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461A - Control arm of multilink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ontrol arm of multilink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8461A KR20110058461A KR1020090115269A KR20090115269A KR20110058461A KR 20110058461 A KR20110058461 A KR 20110058461A KR 1020090115269 A KR1020090115269 A KR 1020090115269A KR 20090115269 A KR20090115269 A KR 20090115269A KR 20110058461 A KR20110058461 A KR 201100584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arm
- vehicle
- wheel
- link
- axial lo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8—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 링크를 보유하는 현가장치에서 링크(컨트롤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에 개재되는 고무부시의 회전 변형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차량의 주행시 차량 거동의 선형 응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멀티링크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ramatically improves the hysteresis due to the rotational deformation of the rubber bushing interposed on the body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link (control arm) in the suspension having the multi-link, thereby improving the linear response of the vehicle behavior during driving. It relates to a control arm of a multilink suspension which can be improved.
차량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쇽 업소오버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uspension in a vehicle exists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wheel, and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se two rigid bodies by using one or more links. It is supported by springs and hydraulic shock absorb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other directions. By properly matching the high rigidity and flexibility, it performs a function to mechanically match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이러한 현가장치는 여러 종류로 개발되어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고성능차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멀티 링크가 적용되는 현가장치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Such suspens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types and applied to automobiles. Recently, in order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cars, suspension systems to which multi-links are applied are increasing.
상기와 같은 멀티 링크 현가장치는 성능 튜닝 인자가 증가하여 성능 향상에 는 유리하지만 링크와 차체의 연결점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조종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고무 부시의 숫자가 비례적으로 증대하게 된다.The multi-link suspension as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performance tuning factor, but the number of rubber bushes that decrease the steering stability increases proportionally as the number of links between the link and the vehicle body increases.
그리고 상기 고무 부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변형뿐 만 아니라 댐퍼와 같은 점성력을 발생시키며, 이들 점성력에 의하여 현가장치 히스테리가 발생되기 때문에 휠의 상하 거동시 휠 하중이 다르게 되어 현가장치 거동의 정밀성이 떨어지면서 조종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addition, the rubber bush generates not only elastic deformation such as spring but also viscous force such as damper, and since the suspension hysteresis is generated by these viscous forces, the wheel load is different when the wheel is moved up and down, and thus the precision of the suspension behavior is reduced. This will greatly affect the stability of the steering.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컨트롤 아암의 일예를 살펴보면, 도 5에서와 같이,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갖는 강체인 링크 본체(100)를 두고, 휠측 연결부에는 볼 죠인트(102)가 장착되어 휠을 지지하는 휠 캐리어와 연결되며, 그 반대측 차체측단에는 아이(104)가 형성되어 그 사이에 고무부시(106)를 두고 차체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Considering this point, one example of the control arm applied to the conventional suspension device, as shown in Fig. 5, has a rigi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컨트롤 아암에 있어서는 차체를 기준으로 휠측단이 상하 거동이 계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고무부시의 반복적인 변형에 의하여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히스테리시스 발생은 컨트롤 아암의 증가시 비례적으로 고무부시가 증가하면서 고무부시 숫자가 늘어난 만큼 점성 에너지가 증가하여 히스테리시스 크기가 증가하여 조종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However, in the control arm as described above, the wheel-side end is continuously made up and down repeatedly based on the vehicle body, and hysteresis occurs by repeated deformation of the rubber bush, and this hysteresis is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the control arm. As the rubber bush increases, the number of rubber bushes increases, so that the viscous energy increases and the hysteresis size increases, which adversely affects the steering stability.
이에 따라 멀티링크 차량에 있어서는 히스테리시스를 줄이기 위한 고무부시 (중철부시)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multi-link vehicle, a rubber bush (saddle saddle bushing) for reducing hysteresi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but it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따라서 본 발명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멀티 링크를 보유하는 현가장치에서 링크(컨트롤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에 개재되는 고무부시의 회전 변형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차량의 주행시 차량 거동의 선형 응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멀티링크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mproves the hysteresis by the rotational deformation of the rubber bush interposed on the vehicle body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link (control arm) in the suspension device having the multi-link.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arm of a multi-link suspension which can improve the steering stability by improving the linear response of the vehicle behavior when driving the vehicle.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에서와 같이, 다수의 멀티 링크가 적용되는 멀티링크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리 링크를 형성하는 컨트롤 아암을 형성하되, 아암 본체를 휠측 본체와 차체측 본체로 분리하여 그 사이에 축방향 하중 흡수부를 두고 상호 연결됨과 동시에 휠측 연결부 및 차체측 연결부 모두 볼 죠인트를 개재시켜 휠 캐리어와 차체에 연결되는 멀티 링크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s in claim 1, in the multi-link suspension to which a plurality of multi-link is applied, to form a control arm for forming the far link, the arm main body and the wheel body main body side The control arm of the multi-link suspension, which is separated into the main body and is interconnected with an axial load absorber therebetween, is connected to the wheel carrier and the vehicle body by interposing a ball joint with both the wheel side connection and the body side connection.
상기에서 축방향 하중 흡수부는 청구항 2에서와 같이, 휠측 본체에 대직경의 원통형 실린더를 형성하고, 차체측 본체의 단부에 상기 실린더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피스톤을 형성하여 결합시 상기 실린더 내부가 피스톤을 기준으로 좌,우 밀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의 좌,우 밀폐 공간부에 좌, 우 탄성체를 충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xial load absorbing portion as described in
상기에서 좌,우 탄성체는 청구항 3에서와 같이 고무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피스톤의 외주연에는 청구항 4에서와 같이 좌,우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부재 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left and right elastic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as in claim 3,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st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left and right as i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축방향 하중을 컨트롤 아암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축방향 하중 흡수부에서 흡수하게 되는 바, 차량의 컴플라이언스 특성을 확보하고, 차체측 연결부에 적용되어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던 기존의 고무 부시가 볼 죠인트로 대체되면서 히스테리시스는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axial load in the axial load absorbing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ontrol arm, thereby ensuring the complianc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nd applying the hysteresis to the vehicle side connection portion. Hysteresis disappears when the existing rubber bush is replaced by a ball joint.
따라서 스트러트형 멀티링크 현가장치와 같은 고성능 멀티 링크 차량에 적용시 고무부시의 회전변형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주행시 차량 거동의 선형 응답성이 향상되어 조종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pplied to a high-performance multi-link vehicle such as a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device, the hysteresis due to the rotational deformation of the rubber bush is greatly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linear response of the vehicle behavior during driving,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teering stability.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트러트형 멀티링크 현가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호 2는 휠을 지칭하며, 상기 휠(2)은 휠 캐리어(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상기 휠(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4)는 내측 하단 부분이 로워 컨트롤 아암(6)을 개재시켜 차체와 연결되는데,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6)은 전,후측 컨트롤 아암(8)(10)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에서 전측 컨트롤 아암(8)은 텐션 아암(Tension Arm), 후측 컨트롤 아암(10)은 레터럴 아암(Lateral Arm)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above, the front control arm 8 serves as a tension arm, and the
그리고 상기 전측 컨트롤 아암(8)의 휠 연결부(8a)는 휠 캐리어(4)와 볼 죠인트로 연결되고, 차체측 연결부(8b)는 수직형 고부부시를 개재시켜 연결된다.The wheel connection portion 8a of the front control arm 8 is connected to the
또한, 상기 후측 컨트롤 아암(10)의 휠측 연결부(10a)는 휠 캐리어(4)와 볼 죠인트로 연결되고, 차체측 연결부(10b) 또한 볼 죠인트를 개재시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wheel
그리고 상기 휠 캐리어(4)의 내측 상단 부분은 코일 스프링(12)과 쇽 업소오버(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각을 유지하면서 세워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16)에 의하여 차체에 현가 지지된다.In additi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이에 따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진동 및 충격이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16)에 의해 감쇠되어 최소의 상태에서 차체에 전달되는 것이다.Accordingly, various vibrations and shocks input from the road surface are attenuated by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스트러트 어셈블리(16)의 상단부는 차체와의 사이에 마운트(18)를 개재시켜 현가 지지되는데, 상기 마운트(18)의 내부 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도 1의 미설명 부호 20은 스테빌라이저 바이며, 22는 조향 로드를 지칭한다.
이러한 스트러트형 멀티링크 현가장치에서 레터럴 아암으로 작동하는 후측 컨트롤 아암(10)을 도2 내지 도 4와 같이 구성하였다.In the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a
즉, 후측 컨트롤 아암(10)을 형성함에 있어서, 아암 본체(30)를 휠측 본체(32)와 차체측 본체(34)로 분리하고 중간부에 축방향 하중 흡수부(36)를 두고 상호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That is, in forming the
상기 축방향 하중 흡수부(36)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휠측 본체(32)에 대직경 의 원통형 실린더(38)를 형성하고, 차체측 본체(34)의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38)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40)을 형성하여 상기 실린더(38)내에 피스톤(40)이 삽입된 상태에서 밀폐되도록 하였다.In forming the axial
이에 따라 실린더(30) 내부에는 피스톤(40)을 기준으로 좌,우 밀폐 공간부(42)(44)가 형성되고, 이의 좌,우 밀폐 공간부(42)(44)에는 고무와 같은 재질의 좌, 우 탄성체(46)(48)를 충전하였다.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sealed
상기에서 피스톤(40)은 단순히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 부재로 형성할 수 있으나, 외주측에 실린더(38)와 일정의 폭으로 면접촉을 이룰 수 있는 원통형 부재(50)를 장착하여 컨트롤 아암(10)의 구부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그리고 상기에서 탄성체(46)는 반드시 고무 재질이어야 한다는 제한은 없으며, 일정 탄성을 갖는 고형물이라면 아무런 제한이 없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컨트롤 아암(10)을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노면으로부터의 상하 충격이나 횡력이 입력되어 휠측단이 차체측단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하면서 축방향 하중이 입력되는 경우, 축방향 하중은 축방향 하중 흡수부(36)에서 흡수 감쇠되고, 볼 죠인트로 이루어지는 휠측 연결부(10a)와 차체측 연결부(10b)에 서는 회전 운동만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applying the
즉, 컨트롤 아암(10)에 신장되는 축방향 하중이 작용하면, 휠측 본체(32)와 차체측 본체(34)는 차체측 본체(34)가 고정체인 차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력을 받게 된다. 그러면 좌측 밀폐 공간부(42)의 탄성체(46)는 압축 하중을 받고, 휠측 공간부(44)의 탄성체(48)는 인장 하중을 받으면서 그 자체 탄성력으로 축방향 하중을 흡수 감쇠시키게 된다.That is, when the axial load extended to the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컨트롤 아암(10)에 압축되는 축방향 하중이 작용하면, 휠측 본체(32)와 차체측 본체(34)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그러면 좌측 밀폐 공간부(42)의 탄성체(46)는 차체측 본체(34)가 고정체인 차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 하중을 받고, 휠측 공간부(44)의 탄성체(48)는 압축 하중을 받으면서 그 자체 탄성력으로 축방향 하중을 흡수 감쇠시키게 된다.In contrast to the above, when the axial load compressed on the
상기와 같이 축방향 하중을 흡수부(36)에서 흡수하게 되는 바, 차량의 컴플라이언스 특성을 확보하고, 차체측 연결부에 적용되어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던 기존의 고무 부시가 볼 죠인트로 대체되면서 히스테리시스는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xial load is absorbed by the absorbing
따라서 스트러트형 멀티링크 현가장치와 같은 고성능 멀티 링크 차량에 적용시 고무부시의 회전변형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주행시 차량 거동의 선형 응답성이 향상되어 조종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pplied to a high-performance multi-link vehicle such as a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device, the hysteresis due to the rotational deformation of the rubber bush is greatly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linear response of the vehicle behavior during driving,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teering stability.
상기에서 본 발명의 현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하여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v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changes to the extent considered equival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트러트형 멀티 링크 현가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t type multi-link suspension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 아암의 요부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ntrol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 아암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 아암에 적용되는 축방향 하중 흡수부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xial load absorber applied to the control ar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 컨트롤 아암의 구성 및 작동도.5 is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control arm.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5269A KR20110058461A (en) | 2009-11-26 | 2009-11-26 | Control arm of multilink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5269A KR20110058461A (en) | 2009-11-26 | 2009-11-26 | Control arm of multilink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8461A true KR20110058461A (en) | 2011-06-01 |
Family
ID=4439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5269A KR20110058461A (en) | 2009-11-26 | 2009-11-26 | Control arm of multilink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58461A (en) |
-
2009
- 2009-11-26 KR KR1020090115269A patent/KR2011005846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36230B2 (en) | Suspension with non-rotating shock absorber | |
US6161853A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
US20090288923A1 (en) | Bump stopper for suspension system | |
US11214108B2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US11186132B2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CN110481255B (en) |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and automobile | |
CN104029578A (en) | Automobile suspension system | |
CN108202570B (en) | Wheel suspension for a wheel of a vehicle | |
JP2020050148A (en) | Stabilizer device | |
KR20110058461A (en) | Control arm of multilink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20160050435A (en) | Suspention Apparatus Of Vehicle | |
KR20150069840A (en) | Multi-link type suspension | |
KR20170070726A (en) | Bush unit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 |
KR100579227B1 (en) |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US12011965B2 (en) | Suspension | |
KR20070104053A (en) |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20170119350A (en) | Steplink of suspension for vehicle | |
EP3495175B1 (en) | Coilover shock absorber | |
KR20080023557A (en) | Strut mount structure of suspension for automobile | |
KR100428132B1 (en) | strut assembly of suspension | |
KR100199759B1 (en) | Cross member inner type assistance spring stabilizer | |
KR20170050117A (en) | Link structure for vehicle suspension | |
JP2003118345A (en) | Strut type suspension device | |
KR20050006804A (en) | suspension system | |
KR20040033803A (en) | Lower control arm bush for suspension of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