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150A - Folding bicycle - Google Patents
Folding bicy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00150A KR20110100150A KR1020110016501A KR20110016501A KR20110100150A KR 20110100150 A KR20110100150 A KR 20110100150A KR 1020110016501 A KR1020110016501 A KR 1020110016501A KR 20110016501 A KR20110016501 A KR 20110016501A KR 20110100150 A KR20110100150 A KR 201101001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oupling
- connection
- wheel frame
- connection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접이식 자전거는, 전륜 프레임부; 후륜 프레임부; 전륜 프레임부에 대해 후륜 프레임부가 접이 가능함으로써 상호 겹쳐지며 포개지도록 전륜 프레임부 및 후륜 프레임부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유닛; 및 연결 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륜 프레임부 및 후륜 프레임부에 대한 연결 유닛의 접이 동작을 허용하는 연결 유닛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륜 프레임부 및 후륜 프레임부가 겹쳐지며 포개지도록 접이 가능하여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이동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고, 또한 종래와는 달리 접이 부분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고장 등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Folding bi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Rear wheel frame portion; A connection unit that partially connects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so that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is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overlaps each other; And a connection unit fix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to allow folding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frame part and the rear wheel fram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can be folded and overlapped so that the overall size can be reduced, thereby facilitating storage, movement and portability, and unlike the prior art, the folding portion has excellent durability. This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ailure or the lik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륜 프레임부 및 후륜 프레임부가 겹쳐지며 포개지도록 접이 가능하여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이동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bi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bicycle that can be folded so that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overlap and overlap to reduce the size as a whole, thereby facilitating storage, movement and carrying. It is about.
최근 들어, 자전거 타기는 레저 또는 스포츠로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자연 보호, 환경 보존 등의 시대적 상황, 정부의 자전거 전용도로 및 경륜 시행 등과 맞물려 제2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전거 시장 규모는 매해 급성장하고 있으며, 또한 그 성장세는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것이다.Recently, bicycle riding has been exploding in popularity as leisure or sports, and has been making its second heyday with the times of nature conservati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he government's bicycle lanes and raceways. As a result, the bicycle market is growing rapidly each year, and its growth will continue.
그런데, 이러한 자전거의 경우, 운동, 교통 수단 등으로서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자전거 비용을 제외한 다른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지만, 보관 및 휴대 등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취약함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외부 장소에 보관되며, 이때 도난 방지를 위하여 로킹(locking)을 해두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로킹을 해두더라도 타인이 로킹 장치를 해제한 후 가져갈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지지부에 자전거를 링크하였다 하더라도 링크된 부분을 절단한 후 가져갈 수 있어 도난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갖는다.By the way, such a bicycl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not only easy to use as an exercise, transportation, etc., but also requires little other than the cost of the bicycle, but there are some weaknesses in storage and carrying. In general, bicycles are stored in an outside place, and locking is often performed to prevent theft. However, even if locked, others can take it after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or even if the bicycle is linked to another supporter, it is vulnerable to theft because it can be taken after cutting the linked part.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내에 자전거를 보관하려고 하더라도 자체적인 사이즈에 인해 보관하기가 쉽지 않을뿐더러 보관 장소로 자전거를 옮기기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o prevent this, even if you want to store the bike indoors, due to its size is not easy to stor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cumbersome to move the bike to the storage place.
이를 위해, 최근에는 보관 및 휴대 등이 용이하도록, 자전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가 개발되어 실제 이용되고 있다.To this end, recently, folding bicycles that can reduce the size of bicycl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actually used to facilitate storage and portability.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는, 접이 부분이 경첩 타입으로 마련되거나 크랭크축 회전 방식에 의해 접이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접이 부분의 내구성이 그리 튼튼하지 않아 접이 부분에서 쉽게 고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접이 부분에서 변형이 발생되어 자전거가 전체적으로 뒤틀리는 등의 현상의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MTB와 로드 바이크 등과 같이 우수한 내구성이 요구되는 자전거에 접이식 구조가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in such a conventional folding bicycle, the folding part is provided in a hinge type or has a structure that is folded by the crankshaft rotation method, so the durability of the folding part is not very strong, it can be easily broken in the folding part, Furthermore, deformation may occur in the folding portion, such as a phenomenon in which the bicycle is twisted as a whole.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lding structure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a bicycle that requires excellent durability such as MTB and road bike.
또한 전술한 타입의 접이식 자전거의 경우 접이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사이즈는 줄일 수 있어도, 이동 시 바퀴를 굴리며 이동할 수 없어 종래의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휴대가 그리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olding bik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ize can be reduced by providing a folding structure, it is not easy to carry like a conventional bicycle because the wheel cannot be moved while moving.
그리고 전술한 크랭크축 회전 방식은, 20인치 이상의 바퀴를 갖는 자전거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rankshaft rotation method does not apply to bicycles having wheels of 20 inches or more.
따라서, 접이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자전거의 전체저인 사이즈를 선택적으로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되,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접이식 자전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by having a foldab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bottom of the bike to facilitate storage and portability, the situation is required to develop a foldable bicycle of a new structure that can have excellent dura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륜 프레임부 및 후륜 프레임부가 겹쳐지며 포개지도록 접이 가능하여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bike that can be folded so that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overlap and overlap to reduce the size as a whole, thereby facilitating storage and portabil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와는 달리 접이 부분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고장 등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bicycle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ailure, etc., by having the excellent durability of the folding portion unlike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되더라도 전륜 및 후륜의 회전이 가능하여 접이된 상태에서도 전륜 및 후륜을 굴리며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bicycle that can rotate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even when folded, and to facilitate the movement by roll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even in the folded st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는, 전륜 프레임부; 후륜 프레임부; 상기 전륜 프레임부에 대해 상기 후륜 프레임부가 접이 가능함으로써 상호 겹쳐지며 포개지도록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유닛; 및 상기 연결 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연결 유닛의 접이 동작을 허용하는 연결 유닛 고정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이식 자전거를 접이 가능하여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접이 부분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고장 등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Folding bicy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Rear frame part; A connection unit that partially connects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so that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is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overlaps each other; And a connection unit fix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to allow folding ope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frame part and the rear wheel frame part. The size can be reduced as a whole, thereby making it easy to store and carry. Also, since the folding part has excellent durabil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failure or the like from occurring.
여기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해 링크(link)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철부를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uni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 second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rear wheel frame part; And a link part coupl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link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olding bicycle can be performed by relatively rotating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의 연결 조인트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의 연결 조인트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결합되되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륜 프레임부와 접근되는 방향으로 후륜 프레임부를 접이시킬 수 있다.The link unit may include: a first link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joint with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a second link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joint wit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link member but rotatably coupled relative to a center axis in place. Accordingly,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can be fold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홈이 마련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함몰홈에 부분적으로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1 링크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ink part is provided with the first link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while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relative to the first link member by penetrating through the link member into the recessed groove.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소정 각도를 갖는 호 형상의 연장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회전 시 상기 연장부재와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링크부재는 제한된 각도만큼 제1 링크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extension member extending outwardly and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nd inside the first link member, the rotation angle of the extension member and the rotation member when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ed. In order to limit, a limiting memb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member may be provided. Thus, the second link member can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link member by a limited angle.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단부는 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삽입부재의 판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판면 방향의 가로 방향을 갖는 회전축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삽입부재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삽입부재를 관통하여 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링크부와 동일 축선 상에 있을 때, 일측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외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삽입부재의 양 모서리 중 하나는 직각을 이루고 다른 하나는 호를 이루며, 외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양 모서리 중 하나는 직각을 이루고 다른 하나는 호를 이룰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is formed of an insertion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respectivel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cut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utting groove cut in the pla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member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is rotated, the rotary shaft having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late direction i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It can be coupled to the shaft through the insertion member.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on the same axis as the link portion, one of the two corners of the insert member facing outward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is arced so as to be rotatable only on one side. In one embodiment, one of both corner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facing outward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other may form an arc.
상기 연결 유닛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유닛의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부에 형성된 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A spiral protrusion in a spiral direc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fixing part has a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unit formed therein so as to be movable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by a rotation operation. It may be provided by a pipe.
상기 연결 유닛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유닛의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부에 형성된 연결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 고정부재를 감싸되 사이에는 부쉬가 개재되며, 상기 연결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에서 상기 연결 유닛에 대한 상기 연결 고정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연결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커버부재의 일단부는 스크루 결합에 의해 상기 연결 유닛에 잠금될 수도 있다.A spiral protrusion in a spiral direc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fixing part has a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by a rotation operation. A connection fixing member formed; And a bushing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fixing members and a connecting cover member which rotates the connecting fix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unit from the inside when the bush is inter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unit. One end of the cover member may be locked to the connection unit by screwing.
상기 연결 유닛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이해 상기 연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유닛의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부에 각각 형성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상호 이격되거나 상호 접근되는 한 쌍의 연결 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 고정부재를 각각 감싸되 그 사이에는 부쉬가 개재되며, 상기 이격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에서 상기 연결 유닛에 대한 상기 연결 고정부재들의 회전이 각각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 중 하나의 연결 커버부재의 일단부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 중 다른 하나의 연결 커버부재의 일단부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A spiral protrusion in a spiral direc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fixing part has a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unit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tational motion. A pair of connection fixing members each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rotation operation; The pair of connection cover members are respectively wrapped with a bush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ir of connection cover members each of which rotates the connection fixing member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unit in the case of linear movement in the spaced apart direction. It includes, the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one of the connection cover member of the pair of connection cover member and the inner thread of one end of the other connection cover member of the pair of connection cover member Corresponding female threads may also be formed.
또한 상기 접이식 자전거는,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의 일부분이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의 일부분을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bicycl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upling unit for coupling a portion of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are separable.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은, 상기 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분리 동작을 허용하는 결합 유닛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coupl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ront wheel frame unit; A second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rear wheel frame part; And a coupling unit fixing part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and allows a separation opera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측에 형성된 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coupled to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they form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spiral spiral protrusions are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unit fixing part may be provided as a pipe having a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trusion inside so as to be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by a rotation operation.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의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부에 형성된 결합 고정부재; 및 상기 결합 고정부재를 감싸되 사이에는 부쉬가 개재되며,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에서 상기 보조 결합 유닛에 대한 상기 결합 고정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커버부재의 일단부는 스크루 결합에 의해 상기 보조 결합 유닛에 잠금될 수도 있다.
A spiral protrusion in a spiral direc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and the coupling unit fixing part is a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trus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by a rotation operation. A coupling fixing member formed therein; And a bushing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fixing members and a coupling cover member configured to rotate the coupling fix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coupling unit from the inside when the bush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linearly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One end of the coupling cover member may be locked to the auxiliary coupling unit by screw coupl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륜 프레임부 및 후륜 프레임부가 겹쳐지며 포개지도록 접이 가능하여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can be folded and overlapped so as to reduce the size as a whole, thereby facilitating storage and port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는 달리 접이 부분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고장 등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by having a good durability of the folded por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failure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되더라도 전륜 및 후륜의 회전이 가능하여 접이된 상태에서도 전륜 및 후륜을 굴리며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folded,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can be rotat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by roll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even in the folded state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결합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결합 유닛이 분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 처리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4에 도시된 연결 유닛에 의한 접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 처리한 단면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링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서 연결 유닛과 연결 유닛 고정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서 보조 결합 유닛과 결합 유닛 고정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서 연결 유닛과 연결 유닛 고정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shown in FIG. 1.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shown in FIG. 2 in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etaching opera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unit shown in FIG.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shown in FIG. 5.
7A to 7D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e folding operation by the connecting unit shown in FIG. 4.
8A to 8C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the folding bicycle shown in FIG. 1.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nk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fixing part in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n auxiliary coupling unit and a coupling unit fixing part in a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fixing part in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atentable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결합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결합 유닛이 분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 처리한 단면도들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도 4에 도시된 연결 유닛에 의한 접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 처리한 단면도들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 is a view showing a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s 3a and 3b is the auxiliary coupling unit shown in FIG.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nnection unit shown in FIG.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and FIG. 6 is a line VI-VI shown in FIG. 5. 7A to 7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folding operation by the connecting unit shown in FIG. 4, and FIGS. 8A to 8C schematically illustrate the folding process of the folding bicycle shown in FIG. 1. Figures show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100)는, 전륜(1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륜 프레임부(110)와, 후륜(1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륜 프레임부(120)와, 전륜 프레임부(110)에 대해 후륜 프레임부(120)가 접이 가능하도록 전륜 프레임부(110) 및 후륜 프레임부(120)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130)과, 전륜 프레임부(110) 및 후륜 프레임부(120)에 대한 연결 유닛(130)의 접이 동작을 허용하는 연결 유닛 고정부(160)와, 전륜 프레임부(110) 및 후륜 프레임부(120)의 일부분이 분리 가능하도록 전륜 프레임부(110) 및 후륜 프레임부(120)을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 유닛(170)을 포함한다.1, the
먼저, 프레임(110, 120)들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프레임(110, 120)은 크게 전륜 프레임부(110)와 후륜 프레임부(120)로 이루어진다. 각 프레임부(110, 120)들은 티타늄 또는 카본 등의 파이프(pipe)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10, 120)가 전륜 프레임부(110) 및 후륜 프레임부(120)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후술한 보조 결합 유닛(170) 및 연결 유닛(130)에 의해 전륜 프레임부(110) 및 후륜 프레임부(120)가 접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First, the
도 1을 참조하면, 전륜 프레임부(110)의 상부 바아(113)와 후륜 프레임부(120)의 상부 바아(123)는 연결 유닛(130)에 의해 연결되며, 전륜 프레임부(110)의 하부 바아(112)와 후륜 프레임부(120)의 하부 바아(122)는 보조 결합 유닛(170)에 의해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먼저 보조 결합 유닛(170)을 동작시켜 전륜 프레임부(110)의 하부 바아(112)와 후륜 프레임부(120)의 하부 바아(122)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후 연결 유닛(130)을 동작시켜 전륜 프레임부(110)의 상부 바아(113)에 대해 후륜 프레임부(120)의 상부 바아(123)를 접이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의 접이식 자전거(100)를 접이시킬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본 실시예의 보조 결합 유닛(170)은, 1차적으로 전륜 프레임부(110)의 일부분과 후륜 프레임부(120)의 일부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도 8b 참조). 보다 정확하게는, 전륜 프레임부(110)의 하부 바아(112)와 후륜 프레임부(120)의 하부 바아(122) 간의 결합을 해제시키며, 이에 따라 후술할 연결 유닛(130)에 의해 접이식 자전거(100)가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즉, 보조 결합 유닛(170)에 의해 프레임(110, 120)들의 일부 구간이 분리되어야 연결 유닛(130)에 의한 접이 동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The
보조 결합 유닛(17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보조 결합 유닛(1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프레임부(110)의 하부 바아(1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171)와, 후륜 프레임부(120)의 하부 바아(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175)와,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에 결합되며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의 분리 동작을 허용하는 결합 유닛 고정부(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부분(171a, 175a)은 전륜 프레임부(110) 및 후륜 프레임부(120)의 하부 바아(112, 122)들에 삽입되고,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부분(171b, 175b)은 상호 마주본다. 다만, 하부 바아(112, 122)에 대한 결합부(171, 175)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해, 결합부(171, 175)들과 하부 바아(112, 122)들은 스크루(screw) 결합될 수 있다. The
즉, 결합부(171, 175)들의 일단부에 수나사산(172, 176)이 형성되고 하부 바아(112, 122)들의 내측에 암나사산(116)이 결합되어 결합부(171, 175)와 하부 바아(112, 122)들 간에 스크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한편, 결합 유닛 고정부(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파이프로 마련되며 그 내측에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 그리고 프레임(110, 120)들의 하부 바아(112, 122)들이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결합 유닛 고정부(18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아(112, 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coupling
따라서, 결합 유닛 고정부(180)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를 감싸고 있는 경우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의 결합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반면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유닛 고정부(180)가 회전 동작에 의해 전륜 프레임부(110)의 하부 바아(112) 또는 후륜 프레임부(120)의 하부 바아(122)로 이동하는 경우 제1 결합부(171)와 제2 결합부(175)는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륜 프레임부(110)의 하부 바아(112)와 후륜 프레임부(120)의 하부 바아(122)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oupling
이때, 결합 유닛 고정부(180)의 위치에 따라 결합부(171, 175)들 간의 결합 상태 또는 결합 해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178)가 형성되고, 결합 유닛 고정부(180)의 내측에는 나선돌기(178)에 대응되는 나선홈(18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결합 유닛 고정부(180)가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를 감싸고 있는 경우 나선돌기(178)와 나선홈(181)의 결속에 의해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결합 유닛 고정부(180)가 회전하여 하부 바아(112, 122)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나선돌기(178)와 나선홈(181)의 결속이 풀려 제1 결합부(171) 및 제2 결합부(175)는 결합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oupling
다만, 보조 결합 유닛(170)이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클램프(clamp)로 마련되는 결합 유닛 고정부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한편, 연결 유닛(130)은,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결합 유닛(170)에 의해 하부 바아(112, 122)들 간의 결합이 해제된 전륜 프레임부(110)와 후륜 프레임부(120)를 직접적으로 접이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8B and 8C, the
이러한 연결 유닛(1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프레임부(110)의 상부 바아(11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131)와, 후륜 프레임부(120)의 상부 바아(1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부(135)와,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의 사이에 결합되며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에 대해 링크(link) 가능한 링크부(1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먼저,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는, 전륜 프레임부(110)의 상부 바아(113) 및 후륜 프레임부(120)의 상부 바아(123)에 결합되는데, 이때 구성 간의 결속력을 강화하면서도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는 각각의 상부 바아(113, 123)에 스크루 결합될 수 있다. First, the first connecting
다시 말해, 각각의 상부 바아(113, 123)에 삽입 결합되는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의 일단부들에 수나사산(132, 136)이 형성되고 상부 바아(113, 123)의 내측에 암나사산(117)이 형성됨으로써 연결부(131, 135) 및 상부 바아(113, 123) 간의 스크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또한,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의 타단부에는 링크부(140)의 회전 방향이 이루는 판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133, 137)이 마련된다. 이러한 절개홈(133, 137)에는 후술할 링크부(140)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링크부(140)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스스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륜 프레임부(110)에 대해 후륜 프레임부(120)가 접힐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7A to 7D, the
링크부(140)의 양단부는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의 절개홈에 삽입되되 그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링크부(140)의 양단부는 절개홈(133, 137)의 절개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판 형상의 삽입부재(142, 146)로 마련된다. Both ends of the
그리고, 삽입부재(142, 146)가 절개홈(133, 137) 사이에서 축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부재(142, 146)의 판면 방향의 가로 방향을 갖는 회전축(141S, 145S)이 제1 연결부(131) 및 삽입부재(142) 그리고 제2 연결부(135) 및 삽입부재(146)를 관통하여 축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그런데, 접이된 상태가 아닌 원래의 자전거(100) 상태를 유지할 때 링크부(140)와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는 실질적으로 일직선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때 링크부(140)가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의 양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면 자전거(100)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후술한 연결 유닛 고정부(160)에 의해 비접이 상태에서는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와, 링크부(140)는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지만 이때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와 링크부(140)가 자체적으로 지지 상태를 유지한다면 비접이 상태 시 자전거(100)의 내구성은 강화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when maintaining th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링크부(140)의 삽입부재(142, 146)들 그리고 절개홈(133, 137)이 마련된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는 이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그에 맞는 형상을 갖는다.To this end, the first connecting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가 링크부(140)와 동일 축선 상에 있을 때, 일측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외측 방향을 향하는 삽입부재(142, 146)의 양 모서리 중 하나는 직각을 이루고 다른 하나는 호를 이루며, 외측 방향을 향하는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 각각의 양 모서리 중 하나는 직각을 이루고 다른 하나는 호 형상을 갖는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en the first connecting
따라서,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는 링크부(140)에 대해 호가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호가 형성되지 않은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비접이 상태 시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가, 링크부(140)와 지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전거(100)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링크부(140)가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에 의해 도 5의 상태와 같이 되더라도, 이 상태로는 접이식 자전거(100)의 접이가 마무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전륜 프레임부(110)와 후륜 프레임부(120)가 접힌 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도 5의 상태에서 제2 연결부(135)가 반대측으로 회전하여야 한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링크부(140)는, 일부분에 비해 타부분이 제자리에서 상대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도 7d의 상태로 제2 연결부(135)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링크부(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141)와, 삽입부재(146)로 마련되는 일단부는 제2 연결부(1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링크부재(141)에 결합되되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14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여기서, 제1 링크부재(141)와 제2 링크부재(145)가 결합될 때 외형이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제2 링크부재(145)는 일부분은 제1 링크부재(14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Here, a part of the
제2 링크부재(145)의 삽입 부분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함몰홈(147)이 마련된다. 한편, 제2 링크부재(145)가 제1 링크부재(141)에 삽입되었을 때, 함몰홈(147)이 형성된 제1 링크부재(141)의 일 위치에는 고정부재(149)가 관통되는 관통홀(149h)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고정부재(149)가 관통홀(149h)을 통과한 후 함몰홈(147)에 부분적으로 인입됨으로써 제2 링크부재(145)가 제1 링크부재(141)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49)는 제2 링크부재(145)가 제1 링크부재(141)에 대해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 제2 링크부재(145)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도 겸한다. 여기서, 고정부재(149)는 핀(pin)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of the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재(145)의 삽입 부분의 단부에는 단면이 호 형상을 갖는 연장부재(148)가 마련되며, 제1 링크부재(141)의 내측에는 제2 링크부재(145)의 회전 시 연장부재(148)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연장부재(148)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한부재(144)가 마련된다.4 and 6, an
도 6을 참조하면, 연장부재(148)는 제2 링크부재(145)의 내측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α)만큼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링크부재(145)는 제1 링크부재(141)에 대해 설정된 각도(α)만큼 회전할 수 있고 아울러 후륜 프레임부(120) 또한 전륜 프레임부(110)에 대해 설정된 각도(α)만큼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 the
여기서 제한부재(144)는 연장부재(148)가 회전할 때 연장부재(148)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접이 상태 시 전륜 프레임부(110)에 대해 후륜 프레임부(120)가 움직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Here, the limiting
한편, 본 실시예의 연결 유닛(130)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결합되는 연결 유닛 고정부(160)의 내면에는 나선돌기(143)에 대응되는 나선홈(161)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연결 유닛 고정부(160)에 의하여 연결 유닛(130)의 접이 동작이 허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 유닛 고정부(160)는, 연결 유닛(13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연결 유닛(130)을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By this structure, folding operation of the
이러한 연결 유닛 고정부(160)가, 연결 유닛(130)의 전체를 감싸며 배치되는 경우 링크부(140)는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에 대해 접이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 자전거(100)는 비접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유닛(130)에 형성되는 나선돌기(143)와 연결 유닛 고정부(160)에 형성되는 나선홈(161)이 상호 지지함으로써 가령 외부로부터 압축력, 인장력, 횡력(휨모멘트, 전단력)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 유닛(130)의 접이 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on
한편, 연결 유닛 고정부(160)가 회전 동작에 의해 상부 바아(113, 123)들 중 하나로 위치 변환되는 경우, 연결 유닛(13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접이 동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륜 프레임부(110)에 대해 후륜 프레임부(120)가 접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on
이하에서는, 연결 유닛(130)의 접이 동작에 대해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도 7a 상태에서 도 7b의 상태로 연결 유닛 고정부(160)의 위치를 변환하기 위해, 연결 유닛 고정부(1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연결 유닛 고정부(160)의 나선홈(161)과, 연결 유닛(130)의 나선돌기(143)가 상호 작용해 연결 유닛 고정부(160)는 상부 바아(113, 123)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이후, 도 7b에서 도 7c의 상태로 연결 유닛(130)을 동작시키기 위해, 제1 연결부(131)에 대해 링크부(140)를 회전시키고, 마찬가지로 링크부(140)에 대해 제2 연결부(135)를 회전시킨다.Then, in order to operate the
이어서, 도 7c에서 도 7d의 상태로 연결 유닛(130)을 동작시키기 위해, 링크부(140)를 구성하는 제1 링크부재(141)에 대해 제2 링크부재(145)를 축 회전시킨다. 이때, 제1 링크부재(141)에 대한 제2 링크부재(145)의 회전각은 미리 설정된 각도(α)이며, 이러한 회전 동작에 의해 도 7d의 상태가 될 수 있다. Subsequently, in order to operate the
이와 같이, 연결 유닛(130)이 접이 동작됨으로써 전륜 프레임부(110)에 대한 후륜 프레임부(120)의 접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100)의 접이 동작에 대해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먼저, 도 8a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결합 유닛(170)의 결합 유닛 고정부(180) 및 연결 유닛 고정부(160)를 회전시켜, 보조 결합 유닛(170)을 분리시키고 연결 유닛 고정부(160)가 연결 유닛(13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First, as shown in FIG. 8A, the coupling
이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130)의 제1 연결부(131)에 대해 링크부(140)를 회전시키고 이후 링크부(140)에 대해 제2 연결부(135)를 회전시킨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8B, the
이어서, 링크부(140)의 제1 링크부재(141)에 대해서 제2 링크부재(145)를 설정된 각도(α)만큼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프레임부(110)에 대해 후륜 프레임부(120)가 겹쳐지며 포개지도록 접이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이후, 사용자는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자전거(100)의 부분을 파지한 상태로 자전거의 전륜(111) 또는 후륜(121)을 굴러가며 이동시킴으로써 접이식 자전거(10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은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5)에 의해 접이된 링크부(140)가 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may mov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접이 가능하여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와는 달리 접이 부분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접이 부분에서 고장 등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또한 접이되더라도 전륜 또는 후륜의 회전이 가능하여 접이된 상태에서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is possible, so that the size can be reduced as a whole, so that the storage and portability can be facilitated. This can be prevented, and even when folded,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can be rotat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even in the folded state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in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링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nk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 유닛(230)의 연결부(231, 235) 및 링크부(14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르게 결합된다. 즉,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5)와, 링크부(240)의 연결 부분은 상호 대응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회전축(241S)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따라서, 연결부(231, 235)들에 대해 링크부(240)의 링크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륜 프레임부(110, 도 1 참조)에 대해 후륜 프레임부(120)를 접이할 수 있어 자전거의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link operation of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 유닛 및 보조 결합 유닛의 외면에 나선돌기가 형성되고, 이들에 결합되는 연결 유닛 고정부 및 결합 유닛 고정부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연결 유닛 고정부 및 결합 유닛 고정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이동 구조, 예를 들면 슬라이딩 이동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piral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auxiliary coupling unit, the spiral groov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unit fixing portion and the coupling unit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m, the connection unit fixing portion and Although it is described above that the coupling unit fixing part can be moved,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the coupling unit fixing part may have another moving structure, for example, a sliding moving structure.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in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서 연결 유닛과 연결 유닛 고정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서 보조 결합 유닛과 결합 유닛 고정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A and 10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fixing part in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A and 11B a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uxiliary coupling unit and the coupling unit fixing in the folding bicycl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33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연결 유닛(130, 도 5 참조)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되 제3 실시예의 연결 유닛(330)에 형성된 나선돌기(343)는 제1 실시예의 연결 유닛(130)에 형성된 나선돌기(143, 도 4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치 간격이 넓다. 따라서 연결 유닛(330)에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 유닛 고정부(360)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피치 간격으로 인해 연결 유닛(330)으로부터 연결 유닛 고정부(360)를 결합 해제하기가 보다 용이하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한편,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연결 유닛(130)에 대하여 연결 유닛 고정부(160)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 유닛(130)으로부터 상부 바아(123)로 연결 유닛 고정부(160)를 이동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경우 후술할 연결 유닛 고정부(360)의 구조로 인해 연결 유닛 고정부(360)를 선형 이동(보다 정확히는 연결 유닛 고정부(360)의 선형 이동 및 회전 이동이 동시 이루어짐)시킴으로써 연결 유닛(330)으로부터 연결 유닛 고정부(360)를 이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본 실시예의 연결 고정부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동작에 의해 연결 유닛(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유닛(330)의 나선돌기(343)에 대응되는 나선홈(361a)이 내부에 형성된 연결 고정부재(361)와, 연결 고정부재(361)를 감싸되 사이에는 부쉬(363)가 개재되며 연결 유닛(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에서 연결 유닛(330)에 대한 연결 고정부재(361)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 커버부재(36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커버부재(365)의 일단부(365a)는 스크루 결합에 의해 연결 유닛(330)에 잠금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connection fixing part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piral corresponding to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연결 커버부재(365)를 회전시켜 연결 커버부재(365)의 일단부(365a)와 연결 유닛(330)의 스크루 결합을 해제한 후, 연결 커버부재(365)를 일측 방향(도 10b의 화살표 A1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면 연결 커버부재(365)의 내측에 있는 연결 고정부재(361)는 나선 방향으로 회전(도 10b의 화살표 A2 방향)하면서 연결 커버부재(365) 및 연결 고정부재(361) 모두는 연결 유닛(330)으로부터 상부 바아(323)로 이동할 수 있다.After the
이때 연결 커버부재(365) 및 연결 고정부재(361)의 사이에 개재된 부쉬(363)는 연결 커버부재(365)의 선형 이동 시 연결 커버부재(365)에 대하여 연결 고정부재(36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연결 유닛(330)에 대한 연결 유닛 고정부(360)의 잠금 해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연결 유닛 고정부(360)의 연결 커버부재(365)를 일측으로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유닛(330)에 대한 연결 유닛 고정부(360)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linearly moves the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보조 결합 유닛(370)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결합 유닛 고정부(380) 역시 전술한 연결 유닛 고정부(180, 도 3a 및 도 3b 참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보조 결합 유닛(370)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선돌기(373)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보조 결합 유닛(170)에 형성된 나선돌기에 비해 피치 간격이 넓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회전수로 결합 유닛 고정부(380)를 회전시킴으로써 보조 결합 유닛(370)에 대한 결합 유닛 고정부(38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In detail, the
본 실시예의 결합 유닛 고정부(38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동작에 의해 보조 결합 유닛(3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보조 결합 유닛(370)의 나선돌기(373)에 대응되는 나선홈(381a)이 내부에 형성된 결합 고정부재(381)와, 결합 고정부재(381)를 감싸되 사이에는 부쉬(383)가 개재되며 보조 결합 유닛(370)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에서 보조 결합 유닛(370)에 대한 결합 고정부재(381)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 커버부재(38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커버부재(385)의 일단부(385a)는 스크루 결합에 의해 보조 결합 유닛(370)에 잠금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coupling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결합 커버부재(385)를 회전시켜 결합 커버부재(385)의 일단부(385a)와 보조 결합 유닛(370)의 스크루 결합을 해제한 후, 결합 커버부재(385)를 일측 방향(도 11b의 화살표 B1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면 결합 커버부재(385)의 내측에 있는 결합 고정부재(381)는 나선 방향(도 11b의 화살표 B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결합 유닛 고정부(380)는 보조 결합 유닛(370)으로부터 하부 바아(322)로 이동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after rotating the
이때 부쉬(38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결합 유닛(370)에 대한 결합 유닛 고정부(380)의 결합 해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유닛 고정부(360) 및 결합 유닛 고정부(380)의 선형 이동에 의해 연결 유닛(330)에 대한 연결 유닛 고정부(360)의 잠금 및 보조 결합 유닛(370)에 대한 결합 유닛 고정부(380)의 잠금을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of the connecting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in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서 연결 유닛과 연결 유닛 고정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A and 1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fixing part in the folding bicy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연결 유닛 고정부(460)는 제3 실시예의 연결 유닛 고정부(360, 도 10a 및 도 10b 참조)와는 달리 양측 방향으로 갈라지는 구조를 갖는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necting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연결 유닛 고정부(460)는, 연결 유닛(430)의 나선돌기(443)에 대응되는 나선홈(461a)이 내부에 각각 형성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상호 이격되거나 상호 접근되는 한 쌍의 연결 고정부재(461)와, 한 쌍의 연결 고정부재(461)를 각각 감싸되 그 사이에는 부쉬(463)가 개재되며 이격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에서 연결 유닛(430)에 대한 연결 고정부재(461)들의 회전이 각각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465)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connec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465)를 파지한 상태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465)를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하나의 연결 커버부재(465) 및 그 내측에 있는 하나의 연결 고정부재(461)와, 다른 하나의 연결 커버부재(465) 및 그 내측에 있는 다른 하나의 연결 고정부재(461)는 각각의 상부 바아(413, 423)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 유닛(430)의 접이 동작이 가능하여 접이식 자전거를 접이할 수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linearly moving the pair of
다만, 연결 유닛(430)에 대한 연결 유닛 고정부(460)의 잠금 시 연결 유닛 고정부(460)가 연결 유닛(430)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465)는 상호 스크루 결합된다. 즉, 하나의 연결 커버부재(465)의 일단부(465a)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 커버부재(465)의 일단부(465b) 내면에는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이들의 스크루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the pair of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465)를 파지하고 양측으로 선형 이동시키면 그 내측에 있는 연결 고정부재(461)의 나선홈(461a)이 연결 유닛(430)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돌기(443)와 상호 동작하며 회전하기 때문에 연결 유닛(430)에 대한 연결 유닛 고정부(460)의 잠금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동작 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ir 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접이식 자전거 110 : 전륜 프레임부
120 : 후륜 프레임부 130 : 연결 유닛
140 : 링크부 160 : 연결 유닛 고정부
170 : 보조 결합 유닛 180 : 결합 유닛 고정부100: folding bike 110: front wheel frame
120: rear frame portion 130: connection unit
140: link portion 160: connection unit fixing portion
170: auxiliary coupling unit 180: coupling unit fixing portion
Claims (14)
후륜 프레임부;
상기 전륜 프레임부에 대해 상기 후륜 프레임부가 접이 가능함으로써 상호 겹쳐지며 포개지도록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유닛; 및
상기 연결 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연결 유닛의 접이 동작을 허용하는 연결 유닛 고정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
Front wheel frame portion;
Rear wheel frame portion;
A connection unit that partially connects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so that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is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overlaps each other; And
And a connection unit fix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to allow folding of the connection unit to the front wheel frame part and the rear wheel frame part.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해 링크(link)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unit,
A first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front wheel frame part;
A second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rear wheel frame part; And
And a link unit coupl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the link unit being link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의 연결 조인트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의 연결 조인트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에 결합되되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2,
The link unit,
A first link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joint with the first joint; And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joint wit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other end is foldable including a second link member coupled to the first link member, but relatively rotatably coupled in place about a central axis bicycle.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홈이 마련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함몰홈에 부분적으로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1 링크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3,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membe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ink unit,
A fold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first link member and partially enters the recessed groove,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member while guiding rota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bicycle.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소정 각도를 갖는 호 형상의 연장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회전 시 상기 연장부재와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한부재가 마련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3,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extending member extending outwardly and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The inner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the folding bicycle is provided with a limiting member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member so as to limit the rotation angle with the extension member when the second link member is rotated.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일단부는 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삽입부재의 판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판면 방향의 가로 방향을 갖는 회전축이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삽입부재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삽입부재를 관통하여 축 결합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3,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is formed of an insertion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each provided with a cutting groove cut in the pla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member so that the insertion member is rotated,
And a rotating shaft having a transverse direction in the plate surface direction is axially coupl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member.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링크부와 동일 축선 상에 있을 때, 일측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외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삽입부재의 양 모서리 중 하나는 직각을 이루고 다른 하나는 호를 이루며, 외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각각의 양 모서리 중 하나는 직각을 이루고 다른 하나는 호를 이루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on the same axis as the link portion, one of the two corners of the insert member facing outward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is arced so as to be rotatable only on one side. Folding arms of one of the corners of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facing outward are at a right angle and the other arc.
상기 연결 유닛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유닛의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부에 형성된 파이프로 마련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a spiral projection in the spiral direction,
The connecting unit fixing unit is a folding bicycle provided with a pipe formed therein a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jection of the connecting unit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unit by a rotation operation.
상기 연결 유닛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유닛의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부에 형성된 연결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 고정부재를 감싸되 사이에는 부쉬가 개재되며, 상기 연결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에서 상기 연결 유닛에 대한 상기 연결 고정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연결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커버부재의 일단부는 스크루 결합에 의해 상기 연결 유닛에 잠금 가능한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a spiral projection in the spiral direction,
The connection unit fixing part,
A connection fixing member formed therein with a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unit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by a rotation operation; And
A bush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ing fixing members, and includes a connecting cover member which rotates the connecting fix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unit from the inside when linearly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unit.
One end of the connection cover member is a folding bike lockable to the connection unit by screwing.
상기 연결 유닛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이해 상기 연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 유닛의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부에 각각 형성되며, 회전 동작에 의해 상호 이격되거나 상호 접근되는 한 쌍의 연결 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 고정부재를 각각 감싸되 그 사이에는 부쉬가 개재되며, 상기 이격되는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에서 상기 연결 유닛에 대한 상기 연결 고정부재들의 회전이 각각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 중 하나의 연결 커버부재의 일단부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커버부재 중 다른 하나의 연결 커버부재의 일단부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a spiral projection in the spiral direction,
The connection unit fixing part,
A pair of connection fixing members each having a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unit formed therein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and spaced apart or approached by the rotation operation;
The pair of connection cover members are respectively wrapped with a bush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ir of connection cover members each of which rotates the connection fixing member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unit in the case of linear movement in the spaced apart direction. Including;
A male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one of the pair of connecting cover members, and an internal thread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other of the pair of connecting cover members. Foldable Bike Shaped.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의 일부분이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의 일부분을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ub-coupling unit for coupling a portion of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so that portions of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are separable.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은,
상기 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분리 동작을 허용하는 결합 유닛 고정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1,
The auxiliary coupling unit,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ront wheel frame part;
A second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rear wheel frame part; And
And a coupling unit fixing part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and allowing a separation opera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전륜 프레임부 및 상기 후륜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측에 형성된 파이프로 마련되는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coupled to the front wheel frame portion and the rear wheel frame portion, they form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spiral spiral protrusions are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Become,
The coupling unit fixing unit is a folding bike provided with a pipe formed in the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jection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by a rotation operation.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의 외면에는 나선 방향의 나선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유닛 고정부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의 나선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내부에 형성된 결합 고정부재; 및
상기 결합 고정부재를 감싸되 사이에는 부쉬가 개재되며, 상기 보조 결합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경우 내측에서 상기 보조 결합 유닛에 대한 상기 결합 고정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커버부재의 일단부는 스크루 결합에 의해 상기 보조 결합 유닛에 잠금 가능한 접이식 자전거.
The method of claim 1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is formed a spiral protrusion in the spiral direction,
The coupling unit fixing part,
A coupling fixing member formed therein with a spir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piral protrus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by a rotation operation; And
A bush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fixing members and includes a coupling cover member configured to rotate the coupling fix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coupling unit when the linear coupling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unit. ,
One end of the coupling cover member is a folding bike lockable to the auxiliary coupling unit by screw coup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18868 | 2010-03-03 | ||
KR1020100018868 | 2010-03-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0150A true KR20110100150A (en) | 2011-09-09 |
KR101258219B1 KR101258219B1 (en) | 2013-04-26 |
Family
ID=4508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6501A Active KR101258219B1 (en) | 2010-03-03 | 2011-02-24 | Folding Type Bicy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8219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31287A1 (en) * | 2016-01-28 | 2017-08-03 | 백상기 | Electrically driven bicycle |
KR20180122366A (en) * | 2016-02-23 | 2018-11-12 | 메탈로제니아 리서치 앤드 테크놀러지스 에스.엘. | Locking device for securing the abrasion part to the support part of the earthwork machine |
KR20200034244A (en) * | 2018-09-21 | 2020-03-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ooring device of floater |
CN112610593A (en) * | 2020-12-31 | 2021-04-06 | 深圳奇妙星球文化创意有限公司 | Damping connector, bracket component and fixing bracket |
CN114194324A (en) * | 2022-01-10 | 2022-03-18 | 永康市钜翔车业有限公司 | A detachable bicycle folder |
KR20230124154A (en) * | 2022-02-17 | 2023-08-25 | 영풍전자(주) | Two-step folding joint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50000686Y1 (en) * | 1983-03-18 | 1985-04-22 | 김원학 | Folding apparatus of bicycle frame |
JP2001138977A (en) * | 1999-11-15 | 2001-05-22 | Masatoshi Ogawara | Portable folding bicycle |
US7198281B2 (en) * | 2004-10-21 | 2007-04-03 | Yebao Bicycle Parts & Components Industrial (Schenzhen) Co., Ltd | Foldable bicycle |
-
2011
- 2011-02-24 KR KR1020110016501A patent/KR101258219B1/en active Active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31287A1 (en) * | 2016-01-28 | 2017-08-03 | 백상기 | Electrically driven bicycle |
CN108025798A (en) * | 2016-01-28 | 2018-05-11 | 白湘基 | Electric bicycle |
KR20180122366A (en) * | 2016-02-23 | 2018-11-12 | 메탈로제니아 리서치 앤드 테크놀러지스 에스.엘. | Locking device for securing the abrasion part to the support part of the earthwork machine |
KR20200034244A (en) * | 2018-09-21 | 2020-03-3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Mooring device of floater |
CN112610593A (en) * | 2020-12-31 | 2021-04-06 | 深圳奇妙星球文化创意有限公司 | Damping connector, bracket component and fixing bracket |
CN114194324A (en) * | 2022-01-10 | 2022-03-18 | 永康市钜翔车业有限公司 | A detachable bicycle folder |
KR20230124154A (en) * | 2022-02-17 | 2023-08-25 | 영풍전자(주) | Two-step folding joint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8219B1 (en) | 2013-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8219B1 (en) | Folding Type Bicycle | |
EP2765072B1 (en) | Foldable frame for a bicycle | |
KR200298562Y1 (en) | Fold and unfold three-wheel bicycle | |
CA2953395C (en) | Compactable bicycle | |
EA014679B1 (en) | Self-locking mechanism | |
MX2012015230A (en) | Joint locking assembly and method. | |
US8328219B2 (en) | Bicycle frame and bicycle | |
US8939000B2 (en) | Seat post bicycle lock | |
JP2013082443A (en) | Foldable bicycle, particularly pedal-assist bicycle | |
KR100971651B1 (en) | The folder type bicycle | |
EP3519284B1 (en) | Compactable bicycle | |
US20130149032A1 (en) | Fixing member for vehicle frame joint of scooter | |
JP3179556U (en) | Folding kickboard | |
TW201414638A (en) | Folding bicycle folder with locking reinforcement effect | |
EP2927106A1 (en) | Foldable bicycle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 |
CN207955911U (en) | The fold mechanism of scooter | |
CN218949382U (en) | Folding mechanism of electric scooter and electric scooter | |
TWM580617U (en) | Folding lock | |
KR20210013211A (en) | Folding bike and how to fold it | |
RU214500U1 (en) | FOLDING WHEEL | |
KR102437885B1 (en) | folding bike | |
TWM337521U (en) | Folding structure of bicycle | |
JPS6024695Y2 (en) | Steering handle folding device | |
KR20150114819A (en) | Folding method of folderble bicycle | |
TWM493512U (en) | Improved free-wheel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9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1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