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39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85395A KR20110085395A KR1020100005163A KR20100005163A KR20110085395A KR 20110085395 A KR20110085395 A KR 20110085395A KR 1020100005163 A KR1020100005163 A KR 1020100005163A KR 20100005163 A KR20100005163 A KR 20100005163A KR 20110085395 A KR20110085395 A KR 201100853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evaporator
- compartment
- barrier
- cold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7—Flow-divertin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mull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하고,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며 일측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배리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상방에서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함몰부를 커버하는 배리어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배관과, 상기 제 1 배관과 독립적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제 2 배관과, 상기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이 동시에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이 포함되며,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 1 배관 및 상기 제 2 배관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 공간에 식품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 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은 냉장실과 냉동실가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배리어에 의해서 구획된다.
여러 종류의 냉장고 중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은 각각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의 후방에 증발기가 위치된다. 그러나, 증발기가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의 후방에 위치되는 경우, 증발기가 장착되는 공간 만큼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의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배리어에 증발기를 설치하여 고내 용적이 증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하고,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며 일측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배리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상방에서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함몰부를 커버하는 배리어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배관과, 상기 제 1 배관과 독립적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제 2 배관과, 상기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이 동시에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이 포함되며,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 1 배관 및 상기 제 2 배관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증발기가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배리어에 위치됨에 따라 냉동실 및/또는 냉장실의 용적이 최대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열재가 충진되는 배리어에 형성되는 함몰부에 증발기와 팬 모터 어셈블리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장실의 열교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가 냉매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복수의 배관이 포함되고, 냉장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일부 배관으로만 냉매를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용량의 증발기 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압축기의 출력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소비 전력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배관 중 냉장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냉매가 유동하는 배관이 열교환 핀을 기준으로 냉동실에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증발기(또는 증발기 수용부)와 냉장실의 열교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냉동실 측에서 바라본 배리어 내의 냉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냉장실 측에서 바라본 배리어 내의 냉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냉동실 측에서 바라본 배리어 내의 냉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냉장실 측에서 바라본 배리어 내의 냉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방으로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배리어(100)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상기 배리어(100)를 기준으로 좌측에 냉동실(30)이 위치되고, 우측에 냉장실(40)이 위치된다. 상기 냉동실(30)과 냉장실(40)의 내측에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동실(30)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2)와, 상기 냉장실(40)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4)가 포함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22)와 냉장실 도어(24)는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22)와 냉장실 도어(24)에는 각각 식품의 수납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22) 및/또는 냉장실 도어(24)에는 필요에 따라서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 홈바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리어(10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리어(100)에는 상기 냉동실(30)과 냉장실(40) 사이의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은, 압축기(50), 응축기(60), 팽창기(70) 및 증발기(11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50)는 상기 응축기(60)와 연결 배관(52)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연결 배관(52)에는 상기 압축기(50)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가 상기 팽창기(70)의 토출 배관(72) 측으로 바이패스되도록 하기 위한 바이패스 배관(90)이 연결된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90) 및 상기 연결 배관(52)은 밸브(92)에 연결된다. 상기 밸브(92)는 일 례로 삼방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결 배관(52)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90) 각각에 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밸브(92)는 냉장고의 일반 모드 동작 시 상기 압축기(50)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응축기(60)로 유동하도록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한다. 상기 밸브(92)는 냉장고의 제상 모드 동작 시 상기 압축기(50)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90)으로 유동하도록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한다. 이와 달리 상기 냉장고의 제상 모드 동작 시 상기 밸브(92)는 상기 압축기(50)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응축기(60)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90)으로 유동하도록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90)에는 냉매의 감압을 위한 감압부(9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기(70) 및 감압부(94)는 모세관 또는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팽창밸브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팽창기(70)의 토출 배관(72)에는 밸브(80)가 연결된다. 상기 밸브(80)는 일 례로 삼방 밸브(three-way valv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80)에는 증발기(110)를 구성하는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이 연결된다. 상기 밸브(80)는 상기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 중 어느 하나로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거나 각 배관(111, 112)으로 동시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냉매 유동 방향을 조절한다. 이와 달리 상기 각 배관(111, 112)에 밸브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배관(111) 및 상기 제 2 배관(112)은 상기 압축기(50)의 입구 측에서 합지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10)는 상기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이 동시에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115)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은 각 열교환 핀(115)을 동시에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10)는 상기 배리어(100)에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리어(1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리어(100)는 상기 냉장실(40)과 냉동실(30)의 내부공간을 각각 형성하는 제 1 인너 케이스(151) 및 제 2 인너 케이스(152)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인너 케이스(151, 152) 중에서 상기 냉동실(30)과 냉장실(40)을 구획하는 부분이 배리어(100)를 구성한다.
상기 배리어(100) 내부에는 단열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재(300)는 진공 단열 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VIP) 및 발포 단열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냉동실(30)을 형성하는 제 1 인너 케이스(151)에는 함몰부(20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함몰부(200)는 상기 냉동실(30)에서 냉장실(40) 측으로 함몰된다. 상기 함몰부(200)에는 상기 증발기(110)와 팬 모터 어셈블리(130)가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200)는 상기 증발기(110)가 수용되는 증발기 수용부(210)와. 냉기의 순환을 위한 팬 모터 어셈블리(130)가 수용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와, 상기 증발기(110)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40)과 냉동실(30)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유로(230)가 포함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는 상기 증발기(110)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함몰 깊이는 상기 증발기(110)의 두께 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증발기(110)를 구성하는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은 도 5에서 볼 때 좌우 방향(냉장고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각 배관(111, 112)은 다수 회 절곡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배관(111)은 상기 제 2 배관(112) 보다 상기 냉동실(3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115)은 상기 냉장고(1)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110)는, 상기 증발기(110)를 상기 배리어(110), 구체적으로 상기 냉동실(30)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51)에 장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장착기구(113)가 포함된다. 상기 각 장착기구(113)는, 상기 증발기(110)의 양 끝단에 위치된다. 상기 각 장착기구(113)는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115)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115)의 양측 끝단에 배치되는 열교환 핀이 장착기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착기구(113)의 상측부에는 상기 제 1 인너 케이스(151)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114)가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를 형성하는 함몰면(211)에는 상기 후크(114)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2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인너 케이스와 상기 제 2 인너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215)를 커버하는 커버부(216)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216)는 상기 함몰면(2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16)는 상기 제 1 인너 케이스(151)와 상기 제 2 인너 케이스(152) 사이로 발포액이 충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개구부(215)를 통하여 발포액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증발기(110)를 상기 배리어(10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크(114)를 상기 개구부(215)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1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후크(114)가 상기 함몰면(211)에 걸리게 되어 상기 증발기(110)의 위치가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증발기(110)가 후크에 의해서 상기 배리어(100)에 고정되는 것이 개시되나, 이와 달리 스크류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배관(111, 112)은 원형의 튜브이거나, 내부에 다수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마이크로 채널튜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하측부에는 상기 냉장실(40)의 냉기가 유입되기 위한 냉기 입구(212)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입구(212)에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입구 그릴(214)이 설치된다.
상기 냉기 입구(212)는 상기 냉장실(40) 내부에 구비되는 서랍 등이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2)의 개방시 외측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10)의 하방에는 제상 운전시 발생하는 제상수 또는 응축수를 배출을 안내하는 안내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120)는 양측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캐비닛(10)의 기계실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120)는 상기 배리어(10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 상기 안내부재(1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상방에는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가 제공된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30)는, 모터(132), 송풍팬(134), 및 쉬라우드(136)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134)은 일 례로 회전축 방향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원심팬이 사용되며, 송풍 능력이 우수한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32)와 송풍팬(134)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134)이 장착된 상기 모터(132)는 별도의 장착부재를 통해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36)에는 유입구(137)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37)를 통과한 냉기는 상기 송풍팬(134)에 의해서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쉬라우드(136)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에 장착되거나 후술할 배리어 커버(400)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배리어 커버(400)에 상기 쉬라우드(136)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34)과 결합된 상기 모터(132)는 상기 쉬라우드(136)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양측에는 냉기 안내부(222)가 제공된다. 상기 냉기 안내부(222)는 상기 증발기(110)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쉬라우드(136) 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냉기 안내부(22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줄어든다. 상기 각 냉기 안내부(222)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함몰 깊이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 및 후술할 냉기 유로(230)의 함몰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를 형성하는 면(221)은 상기 쉬라우드(136)와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10)를 통과한 냉기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를 형성하는 면(221)과 상기 쉬라우드(136) 사이의 공간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유입구(137)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를 형성하는 면(211)과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를 형성하는 면(221)은 연결부(240)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40)는 경사진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의 냉기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의 상방에는 냉기 유로(230)가 제공된다. 상기 냉기 유로(230)는 상기 쉬라우드(136)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40)과 냉동실(30)로 안내한다.
상기 냉기 유로(230)의 상측부에는 상기 냉장실로 냉기가 토출되기 위한 냉기 출구(232)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출구(232)에는 토출되는 냉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출구 그릴(234)이 장착 또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 유로(230)에는 상기 냉기 출구(232)로 냉기가 선택적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냉기 조절장치(140)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조절장치(140)는 댐퍼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출구(232)와 상기 냉기 수용부(230)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냉기 출구(232)가 상기 냉기 수용부(230)와 연통되는 경우에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4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냉기 조절장치(140)가 상기 냉기 수용부(230)와 상기 냉기 출구(232)의 연통을 차단하는 경우, 냉기는 상기 냉기 출구(232) 측으로로 유동하지 않고, 상기 냉동실(30)로만 유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몰부(200)는 배리어 커버(400)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배리어 커버(4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200)를 커버하여 상기 배리어(100)의 측면 일부 즉, 상기 냉동실(30)의 내측 벽면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리어 커버(400)는 상기 배리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리어(100)의 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리어 커버(400)는 단일의 판재이거나, 다수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일 례로 상기 배리어 커버(40)가 두 개의 판재로 구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즉, 상기 배리어 커버(400)는 제 1 커버(402)와 상기 제 1 커버(402)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 2 커버(404)가 포함된다.
상기 각 커버(402, 404)에는, 상기 배리어(100)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배리어(100)에는 상기 장착부(440)가 수용되는 수용홈(250)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440)가 상기 수용홈(250)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가 상기 장착부(440) 및 상기 수용홈(25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402)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를 커버한다. 상기 제 1 커버(402)는 상기 냉동실(30)의 냉기가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냉기 입구(4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402)에는 상기 증발기(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4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가이드(420)는 상기 증발기(110)의 장착기구(113)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404)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 및 상기 냉기 유로(230)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버(404)에는 냉기가 상기 냉동실(30)로 토출되기 위한 다수의 냉기 출구(410)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냉동실 측에서 바라본 배리어 내의 냉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냉장실 측에서 바라본 배리어 내의 냉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압축기(50)가 동작되고,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송풍팬(134)이 회전된다. 상기 송풍팬(13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냉동실(30)의 냉기 및 상기 냉장실(40)의 냉기가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의 초기 작동 시에는,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 각각의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냉장실(40) 각각으로 냉기가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냉장실(40)로 냉기가 공급되기 위해서는 상기 냉기 조절장치는 상기 냉기 수용부(230)와 상기 냉기 출구(234)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상기 밸브(80)는, 상기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으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유로를 조절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증발기(1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된 후에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 수용부(210)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냉기는 상기 연결부(240)를 따라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수용부(22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 다음, 냉기는 상기 냉기 유로(230)로 안내된다. 상기 냉기 유로(230)로 안내된 냉기는 상기 냉기 출구(232, 410)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30) 및 냉장실(40)로 토출된다.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냉장실(40)로 토출되는 냉기에 의해서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냉장실(40)의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냉장실(40)로 냉기가 공급되는 중에, 상기 냉장실(40)이 설정온도에 도달한 반면, 상기 냉동실(30)이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40)로의 냉기 공급이 차단된다.
상세히, 상기 냉기 조절장치(140)가 상기 냉기 출구(232)와 상기 냉기 수용부(230)의 연통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10)와 열교환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30)로만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냉동실(30)이 설정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40)의 설정 온도 도달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제 1 배관(111) 및 상기 제 2 배관(112)으로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냉장실(40)로 냉기가 공급되는 중에, 상기 냉동실(30)이 설정온도에 도달한 반면, 상기 냉장실(40)이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배관(111)으로만 냉매가 유동된다. 즉, 상기 밸브(80)는 냉매가 상기 제 1 배관(111)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 2 배관(112)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냉매 유로를 조절한다.
물론, 상기 증발기(110)와 열교환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30)로도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40)의 설정 온도는 상기 냉동실(30)의 설정 온도 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으로 동시에 냉매가 유동될 필요는 없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 1 배관(111)으로만 냉매를 유동시켜도 상기 냉동실(4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제 1 배관(111)으로만 냉매를 유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50)의 출력을 낮출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배관(111)으로만 냉매가 유동되는 경우는, 상기 증발기(110)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증발기(110)의 일부만 작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배관(111) 및 상기 제 2 배관(111) 중 상대적으로 상기 냉장실(40)과 거리가 먼 제 1 배관(111)으로만 냉매가 유동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냉장실(40)과 상기 증발기(110)(또는 증발기 수용부)가 열교환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냉장실(40)로 냉기가 공급되는 중에,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냉장실(40)이 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50) 및 상기 모터(132)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냉기가 상기 증발기(11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10)는 착상된다. 상기 증발기(110)가 착상되면, 상기 증발기(110)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110)의 성에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냉장고는 제상 모드로 운전하게 된다.
상기 냉장고가 제상 모드로 운전하게 되면, 상기 밸브(92)는, 상기 압축기(50)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90)으로 유동되도록 냉매 유로를 조절한다. 상기 바이스패스 배관으로 유동된 냉매는 상기 감압부(94)를 통과하면서 감압된 후에 상기 증발기(110)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바이패스 배관(90)의 냉매는 상기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 중 어느 한 배관으로 유동하거나, 상기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으로 동시에 유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상량이 적은 경우에는 다수의 배관 중 어느 한 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하고, 착상량이 많은 경우에는 각 배관으로 냉매가 동시에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상운전 조건 판단은 공지의 조건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착상량은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증발기 수용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와 제 2 기준 온도(제 1 기준 온도 보다 낮음)보다 낮은 경우에는 복수의 배관 중 어느 한 배관으로 바이패스된 냉매가 유동되도록 하고,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복수의 배관 모두로 바이패스된 냉매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10)로 상기 바이패스 배관(90)의 냉매가 유동되면, 상기 증발기(110)를 냉매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40)에 생성된 성에가 제거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제상 히터 없이도 상기 증발기(110)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압축기(50)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11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증발기(110) 전체에 형성된 성에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증발기를 구성하는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증발기(110)는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배관(111) 및 제 2 배관(112) 각각은 다수 회 절곡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배관(111)의 측방향에 상기 제 2 배관(112)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배관(111)이 상기 제 2 배관(112) 보다 상기 냉동실(3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열교환 핀(115) 또는 상기 장착기구(113)를 좌우 이등분 하는 선(L1)과 상기 배리어 커버(400)까지의 거리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상기 제 1 배관(111)과 상기 제 2 배관(112)의 수평 거리를 이등분하는 선(L2)과 상기 배리어 커버(400) 까지의 거리 보다 길다.
즉, 상기 증발기(110)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각 배관(111, 112)은 상기 냉동실 측으로 치우치게 배열된다. 그 이유는 상기 증발기(110)와 상기 냉장실(40)의 열교환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배관(111, 112)과 상기 각 열교환 핀 중에서 상기 냉장실(40)과 인접한 단부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전도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 배관(111, 112)이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에서 상기 냉동실(3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서는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로 냉기가 공급되는 중에, 상기 냉동실이 설정온도에 도달한 반면 상기 냉장실이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배관(111)으로만 냉매가 유동된다.
도 9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증발기를 구성하는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200)는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배관(201) 및 제 2 배관(202)과 상기 각 배관(201, 202)이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203)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배관(201)은 다수 회 절곡되며,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203)을 상하로 이등분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하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배관(202)은 다수 회 절곡되며,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203)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측부에 위치된다. 즉, 공기의 유동 방향(A)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배관(202)은 상기 제 1 배관(201)의 하류에 위치된다.
따라서, 냉기는 상기 제 1 배관(201)과 열교환된 후에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배관(202)과 열교환된다.
본 실시 예서는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로 냉기가 공급되는 중에, 상기 냉동실이 설정온도에 도달한 반면 상기 냉장실이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배관(111)으로만 냉매가 유동된다.
10: 캐비닛 20: 도어
30: 냉동실 40: 냉장실
100: 배리어 110: 증발기
30: 냉동실 40: 냉장실
100: 배리어 110: 증발기
Claims (9)
-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하고,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며 일측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배리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상방에서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함몰부를 커버하는 배리어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제 1 배관과,
상기 제 1 배관과 독립적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제 2 배관과,
상기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이 동시에 관통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이 포함되며,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 1 배관 및 상기 제 2 배관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냉매가 유동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관 및 상기 제 2 배관 중 일부 또는 전부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냉매 유로를 조절하는 밸브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의 온도와 무관하게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미도달한 경우, 상기 제 1 배관 및 상기 제 2 배관으로 동시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고, 상기 냉장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미도달한 경우, 냉매는 상기 제 1 배관으로만 유동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관과 상기 배리어 커버의 거리는 상기 제 2 배관과 상기 배리어 커버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냉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배관은 상기 제 1 배관의 하류에 위치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열교환 핀을 좌우 이등분 하는 선과 상기 배리어 커버까지의 거리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상기 제 1 배관과 상기 제 2 배관의 수평 거리를 이등분하는 선과 상기 배리어 커버 까지의 거리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상기 냉동실을 형성하는 제 1 인너 케이스의 일부와 상기 냉장실을 형성하는 제 2 인너 케이스의 일부에 의해서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에는 상기 제 1 인너 케이스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기구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인너 케이스에는 상기 장착기구가 걸리기 위한 개구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증발기의 입구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배관이 더 포함되고,
상기 증발기의 제상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을 통하여 상기 증발기 입구 측으로 유동되며,
바이패스된 냉매는 상기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 중 일부 또는 전부로 유동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5163A KR101132554B1 (ko) | 2010-01-20 | 2010-01-20 | 냉장고 |
PCT/KR2010/009627 WO2011081500A2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
EP10841332.9A EP2519793B1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
US13/520,094 US20120285193A1 (en) | 2009-12-31 | 2010-12-31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5163A KR101132554B1 (ko) | 2010-01-20 | 2010-01-20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5395A true KR20110085395A (ko) | 2011-07-27 |
KR101132554B1 KR101132554B1 (ko) | 2012-04-03 |
Family
ID=4492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5163A KR101132554B1 (ko) | 2009-12-31 | 2010-01-20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255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9228A (ko) * | 2014-01-27 | 2015-08-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CN115978867A (zh) * | 2023-01-05 | 2023-04-18 | 湖南绿零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冷柜一体化冷冻结构及冷冻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2612B1 (ko) * | 2001-01-05 | 2002-11-2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386469B1 (ko) * | 2007-05-25 | 2014-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10
- 2010-01-20 KR KR1020100005163A patent/KR1011325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9228A (ko) * | 2014-01-27 | 2015-08-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CN115978867A (zh) * | 2023-01-05 | 2023-04-18 | 湖南绿零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冷柜一体化冷冻结构及冷冻方法 |
CN115978867B (zh) * | 2023-01-05 | 2023-08-29 | 湖南绿零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冷柜一体化冷冻结构及冷冻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2554B1 (ko) | 2012-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08980B2 (ja) | 冷蔵室ドア製氷室の冷気ガイド構造 | |
US10852049B2 (en) | Refrigerator including cryogenic freezing compartment | |
KR101649624B1 (ko) | 냉장고 | |
KR101631904B1 (ko) | 냉장고 | |
EP2519793B1 (en) | Refrigerator | |
EP4015949A1 (en) | Refrigerator | |
US20120272670A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196753B1 (en) | Refrigerator | |
KR102483212B1 (ko) | 냉장고 | |
KR20120011273A (ko) | 냉장고 | |
US10837693B2 (en) | Refrigerator | |
KR101132554B1 (ko) | 냉장고 | |
TWI678506B (zh) | 電冰箱 | |
KR101132548B1 (ko) | 냉장고 | |
KR101635646B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101260559B1 (ko) | 냉장고 | |
KR101132452B1 (ko) | 냉장고 | |
EP4027080A1 (en) | Refrigerator | |
KR20110078656A (ko) | 냉장고 | |
KR101203993B1 (ko) | 냉장고 | |
WO2021042399A1 (zh) | 一种冰箱 | |
KR101132448B1 (ko) | 냉장고 | |
JP2023131655A (ja) | 冷蔵庫 | |
JP2022070727A (ja) | 冷蔵庫 | |
JP2001099580A (ja) | 熱交換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