiques |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
FR3100311A1 (en) * | 2019-08-28 | 2021-03-05 | Valeo Systemes Thermiques | Heating, ventilation and / or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0967B1 (en) | 2013-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0968B1 (en) | Assembling structure of temperature door in an air-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94105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220967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705708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50028047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0853174B1 (en) | Air conditioner for supplying double airflow | |
KR101703661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235031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20080006993A (en) | Car air conditioner | |
KR10171446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222513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714455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4487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48471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222510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1572573B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130066861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199790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20110088683A (en) | Car air conditioner | |
KR101340473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78104B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73792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90682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20130136211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51150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5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