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10070541A -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541A
KR20110070541A KR1020090127399A KR20090127399A KR20110070541A KR 20110070541 A KR20110070541 A KR 20110070541A KR 1020090127399 A KR1020090127399 A KR 1020090127399A KR 20090127399 A KR20090127399 A KR 20090127399A KR 20110070541 A KR20110070541 A KR 20110070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lar cell
amorphous silicon
thin film
silic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식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0541A/ko
Publication of KR2011007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는 투명기판상에 형성된 투명전극층;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형성되고, p+형 비정질실리콘층과 진성 비정질실리콘층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으로 구성된 반도체층; 상기 n+형 비정질실리콘층 상에 형성된 나노와이어층 (nanowire); 상기 나노와이어층 상에 형성된 배면전극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명전극층, 배면반사층, 나노와이어층(nanowire), 배면전극층

Description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FOR FABRICAIT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막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화시키는 태양광 발전의 핵심 소자로 현재 우주에서부터 가정에 이르기까지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기본적으로 pn 접합으로 구성된 다이오드로서 그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태양전지의 pn 접합에 반도체의 에너지 밴드 갭보다 큰 에너지를 가진 태양광이 입사되면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이들 전자-전공이 pn 접합부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층으로, 정공은 p층으로 이동함에 따라 pn간에 광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태양전지의 양단에 부하나 시스템을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태양전지는 광 흡수층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광 흡수층으로 실리콘을 이용하는 실리콘계 태양전지가 대표적이다.
실리콘계 태양전지는 기판형[단결정(single crystal), 다결정(poly crystal)] 태양전지와, 박막형[비정질(amorphous), 다결정(poly crystal)] 태양전지로 구분된다.
이외에도 태양전지의 종류에는 CdTe나 CIS(CuInSe2)의 화합물 박막 태양 전지, Ⅲ-Ⅴ족 태양전지, 염료감응 태양전지, 유기 태양전지 등을 들 수 있다.
단결정 실리콘 기판형 태양전지는 다른 종류의 태양전지에 비해서 변환 효율이 월등히 높다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단가가 높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다결정 실리콘 기판형 태양전지 역시 단결정 실리콘 기판형 태양전지보다는 제조 단가가 저렴할 수 있지만, 벌크 상태의 원재료로부터 태양전지를 만드는 점은 단결정 실리콘 기판형 태양전지와 다를 바 없기 때문에, 원재료비가 비싸고 공정 자체가 복잡하여 제조단가 절감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기판형 태양전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리와 같은 기판위에 광흡수층인 실리콘을 박막 형태로 증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는 기판형 실리콘 태양전지의 두께보다 매우 작은 두께만으로도 태양전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 중 가장 처음 개발되고 현재 주택용 등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이 비정질 실리콘 박막형 태양전지이다.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비정 질 실리콘을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어서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한 대신에 비정질 실리콘 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실리콘 원자의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 때문에 변환효율이 기판형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너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낮은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태양광 흡수, 전하 생성 및 전하 분리, 전하 수집을 위한 물질 및 소자 구조 개선에 대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론적으로 비정질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투명전극, 광흡수창(optical window; p+), 광흡수층(a-Si:H) 각 물질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개선되어야 하며, 투명전극의 경우 광학적 투과도 증가와 전기적 저항이 감소되어야 하며, 흡수창의 경우 광학적 밴드갭과 광투과도가 증가해야 한다. 또한, 광흡수층의 경우에는 최대의 광흡수와 더블어 효과적인 전하 분리를 위한 막내 결함 밀도 감소를 실현시켜야 한다.
현재 박막 태양전지 기술은 벌크형 태양전지에 비해 대형화 및 생산성 등의 우위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효율 및 공정방식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점유율에서 벌크형 태양전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전 세계에서는 박막형 태양전지의 효율 및 공정조건을 개선하고, 최적의 구조 및 신 재료를 개발하는데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특히, 이러한 태양전지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안 중에 하나가 배면반사층 (back reflector)을 추가하는 구조이다. 이 배면반사층은 빛이 태양전지로 들어가서 전력을 생산하고 통과해서 나오는 빛을 다시 반사시켜 전력을 재생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층으로, 보통 투명전도성 산화물박막(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인 산화아연(ZnO)이 사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면반사층으로 산화아연 박막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대해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에 있어서, 배면반사층으로 통해 광이 투과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 (11) 상에 투명기판 쪽에서 입사되는 태양광의 투과를 위하여 투명 전도성 산화물 (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로 구성된 투명도전층(13)과; 상기 투명도전층(13) 상에 적층되고, 광이 흡수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p+형 비정질실리콘층 (105p)과, 광을 흡수하는 진성(i형) 비정질 실리콘층(105i)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105n)으로 구성된 반도체층(15)과; 상기 반도체층(15) 상에 형성된 배면반사층 (17)과; 상기 배면반사층(17) 상에 형성된 배면전극층(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투명기판(11) 상에 투명기판 쪽에서 입사되는 태양 광의 투과를 위하여 투명 전도성 산화물 (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을 증착하여 투명도전층(13)을 형성한다.
그다음, 상기 투명도전층(13) 상에 p+형 비정질실리콘층 (15p)을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증착한다. 이때, 상기 p+형 비정질 실리콘층(15p)은 광이 흡수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광흡수창 (optical window)으로 사용한다.
이어서, 상기 광흡수창으로 이용하는 p+형 비정질 실리콘층(15p) 상에 진성 (intrinsic) 비정질실리콘층(a-Si:H)(15i)을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증착한다. 이때, 상기 진성 비정질실리콘층(15i)은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광 흡수층의 역할을 하며, 활성층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 다음, 상기 진성 비정질실리콘층(15i) 상에 n+형 불순물이 도핑된 n+형 비정질실리콘층(15n)을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증착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p+형 비정질실리콘층(15p), 진성 비정질실리콘층(15i)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15n)은 태양전지의 반도체층(15)을 구성한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층(15)의 n+형 비정질실리콘층(15n) 상에 상기 투명도전층(13)과 유사한 재질인 투명 전도성 산화물을 스퍼터링법(sputterning)으로 증착하여 배면반사층(17)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배면반사층(17) 상에 스퍼터링법을 알루미늄(Al) 이나 게르마늄(Ga)을 증착하여 배면전극층(25)을 형성함으로써 태양전지 제조를 완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제조시에, 상기 배면반사층으로 사용하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 재질인 산화아연(ZnO)에 의한 반사 효과는 굴절율의 차이에 의한 반사 효과와 실리콘과 금속 간의 실리사이드(silicide)를 방지하여 반사율을 개선할 뿐, 도 2에서와 같이, 막의 자체적인 빛의 반사 효과는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태양전지 셀의 효율 증가에는 제한적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배면반사층 증착시에 스퍼터링용 진공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비용 문제이나 공정시간의 증가 또는 향후에 적용될 플렉서블 태양전지 셀 제조공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투명 전도성 산화물박막은 스트레스(stress)를 받으면 깨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차세대 태양전지인 플렉서블 태양전지 기술에 적용이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빛의 반사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노와이어로 배면반사층 대체가 가능하여 스퍼터링 장비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용해법(solution method) 적용이 가능하므로 박막 태양전지 제조시의 제조 공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깨지는 성질이 있는 기존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박막대신에 나노와이어를 배면반사층으로 적용할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인 플렉서블(flexible) 태양전지 기술에 적용이 가능한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는 투명기판상에 형성된 투명전극층;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형성되고, p+형 비정질실리콘층과 진성 비정질실리콘층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으로 구성된 반도체층; 상기 n+형 비정질실리콘층 상에 형성된 나노와이어층(nanowire); 상기 나노와이어층 상에 형성된 배면전극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투명기판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p+형 비정질실리콘층과 진성 비정질실리콘층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을 연속해서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비정질실리콘층 표면에 나노와이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와이어층 상에 배면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배면반사층으로 사용되었던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 대신에 자체 반사 효과를 지니고 있는 나노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빛의 반사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자체 반사 효과를 지니고 있는 나노와이어로 배면반사층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스퍼터링 장비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용해법(solution method) 적용이 가능하므로 박막 태양전지 제조시의 제조 공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깨지는 성질이 있는 기존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박막 대신에 자체 반사 효과를 지니고 있는 나노와이어를 적용할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인 플렉서블(flexible) 태양전지 기술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에 있어서, 나노와어어층을 통해 광이 반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101) 상에 형성되고, 투명전극층(103)과; 상기 투명전극층(103) 상에 적층되고, 상기 광 흡수 통로 역할을 담당하는 p+형 비정질 실리콘층(105p)과, 광을 흡수하는 흡수층으로 사용되는 진성(i형) 비정질실리콘층(105i)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105n)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105)과; 상기 반도체층(105) 상에 형성되고, 다수의 나노와이어(107a)가 포함된 나노와이어층(nanowire)(107) 및; 상기 나노와이어층(107) 상에 형성된 배면전극층(10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전극층(103)은 투명기판(101) 쪽에서 입사되는 태양 광의 투과를 위하여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용으로는 산화아연(ZnO)이 사용되거나, 그 이외에 ZnO:B, ZnO:Al, SnO2:F, ITO 등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박막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층(103) 표면에는 다수의 뾰족한 형태의 요철(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투명기판(101) 표면은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텍스처링(texturing)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처링이란 태양전지의 기판 표면에 입사되는 빛의 반사에 의한 광학적 손실에 의해 그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에서 사용되는 기판의 표면을 거칠게 만드는 것, 즉 투명기판(101) 표면에 요철(미도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텍스처링으로 투명기판 표면이 거칠어지면 한번 반사된 빛이 재반사되어 입사된 빛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므로써 광 포획량이 증가되어 광학적 손실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박막 태양전지에서 태양 광은 상기 p+형 비정질실리콘층(105p)을 통하여 진성(i형) 비정질실리콘층(105n)에 입사되도록 하는 것이 태양전지의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태양 광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정공의 표동 이동도(drift mobility) 차이를 고려한 것으로서, 정공의 표동 이동도가 전자에 비해 낮기 때문에 태양 광에 의한 캐리어의 수집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캐리어들이 p+형 비정질실리콘층(105p)/i형 비정질실리콘층(105i) 계면에서 생성하도록 하여 정공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와이어층(nanowire)(107) 내에는 다수의 나노와이어(107a)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나노와이어(107a)는 자체적인 반사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면전극층(109)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박막이나, 반사도 및 전도도가 우수한 Al, Ag를 포함하는 금속물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 공정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투명기판(101)상에 투명기판(101) 쪽에서 입사되는 태양 광의 투과를 위하여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재질을 증착하여 투명전극층(10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 재질로는 산화아연(ZnO)이 사용되거나, ZnO:B, ZnO:Al, SnO2:F, ITO 등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박막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층(103)은 화학기상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법과 같은 물리 증기 증착법(PVD; physical vapor disposition)으로 증착한다.
그 다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투명전극층(103) 표면에는 다수의 뾰족한 형태의 요철(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투명기판(101) 표면은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텍스처링(texturing)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처링이란 태양전지의 기판 표면에 입사되는 빛의 반사에 의한 광학적 손실에 의해 그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에서 사용되는 기판의 표면을 거칠게 만드는 것, 즉 투명기판(101) 표면에 요철(미도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텍스처링으로 투명기판 표면이 거칠어지면 한번 반사된 빛이 재반사되어 입사된 빛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므로써 광 포획량이 증가되어 광학적 손실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투명기판(101) 상에 투명전극층 (103)을 형성하기 전에 반사방지층(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반사방지층은 기판을 통하여 입사된 태양 광이 비정질실리콘층에 흡수되지 못하고 바로 외부로 반사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반사 방지층의 형성방법으로는 저압화학 기상 증착법(low pressure chemical deposition; LPCVD) 및 PECV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론(Boron) 가스와 실란(SiH4) 가스를 화학기상 증착챔버(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내로 주입하면서 화학기상증착법(CVD)을 이용한 증착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투명전극층(103) 상에 p+형 비정질실리콘층(105p)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p+형 비정질실리콘층(105p)의 증착방법으로는, LPCVD법, PECVD법, 열선 화학기상증착(hot wi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법 등과 같은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등을 포함한다.
그 다음, 실란(SiH4) 가스를 화학기상 증착챔버(CVD) 내로 주입하면서 화학기상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한 증착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p+형 비정질실리콘층(105p) 상에 진성(i형) 비정질실리콘층(105i)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진성 비정질실리콘층(105i)의 증착방법으로는, LPCVD법, PECVD법, 열선 화학기상증착(hot wi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법 등과 같은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등을 포함한다. 이때, 태양전지에서 태양 광은 p+형 비정질실리콘층(105p)을 통하여 i형인 진성 비정질실리콘층(105i)에 입사되도록 하는 것이 태양전지의 효율 측면에세 바람직하다. 이는 태양광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정공의 표동 이동도(drift mobility) 차이를 고려한 것으로서, 정공의 표동 이동도가 전자에 비해 낮기 때문에 태양광에 의한 캐리어의 수집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캐리어들이 p형 비정질실리콘층(105p)/진성 비정질실리콘층(105i) 계면에서 생성하도록 하여 정공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포스핀(PH3)(phosphine) 가스와 실란 (SiH4) 가스를 화학기상 증착챔버(CVD) 내로 주입하면서 화학기상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한 증착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진성 비정질실리콘층(105i) 상에 n+형 비정질실리콘층(105n)을 형성한다. 이때, 증착방법으로는, 상기 진성 비정질실리콘층(105i)의 증착방법과 동일한 LPCVD법, PECVD법, 열선 화학기상증착(hot wi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법 등과 같은 화학 기상 증착법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등을 포함한다.
그 다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g 와이어 잉크를 스핀 코터(spin- coater) 또는 슬릿 코팅(slit coating)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n+형 비정질실리콘층 (105n) 상에 코팅하여 나노와이어층(107)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나노 와이어층 (107) 코팅 공정은, 스핀 코터(spin - coater) 또는 슬릿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Ag 와이어 잉크를 기판 상에 도포하고, 50∼150 ℃ 온도의 핫 플레이트(hot plate)에서 5∼20분 동안 베이킹(baking)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Ag 와이어 잉크 대신에 반사도가 우수한 다른 금속 와이어 잉크 또는 분말 형태의 금속 와이어도 사용가능하다.
이어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와어어층(107) 상에 금속물질을 증착하여 배면전극층(109)을 형성함으로써 박막 태양전지 제조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배면전극층(109)의 재질로는 반사도 및 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Al), 은(Ag)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이면 바람직하며, 이의 형성방법은 열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 등과 같은 물리 기상 증착법 등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의 투과도 및 광산도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Ag 나노와이어에 있어서, RPM에 따른 면저항 및 투과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Ag 나노와이어에 있어서, 광 산란도에 따른 면저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Ag 나노와이어(nanowire) 잉크를 스핀-코터(spin - coater)를 이용하여 100×100 mm 글라스 상에 코팅한 경우를 예로 들었다.
도 6을 참조하면, RPM 분리(split)는 300, 400, 500, 1000, 1500, 2000, 2500 rpm으로 진행하였다. 이때, 면저항은 rpm 증가에 따라 14 Ω/sq 에서 130 Ω/sq 로 증가하였고, 투과도 역시 93% 에서 98.86으로 증가하였다. 단, 투과도는 550 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면저항(Rs)의 면내 균일도는 10%을 나타냈다. 따라서, 면저항과 투과도 만을 고려했을 때, 횡전계 모드의 액정표시장치(IPS LCD) 의 화소전극 용으로는 약 2000 rpm이하이어야 바람직하며, TN LCD 의 화소전극 용으로는 약 400 rpm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RPM 증가에 따라 면저항이 증가하는 이유는 와이어 밀도(wire density)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산란도가 클수록 CR 값이 떨어지므로 광산란도를 나타내는 % Haze 가 작을수록 좋다. 또한, 500 rpm 조건(면저항 23.7 Ω/sq)에서의 광산란도는 약 1.9% haze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코팅 조건 별 투과도를 측정해 본 결과, rpm이 증가할수록 투과도 및 광산란도(haze) 특성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500 rpm 이상에서 광산란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면저항은 rpm에 따라 14 ∼ 130 Ω/sq 로 증가하였고, 투과도는 550 nm 파장에서 93∼98.6으로 개선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배면반사층으로 사용되었던 투명 전도성 산화물 박막 대신에 자체 반사 효과를 지니고 있는 나노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빛의 반사에 의한 박막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자체 반사 효과를 지니고 있는 나노와이어로 배면반사층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스퍼터링 장 비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용해법(solution method) 적용이 가능하므로 박막 태양전지 제조시의 제조 공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깨지는 성질이 있는 기존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박막 대신에 자체 반사 효과를 지니고 있는 나노와이어를 적용할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인 플렉서블(flexible) 태양전지 기술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 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 예 및 변경 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에 있어서, 배면반사층으로 통해 광이 투과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 구조에 있어서, 나노와어어층을 통해 광이 반사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 공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Ag 나노와이어에 있어서, RPM에 따른 면저항 및 투과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태양전지에 사용되는 Ag 나노와이어에 있어서, 광 산란도에 따른 면저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 : 투명기판 103 : 투명전극층
105p : p+형 비정질실리콘층 105i : 진성 비정질실리콘층
105n : n+형 비정질실리콘층 105 : 반도체층
107 : 나노와이어층 109 : 배면전극층

Claims (12)

  1. 투명기판상에 형성된 투명전극층;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형성되고, p+형 비정질실리콘층과 진성 비정질실리콘층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으로 구성된 반도체층;
    상기 n+형 비정질실리콘층 상에 형성된 나노와이어층(nanowire);
    상기 나노와이어층 상에 형성된 배면전극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층은 자체적인 반사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층 재질로는 산화아연(ZnO)이 사용되거나, ZnO:B, ZnO:Al, SnO2:F, ITO 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층은 화학기상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스퍼터링 (sputtering)과 같은 물리 증기 증착법(PVD; physical vapor dispositio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비정질실리콘층, 진성 비정질실리콘층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은 LPCVD법, PECVD법, 열선 화학기상증착(hot wi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법과 같은 화학 기상 증착법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층은 스핀코팅, 슬릿코팅 또는 기타 용해법 (solution process)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7. 투명기판상에 투명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전극층 상에 p+형 비정질실리콘층과 진성 비정질실리콘층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을 연속해서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비정질실리콘층 표면에 나노와이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와이어층 상에 배면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층 재질로는 산화아연(ZnO)이 사용되거나, ZnO:B, ZnO:Al, SnO2:F, ITO 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9. 제7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층은 화학기상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스퍼터링 (sputtering)과 같은 물리 증기 증착법(PVD; physical vapor dispositio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비정질실리콘층, 진성 비정질실리콘층 및 n+형 비정질실리콘층은 LPCVD법, PECVD법, 열선 화학기상증착(hot wire chemical vapor deposition) 법과 같은 화학 기상 증착법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층은 스핀코팅, 슬릿코팅 또는 용해법 (solution process)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Ag 와이어 잉크를 기판 상에 도포하고, 50∼150 ℃ 온도의 핫 플레이트(hot plate)에서 5∼20분 동안 베이킹(baking)을 실시하여 나노와어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태양전지 제조방법.
KR1020090127399A 2009-12-18 2009-12-18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0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99A KR20110070541A (ko) 2009-12-18 2009-12-18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99A KR20110070541A (ko) 2009-12-18 2009-12-18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541A true KR20110070541A (ko) 2011-06-24

Family

ID=4440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399A KR20110070541A (ko) 2009-12-18 2009-12-18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0541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6016A2 (ko) * 2011-07-07 2013-01-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20022B1 (ko) * 2011-10-18 2013-0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모듈
WO2013015612A1 (en) * 2011-07-28 2013-01-31 Lg Innotek Co., Ltd.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WO2013029028A2 (en) * 2011-08-24 2013-02-28 Arjun Daniel Srinivas Patterned transparent conductor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KR101303863B1 (ko) * 2012-02-17 2013-09-04 한국기계연구원 나노 구조체를 이용한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681887A (zh) * 2013-12-24 2014-03-26 上海交通大学 掺杂ZnO纳米线透明导电陷光结构的硅太阳电池
US8749009B2 (en) 2010-08-07 2014-06-10 Innova Dynamics, Inc. Device components with surface-embedded additiv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KR101458011B1 (ko) * 2013-08-30 2014-11-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주사전자현미경의 반사전자 검출기
KR20170033951A (ko) 2015-09-17 2017-03-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나노결정 박막이 형성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10024840B2 (en) 2007-05-29 2018-07-17 Tpk Holding Co., Ltd. Surfaces having particles and related methods
US10105875B2 (en) 2008-08-21 2018-10-23 Cam Holding Corporation Enhanced surfaces, coatings, and related methods
KR101971398B1 (ko) * 2018-05-16 2019-04-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면수광형 CdS/CdTe 박막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12781725A (zh) * 2019-11-08 2021-05-11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多光谱超导纳米线单光子探测器、成像系统及成像方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4840B2 (en) 2007-05-29 2018-07-17 Tpk Holding Co., Ltd. Surfaces having particles and related methods
US10105875B2 (en) 2008-08-21 2018-10-23 Cam Holding Corporation Enhanced surfaces, coatings, and related methods
US8749009B2 (en) 2010-08-07 2014-06-10 Innova Dynamics, Inc. Device components with surface-embedded additiv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US9713254B2 (en) 2010-08-07 2017-07-18 Tpk Holding Co., Ltd Device components with surface-embedded additiv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WO2013006016A3 (ko) * 2011-07-07 2013-02-2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3006016A2 (ko) * 2011-07-07 2013-01-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3015612A1 (en) * 2011-07-28 2013-01-31 Lg Innotek Co., Ltd.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US9754702B2 (en) 2011-07-28 2017-09-05 Lg Innotek Co., Ltd.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WO2013029028A3 (en) * 2011-08-24 2013-05-23 Arjun Daniel Srinivas Patterned transparent conductor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CN104040642A (zh) * 2011-08-24 2014-09-10 英诺华动力有限公司 图案化透明导体和相关制备方法
US8969731B2 (en) 2011-08-24 2015-03-03 Innova Dynamics, Inc. Patterned transparent conductor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US9408297B2 (en) 2011-08-24 2016-08-02 Tpk Holding Co., Ltd. Patterned transparent conductor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WO2013029028A2 (en) * 2011-08-24 2013-02-28 Arjun Daniel Srinivas Patterned transparent conductor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KR101220022B1 (ko) * 2011-10-18 2013-0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모듈
KR101303863B1 (ko) * 2012-02-17 2013-09-04 한국기계연구원 나노 구조체를 이용한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8011B1 (ko) * 2013-08-30 2014-11-0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주사전자현미경의 반사전자 검출기
CN103681887A (zh) * 2013-12-24 2014-03-26 上海交通大学 掺杂ZnO纳米线透明导电陷光结构的硅太阳电池
KR20170033951A (ko) 2015-09-17 2017-03-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나노결정 박막이 형성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71398B1 (ko) * 2018-05-16 2019-04-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면수광형 CdS/CdTe 박막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12781725A (zh) * 2019-11-08 2021-05-11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多光谱超导纳米线单光子探测器、成像系统及成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0541A (ko)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09004053B (zh) 双面受光的晶体硅/薄膜硅异质结太阳电池及制作方法
TWI438904B (zh) 薄膜式太陽能電池及其製造方法
WO2006057160A1 (ja) 薄膜光電変換装置
US20140083501A1 (en) Transparent conducting film having doubl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84320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KR101018319B1 (ko) 유무기 복합 적층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US20130025651A1 (en) Substrate for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thin-film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in-film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solar cell module
KR20110014039A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8216A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Oyama et al. Requirements for TCO substrate in Si-based thin film solar cells-toward tandem
TWI463680B (zh) Transparent thin film solar cells
I Kabir et al. A review on progress of amorphous and microcrystalline silicon thin-film solar cells
US20100212739A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26364B1 (ko)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83402B1 (ko)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86260B1 (ko) 플렉서블 기판 또는 인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광기전력 장치 및 광기전력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640815B1 (ko)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10067756A1 (en) Thin film solar cell
KR101732104B1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44056B1 (ko)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216488077U (zh) 一种异质结太阳电池
JP5563850B2 (ja)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03594B1 (ko) 표면 텍스처가 형성된 유리기판을 이용한 박막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68226A (ko)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