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10050217A - Display device and it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it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0217A
KR20110050217A KR1020090107098A KR20090107098A KR20110050217A KR 20110050217 A KR20110050217 A KR 20110050217A KR 1020090107098 A KR1020090107098 A KR 1020090107098A KR 20090107098 A KR20090107098 A KR 20090107098A KR 20110050217 A KR20110050217 A KR 20110050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graphic
user
graphic object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0217A/en
Publication of KR2011005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217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벽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현실 공간과 유사한 느낌의 가상 공간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가상 공간 이미지에 포함된 실제 사물과 유사한 느낌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virtual space image having a feeling similar to the real space through the display device configuring the wall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be provided with content or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through a graphic object having a feeling similar to a real object included in the virtual space imag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현재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텔레비전, 모니터, 컴퓨터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전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해당 디바이스에서 처리된 영상만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Current display apparatuses, such as televisions, monitors, and computers, have a predetermine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n image. Each device has a dedicated display module and operates to output only an image processed by the corresponding device.

즉, 텔레비전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텔레비전에서 처리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되며, 컴퓨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컴퓨터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된다. That is, the display module provided in the television is used to output the broadcast signal processed in the television, and the display module provided in the computer is used to output the processed video signal in the computer.

하지만, 최근 연구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와 같이 각각의 디바이스에 종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할당하는 대신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However, a display device that has been recently researched has been developed t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installing a large size display module on part or all of the wall instead of allocating the display module to each device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가정 또는 회사의 벽면에 설치하여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월'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As such, a 'display wall' for displaying various images by installing on a wall of a home or a company is currently being actively research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즉 '디스플레이 월'에 실제 사물과 유사하게 표현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onstituting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at is,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 graphic object expressed similarly to a real object on a 'display wall' and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do.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실제 사물과 유사하게 동작하는 가상 동작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 virtual motion image in which the graphic object operates similar to a real object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nd a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물(article)을 나타내는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의 동작을 구현하는 가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representing an object; 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graphic objects from a us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ecute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to output a virtual image for implementing an operation of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selected graphic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물(article)을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의 동작을 구현하는 가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displaying a graphic object representing an object; Receiving an input for the graphical object from a user;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executing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al object; And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outputting a virtual image for implementing an operation of the thing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벽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현실 공간과 유사한 느낌의 가상 공간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virtual space image having a feeling similar to the real space through the display device configuring the wall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가상 공간 이미지에 포함된 실제 사물과 유사한 느낌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be provided with content or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through a graphic object having a feeling similar to a real object included in the virtual space imag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물을 나타내며 서로 독립적인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2), 및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의 가상 동작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n object and display an input of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that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 user input unit 12 for receiving, and a control unit 13 for controlling to output the virtual motion image of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n response to the inpu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벽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1)가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 wall so that the display unit 11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constitute a part or all of the wall.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가정의 거실이나 방을 구성하는 일 또는 그 이상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1)가 거실이나 방의 벽면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one or more walls that constitute a living room or a room of the home, and the display unit 11 may be used to configure a part or all of the walls of the living room or the room. .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월' 또는 '비디오 월'이라고도 기재될 수 있지만,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 기재하기로 한다.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isplay wall" or a "video wall," but will be described as the display device 10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는 타일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bine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having a tile form to form one large display module.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111,112,...,125)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부(11)로 결합되어 단일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display unit 11 outputs a single imag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111, 112,..., 125 into one large display unit 11. can do.

따라서,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111,112,...,125)은 타일 형태로 구성되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부(11)를 구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b display modules 111, 112,..., 125 may be combined in a tile form to form one large display unit 11.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는 대신 하나의 단일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display module instead of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to output an image.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벽면에 화상을 투영하는 영사기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하는 대신 빛의 투영을 통해 벽면에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10 may include a projector for projecting an image on a wall surface and output an image on the wall surface through light projection instead of using the display modul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단일 또는 다수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single or multiple images to the user by configuring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사물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1 displays at least one graphic object representing an object.

여기서,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오브젝트로서 소정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이미지 기반 오브젝트이다.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Here, the graphic object is an object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 and is an image-based object composed of a predetermined image. When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graphic object.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함으로써 간편하게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face for easily executing a desired application by selecting the graphic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사물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실제 사물과 동일 또는 유사한 외관을 가지는 그래픽 이미지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hic object represents an object. In other words, the graphic object is composed of a graphic image having the same or similar appearance as a real thing existing in the real wor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은 가정에 구비되는 각종 가정 기기, 예컨대 텔레비전, 오디오, 스피커, DVD 플레이어, 게임기, 컴퓨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may include various home devices provided in the home, for example, a multimedia device such as a television, an audio, a speaker, a DVD player, a game machine, a computer, and the like.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은 멀티미디어 기기 외에 통신 기기, 예컨대 전화기, 인터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telephone, an interphone, etc. in addition to the multimedia devi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은 상술한 전자 장치 외에 액자, 책장, 수납장과 같은 가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may include furniture such as a picture frame, a bookcase, and a storage cabine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제공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는 실제 사물에 대응하는 외관을 가진 이미지로 구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사용자가 위치한 환경의 일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the graphic object provided by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image having an appearance corresponding to an actual object so that the display apparatus 10 can implement a part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사물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를 표시한다. As illustrated in FIG. 3, the display unit 11 displays at least one graphic object 21,..., 27 representing an object.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가정 또는 회사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의 벽면에 설치되어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도록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11 is installed on a wall of a space where a user is located, such as a home or a company, so as to form part or all of the wall.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21,...,27)는 실제 사물을 나타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는 화면이 실제 환경과 유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graphic objects 21,..., 27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represent real objects so that the user may feel that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is similar to the real environment. It is composed.

도 2에 도시된 화면은 일반 가정의 거실 일부를 가상으로 구현한 화면이며, 각각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는 거실에 비치되는 가정 기기 또는 가구에 대응하는 이미지로 구성된다. The screen shown in FIG. 2 is a screen in which a part of the living room of a general home is virtually implemented, and each graphic object 21,.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거실 외에 침실, 부엌, 옷장 등과 같은 다양한 현실 공간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회사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는 화면은 사무실의 일부 공간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may be configured to represent various real spaces such as a bedroom, a kitchen, a wardrobe, etc., in addition to a living room, and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ompany.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may be configured to represent some space of the office.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 The user input unit 12 receives an input for the graphic objects 21,..., 27 from a user.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그래픽 오브젝트(21,...,27)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may execute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s 21,..., 27 by selecting the graphic objects 21,..., 27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와 같은 제스쳐를 인식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12 may be a touch screen mounted on the display unit 11 to recognize a gesture such as a user's touch or drag.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리모컨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12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wireless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using a remote controller.

이 경우,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신호는 적외선 신호 또는 RF 신호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may be an infrared signal or an RF signal.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가 나타내는 사물의 가상 동작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o output a virtual motion image of an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s 21,..., 27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여기서, 가상 동작 이미지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가 나타내는 사물이 실제 공간에서 동작하는 모습에 대응하는 이미지로서,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를 통해 사용자가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실제 사물의 동작과 유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사물의 실제 동작에 대응하는 가상 동작 이미지를 출력한다.Here, the virtual motion image i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objects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s 21,..., 27 operate in a real space. , ..., 27) outputs a virtual mo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actual motion of the object so that the user can feel similar to the motion of the real object existing in the real space.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출력하는 가상 동작 이미지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virtual motion image output by the display apparatus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상기 다수의 그래 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12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from the user.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13 may control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graphic object.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2)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에 도시된 도 3의 화면에서 텔레비전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21)를 터치하여 해당 그래픽 오브젝트(21)를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1)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 unit 12 is a touch screen, the user touches the graphic object 21 corresponding to the television on the screen of FIG. 3 illustrated in the display unit 11 to touch the graphic object 21. When selected,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13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1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graphic object 2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대신 리모컨을 사용하여 소정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user may select a graphic object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instead of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그래픽 오브젝트(22,...,27)를 축소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의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 reduces the remaining unselected graphic objects 22,... 27 among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by moving to another point of the display unit (11).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그래픽 오브젝트(22,...,27)는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부(11)의 가장자리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remaining graphic objects 22,..., 27, which are not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are reduced to display unit 11. It may be displayed by being moved to the edge of.

도 4와 같은 예시도는 도 3에 포함된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텔레비전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21)가 선택되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텔레비전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21)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 즉 방송 수신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4 illustrates that the graphic object 21 corresponding to the television is selected and activated among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included in FIG. 3, and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ecute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 21 corresponding to the television, that is, a broadcast reception applic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된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그래픽 오브젝트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 to execute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그래픽 오브젝트에 매핑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실제 사물의 동작과 연관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pplication mapped to each graphic object is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actual thing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예를 들어, 도 3에서 그래픽 오브젝트(21)가 나타내는 사물은 텔레비전이며, 이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텔레비전의 동작과 연관되는 애플리케이션, 즉 방송 수신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21 in FIG. 3 is a television, and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 21 may be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elevision, that is, an application for receiving a broadcast. .

또한, 그래픽 오브젝트(25)가 나타내는 사물이 전화기인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5)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화기의 동작과 연관되는 애플리케이션인 통화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25 is a phone, the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 25 may be an application for call that is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phone.

또한, 그래픽 오브젝트(26)가 나타내는 사물이 액자인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6)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액자의 기능과 연관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이미지 출력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26 is a frame, the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 26 may be an image output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of the frame.

또한, 그래픽 오브젝트(27)가 나타내는 사물이 책장인 경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7)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책장의 기능과 연관되는 애플리케이션인 e-북 컨텐츠 출력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When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27 is a bookcase, the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 27 may be an application for outputting e-book content, which is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of the bookcas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실제 사물을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제공하고, 각각의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실제 사물의 기능 또는 동작과 연관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해당 그래픽 오브젝트에 매핑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를 통해 실제 공간에 배치된 실제 사물을 이용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phic object representing a real object, and maps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a function or an operation of the real object represented by each graphic object to a corresponding graphic object, thereby allowing a user to present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to be able to feel the use of the real object disposed in the real space.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21)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3)는 텔레비전에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인 방송 수신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며, 이 경우, 방송국 또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도 4의 그래픽 오브젝트(2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21 representing the television, the controller 13 executes the broadcast receiving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television, and in this case,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or the content provider. The received broadcast content may be output through the graphic object 21 of FIG. 4.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을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의 가상 동작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12 may receive an input for controlling an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from a user and control a virtual motion image of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according to the input.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4의 그래픽 오브젝트(21)에 구비된 각종 터치 버튼들, 예컨대 메뉴 버튼, 음량 버튼, 채널 버튼 등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가 나타내는 텔레비전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control the television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21 using various touch buttons included in the graphic object 21 of FIG. 4, for example, a menu button, a volume button, a channel button, and the like.

그 결과, 사용자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를 통해 실제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feel the control of the actual televis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사하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해서도 해당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의 기능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Similarly,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cute an application related to a function of a thing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for another graphic object, and a user can control the applicatio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 have.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3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스피커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22)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2)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머지 그래픽 오브젝트(21,23,...,27)에 대해서는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부(11)의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22 corresponding to the speaker among the graphic objects 21,..., 27 of FIG. 3, as illustrated in FIG. 5, the control unit 13 selects the selected graphic object 22. The graphic object 22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the remaining graphic objects 21, 23,..., 27 are reduced and moved to other points of the display unit 11.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2)는 해당 그래픽 오브젝트(22)가 나타내는 스피커의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인 음성 출력 애플리케이션이 매핑되어 있으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2)가 선택됨으로써 소정의 음성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The selected graphic object 22 is mapped to a voice output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speaker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22, and predetermined voice content may be output by selecting the graphic object 2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여 도 5의 경우 소정의 음성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스피커부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제어부(13)의 음성 출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 스피커에 음성 신호를 제공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 voice to output predetermined voice content in FIG. 5, but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peaker unit. 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ncluded and may output a voice by providing a voice signal to an external speaker connected to the voic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ler 13.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상기 오디오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22)에 매핑된 음성 출력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control an application for voice output mapped to the graphic object 22 corresponding to the audio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래픽 오브젝트(22)에 구비된 터치 버튼 중 이퀄라이저 버튼(221)을 터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이퀄라이저 창(222)을 더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의 이퀄라이저 상태를 파악하도록 하고, 원하는 대로 이퀄라이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equalizer button 221 of the touch buttons provided in the graphic object 22, the display unit 11 further displays the equalizer window 222 so that the user grasps the current equalizer state. It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you to change the equalizer settings as desir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이 소정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예컨대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컨텐츠 출력 장치의 기능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인 컨텐츠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s a content output device that outputs predetermined content, such as a DVD player or a game machine,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to be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of the content output device. You can run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DVD 플레이어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23)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3)가 나타내는 DVD 플레이어의 기능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인 영상 컨텐츠 재생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23 corresponding to the DVD player among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13 may control the selected graphic object ( An application for playing video content, which is an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of the DVD player indicated by 23, can be executed.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3)는 확대되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상기 실행된 영상 컨텐츠 재생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목록(31)을 더 표시할 수 있다. Thus, as shown in FIG. 6, the selected graphic object 23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the display unit 11 further displays a content list 31 that can be played back by the executed application for reproducing image content. can do.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목록(31)에 포함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 재생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시킬 수 있다. The user may select any one of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content list 31 and play it through the image content reproducing application.

또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3)는 상기 영상 컨텐츠 재생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버튼을 더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phic object 23 may further display a control button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for playing the video content and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그래픽 오브젝트(23)에 구비된 조작 버튼들(231) 중 되감기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재생 중인 컨텐츠를 역방향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wind button is selected among the operation buttons 231 provided in the graphic object 23 illustrated in FIG. 6, the controller 13 may control to play the content being played in the reverse direction.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23)를 이용하여 해당 그 래픽 오브젝트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As such, the user may control the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 using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23.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이 통신 기기, 예컨대 전화기 또는 인터폰이면,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통신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s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telephone or an interphone, the user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user using the graphic object.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전화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애플리케이션(25)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애플리케이션(25)이 나타내는 전화기의 기능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즉 통화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graphic application 25 representing the phone is selected from the graphic objects 21,..., 27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13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phone of the phone represented by the selected graphic application 25. You can run the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that is, the application for calling.

그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그래픽 애플리케이션(25)은 확대되어 표시되고,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애플리케이션(25)에 구비된 버튼들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에게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7, the selected graphic application 25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the user selects the buttons provided in the graphic application 25 to make a call or receive an incoming call to another user. Can be.

이와 같이, 통화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부와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다른 사용자에게 통화와 관련된 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사용자로부터 통화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연결된 외부 전화기를 통해 통화를 할 수도 있다. As such, in order to make a voice or video call by executing a call application,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unit for collecting a user's voice,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 voice of the other party, and a call related to another user. 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and receive a signal related to a call from another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user may make a call through an external telephone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

이와 같이, 사용자는 통신 기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애플리케이션(25)을 통해 통화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다른 사용자와 통화를 할 수 있고, 상기 통화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can execute a call application through the graphic application 25 represent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make a call with another user and control the call applica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자 또는 사진첩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s a picture frame or a photo album displaying an image, the user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using the graphic object.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액자를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26)가 선택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6)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6)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graphic object 26 representing a frame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13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8. The selected graphic object 26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and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 26 may be executed.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6)가 나타내는 사물의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사물이 액자이면 제어부(13)는 이미지 출력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The executed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related to a function of an object represented by the selected graphic object 26. If the object is a frame, the controller 13 may execute an image output applicatio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26)를 통해 소정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목록(32)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해당 이미지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6)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through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26, and select one of the images from the displayed image list 32 as shown in FIG. 8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image. Can be output via

따라서,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액자에 삽입되는 이미지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Thus,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image inserted in the frame shown in FIG.

실시예에 따라,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이 컨텐츠를 보관할 수 있는 책장 또는 보관함 등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컨텐츠 보관함에 보관된 컨텐츠들을 열람할 수 있고,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s a bookcase or a storage box for storing content, the user may select the graphic object to view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box, and select one of the graphic objects. You can output the content.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책장을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27)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7)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7)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For example, if a graphic object 27 representing a bookshelf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13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9. The selected graphic object 27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the application mapped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27 is executed.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7)가 나타내는 책장의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예를 들어 다수의 E-book 컨텐츠를 열람하고 이중 선택된 E-book 컨텐츠를 출력하는 E-book 컨텐츠 출력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The executed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bookshelf represented by the selected graphic object 27. For example, the executed application may be an E-book content output application that browses a plurality of E-book contents and outputs the selected E-book contents. Can be.

따라서,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장을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27)를 선택하여 E-book 컨텐츠 출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다수의 E-book 컨텐츠를 포함하는 E-book 목록(33)을 열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book 목록(33) 중 어느 하나의 E-book 컨텐츠를 선택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E-book 컨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27 representing the bookshelf to execute the E-book content output application, and the E-book list 33 including the plurality of E-book contents is executed. You can read it. In addition, any one of the E-book contents 33 of the E-book list 33 may be selected to output the selected E-book contents as shown in FIG.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adjust the sizes of the graphic objects 21,..., 27 shown in FIGS. 4 to 10.

즉,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21,...,27)의 크기를 조절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크기 조절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at is, the user input unit 12 receives an inpu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displayed graphic objects 21,..., 27 from a user, and the control unit 13 responds to the size adjustment input. It controls to display the size of (21, ..., 2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되는 다수의 그래픽 오 브젝트(21,...,27)들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shown in FIG. 3.

즉, 상기 사용자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의 배치를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의 배치를 변경한다. That is, the user input unit 12 receives an input for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graphic objects 21,..., 27 from a user, and the control unit 13 responds to the input. ..., 2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1,...,27)가 확대 표시된 화면에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는 명령을 실행시키는 돌아가기 버튼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 controls to display a return button object for executing a command to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on the screen on which the selected graphic objects 21,..., 27 are enlarged. can do.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우측 하단에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는 명령을 실행시키는 돌아가기 버튼 오브젝트(28)를 표시하고, 상기 돌아가기 버튼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가 확대 표시된 화면에서 이전 화면, 즉 도 3의 화면으로 돌아가는 명령을 실행시킨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4 to 10, the display unit 11 displays a return button object 28 for executing a command to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on the lower right side, and the return button object is When selected, the controller 13 executes a command to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that is, the screen of FIG. 3, from the screen on which the graphic objects 21,.

실시예에 따라, 도 4 내지 도 10에서 우측에 도시된 축소된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21,...,27)가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any one of the reduced graphic objects 21,..., 27 shown on the right side in FIGS. 4 to 10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3 selects the selected graphic object. ., 27 may be controlled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예를 들어, 도 4에서 우측의 축소된 그래픽 오브젝트(22,...,27)들 중 책장을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27)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3)는 현재 확대 표시된 텔레비전의 그래픽 오브젝트(21) 대신 선택된 책장의 그래픽 오브젝트(27)가 확대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결과적으로 도 9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For example, if a graphic object 27 representing a bookshelf is selected from among the reduced graphic objects 22,..., 27 on the right side of FIG. 4, the control unit 13 may display the graphic object ( 21) Instead, the graphic object 27 of the selected bookshelf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enlarged so that the screen of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소정의 컨텐츠 를 수신하는 통신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4 for receiving predetermined content.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14)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모듈이거나, 서버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4 may b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broadcast content from a broadcasting station or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content from a server or another display device.

이 경우, 도 4, 도 6,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컨텐츠는 상기 통신부(14)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output as shown in FIGS. 4, 6, and 8 to 10 may be content received from the outside by the communication unit 14.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4)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소정의 영상, 음성, 이미지 또는 E-book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4 may receive predetermined video, audio, image or E-book content data from a content server, and the control unit 13 may output the received content to the display unit 11. hav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구비된 메모리부(15)에 저장된 컨텐츠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utput content may b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15 includ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

즉, 도 4, 도 6,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컨텐츠는 상기 메모리부(15)에 저장된 컨텐츠이며,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메모리부(15)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에 출력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ent output as shown in FIGS. 4, 6, and 8 to 10 is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15, and the control unit 13 reads the content from the memory unit 15.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th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을 3D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display unit 11 may display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as 3D images.

즉, 도 3에 도시된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이 2D 이미지로 구성되는 것과 달리, 도 11에 도시된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은 3D 이미지로 구성되 며, 상기 제어부(13)는 소정의 3D 그래픽 엔진을 구비하여 각각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을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That is, unlike the graphic objects 21, ..., 27 shown in FIG. 3 are composed of 2D images, the graphic objects 21, ..., 27 shown in FIG. 11 are composed of 3D images.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 may include a predetermined 3D graphics engine to stereoscopically display each of the graphic objects 21,..., 27.

그 결과, 사용자는 보다 현실적인 느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with a more realistic fee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의 3D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pparatus 10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16 for capturing an image of a user, and the control unit 13 is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11),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3D image of the graphic object (21, ..., 27)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user.

도 11 및 도 12의 상측 도면은 디스플레이부(11)와 사용자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하측 도면은 디스플레이부(11)와 사용자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1 and 12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unit 11 and the user, and lower views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unit 11 and the user.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카메라부(16)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display apparatus 10 includes a camera unit 16 to capture an image of a user.

상기 카메라부(16)가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은 상기 제어부(13)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한다. The image of the user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6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 and the control unit 13 detects the posi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1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do.

도 11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의 우측에 위치함을 파악할 수 있다. In FIG. 11, the user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1, and thus, the controller 13 can determine that the user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11 based on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have.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3)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의 3D 이미지를 우측 사시도로 표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n, since the user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11, the controller 13 may display the 3D images of the graphic objects 21,..., 27 in a right perspective view.

즉, 실제 공간에서 사용자가 거실의 우측에 존재하면 사용자는 거실에 비치된 가구들의 우측 면만을 바라보므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의 3D 이미지를 우측 사시도로 변경하여 사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at is, if the user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living room in the real space, the user looks only at the right side of the furniture provided in the living room, so that the controller 13 displays the 3D images of the graphic objects 21,. Change to perspective to increase realism.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의 3D 이미지를 좌측 사시도로 변경하여 표시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moves to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unit 11, the controller 13 changes and displays the 3D image of the graphic objects 21,.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카메라부(16)가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래픽 오브젝트(21,...,27)들의 3D 이미지를 좌측 사시도로 변경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1, the controller 13 is based on the image of the user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6. The position is determined and the 3D image of the graphic objects 21, ..., 27 is changed into the left perspective view.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그래픽 오브젝트(21,...,27)의 3D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As such,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change the 3D image of the graphic objects 21,..., 27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user.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단계(S11)은 사물을 나타내는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는 실제 사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구성된다. Step S11 displays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representing objects. That is, the display unit 11 displays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and the graphic objects 21,..., 27 are composed of images representing the appearance of the actual object.

단계(S12)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다. 즉, 사용자 입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21,...,27)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Step S12 receives input for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from a user. That is, the user input unit 12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21,..., 27 from the user.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장착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그래픽 오브젝트(21,...,27)에 대한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may input an input to the graphic objects 21,..., 27 through a touch screen on which the touch screen panel i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1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를 조작하는 입력을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적외선 신호 또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user inputs an input for manipulating the graphic objects 21,..., 27 through a remote controller, and the display apparatus 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n infrared signal or an RF signal. A wireless signal can be received.

단계(S13)은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가상 동작 이미지를 출력한다. Step S13 enlarges and displays the selected graphic object. That is, the controller 13 outputs a virtual motion image of the selected graphic object.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는 확대되어 표시되며,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그래픽 오브젝트는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부(11)의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켜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graphic object selected by the user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and the remaining non-selected graphic object may be reduced and moved to another point of the display unit 11 to be displayed.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는 확대 표시 화면에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는 명령을 실행시키는 돌아가기 버튼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돌아가기 버튼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가 확대 표시된 화면에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는 명령을 실행시킨다(단계(S14)).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 displays a return button object for executing a command to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on the enlarged display screen, and when the return button objec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3 determines that the selected graphic object A command to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is executed on the enlarged screen (step S14).

단계(S15)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 킨다. Step S15 executes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은 그래픽 오브젝트(21,...,27)가 나타내는 사물의 기능에 관련되며, 예를 들어,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이 텔레비전이면 해당 그래픽 오브젝트에는 방송 수신용 애플리케이션이 매핑되어 실행될 수 있다. The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 objects 21, ..., 27 i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thing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s 21, ..., 27. For example, if the thing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s a television, The broadcast receiving application may be mapped and executed on the graphic object.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21)은 사물을 3D 이미지로 나타내는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를 3D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한다. Step S21 displays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representing the object in a 3D image. That is, the display unit 11 displays the graphic objects 21,..., 27 as 3D images.

단계(S22)는 카메라부가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다. 즉,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3)로 전송한다. In step S22, the camera unit captures an image of the user.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unit, and the camera unit captures an image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controller 13.

단계(S23)은 상기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11)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한다. Step S23 detects the use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1 based on the captured image.

단계(S24)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오브젝트의 3D 이미지를 변경한다. Step S24 changes the 3D image of the displayed graphic object based on the detected user's loca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의 3D 이미지를 좌측 사시도로 변경하고, 사용자가 우측에 위치하면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21,...,27)의 3D 이미 지를 우측 사시도로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s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1, the controller 13 changes the 3D image of the graphic objects 21,..., 27 into a left perspective view, and the user If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 3D image of the graphic objects 21,..., 27 may be changed to the right perspective view.

그 결과, 사용자는 보다 사실감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 more realistic user interface.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3 to 10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1 and 12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A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which are integrally or individually controllable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사물(article)을 나타내는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representing an object;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graphic objects from a user; And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의 동작을 구현하는 가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ler configured to execute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selected graphic objec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and output a virtual image for implementing an operation of an object represented by the selected graphic object;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장착된 터치 스크린인 디스플레이 장치. And the user input unit is a touch screen in which a touch screen panel i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인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user input uni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wireless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graphic object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선택되지 않은 그래픽 오브젝트를 축소시켜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reduce the graphic objects that are not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and move them to another point for displa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은 텔레비전이고, 사용자가 상기 텔레비전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텔레비전의 턴온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s a television,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of the televis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a turn-on image of the televis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은 통신 장치이고, 사용자가 상기 통신 장치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장치의 통화 대기 상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s a communication device,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a call waiting state ima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은 액자이고, 사용자가 상기 액자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자에 표시될 이미지들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s a frame,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of the frame,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a list of images to be displayed on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은 책장이고, 사용자가 상기 책장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E-BOOK 이미지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object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is a bookcase,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graphic object of the bookcase,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a plurality of E-BOOK images.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E-BOOK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E-BOOK에 대응하는 E-BOOK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controller controls to display the E-BOOK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BOOK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BOOK imag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multimedia cont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utput the received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graphic objec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memory unit for storing multimedia cont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상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utput the stored multimedia content through the graphic object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of a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which are integrally or individually controllable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사물(article)을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graphical object representing an object; 사용자로부터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an input for the graphical object from a user;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매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및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executing an application mapped to the graphical object; And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사물의 동작을 구현하는 가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outputting a virtual image for implementing an operation of the thing represented by the graphic object;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comprising a.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he receiving step includes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선택된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the outputting step includes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graphic objec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utput step, 상기 다수의 그래픽 오브젝트 중 선택되지 않은 그래픽 오브젝트를 축소시키고,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And reducing a graphic object that is not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and moving the graphic object to another point of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graphic object.
KR1020090107098A 2009-11-06 2009-11-06 Display device and it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Withdrawn KR201100502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098A KR20110050217A (en) 2009-11-06 2009-11-06 Display device and it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098A KR20110050217A (en) 2009-11-06 2009-11-06 Display device and it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17A true KR20110050217A (en) 2011-05-13

Family

ID=4436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098A Withdrawn KR20110050217A (en) 2009-11-06 2009-11-06 Display device and it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021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953A (en) * 2011-12-09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10529301B2 (en) 2016-12-22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WO2021117949A1 (en)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wal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953A (en) * 2011-12-09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10529301B2 (en) 2016-12-22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US10930246B2 (en) 2016-12-22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WO2021117949A1 (en)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wal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11787B (en) Display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387007B2 (en) Video tiling
KR10221612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sub-screens and display apparatus therefor
WO2020248640A1 (en) Display device
RU2528016C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lighting device in virtual room
KR102350933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9443457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21042655A1 (en) Sound and picture synchronization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2676837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510788B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double-screen double-system screen switching animation
WO202024871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1917329B2 (en) Display device and video communication data processing method
KR20190026267A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CN111464840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brightness of display device
CN113132769A (en) Display device and sound and picture synchronization method
TW201334514A (en) Television system operated with remote touch control
CN112911354B (en) Display apparatus and sound control method
WO2021088309A1 (e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mpt method
CN114465838B (en) Display equipment, intelligent home system and multi-screen control method
CN112788378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 display method
KR20110050217A (en) Display device and its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CN112788423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menu interface
CN113938633B (en) A video call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11259639B (en) Self-adaptive adjustment method of table and display equipment
CN112788375B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