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189A -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4189A KR20110034189A KR1020090091629A KR20090091629A KR20110034189A KR 20110034189 A KR20110034189 A KR 20110034189A KR 1020090091629 A KR1020090091629 A KR 1020090091629A KR 20090091629 A KR20090091629 A KR 20090091629A KR 20110034189 A KR20110034189 A KR 201100341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pair
- cam
- mobile terminal
- shaf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는, 제1 힌지축(110)과, 제1 힌지축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 힌지축(120)과, 제1, 제2 힌지축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와 회전캠(150)을 일체형으로 각각 갖는 한 쌍의 회전체(140)와, 제1, 제2 힌지축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회전캠과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제1, 제2 힌지축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한 직선이동캠(160)과, 제1, 제2 힌지축을 따라 삽입 설치되어 직선이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170)와, 한 쌍의 회전체의 일측에서 제1, 제2 힌지축을 서로 연결하되 제1, 제2 힌지축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180)와, 한 쌍의 탄성부재의 일측에서 제1, 제2 힌지축을 서로 연결하되 제1, 제2 힌지축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190)와, 양측 단부가 제1 힌지축의 양측 단부와 체결되어 본체에 고정 가능한 제1 브라켓(210), 및 양측 단부가 제2 힌지축의 양측 단부와 체결되어 덮개에 고정 가능한 제2 브라켓(220)으로 구성된다. The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shaft 110, the second hinge shaft 120 which i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hinge shaft,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respectively. A pair of rotating bodies 140 each having an interlocking gear and a rotating cam 150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cam. A linear movable cam 160 capable of linear movement along the hinge axis, a pair of elastic members 170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to impart elastic force to the linear movement cam, and one side of the pair of rotating bodies In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to each other, bu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80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rotatably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on one side of the pair of elastic members A second connecting member 190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to be rotatable,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first hinge shaft. And a first bracket 210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bracket and fixed to the main body, and a second bracket 220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hinge shaft and fixed to the cover.
Description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장치(예를 들면, 휴대폰, PDA, 노트북 등)에서 두 유닛을 연결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portable terminal for connecting two units in a device having two units coupled to each other to be folded or unfolded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PDA, a notebook, etc.). It relates to a hinge device for.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통신 및 방송 등의 서비스를 무선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및 PDA, 노트북, DMB폰 등의 휴대단말기가 많이 사용된다. In general, in order to wirelessly use services such as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while moving in a place other than a fixed location,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notebook computers, and DMB phones are frequently used.
휴대단말기는 정보화시대에 따른 생활의 편의성을 누리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필수품 중의 한가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의 경우 초, 중, 고등학생과 노인 등에 이르기까지 보급대상이 매우 광범위하다.The portable terminal is one of the essential necessities in order to enjoy the convenience of lif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ge. Especially, the mobile terminal is widely distribut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elderly.
휴대단말기는 키패드가 구비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는 덮개가 상호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체에 대한 덮개의 개폐 구조에 따라 폴더 방식, 슬라이딩 방식 및 스윙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폴더 방식 으로 덮개를 개폐하는 휴대단말기는 사용이 편리하고 고장이 적으며, 세련된 디자인을 갖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식 중의 하나이다.The portable terminal i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keypad and a cover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open and close, and can be classified into a folding method, a sliding method, and a swing metho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cover for the main body. 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in a folder method is one of the most applied in recent years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easy to use, less trouble, and a stylish design.
도 1은 종래의 힌지장치를 적용한 휴대단말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는 본체(3)와 덮개(6)로 구분되며, 본체(3)에는 키입력부(4) 및 송화부(5) 등이 마련되고, 덮개(6)에는 디스플레이부(7) 및 수화부(8) 등이 마련된다. 여기서, 덮개(6)는 본체(3)와 힌지장치(10)를 통하여 연결되어 개폐가 행해진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conventional hinge device is applied,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into a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장치(10)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통(11)과, 외통(11)의 내부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캠부재(12)와, 외통(1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설치되는 이동캠부재(14)와, 외통(11)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정캠부재(12)와 이동캠부재(14)가 항상 서로 접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16)와, 외통(11)과 고정캠부재(12)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하여 지지하는 힌지축(18)으로 구성된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device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Figure 3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힌지장치(10)는 주로 외통(11)이 휴대단말기의 덮개(6)의 모서리 중앙에 형성되는 상부조립편(6a)의 구멍(6b)에 조립되고, 고정캠부재(12)가 휴대단말기 본체(3)의 모서리 양측에 형성되는 하부조립편(3a)의 구멍(3b)에 조립된다. The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를 이용할 경우 에는 휴대단말기의 덮개와 본체에 상부조립편 및 하부조립편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을 제공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슬림화나 소형화, 디자인의 세련화 등이 매우 어렵다. 나아가 상부조립편 및 하부조립편이 돌출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슬림형으로 휴대단말기를 제조할 때에는 상부조립편 및 하부조립편의 강도가 취약해질 우려가 있다.However, when using the hinge device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houl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ssembly piece and the lower assembly piece are formed on the cover and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respectively, to provide a factor fo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do.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slim down, downsize, and refine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Furthermore, since the upper assembly piece and the lower assembly piece protrude from each other, there is a risk of cracking,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anufactured in a slim type, the strength of the upper assembly piece and the lower assembly piece may become weak.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요 부품이 휴대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본체와 덮개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 휴대단말기의 슬림화나 소형화 및 디자인의 세련화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s the main parts have a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limming, miniaturizing, and designing a terminal.
또한, 이 발명은 한 쌍의 회전체가 서로 맞물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단순한 구조의 2개의 연결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제조가 편리한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by using two connection members having a simple structure so that a pair of rotating bodies can rotate smoothly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또한, 이 발명은 한 쌍의 회전체의 표면에 덮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간단한 스토퍼면을 통해 회전각도 제한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limiting the rotation angle through a simple stopper surface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ver on the surface of the pair of rotors.
이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1 힌지축과, 제1 힌지축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 힌지축과, 제1, 제2 힌지축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와 회전캠을 일체형으로 각각 갖는 한 쌍의 회전체와, 제1, 제2 힌지축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회전캠과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제1, 제2 힌지축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한 직선이동캠과, 제1, 제2 힌지축을 따라 삽입 설치되어 직선이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와, 한 쌍의 회전체의 일측에서 제1, 제2 힌지축을 서로 연결하되 제1, 제2 힌지축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와, 한 쌍의 탄성부재의 일측에서 제1, 제2 힌지축을 서로 연결하되 제1, 제2 힌지축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와, 양측 단부가 제1 힌지축의 양측 단부와 체결되어 본체에 고정 가능한 제1 브라켓, 및 양측 단부가 제2 힌지축의 양측 단부와 체결되어 덮개에 고정 가능한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device for connecting a main body and a cover of a mobile terminal, the first hinge axis, the second hinge axis which is provid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hinge axis,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respectively. And a pair of rotating bodies each having a rotating gear and a rotating cam integral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cams to form a straight line along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 movable linear movable cam, a pair of elastic members insert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to impart elastic force to the linear movable cam,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ir of rotating bodies.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are rotatable on one side of the pair of elastic members, respectively.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hinge Is engaged with the shaft side end por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racket, and the side end portions to attach to the body and a second bracket fixed to the cover can be fastened to each side end portion in the second hinge axis.
이 발명의 한 쌍의 회전체는 기어가 형성된 표면의 일부 구간에 덮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면을 각각 가질 수 있다. The pair of ro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ch have a stopper surface for limiting the rotational angle of the cover in some section of the geared surface.
이 발명의 제2 연결부재는 제1, 제2 힌지축의 길이에 대비하여 회전체, 직선이동캠 및 탄성부재가 차지하는 길이가 작음에 따라 생기는 빈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서의 기능을 더 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function as a spacer to fill the empty space generated by the small length occupied by the rotating body, the linear moving cam and the elastic member in comparison with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이 발명의 제2 연결부재의 표면에는 그 양측보다 낮게 형성되어 본체와 덮개 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활용되는 안착면을 더 가질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have a seating surface formed lower than both sides thereof and used as a space in which a flexible printed cable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installed.
이 발명의 제1, 제2 힌지축의 양 단부 부위에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고, 걸림홈에는 제1, 제2 연결부재의 일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제1, 제2 연결부재를 비롯하여 부품들이 제1, 제2 힌지축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부품들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체결링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Engaging grooves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the engaging grooves ar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hinge shafts may be installed, and fastening rings may be installed to prevent play between the parts.
이 발명은 한 쌍의 회전체, 직선이동캠, 한 쌍의 탄성부재, 제1, 제2 연결부재 및 체결링을 함께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se member which surrounds and protects a pair of rotating bodies, a linear moving cam, a pair of elastic members,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and a fastening ring together.
이 발명은 주요 부품이 휴대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본체와 덮개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 휴대단말기의 슬림화나 소형화 및 디자인의 세련화가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as the main parts have a structur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slim down, miniaturized and refine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이 발명은 한 쌍의 회전체가 서로 맞물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단순한 구조의 2개의 연결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제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manufacturing by using two connecting members of a simple structure so that a pair of rotating bodies can rotate smoothly to mesh with each other.
또한, 이 발명은 한 쌍의 회전체의 표면에 덮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간단한 스토퍼면을 통해 회전각도 제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rotation angle can be limited through a simple stopper surface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ver on the surface of the pair of rotors.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 및 도 5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여 클로즈 상태와 오픈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여 클로즈 상태와 오픈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4 and 5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show only some components of the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 state, respectively. 8 and 9 are separate and assembl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different angles, and FIGS. 10 and 11 are views of the hinge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8. Only a few components are shown to show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respectively.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100)는 제1 힌지축(110)과, 제1 힌지축(1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 힌지축(120)과, 제1 힌지축(110) 및 제2 힌지축(120)에 각각 결합되고 회전캠(150)이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체(140)와, 회전캠(150)과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직선이동캠(160)과, 직선이동캠(160)에 항상 힘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170)와, 제1, 제2 힌지축(110, 120)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되 제1, 제2 힌지축(110, 120)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제2 연결부재(180, 190)와, 제1, 제2 연결부재(180, 19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1, 제2 힌지축(110, 120)의 양측 둘레에 각각 끼워지는 두 쌍의 체결링(130)과, 양쪽 끝부분이 제1 힌지축(110)의 양쪽 끝부분과 체결되는 제1 브라켓(210), 및 양쪽 끝부분이 제2 힌지축(120)의 양쪽 끝부분과 체결되는 제2 브라켓(22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4 to 11, the
제1, 제2 힌지축(110, 120)은 회전체(14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설 치된다. 회전체(140)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회전체(140)에는 표면 둘레를 따라 기어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어가 표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거나 일부 구간에서는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and
이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100)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체(140)의 일부 구간에 기어를 형성하지 않고 기어의 산 높이를 갖는 스토퍼면(142)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덮개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덮개(제1 유닛 또는 제2 유닛)가 본체(제2 유닛 또는 제1 유닛)가 대해 150~160°정도 오픈되도록 구성되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회전체(140)의 스토퍼면(142)을 150~160°오픈되는 지점에 형성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덮개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회전체(140)에 형성되는 스토퍼면(142)의 위치조절을 통해 150~160°이하 또는 그 이상의 위치까지 오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체(140)에 의하여 제1 힌지축(110)과 제2 힌지축(12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The
회전체(140)의 한쪽 끝부분에는 회전캠(150)이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캠(150)에는 직선이동캠(160)이 탄성부재(170)에 의하여 항상 밀착된다. 직선이동캠(160)은 제1 힌지축(110) 및 제2 힌지축(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One end of the rotating
직선이동캠(160)은 제1 힌지축(110)과 제2 힌지축(120)을 서로 연결함과 더불어 한 쌍의 회전캠(150)과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 제2 힌지 축(110, 120)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직선이동캠(160)은 제1, 제2 힌지축(110, 120)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한 크기로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일측면에 캠면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탄성부재(170)는 회전캠(150)과 직선이동캠(160)이 서로 밀착되도록 직선이동캠(160)에 항상 힘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70)는 압축코일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힌지축(110)과 제2 힌지축(120)의 중심축선상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The
회전캠(150)과 직선이동캠(16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오르막구간과 내리막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캠선도를 갖는 캠면(도시안됨, 162)이 각각 형성된다. 캠면(162)의 구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힌지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회전캠 및 직선이동캠의 캠면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Cam faces (not shown) 162 having cam diagrams consisting of an uphill section and a downhill section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제1 연결부재(180)는 한 쌍의 회전체(140)의 일측에서 제1, 제2 힌지축(110, 120)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고, 제2 연결부재(190)는 한 쌍의 탄성부재(170)의 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제2 힌지축(110, 120)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제2 연결부재(180, 190)는 한 쌍의 회전체(140)의 기어가 서로 간에 정확하게 맞물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제2 힌지축(110, 120) 간의 벌어짐이나 유격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 등을 한다. The
한편, 제2 연결부재(190)는 제1, 제2 힌지축(110, 120)의 길이에 대비하여 회전체(140), 직선이동캠(150) 및 탄성부재(170)가 차지하는 길이가 작음에 따라 생기는 빈공간을 채우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연결부재(190)는 그 상단에 양측보다 낮게 형성된 안착면(192)을 갖는다. 이러한 안착면(192)은 휴대단말기의 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necting
체결링(130)은 "E"형상의 금속링("E-ring"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어, 제1 힌지축(110) 및 제2 힌지축(120)의 양 단부 부위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112, 122)에 각각 끼워져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링(130)은 제1, 제2 연결부재(180, 190)의 일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제1, 제2 연결부재(180, 190)를 비롯하여 부품들이 제1, 제2 힌지축(110, 1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부품들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브라켓(210) 및 제2 브라켓(220)은 양쪽 끝부분이 대략 직각으로 굽어진 "ㄷ"자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제1, 제2 브라켓(210, 220)은 그 양쪽 끝부분이 제1, 제2 힌지축(110, 120)의 양쪽 끝부분에 체결된다. 따라서, 제1 브라켓(210)은 제1 힌지축(110)과 일체로 회전하고, 제2 브라켓(220)은 제2 힌지축(120)과 일체로 회전한다. 여기서, 제1 브라켓(210)은 휴대단말기의 본체 또는 덮개 내부에 조립되어 설치되고, 제2 브라켓(220)은 휴대단말기의 덮개 또는 본체 내부에 조립되어 설치된다.The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100)는 제1, 제2 힌지축(110, 12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두 쌍의 체결링(130) 까지 모두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부재(도시안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부재는 제1, 제2 힌지축(110, 120)이 각각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품들을 감싸 보호하는 형태를 갖는다.The
이상에서 이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describes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힌지장치를 적용한 휴대단말기의 일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conventional hinge device is applied;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device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장치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고, 3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hinge device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고, 4 and 5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여 클로즈 상태와 오픈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6 and 7 are only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respectively, by showing only some components of the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4;
도 8 및 도 9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며, 8 and 9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angles,
도 10 및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여 클로즈 상태와 오픈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10 and 11 are only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by showing only some components of the hinge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힌지장치 110 : 제1 힌지축 100: hinge device 110: first hinge shaft
120 : 제2 힌지축 130 : 체결링120: second hinge shaft 130: fastening ring
140 : 회전체 150 : 회전캠140: rotating body 150: rotating cam
160 : 직선이동캠 170 : 탄성부재160: linear movement cam 170: elastic member
180 : 제1 연결부재 190 : 제2 연결부재180: first connecting member 190: second connecting member
210 : 제1 브라켓 220 : 제2 브라켓210: first bracket 220: second bracke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629A KR20110034189A (en) | 2009-09-28 | 2009-09-28 |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629A KR20110034189A (en) | 2009-09-28 | 2009-09-28 |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4189A true KR20110034189A (en) | 2011-04-05 |
Family
ID=4404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1629A Ceased KR20110034189A (en) | 2009-09-28 | 2009-09-28 |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34189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47260A (en) * | 2011-10-11 | 2013-04-17 | 株式会社普莱斯科 | Hinge assembly attachment bracket and hinge assembly used for portable terminal |
US9027205B2 (en) | 2011-07-13 | 2015-05-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ear cam mounting device in dual-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
CN111262991A (en) * | 2018-11-30 | 2020-06-0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Control method and foldable device |
WO2020186890A1 (en) * | 2019-03-15 | 2020-09-24 | 华为技术有限公司 |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
WO2020248746A1 (en) * | 2019-06-14 | 2020-12-17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Connecting mechanism, foldable displ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
WO2021218363A1 (en) * | 2020-04-30 | 2021-11-0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Synchronization mechanism, rotary shaft kit and electronic device |
KR20220131105A (en) * | 2021-03-19 | 2022-09-27 | 주식회사 파츠텍 | Hinge module for foldable mobile terminal with flow prevention structure |
-
2009
- 2009-09-28 KR KR1020090091629A patent/KR20110034189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27205B2 (en) | 2011-07-13 | 2015-05-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ear cam mounting device in dual-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
CN103047260A (en) * | 2011-10-11 | 2013-04-17 | 株式会社普莱斯科 | Hinge assembly attachment bracket and hinge assembly used for portable terminal |
CN111262991A (en) * | 2018-11-30 | 2020-06-0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Control method and foldable device |
WO2020186890A1 (en) * | 2019-03-15 | 2020-09-24 | 华为技术有限公司 |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
US11846997B2 (en) | 2019-03-15 | 2023-12-19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
WO2020248746A1 (en) * | 2019-06-14 | 2020-12-17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Connecting mechanism, foldable displ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
US11537175B2 (en) | 2019-06-14 | 2022-12-27 | Shenzhen Everwin Precision Technology Co., Ltd. | Connection mechanism, foldable display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
WO2021218363A1 (en) * | 2020-04-30 | 2021-11-0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Synchronization mechanism, rotary shaft kit and electronic device |
KR20220131105A (en) * | 2021-03-19 | 2022-09-27 | 주식회사 파츠텍 | Hinge module for foldable mobile terminal with flow preven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9610Y1 (en) | Hinged cover switchgear for mobile terminal | |
KR20110034189A (en) |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US11175695B2 (en) | Foldable mobile terminal, foldable mechanism for foldable mobile terminal, and foldable unit for foldable mobile terminal | |
CN101582933B (en) |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1142836B1 (en) | Double axis hinge module and mobile phone with the same | |
US8240007B2 (en) |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EP1758343A2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8136206B2 (en) | Biaxial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 |
US20090268389A1 (en) | Rotar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2008275139A (en) | Two parallel shaft hinge module | |
KR100791266B1 (en) | Hinged cover switchgear for mobile terminal | |
KR101023495B1 (en) | Folding device hinge device | |
KR100990733B1 (en) | Hing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US20060143863A1 (en) | Hinge | |
JP5348690B2 (en) | Slide rotation hinge and portable device | |
CN119072041A (en) | Hinge and folding display device | |
KR20110005077A (en) | 2-axis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with same | |
CN119616991A (en) | Torsion assembly, fold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0971997B1 (en) | Dual Twist Hinge Units for Mobile Devices | |
KR20040077168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urning liquid crystal display | |
JP4275360B2 (en) | Hinge structure and folding electronic device | |
KR100678038B1 (en) | Hinge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1021808B1 (en) | Swing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 |
KR100986775B1 (en) |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KR100595624B1 (en) | Folder dual rotation switchgear of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