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10080943A -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943A
KR20110080943A KR1020100001391A KR20100001391A KR20110080943A KR 20110080943 A KR20110080943 A KR 20110080943A KR 1020100001391 A KR1020100001391 A KR 1020100001391A KR 20100001391 A KR20100001391 A KR 20100001391A KR 20110080943 A KR20110080943 A KR 20110080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power
power supply
circui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352B1 (ko
Inventor
김종운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주) 우창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창하이텍 filed Critical (주) 우창하이텍
Priority to KR102010000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3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세대와 중계기 사이의 전원을 검출하여 중계기와 화재검출기 사이의 전원의 흐름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여 엘이디로 디스플레이하고 아울러 단선 여부를 엘이디로 디스플레이토록함으로서 비전문가라도 화재감지선로의 이상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중계기와 화재 감지기 사이로부터 전원라인을 병기하여 화재 감지기와 중계기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회로부와; 상기 입력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으로부터 각종 전압을 검출하는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와; 상기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검출신호 정형부와; 화재 감지기 저전압 기준 전원과 감지기 작동 확인 전원과 단선 기준 전압을 미리 메모리하고, 상기 검출신호 정형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기준 전원과 비교하여 화재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단락 상태인지 또는 합선상태인지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서 감지기의 저전압 상태와 단락 또는 합성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 Detecting System of a Fire Sensing Railroad and Detecting Method}
본 발명은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세대와 중계기 사이의 전원을 검출하여 중계기와 화재검출기 사이의 전원의 흐름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여 엘이디로 디스플레이하고 아울러 단선 여부를 엘이디로 디스플레이토록함으로서 비전문가라도 화재감지선로의 이상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화재 설비라 하면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화재 감지센서가 작동하여 화재 경보발생, 소화설비 및 제연설비 작동 등 인간에게 화재발생 사실을 알려주고 자동소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설비를 말한다.
이때, 감지센서는 통상 주택가의 천정이나 빌딩의 천정에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변화없이 안정되어 있으나, 화재로 인한 연기나 열 발생시 감지센서 내부 회로에 미세한 전류 변화가 발생되어 선로를 도통시킴으로서 화재발생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화재 관리 시스템은 감지기와 수신기 사이의 신호 전송 형태에 따라 P(Proprietary)형 시스템과 R(Recode)형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P형 시스템은 회선별로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를 배선하고, R형 시스템은 시분할 방식등의 전송기술을 사용하여 복수회선의 신호를 동일한 신호선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R형 시스템은 P형 시스템에 비해 선로의 수가 적어 경제적이고, 선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증설 또는 이설이 용이하고, 화재 발생 기구를 숫자로 표시하고, 신호의 전달이 명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R형 시스템은 중계기를 매개로 감지기와 수신기가 서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중계기는 각종 감지기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해주며 상기 수신기의 명령에 따라 각종 소방설비를 제어해줄 뿐만 아니라 자체이상 또는 감지기 선 단선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고 이상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송출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중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중계기는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크게 건물의 벽체 등에 고정 결합되기 위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볼트 등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 결합하는 회로기판(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로기판(20)에는 양단부에 설치되어 각각 수신기, 감지기 및 소방설비들과 정보를 교환하고 중계기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들이 연결되는 터미널(21)이 부속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는 터미널(21)을 제외한 회로기판(20)을 덮어주기 위한 커버(30)가 연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계기의 설치는 건물 벽체에 몸체(10)를 고정하고, 터미널(21) 양단에 감지기, 소방설비, 수신기 및, 전원단자를 연결한 뒤, 몸체(10)에 커버(30)를 덮어주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터미널을 통해 각종 감지기를 연결한 상태에서 중계기가 정확하게 작동하는지 점검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즉, 소방 정기 점검시에 감지기의 정보가 제대로 중계기로 입력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테스터기로 측정해야만 하므로 전문적인 숙련자가 아니면 매우 오랜시간이 걸렸던 것이다.
결국, 종래의 중계기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없기 때문에 저전압 상태인지 단락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숙련자가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일일이 체크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감지기와 중계기 사이에 검출기를 더 부가 장착하고, 상기 검출기의 디스플레이용 엘이디를 이용하여 전원의 단락 여부와 저전압 여부를 출력토록 함으로서 별도로 테스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누구나 쉽게 중계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중계기(20)와 화재 감지기(10) 사이로부터 전원라인을 병기하여 화재 감지기(10)와 중계기(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회로부(100)와;
상기 입력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으로부터 각종 전압을 검출하는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200)와;
상기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검출신호 정형부(300)와;
화재 감지기 저전압 기준 전원과 감지기 작동 확인 전원과 단선 기준 전압을 미리 메모리하고, 상기 검출신호 정형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기준 전원과 비교하여 화재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단락 상태인지 또는 합선상태인지를 파악하는 제어부(마이크로프로세서, 400)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서 감지기의 저전압 상태와 단락 또는 합성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200)는,
16V 이상 전원이 중계기로부터 유기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 작동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정상작동 확인 회로부(210)와,
15V 이하로 전원이 중계기로부터 유기되는지를 판단하여 저전압 상태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저전압 검출 회로부(220)와,
감지기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기 작동검출 회로부(230)와;
플러스 선로가 단락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플러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40)와,
마이너스 선로가 단락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마이너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50)로 이루어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정상작동 확인 회로부(210)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와, 22V의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에 설치하되 16V만이 통과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ZD1)와, 상기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의 출력단과 제너 다이오드(ZD1)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공통 연결되는 제 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 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 정형부(U1A)와, 파형 정형부(U1A)의 출력을 베이스단에 연결하여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 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출력에 따라 22V의 전원을 스위칭 시키는 릴레이(K1)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저전압 검출 회로부(220)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3)와, 16V의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에 설치하되 12V만이 통과 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ZD2)와, 상기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3)의 출력단과 제너 다이오드(ZD2)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공통 연결되는 제 3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3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 정형부(U1B)와, 상기 파형 정형부(U1B)의 출력을 베이스단에 연결하여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 4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 4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4)의 출력에 따라 16V의 전원을 스위칭 시키는 릴레이(K2)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감지기 작동검출 회로부(230)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5)와, 12V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에 설치하되 5.1V만이 통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ZD3)와, 상기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5)의 출력단과 제너 다이오드(ZD3)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공통 연결되는 제 5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5)와, 상기 제 5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5)를 통과한 신호를 제어부(400)로 연결하는 출력포트(RA2)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플러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40)는,
5V 유도용 저항(R17)과, 포토 커플러(U2)와, 포토 커플러(U2)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2V 차단용 다이오드(D6)와, 포토 커플러(U2)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회로에 5V가 인가되는지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RA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마이너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50)는,
5V 유도용 저항(R19)과, 포토 커플러(U3)와, 포토 커플러(U3)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너스 단락 감지용 센서(JP1)와, 포토 커플러(U3)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회로에 5V가 인가되는지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SUB)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중계기와 화재 감지기 사이로부터 전원라인을 병기하여 화재 감지기와 중계기 사이의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으로부터 각종 전압을 검출하되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를 통해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단계와;
화재 감지기 저전압 기준 전원과 감지기 작동 확인 전원과 단선 기준 전압을 미리 메모리하고, 상기 검출신호 정형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기준 전원과 비교하여 화재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단락 상태인지 또는 합선상태인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서 감지기의 저전압 상태와 단락 또는 합성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중계기와 화재 감지기 사이로부터 전원라인을 병기하여 화재 감지기와 중계기 사이의 전원을 입력받는 프로세스와;
상기 입력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으로부터 각종 전압을 검출하되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를 통해 검출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프로세스와;
화재 감지기 저전압 기준 전원과 감지기 작동 확인 전원과 단선 기준 전압을 미리 메모리하고, 상기 검출신호 정형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기준 전원과 비교하여 화재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단락 상태인지 또는 합선상태인지를 파악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서 감지기의 저전압 상태와 단락 또는 합성상태를 표시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지기와 중계기 사이에 검출기를 더 부가 장착하고, 상기 검출기의 디스플레이용 엘이디를 이용하여 전원의 단락 여부와 저전압 여부를 출력토록 하기 때문에 별도로 테스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엘이디 램프만을 확인하는 작업에 의해서 누구나 쉽게 중계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계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감지 시스템 상세 구성도.
도 3, 4는 본 발명의 감지 시스템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지 시스템 상세 구성도.
도 3, 4는 본 발명의 감지 시스템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중계기(20)와 화재 감지기(10) 사이로부터 전원라인을 병기하여 화재 감지기(10)와 중계기(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회로부(100)와;
상기 입력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으로부터 각종 전압을 검출하는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200)와;
상기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검출신호 정형부(300)와;
화재 감지기 저전압 기준 전원과 감지기 작동 확인 전원과 단선 기준 전압을 미리 메모리하고, 상기 검출신호 정형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기준 전원과 비교하여 화재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단락 상태인지 또는 합선상태인지를 파악하는 제어부(마이크로프로세서, 400)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서 감지기의 저전압 상태와 단락 또는 합성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출력표시회로, 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200)는,
16V 이상 전원이 중계기로부터 유기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 작동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정상작동 확인 회로부(210)와,
15V 이하로 전원이 중계기로부터 유기되는지를 판단하여 저전압 상태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저전압 검출 회로부(220)와,
감지기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기 작동검출 회로부(230)와;
플러스 선로가 단락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플러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40)와,
마이너스 선로가 단락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마이너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5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상작동 확인 회로부(210)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와, 22V의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에 설치하되 16V만이 통과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ZD1)와, 상기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의 출력단과 제너 다이오드(ZD1)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공통 연결되는 제 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 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 정형부(U1A)와, 파형 정형부(U1A)의 출력을 베이스단에 연결하여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 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출력에 따라 22V의 전원을 스위칭 시키는 릴레이(K1)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 정상작동 확인 회로부(2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22V의 전압이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과하면서 16V만이 흐르도록 조정하며, 이때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에 의해서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16V의 전압은 제 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와 파형 정형부(U1A) 및 제 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를 지나서 출력포트(UA1)로 향하고 출력포트(UA1)를 통해서 제어부(400)에 인가되면서 정상작동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16V 이하로 전원의 흐름이 유지되면 제너다이오드(ZD1)에서 전원의 흐름이 발생되지 않아 결국 출력포트(UA1)를 통해 발생되는 전원이 존재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제어부(400)는 중계기(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상작동이 되지 않은 상태를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50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반면 16V 이상 전원의 흐름이 유지되면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정상적인 전원의 흐름이 유도되며 출력포트(UA1)를 통해 제어부(400)에 인가하면, 제어부(400)는 중계기(20)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유도됨을 확인하고 이를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50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저전압 검출 회로부(220)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3)와, 16V의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에 설치하되 12V만이 통과 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ZD2)와, 상기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3)의 출력단과 제너 다이오드(ZD2)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공통 연결되는 제 3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3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 정형부(U1B)와, 상기 파형 정형부(U1B)의 출력을 베이스단에 연결하여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 4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 4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4)의 출력에 따라 16V의 전원을 스위칭 시키는 릴레이(K2)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 저전압 검출 회로부(22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저전압 검출 회로부(220)는 12V 이상의 전원이 인가되면 12V의 전압이 출력포트(UA2)를 통해 제어부(400)로 인가되어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너 다이오드(ZD2)를 통과하면서 12V의 전압만이 유기된다. 이때 12V 이하로 전원이 유기되면 제너 다이오드(ZD2)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값이 존재하지 않게 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를 통해 제어부(400)로 출력되는 전원이 없게 되어 제어부(400)에서는 저전압 상태로 전원이 유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감지기 작동검출 회로부(230)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5)와, 12V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에 설치하되 5.1V만이 통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ZD3)와, 상기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5)의 출력단과 제너 다이오드(ZD3)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공통 연결되는 제 5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5)와, 상기 제 5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5)를 통과한 신호를 제어부(400)로 연결하는 출력포트(RA2)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 감지기 작동검출 회로부(23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감지기 작동검출 회로부(230)는 5V 이상의 전원이 유기되면 제너 다이오드(ZD3)를 통해 전원이 유기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만약에 입력되는 전원이 5V이하이면 제너 다이오드(ZD3) 및 제 5 스위칭 트랜지스터(Q5)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제어부(400)는 중계기(20)로 제공되는 전원이 없음을 알 수 있고, 이를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50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플러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40)는,
5V 유도용 저항(R17)과, 포토 커플러(U2)와, 포토 커플러(U2)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2V 차단용 다이오드(D6)와, 포토 커플러(U2)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회로에 5V가 인가되는지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RA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스 라인 단락 검출부(240)는 회로의 플러스 라인이 단락되었는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에 회로가 단락된 경우에는 포토 커플러(U2)가 작동되면서 출력포트(RA3)를 통해 제어부(400)로 신호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플러스 라인이 단락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50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마이너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50)는,
5V 유도용 저항(R19)과, 포토 커플러(U3)와, 포토 커플러(U3)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너스 단락 감지용 센서(JP1)와, 포토 커플러(U3)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회로에 5V가 인가되는지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SU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너스 라인 단락 검출부(250)는 회로의 마이너스 라인이 단락되었는가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너스 단락 감지용 센서(JP1)에 의해서 단락이 감지되면 포토 커플러(U3)를 통해 신호가 제어부(400)로 유기되고, 제어부(400)는 마이너스 라인이 단락되었음을 파악하며, 이에 따라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500)을 통해 마이너스 라인이 단락되었음을 통보한다.
본발명의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500)은 엘이디 램프 2개를 쌍으로 연결한 3개조의 엘이디 램프를 출력토록 이루어지는바, 예컨대, 정상일 경우 엘이디 램프 1번조(LD1, LD2)의 녹색램프(GR)가 점등되도록 하고, 저전압일 경우 엘이디 램프 2번조(LD3, LD4)의 적색램프(RD)가 점등되도록 하며, 감지기 동작시 엘이디 램프 1번조(LD1, LF2)의 적색램프(RD)가 점등되도록 하고, 플러스 라인 선로 단락시에 엘이디 램프 2번조(LD3, LD4)의 녹색램프(GR)가 점등되도록 한다. 마이너스 라인 선로 단락시에 엘이디 램프 3번조(LD5, LD6)의 녹색램프(GR)가 점등된다. 그리고, 합선시에는 엘이디 3번조(LD5, LD6)의 적색램프(RD)가 점등되도록 프로그램한다.
물론, 상기 엘이디 램프의 동작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운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의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입력회로부
200: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
210: 정상작동 확인 회로부
220: 저전압 검출 회로부
230: 감지기 작동검출 회로부
240: 플러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
250: 마이너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
300: 검출신호 정형부
400: 제어부
500: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

Claims (8)

  1. 중계기(20)와 화재 감지기(10) 사이로부터 전원라인을 병기하여 화재 감지기(10)와 중계기(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회로부(100)와;
    상기 입력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으로부터 각종 전압을 검출하는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200)와;
    상기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검출신호 정형부(300)와;
    화재 감지기 저전압 기준 전원과 감지기 작동 확인 전원과 단선 기준 전압을 미리 메모리하고, 상기 검출신호 정형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기준 전원과 비교하여 화재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단락 상태인지 또는 합선상태인지를 파악하는 제어부(마이크로프로세서, 400)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서 감지기의 저전압 상태와 단락 또는 합성상태를 표시하는 엘이디 디스플레이 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200)는,
    16V 이상 전원이 중계기로부터 유기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 작동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정상작동 확인 회로부(210)와,
    15V 이하로 전원이 중계기로부터 유기되는지를 판단하여 저전압 상태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저전압 검출 회로부(220)와,
    감지기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기 작동검출 회로부(230)와;
    플러스 선로가 단락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플러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40)와,
    마이너스 선로가 단락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마이너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50)로 이루어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정상작동 확인 회로부(210)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와, 22V의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에 설치하되 16V만이 통과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ZD1)와, 상기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의 출력단과 제너 다이오드(ZD1)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공통 연결되는 제 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 1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 정형부(U1A)와, 파형 정형부(U1A)의 출력을 베이스단에 연결하여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 2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출력에 따라 22V의 전원을 스위칭 시키는 릴레이(K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검출 회로부(220)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3)와, 16V의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에 설치하되 12V만이 통과 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ZD2)와, 상기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3)의 출력단과 제너 다이오드(ZD2)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공통 연결되는 제 3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3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파형을 정형하는 파형 정형부(U1B)와, 상기 파형 정형부(U1B)의 출력을 베이스단에 연결하여 출력을 스위칭하는 제 4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 4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4)의 출력에 따라 16V의 전원을 스위칭 시키는 릴레이(K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작동검출 회로부(230)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5)와, 12V 전원이 인가되는 지점에 설치하되 5.1V만이 통되도록 하는 제너 다이오드(ZD3)와, 상기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5)의 출력단과 제너 다이오드(ZD3)의 출력단에 베이스단이 공통 연결되는 제 5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5)와, 상기 제 5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5)를 통과한 신호를 제어부(400)로 연결하는 출력포트(RA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플러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40)는,
    5V 유도용 저항(R17)과, 포토 커플러(U2)와, 포토 커플러(U2)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2V 차단용 다이오드(D6)와, 포토 커플러(U2)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회로에 5V가 인가되는지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RA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마이너스 라인 선로 단락 검출부(250)는,
    5V 유도용 저항(R19)과, 포토 커플러(U3)와, 포토 커플러(U3)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너스 단락 감지용 센서(JP1)와, 포토 커플러(U3)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회로에 5V가 인가되는지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SUB)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
  7. 중계기와 화재 감지기 사이로부터 전원라인을 병기하여 화재 감지기와 중계기 사이의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으로부터 각종 전압을 검출하되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를 통해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단계와;
    화재 감지기 저전압 기준 전원과 감지기 작동 확인 전원과 단선 기준 전압을 미리 메모리하고, 상기 검출신호 정형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기준 전원과 비교하여 화재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단락 상태인지 또는 합선상태인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서 감지기의 저전압 상태와 단락 또는 합성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방법.
  8. 중계기와 화재 감지기 사이로부터 전원라인을 병기하여 화재 감지기와 중계기 사이의 전원을 입력받는 프로세스와;
    상기 입력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으로부터 각종 전압을 검출하되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를 통해 검출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작동신호 검출 회로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프로세스와;
    화재 감지기 저전압 기준 전원과 감지기 작동 확인 전원과 단선 기준 전압을 미리 메모리하고, 상기 검출신호 정형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기준 전원과 비교하여 화재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단락 상태인지 또는 합선상태인지를 파악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서 감지기의 저전압 상태와 단락 또는 합성상태를 표시하는 프로세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선로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00001391A 2010-01-07 2010-01-07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101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391A KR101101352B1 (ko) 2010-01-07 2010-01-07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391A KR101101352B1 (ko) 2010-01-07 2010-01-07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943A true KR20110080943A (ko) 2011-07-13
KR101101352B1 KR101101352B1 (ko) 2012-01-02

Family

ID=4491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391A KR101101352B1 (ko) 2010-01-07 2010-01-07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3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266B1 (ko) * 2011-09-08 2013-06-04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화재 감지 선로의 오류에 유연한 중계기 및 r형 화재 경보 수신기 시스템
KR101350694B1 (ko) * 2011-11-03 2014-01-14 프로테크주식회사 선로단선 검출기능을 구비한 입력중계기
KR101349679B1 (ko) * 2011-11-03 2014-01-14 프로테크주식회사 화재시험 및 복구기능을 구비한 입력중계기
KR101349677B1 (ko) * 2011-11-03 2014-01-14 프로테크주식회사 화재경보 출력중계기
CN107069965A (zh) * 2017-04-17 2017-08-18 李亮棠 配电网跨步电压漏电报警装置及供电辖区配电网漏电监控系统
KR101862672B1 (ko) * 2017-12-28 2018-05-31 (주)온리정보통신 단선 알림 기능의 통신 루프 방식의 화재 감지 경보 시스템
KR101877359B1 (ko) * 2017-03-02 2018-07-13 광주과학기술원 화재 감시 시스템의 단선 검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201B1 (ko) 2021-03-09 2021-08-27 (주)전원테크 단선 및 단락을 감시할 수 있는 소방설비용 중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9602B2 (ja) * 1994-11-30 2002-11-25 能美防災株式会社 伝送線路状態検出装置
KR100492012B1 (ko) * 2002-10-08 2005-05-31 대우정보기술 주식회사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KR20090097407A (ko) * 2008-03-11 2009-09-16 정명철 유선·무선 복합형 자동화재탐지설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266B1 (ko) * 2011-09-08 2013-06-04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화재 감지 선로의 오류에 유연한 중계기 및 r형 화재 경보 수신기 시스템
KR101350694B1 (ko) * 2011-11-03 2014-01-14 프로테크주식회사 선로단선 검출기능을 구비한 입력중계기
KR101349679B1 (ko) * 2011-11-03 2014-01-14 프로테크주식회사 화재시험 및 복구기능을 구비한 입력중계기
KR101349677B1 (ko) * 2011-11-03 2014-01-14 프로테크주식회사 화재경보 출력중계기
KR101877359B1 (ko) * 2017-03-02 2018-07-13 광주과학기술원 화재 감시 시스템의 단선 검사 방법
CN107069965A (zh) * 2017-04-17 2017-08-18 李亮棠 配电网跨步电压漏电报警装置及供电辖区配电网漏电监控系统
CN107069965B (zh) * 2017-04-17 2024-04-0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中山供电局 配电网跨步电压漏电报警装置及供电辖区配电网漏电监控系统
KR101862672B1 (ko) * 2017-12-28 2018-05-31 (주)온리정보통신 단선 알림 기능의 통신 루프 방식의 화재 감지 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352B1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352B1 (ko) 화재감지선로 검출 시스템과 검출 방법 및 상기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911371B1 (ko)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KR20130121461A (ko) 레일 손상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CN104867264A (zh) 一种火灾预警方法和系统
CN105102995A (zh) 用于通过使用罗氏线圈来检测核电站中的备用变压器的连接线断相的设备
CN110281977B (zh) 一种计轴设备
CN110281976B (zh) 一种计轴系统
CN205469123U (zh) 一种可替代铁路信号机灯丝继电器的安全监测报警控制装置
CN201107352Y (zh) 高压带电显示安防装置
KR101594859B1 (ko) 계전기 로직을 이용한 자동폐색제어장치
KR102060467B1 (ko) 개선된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방법
KR20100108703A (ko) 에이에프 궤도회로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CA2435333C (en) Method of an apparatus for testing wiring
JP2013001364A (ja) 踏切警報機機能確認装置
CN205610350U (zh) 一种继电保护硬压板远程监控装置
KR101621821B1 (ko) 지능형 배전반 안전경보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배전반 안전경보 방법
JP6189113B2 (ja) 鉄道信号ケーブル断線検知器
KR102143332B1 (ko) 단선 시에도 작동되는 자동 화재탐지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감지회선 절환장치
KR20130032162A (ko) 화재 감지 장치
KR102365055B1 (ko) 선로변기능모듈의 모니터링 장치
KR100844755B1 (ko) 무절연 궤도회로 랙용 듀얼 에스엠피에스 장치
EP3270174B1 (en) Test arrangement
JP2018054398A (ja) 地絡電流検出器
KR101303316B1 (ko)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